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태아 척추 골화과정에서 연골관의 역할

        정성택,남광일,김백윤,윤재룡,Jung, Sung-Taek,Nam, Kwang-Il,Kim, Baik-Yoon,Yoon, Jae-Rhyong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3

        태생기 성장골에 출현하는 연골관은 골화와 무관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통로라 하였고 일부 학자들은 연골관 말단부에서 골화가 일어남을 발표하였다. 추체에서 연골관은 골화중심부 출현이전에 나타나 전 태생기동안 존재하기 때문에 연골관과 골화와의 관계를 관찰하는 것은 골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연골관이 추체연골부 골화중심부 출현에서부터 골화가 진행하는 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새로운 지견을 얻었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좌고 60mm(태령 12주)때 추체에 연골관이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80mm(13주)때 추체 중앙부에는 석회화연골세포와 비대연골세포로 구성된 석회화소가 출현하였으며 심연골관이 비대연골세포대에서 관찰되었다. 비대연골세포의 형태는 다양하였고 불규칙하게 배열하고 있었다. 심연골관의 끝부분에는 골형성세포, 골모세포 및 파연골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이것이 1차 골화중심부 출현이었다. 비석회화 연골기질은 연골관내에 존재한 혈관주위 결합조직들에 의해 주로 흡수되었고 파연골세포에의한 석회화 연골기질의 흡수는 활발하지 많음을 볼 수 있었다. 120mm(16주)때 추체 연골내골화가 전 후방으로 진행되었고 전 후방 연골막에서 막내골화가 시작되어 막성골층판이 신생되었다. 결론적으로 추체의 골화과정은 장골의 골단연골의 골화과정과 유사하였고, 특히 추체에 출현하는 연골관의 주위에 존재하는 결합조직성 세포들이 골형성세포 및 골모세포로 분화 발육하여 신생골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a role of cartilage canals in osteogenesis and growth of the vertebrae,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50 mm to 260 mm crown rump length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initial appearance of cartilage canals of the vertebral body was observed at 60 mm fetus. In 80 mm fetus, primary ossification center in the vertebral body was first noted. The vertebral body showed calcified chondrocytes surrounded by a tone of hypertrophied chondrocytes and deep canals which terminated in calcified matrix. Most hypertrophied chondrocytes in the centrum showed in various stage of degeneration in disorderly arrangement. At the blind end of deep canal, osteogenic cells, osteoblasts and chondroclasts were observed. Resorption of unmineralized cartilage septa was undertaken by perivascular cells within cartilage canals. The ruffled border of the chondroclast was restricted to resorption site of calcified cartilagenous matrix. The periosteal bone formation was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primary center of the centrum at 120 mm fetus. The osteoblasts of the perichondrium started to lay down a thin membranous bony lamell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sseous trabeculae of the centrum. The processes of bone formation in the vertebral bodies were found to possess morphological similarities to that occurring at secondary center of the epiphysis of a long b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nective tissue cells within the cartilage canals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to osteoblasts at the site of endochondral ossification of the vertebrae.

      • 소아에서의 성장 예측: 골종양의 치료와 관련된 소아 하지 부동

        정성택,정광철,박형원,Jung, Sung-Taek,Jeong, Kwang-Cheul,Park, Hyeong-W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1

        악성 골종양의 치료의 주된 목적은 장기 생존기간을 연장 및 삶의 질적 개선이나, 소아의 경우 골격 성장이 지속되어 종양 치료 후 성장 완료 시 나타나는 하지 부동(leg length discrepancy)이 치료에 있어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성장기 소아의 하지 부동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아의 정상적인 성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성장 과정에서의 하지 부동의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시기 및 방법의 선택에 있어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성장 예측 방법들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시 관찰이 필수적이므로 환아의 부모와의 긴밀한 협조 또한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ain goals of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 are the prolongation of life survival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growing children, however, leg length discrepancy (LLD) is one of major problem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Therefore,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growth in children is essential, and the prediction of LLD is critical in deciding the time and options of surgery. In addition, to use the adequate method of growth expectation, periodic follow-up and collaboration with patient's parents are needed.

      • 임신중 발생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동반한 상완골 근위부의 Brown tumor

        정성택,김현종,이담선,박기헌,Jung, Sung-Taek,Kim, Hyun-Jeong,Lee, Dam-Seon,Park, Gi-He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Brown tumor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의한 골격의 종양유사병변으로 드물게 보고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29세 여자환자의 상완골 근위부에 발생한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의한 brown tumor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내원 3개월전부터 상박부 동통 및 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골조직 검사상 거대세포종양이 의심되었으며 광범위 변연절제술 및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다발성 관절통 및 전신 무력감 호소하였으며 혈액검사 및 방사성 동위원소검사에서 부갑상선 선종에 의한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진단되었다.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의한 brown tumor로 진단 후 부갑상선 선종의 외과적 절제술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임상적 증세의 호전을 보인 증례이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Brown tumor is tumor like lesion resulted from hyperparathyroidism, and it has been rarely reported recently. We evaluated a 29-year-old woman who had brown tumor on proximal humerus caused by primary hyperparathyroidism. She first had presented pain and swelling over the upper arm, and was suspected as giant cell tumor in biopsy combined with hyperparathyroidism. Wide marginal excision and tumor prosthesis were performed. However, it was confirmed as brown tumor resulted from parathyroid adenoma according to laboratory findings and radioactive isotopes image, and surgical excision of adenoma relieved clinical symptoms.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양성 골종양의 절제 및 소파술 후 사용한 골이식 대체물의 결과 및 분석

        정성택,서형연,선종근,이재준,김성식,Jung, Sung-Taek,Seo, Hyoung-Yeon,Seon, Jong-Keun,Lee, Jae-Joon,Kim, Seung-Si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목적: 양성 골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골이식 대체물을 이식하였을 때 골 유합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와 골 이식 대체물 중 황산칼슘(calcium sulfate)과 수산화인회석 (hydroxyapatite)을 이용하여, 골 이식술 후 유합 정도를 비교하여 골 치유 과정에 대한 두가지 골 이식 대체물의 차이점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양성 골종양 환자 중 병소의 소파술 시행 후 골 이식 대체물을 이식한 20례를 대상으로 술전후 단순 방사선 소견상 병소 크기, 신생골의 형성, 병소의 재발 여부와 이식 후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총 20례 중 남자가 13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15.8세(2~5),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3년이었다. 방사선 사진상 병소의 면적은 평균 30.7 $cm^3$였으며, 최종 추시상 전체 20례 중 19례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1례에서 병소의 재발을 보였다. 나이, 병소 크기와 병변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황산칼슘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골 전도 작용이 있으며 새로운 골형성에 비례하여 생체내로 흡수되는 특성을 보였고, 이에 반해 수산화인회석은 골 전도 작용이 있지만, 병변의 크기나 주위 환경에 따라 자가골, 자가 골수 이식, 이종골과 병행 사용시 양호한 골치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황산칼슘에 비해 더 느리게 생체내로 흡수되는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bony union can be obtained when a bone graft substitute is transplanted in order to treat a benign bone tumor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alcium sulfate and hydroxyapatite in the healing procedure when the degree of the bony union after the bone graft a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20 cases, in which a curettage on the benign bone tumors was conducted and a bone graft substitute was transplanted. The area of the focus, the new bone formation, the recurrence of the focus in the plain radiographs and hist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Results: Twenty cases (13 males, 7 females) were evaluated. Their mean age at surgery was 15.8 years (2~45),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 years. The mean area of focus was 30.7 $cm^3$ in the radiographs, and 19 cases showed successful results in the ultimate visit, while 1 case has a recurrence of the focus. Conclusion: Calcium sulfate has osteoconduction and superior bioavailability, and is absorbed in vivo in proportion to the new bone formation. On the other hand, hydroxyapatite has good osteoconduction. It can result in better bone formation when it is combined with an autologous bone graft, autologous bone marrow, and an allogenic bone graft, but is absorbed in vivo more slowly than the former.

      • 양성 골 종양의 절제 및 소파술 후 사용한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의 결과

        정성택,배봉현,임근영,공일규,Jung, Sung-Taek,Bae, Bong-Hyun,Lim, Keun-Young,Kong, Il-Ky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양성 골종양의 치료 시 발생한 공동의 골 결손에서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양성 골종양으로 진단되어 종양 제거술 및 소파술 후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술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 받은 2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 결손 부위의 크기는 술 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병소 부위의 부피를 산출하였다. 최종 추시 상 이식된 동종골의 유합 여부 및 신생골 형성 및 재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이식 골의 방사선학적 유합 소견이 관찰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1주였으며 순수하게 동종골 이식술만을 사용한 군은 11.4주, 동종골 이식술과 함께 자가골 이식술을 사용한 군은 10.7주, 동종골과 골대체물을 사용한 군은 13.6주 소요되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상 병소의 면적이 40 $cm^3$미만인 군은 9.3주, 40 $cm^3$이상인 군에서는 12.9주에 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2례에서 동일 부위의 재발 소견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동종골 이식술로 인한 염증 반응 및 질환의 전파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양성 골 종양의 소파술 후 신선 동결 동종골의 사용과, 동종골 및 자가골의 사용에 있어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양성 골종양의 소파술 후 결손부위의 치료에 대해 자가골 이식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사료되나, 자가골 이식이 여의치 않은 소아의 경우나 골 결손부위가 커서 적절한 자가골을 얻을 수 없는 경우 등은 골 획득 및 처리가 비교적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 신선 동결 동종골을 이용한 치료가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time how much time spent until the bone unions, when we grafted fresh frozen allograft during therapy of benign bone tumor depends on the degrees of bony un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29 cases, in which a curettage on the benign bone tumors was conducted and a fresh frozen allograft was transplanted. The area of the focus, the new bone formation, the recurrence of the focus and complications in the plain radiographs were observed. Results: The average time when we could find out bony unions in the radiographs is eleven weeks. The time when we could observe the unions in the radiographs are 11.4 weeks in allograft group, 10.7 weeks in allograft and autograft groups and 13.6 weeks in allograft and bone substitute. On radiologic findings, the average lesion size is 40 cm3. The time when we could find bony unions are 9.3 weeks in less than 40 $cm^3$ and 12.9 weeks in more than 40 $cm^3$. We could observe recurrences in two cases. Conclusion: The authors could get the similar results between fresh frozen allograft, allograft and autograft after curettage of benign bone tumor. We can think the ideal method which is the transplantation of autograft, but if we can’t get autograft enough, the best way which heal the defects is the transplantation of fresh frozen allograft.

      • 양성 골종양을 동반한 소아 대퇴골의 병적 골절

        정성택,김병수,문은선,이근배,서형연,Jung, Sung-Taek,Kim, Byung-Soo,Moon, Eun-Sun,Lee, Keun-Bae,Seo, Hyoung-Ye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15세 이하의 소아에서 골종양에 2차적으로 발생한 대퇴골의 병적 골절의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골종양에 2차적으로 발생한 대퇴골의 병적 골절로 치료받았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8명,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10.2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42.5개월이었다. 결과: 골절 부위는 대퇴 근위부 14예, 간부 3예, 원위부 3예였으며, 원인 골종양은 섬유성 이형성증 9예, 단순 골낭종 4예, 동맥류성 골낭종 4예, 비골화성 섬유종 2예, 호산구성 육아종 1예였다. 치료 방법으로 골절에 대해서는 11예에서 석고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8예에 대해서는 내고정을 1예에서는 외고정을 시행하였다. 원발 종양에 대해서는 관찰만 시행한 경우가 11예, 소파술 및 골이식이 8예, 절제술이 1예에서 시행되었다.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모든 예에서 변형이 발생하여 변형 교정술 및 골수정 내고정술로 더 이상의 변형이나 재골절을 예방할 수 있었다. 결론: 골종양에 2차적으로 발생한 소아 대퇴골의 병적 골절은 그 치료가 어려우나 원발 골종양의 종류 및 그 특성에 따른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ment of pathologic femur fractures secondary to bone tumor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5 and June 2004, 18 patients(20 cases) were evaluated. Their mean age of the first episode of fracture was 10.2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is 42.5 months. Primary bone tumors, the location of fracture, time to union and complications were evauated. Results: Fractures occurred at proximal portion in 14 cases, shaft 3 cases and distal portion 3 cases. The bone tumors causing pathologic fracture were fibrous dysplasia(9 c ases), simple bone cyst(4 cases), aneurysmal bone cyst(4 cases), nonossifying fibroma(2 cases) and eosinophilic granuloma(1 case). In the treatment for fractures, cast was in 11 cases, internal fixation 8 cases and external fixation in 1 case. In the treatment for tumors, observation was in 11 cases, curettage & bone graft in 8 cases and resection in 1 case. In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all cases were treated by cast initially but deformity developed in all cases. Fracture prevention and deformity correction were obtained with intramedullary nailing. Conclusion: Adequate choice of treatment of bone tumor and fracture will result in good prognosis.

      • KCI등재

        종골 골절후 외상성 관절염에 대한 삼중 관절 고정술의 임상적 결과

        정성택,노성만,정재윤,송은규,이근배,Jung, Sung-Taek,Rowe, Sung-Man,Chung, Jae-Yoon,Song, Eun-Kyoo,Lee, Keun-Bae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2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of triple arthrodesis for the posttraumatic arthritis after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2 posttraumatic arthritis patients who underwent a triple arthrodesis from March 1991 to May 1998.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74 months(range, 36-123 months). The pain, function and alignment were evaluated by the modified ankle-hindfoot scale of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AOFAS) clinically and the union rate, the duration of union and the degenerative change of adjacent joints radiographically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duration from injury to arthrodesis was 33 months (range, 12-132 months). The AOFAS score improved from 36.4 points(range, 14-64) preoperatively to 67.6(range, 25-90) postoperatively. The union rate was 90.1% radiographically, the mean duration of union was 14.3 weeks(range, 12-21 weeks) and the degenerative change in the adjacent joint was showed in 12 patients(54.5%). There were 2 cases of talonavicular nonunion, one superficial wound infection and one partial skin necrosis. Conclusion: Triple arthrodesis for posttraumatic arthritis after calcaneal fractures is a useful method for relief of pain and correction of posttraumatic hindfoot deformity, as an evidenced by the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 Although a high prevalence of subsequent arthritis of the ankle and midtarsal joint was noted radiographically, we found that it was not clinically relevant.

      • KCI등재

        족모지 조갑하 외골종

        정성택,송은규,이영근,Jung, Sung-Taek,Song, Eun-Kyoo,Lee, Young-Key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99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 No.1

        Subungal exostosis is a rare benign cartilaginous tumor affecting the distal phalanx. From 1995 to 1996, six subungal exostoses of the hallux were treated in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ymptoms were subungal pain, mass on the distal phalanx elevating the nail or causing ulceration of the nail bed. The plain radiological examination showed a bony mass occurring on the dorsomedial or medial aspect of the distal phalanx. The diagnosis of the subungal exostosis of the hallux were suspected from clinical presentation and confirmed with radiographic examination. Histological patterns were fibrocartilaginous cap with the mature trabecular bone. Complete excision of the lesion including overlying nail bed was curative without recurrence in all cases.

      • 종양 절제 후 동반된 비골신경 손상

        정성택,정재윤,선종근,조상권,김기형,Jung, Sung-Taek,Chung, Jae-Yoon,Seon, Jong-Keun,Cho, Sang-Gwon,Kim, Ki-Hyeo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1

        목적: 골연부조직에 발생한 종양 중 비골신경과 함께 종양 절제술을 시행받은 7명의 치료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종양이 발생한 비골 근위부 골육종 3예, 연골육종 2예 및 하퇴부 악성조직구 섬유종 2예였다. 비골 신경 절제술후 4예에서는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으며, 3예에서는 후경골근 배부 이전술을 시행하였다. 후경골근 배부 이전술을 시행한 3예에서는 단하지 보조기 착용없이 능동적 보행이 가능하였다. 결과: 종양과 함께 절제한 비골신경 손상시 보행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방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of peroneal nerve palsy in seven patients after musculoskeletal tumor resection. Their mean age was 38 years. Three had osteosarcoma in proximal fibula, 2 had chondrosarcoma in proximal fibula and calf and 2 had malignant fibrous histio cytoma in calf. Four of 7 patients had been managed using active dorsiflexion brace.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tibialis posterior transfer and could walk without brace were able to discontinue the use of the orthosis. Peroneal nerve palsy after wide excision of tumor including peroneal nerve can not resolve spontaneously and results in severe functional disability. To improve the gait function, active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 Effects of Ibandronate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Human U2OS Osteosarcoma Cells

        정성택,서형연,신증봉,김양경,김형원,Jung, Sung-Taek,Seo, Hyoung-Yeon,Xin, Zeng-Feng,Kim, Yang-Kyung,Kim, Hyung-Wo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배경: 골육종은 소아 및 청소년기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악성 골종양 중 하나이다. 최근 수술적 치료와 항암 화학요법을 병행하여 생존률이 증가하였지만, 아직까지도 항암제는 항암제 내성 및 이차성 악성 종양의 발생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부 종양은 matrix metalloproteinase(MMPs)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고, MMP inhibito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 bisphosphonate(BPs) 제제는 골흡수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으며, 파골세포와 관계된 골 병변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bisphosphonate 제제는 직접적인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골육종 세포주(U2OS)를 ibandronate(0, 0.1, 1, 10M)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처치하였다. 세포의 생존능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MMP-2와 MT1-MMP의 mRNA level은 reverse-transc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MMP-2와 MT1-MMP 단백의 양은 Westernblot을, MMP-2의 활성은 Gelatin zym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 ibandronate 처치 전후의 골육종 세포주의 침습성은 Matrigel invasio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48시간 ibandronate 처치 후 U2OS 세포주의 침습력은 ibandronate에 대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10M 이내의 ibandronate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젤라틴 융해능과 MMP-2 및 MT1-MMP의 단백 및 mRNA 정도역시 ibandronate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결론: Ibandronate는 골육종 세포주의 MMP-2 및 MT1-MMP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종양세포의 침습력을 감소시켰다. Bisphosphate의 종양세포 침습 억제 능력은 새로운 전이 억제제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Osteosarc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s of bone occurring mainl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lthough surgery combined with chemotherapy has markedly improved patient survival during the last years, the use of anticancer drugs is still associated with serious problem, such as the frequent acquisition of drug-resistant phenotypes and occurrence of "secondary malignancies". Several solid tumors display enhanc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recently clinical trials have been initiated on MMP-inhibitors. On the other hand, bisphosphonates (BPs) are inhibitors of bone resorption, and widely used to treat osteoclast-mediated bone diseases. Also they appear to possess direct antitumor activity. Methods: One osteosarcoma cell line (U2OS) was treated with ibandronate (0, 0.1, 1, $10{\mu}M$) for 48 hours. Cell viabilities were determined using MTT assay, the mRNA levels of MMP-2 and MT1-MMP were detected by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amount of MMP-2 and MT1-MMP protein were measured by Westernblot, the activities of MMP-2 were observed by Gelatin zymography, and Matrigel invasion assay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vasive potential of osteosarcoma cell lines before and after ibandronate treatment. Results: The invasiveness of U2OS cell line was reduced dose-dependently following 48 hour treatment of up to $10{\mu}M$ of the ibandronate at which concentration no cytotoxicity occurred. Furthermore, the gelatinolytic activities and protein and mRNA levels of MMP-2 and MT1-MMP were also suppressed by increasing ibandronate concentrations. Conclusion: Given that MMP-2 is instrumental in tumor cell invasion, it is very likely that the reduction in osteosarcoma cell invasion by ibandronate is a consequence, at least in part, of suppressed expression of both MMP-2 and MT1-MMP. Isolation of a molecule (s) responsible for the bisphosphonate inhibition of tumor cell invasion would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generation of metastasis inhibi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