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장자와 역설

        정륜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6 No.-

        본 논문은 장자 철학에는 역설이 없는 것처럼 해석해 온 종래의 관점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장자 철학이 본질적으로 역설을 갖고 있으며 그것이 각 주제에 일관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장자 철학의 본질이 도에 있으며 도 자체가 역설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장자 철학은 언어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한 역설적 체계를 벗어날 수 없다. 가장 중요한 개념(방편으로서의 개념)인 도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과 자연의 근원으로서의 도는 비유비무한 것이면서도 동시에 유무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무시무종한 것이면서도 동시에 시종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그것은 언어와 침묵을 초월하면서도 동시에 언어와 침묵을 포용하고 있다. 그래야만 도는 세계의 근원으로 기능하면서도 동시에 개별적인 사물에 내재한다는 사고가 설득력을 갖게 된다. 한편, 장자 철학은 감각이나 성심적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것들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장자철학은 무분별지를 위주로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감각이나 성심을 비우면 무분별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의식이 등장하여 사물의 차별상을 제대로 보는 인식 기능이 등장한다. 따라서 장자 철학은 무분별이면서도 분별이고 분별이면서도 무분별인 지혜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어느 한쪽만 가지고는 지혜라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삶의 경우도 동일한 패턴이 적용된다. 무위를 기초로 하는 삶은 어떤 걸림도 없는 행위 즉, 대상에 대한 분별의식이 없는 행위를 요구한다. 이러한 행위는 대상과 하나되므로 물아양망의 입장을 취한다. 이는 자신과 세속이 상호 적당함으로 전화하는 것이므로, 세속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분별의 세속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아니, 애초부터 그것들은 모두 하나였다. 그래서 장자철학은 궁극적으로 인간과 인간이 하나되고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는 대동의 세계를 지향하는 것이다. This paper criticizes that there are no paradoxes in Chuang Tzu's philosophy, and claims that each of themes in his philosophy intrinsically has the paradoxical system. For Tao itself has the self-negational attribute. As far as Chuang Tzu' philosophy is expressed in words, the paradoxical system cannot be avoided. For Tao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ntity of his philosophy cannot be expressed in any logical language. Tao, as the source of man and nature is both <non-being and non-nothing> and <being and nothing>, and is both <non-beginning and non-ending>and <beginning and ending>. Also it not only transcends <la nguage and silence> but also embraces <language and silence>. And only so, it is persuasive that Tao functions as the source of the world, at the same time dwells in individual things. On the other hand, Chuang Tzu's philosophy points out the limits of the sensory and selfish thoughts, and asserts to transcend them. When we think so, his philosophy only seems to assert an undifferentiated knowledge. But if we empty these wrong ideas from our egos, there will emerge not only an undifferentiated knowledge but also a new consciousness, through which we know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 things explicitly. Therefore we can think that his philosophy pursues the un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knowledge at the same time. And the same patterns are applied to the problems of life. In the life based on the Wu Wei there are actions without any barriers, and therefore there are no discriminations. These actions are united with the trend of individual things, so that there are states of forgetting both subject and object. And since this is transformed into the situation appropriate for any circumstances, it is not escaping from, but coming back these worldly affairs. Chuang Tzu ultimately aims at living in the world that man and nature are all in the One.

      • KCI등재

        당무유용(當無有用)의 현재성

        정륜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68 No.1

        ‘DangWuYouYong' in this thesis is an important means for the shift of paradigm. According to Taoists, the effectiveness of things unfolds when they are in the centre of nothing(無). Furtherm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undifferentiated unity of nothing which is the realm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And also the worldly struggles are to be cured only by their utilities. There are no solutions in the multiplicity of things. When nothing penetrates into all things, the stability of the things can be restored. Being based on the root, we can control the action of all branches. So far we have neglected the sphere of detachment or selflessness, and have been absorbed in that of attachment or selfish ego. But a healthy ego must take root in the absence of ego. Self-annihilation is the ground of all communications. These two scopes are originally interrelated and therefore cannot be separated. When we achieve this stage of mind, we shall be free from all anxieties and conflicts. This is the source of creativities which is indispensible for all men in these days. The same is true of the relation between practice and wisdom. The practice is on the road to selflessness and nothing, and the wisdom is in the phenomena of self and things. All these are united with one another in the way that a profound abyss and the waves cannot be divided in the sea. If an ascetic is ignorant of the world, there are faults in his practices. And if an intellect is obstinate, there are lacks in his studies. The unification of ego and selflessness, wisdom and practice is the crucial precondition to the peaceful coexistence which we should aim for. ‘당무유용’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도가(道家)는 무(無)를 중심으로 해야만 사물의 효용성이 드러난다고 한다. 무로 인해 개별적 존재는 관계의 확장성과 운동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영역은 차별 세계의 유(有)가 아니라 무차별 감통의 무라는 말이다. 차별을 넘어서야 감동과 소통이 가능하다. 세상의 상쟁도 무의 효용을 통해 근원적 치유책을 마련할 수 있다. 원리는 사태를 중심과 근원으로 끌고 들어가 주변과 말단의 작폐를 무의 경지로 녹여내는 방식이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의 본질을 파악할 수 없고 처방전도 미봉에 그칠 공산이 크다. 그간 자아를 강조하고 무아(無己, 無心)를 소홀히 했지만, 현실의 자아는 원천적으로 무아에 기초한 자아라는 점을 자각해야 한다. 무아 혹은 무심은 득도와 평화의 뿌리고 소유와 탐욕으로부터 해방되는 자리다. 바다에 비유하자면, 무심은 심연이고 자아는 물결이다. 물결은 심연과 닿아 있어 심연 없는 물결은 존재할 수가 없다. 근원에서 보면 사사물물의 경우가 다 마찬가지다. 심연은 생사가 없어 모든 두려움이 사라진 경지다. 동시에 무한한 창조성이 발휘되는 보고다. 어떤 경계선이나 패러다임에도 자유자재하기 때문이다. 수행과 지혜의 관계도 위와 같다. 지혜 역시 수행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수행은 심연으로 들어가는 과정이고, 지혜는 심연에서 물결을 통찰하는 능력이다. 들어가는 만큼 수행이 깊어지고 보는 만큼 지혜가 늘어난다. 동일한 사건의 양면이다. 수행자가 세상에 무지해도 안되고 지식인이 독선에 빠져도 안되는 이유다. 이는 다른 사람이나 존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심연의 바닥에서 타자의 물결을 자신의 다른 모습으로 대한다. 상생의 길을 마련하는 데 불가결한 초석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도가의 자연관과 환경윤리

        정륜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31 No.-

        문】오늘날 단기적 이익에 현혹된 집단은 다른 사람들에게 폭력을 일삼고 자연을 황폐화시키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탐욕을 위해서 무지를 지혜로 가장하고 있다. 이들의 신념 속에는 이원적이고 적대적인 세계관이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관은 역사적으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을 서로 대립 투쟁의 관계로 본다. 환경윤리는 이러한 세계관을 바꾸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도가는 도(道)를 축으로 하는 기화(氣化)의 자연관을 제시하고 모든 존재의 상호 회통성을 보여준다. 도가의 환경윤리는 모든 존재가 본래 하나라는 입장으로부터 도출된다. 여기에 인간은 생명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대지윤리, 인간의 계급구조가 자연착취를 가속화시킨다는 사회생태주의, 자연과 여성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생태여성주의 등의 요소가 모두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도 도가의 환경윤리는 ‘무용의 대용’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이 도가적 환경윤리의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윤리 아닌 윤리의 무위성을 그 본질로 하고 있다. 환경윤리를 위해서는 우선 인간의 대립구조를 철폐하고 전쟁이 방지하는 평화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여기에는 인간의 탐욕과 무지를 제거하면서 개별적 존재의 독자성과 통일성을 보장하는 일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연과 소통하는 과학기술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여실히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이에 따라 인간도 수행적 자세를 반드시 가져야만 한다. 인간이 변화하지 않고서는 환경문제가 해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On the View of Nature and the Environmental Ethics in Taoism

      • KCI등재
      • KCI등재

        ‘함께하는 삶’의 연기(緣起)적 토대(불교의 사회성 제고를 위한 일고찰)

        정륜,임규정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5 No.4

        Nowadays, the leading faction of our society distort the real state as if there are no needs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e ruling of a small number persists when many people erect barriers of each other and show unreasonable royalties to them. The tragedy of atomic human beings comes from the world forcing the endless competition. Man cannot live as atomic beings originally and a healthy society exists in the interdependence and harmony of all the members. Buddhism teaches that 'sharing life' is the reality of the human world. It is based on the theory of causality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depend on each other and change constantly. To put it concretely, there are three truths. 'All is vanity' does not fall on the nihilism, but makes man get over the tragedy of mankind and step on to the enlightenment of Buddha. 'All is selflessness' is not negative, but positive in the way that people open their hearts to each other and exhibit the best everyday. 'The realm of nirvana' is the realization of former two and the great freedom in here and now. All the wisdom and mercy flow out from this stage. Meanwhile, current korean buddhism has been criticized by reason of interpreting reciprocality as individuality. Henceforth, we must go back to teachings of the original buddhism and apply them to real situations. 오늘날 주류는 공존과 연대를 해서는 안 되는 것처럼 실상을 왜곡한다. 소수의 지배는 다수가 서로 장벽을 치고 끊임없는 충성을 맹세하면서 지속된다. 원자적 인간의 비극은 이러한 무한경쟁을 강요하는 사회의 산물이다. 인간은 제각각 분리된 존재로 살아갈 수 없다. 서로 의존하면서 조화롭게 살아야 건강한 세상이다. 불교는 처음부터 ‘함께하는 삶’이 실상이라고 했다. 그 철학적 토대는 ‘연기론’이다. 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하면서 변화해간다는 것이다. 이를 확장하면 삼법인이다. ‘무상’은 허무주의에 빠지는 게 아니라, 현실을 극복하는 힘을 주고 붓다의 깨달음으로 나아가게 한다. ‘무아’는 소극적 인간에 머무는 게 아니라, 타자에게 마음을 열도록 하고 공존과 상생의 이상을 보여준다. ‘열반’은 이러한 무상과 무아의 도리를 철저하게 체득한 대 자유의 경지다. 세상에 대한 지혜와 중생을 향한 자비는 이로부터 나온다. 그럼에도 현행 불교의 모습은 연기적 실상을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수행과 실천도 내면의 문제로 축소하고 지혜와 자비도 개인적 사건으로 해석한다. ‘함께 하는 삶’의 현실적 기반이 취약해졌다. 이는 연기론의 본래적 의미에 배치된다. 심한 경우, 반 불교적이라는 비판까지 받을 수 있다. 이제 본래의 모습을 회복하고 현실적으로 응용할 때다.

      • KCI등재후보

        도가의 생명존중 사상

        정륜 범한철학회 2004 汎韓哲學 Vol.35 No.4

        Taoism regards the world as a mutual unification of one entity and many appearances, criticizes the intentional conduct of separating them and injuring other lives for a self-satisfaction. An act of holding life in esteem which neglects the unified ground, no matter how elaborate it may be, is insufficient to the Taoist's Wu-Wei, that is to say, 'action without action'. It must be inclusive and fundamental. The thought of life-esteem in Taoism has the view that all lives have an external harmony and an internal balance, holding a flexibility.The trend of neglecting life is derived from discriminating between usefulness and uselessness, for it distorts the values of life and aggravates the confrontations among them. First of all, we have to emancipate ourselves from estimating the value of all things, and then we can extend the range of ethical conducts. Because all lives have their own inherent patterns, we must guarantee their individuality and spontaneity. When all lives and inanimate nature become one, the life community of coexistence will be accomplished.For this life community, we must investigat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life- destruction in the world and prepare the scientific counterproposal against them with the assistance of social and international solidarities. The intellectuals must not evade their responsibilities, disguising the essence of urgent problems. Now, they have to return their benefits to society and nature, for they have grown with the sacrifice of life community. 도가는 세계를 하나(道)와 다양한 현상(物)의 소통으로 바라보고, 자기중심적 입장에서 다른 생명을 차별하고 해치는 행위를 최악의 인위라 한다. 생명존중 사상도 하나인 바탕이 없으면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불충분한 것이다. 개별적이고 현상적인 입장이 아니라 전체적이고 근원적인 입장에 서야 한다. 도가에서 바라보는 생명은 대외적으로는 조화, 대내적으로는 균형을 이루면서 유연성을 통해 타자와 소통하고 자신을 지속시키는 존재다. 생명 경시의 풍조는 탐욕을 위해 세계를 유용하거나 무용한 것으로 나누어, 온 생명의 가치를 왜곡하고 그것들 사이에 대립을 조장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먼저 그러한 가치로부터 해방을 시도해야 윤리적 선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모든 생명은 제각각 나름의 고유한 양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독자성과 자발성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생명체는 물론 생명활동을 지탱하는 무기물의 세계까지 연결되는 상생의 공동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쟁원리로 생명을 파괴하는 세력에 대적 가능한 계층의 사회적 연대와 국제적 연대를 강화해야만 한다. 이들의 도움을 받아 세계의 구조적 모순을 총체적으로 파헤치고 이에 대한 과학적 대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폭력기구와 결탁한 지식인들은 문제의 핵심을 위장하지 말고 타자의 희생을 통해 누려왔던 그간의 혜택을 사회와 자연에 환원함으로써 생명 공동체를 위해 각별한 노력을 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상생문화의 전통에 관한 연구 ― 모악산 진표율사와 진묵대사를 중심으로 ―

        정륜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7 No.4

        상극의 폐해가 막대해짐에 따라 각지에는 공존과 소통의 사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모악산 불교의 상징인 진표와 진묵은 이 지역 상생문화의 전통적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새로운 세계와 대 자유를 강조하면서 주변 사람은 물론 미물들에 이르기까지 ‘생명 살리기’에 앞장섰던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보여준 초인적인 모습은 신화적 포장이건 사실이건 간에 당시 민중의 내적 역량과 희망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진표는 초인적 수행을 통해 지장과 미륵의 계를 받았다. 죄업이 심중한 중생들은 그와 함께 참회수행을 하면서 다가올 이상세계를 준비하였다. 그 감화력은 주변 사람은 물론 미물들에 이르기까지 미치지 않는 데가 없었다. 한편, 진묵은 처음부터 생불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해탈 무애한 자유인으로 중생을 고해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 하였다. 그 신통력은 죽은 물고기도 살려낼 정도였다. 이들은 모두 미물중생을 각성시켜 제도하고 살리는 일에 앞장섰다. 단순한 상생의 전형 이상이다. 진리와 함께 하는 삶까지 강조하기 때문이다. 이들이 거주한 모악산은 역사적으로 민중의 염원과 항쟁의 숨결이 살아있고 후천개벽의 문화가 집적되어 있는 곳이다. 이들은 민족종교에서도 미륵의 강세를 준비하는 존재, 신통력으로 나라의 근대화를 이룩하려는 존재, 심지어는 교조의 전생으로까지 표현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상생문화의 한 모형을 발견할 수 있다. 조건은 중생의 깨침과 함께 고도로 발달한 문명, 그리고 청정한 자연이 다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유 역시 사회적 조건의 억압뿐만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장애로부터 해방이라는 점이다. 모든 존재의 평등성과 상호소통을 기초로 한 이상향과 자유의 이념이 새롭게 정립되어야 할 때다. The incompatible culture is losing its power and the trends aimed at the peaceful coexistence are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Jinpyo and Jinmuk who are the symbol of Moaksan buddhism can be the emblematic figures of the coexistence culture. For they led the way to save lives introducing the new world and the great emancipation. Not only human beings but animals were objects of their salvations. Going through the extreme practices, Jinpyo received the religious precepts of Ksitigarbha(지장) and Maitreya(미륵), and the sinful people, repenting their faults, prepared the ideal world with him. He showed the way for insignificant creatures to seek the truth with exorbitant influences. In comparison, Jinmuk appeared as a living Buddha from the beginning. Being free from all, he guided people in the bitter human world to the realm of the enlightenment. His supernatural power even brought dead fishes to life. They both took the lead in trying to awaken and relieve all living things. In this mountain, the breaths of aspiration and resistance have been integrated. They have been evaluated as the characters who desired the advent of Maitreya, or tried to accomplish the modernization of our people, was even a former life of the founder in the revolutionary religions. Here and now, we can find a model of the coexistence culture. The indispensible elements are an enlightenment of people, a highly developed civilization, and a clean atmosphere. Our freedom must also be the liberation from not only social restraints but fundamental obstacles of mankind. Being based on the equality of all beings and mutual interactions, an ideals of the future world and freedom should be newly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