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 Prokofiev Violin Sonata No.2 Op. 94a의 분석 연구

        전지경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kofiev, neo-classicism composer of Russia, is one of the musicians who had made grea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modern music of 20th century. 20th century that had suffered, two world was the time of chaos and increasing tension. Music world, facing a transitional period, also tried new composition techniques. Prokofiev represent the composer of this era. He pursued his own unique and creative music based on the neo-classicism form. Ever since him, there has been under his strong influence till even our time. And we can find his remarkable works in operas, ballets, movie music and various fields as well as classical instrumental music. Sergei Prokofiev's violin sonata no.2 op.94a was originally composed as flute sonata, then this sonata was adapted in violin sonata. This piece in classical sonata structure shows neo-classicism trend well with dissonance, subtle modulation representing 20th century music. This work, expressing wonderfully vital rhythm and distinction of his own cheerfulness andbrightness well, is in four movements ; the first movement is built in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is Scherzo, the third movement is Andante in Ternary form, the fourth movement follows Rondo form. This paper aims to study prokofiev's music background, life and trend of his work. And it has also an analysis of form, rhythm, harmony and melody of this sonata.

      • Effects of laccase catalyzed rutin polymer on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전지경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Rutin was polymerized in water by laccase for 24 h at room temperature and rutin polymers were separated into two fractions by ultrafiltration. The characteristic UV absorption peak of rutin monomer appeared at 280 and 350 nm while a large broad peak at 350 nm was found after enzymatic polymerization. The solubility of rutin polymers in water was greatly improved by enzymatic polymerization. In terms of anti-adipogenic activity determined using 3T3-L1 preadipocytes, rutin polymers (RP) which consist of diverse molecular weights and RP fraction 2 (RP-2) which has 6-7 monomer units resulted in less triglyceride accumulation and lower GPDH activity than those of rutin monomer and RP-1(1-2 monomer units). The glycerol release indicating possible lipolyt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RP and RP-2 whereas rutin monomer did not show any positive effect. The exposure of 3T3-L1 adipocytes to RP and RP-2 resulted in down-regulated expression of PPARγ, C/EBPα, SREBP1 and FAS while the mRNA level of adiponectin up-regul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ll samples did not show cytotoxicity up 500 μM. These result suggest that rutin polymer with 6-7 monmer units has a great potential as an anti-obesity agent and laccase catalyzed polymerization can be used to improve anti-adipogenic effect of rutin. Flavonoids 계열의 한 종류인 rutin은 항염증, 항암 및 항세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소적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flavonoids 중합체가 단량체와 비교하여 용해도가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한다는 연구는 알려져 있지만 지방대사에 미치는 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rutin 중합체가 지방분화에 미치는 효과와 그 분자적 기작을 연구하였다. 효소반응은 rutin (1.2 g)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일정양의 효소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하루 동안 실시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한외여과로 이량체와 올리고머의 분자량(6-7 단량체 단위)으로 분획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화된 세포에 시료를 농도 별로 (0 - 500 μM) 처리하여 지방 축적율 및 지방 분화 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Rutin 중합체와 올리고머의 첨가는 단량체와 비교하여 지방축적 및 glycerol 3- phosphate dehydrogen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free glycerol 은 단량체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지방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rutin 중합체와 올리고머의 첨가는 단량체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rutin 중합체가 지방축적 및 지방 분화 관련 전사인자들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생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시사하며 용해도가 높은 항비만 기능성 물질로서 산업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전지경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silience scale for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and to verify its validity. To achieve the objectives, first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secondly, developed the resilience scale of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lastl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scale by means of document research, survey and statistical verifications.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earch #1: We established the concept and sub-components of the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by understandings of 'theory research' and 'survey study' through personal interview and open type questions. In the theory research, the work was done by going through foreign and domestic researches on the resilience scale,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scale, and scales relevant to the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Classified sub-components by the similarity to the concept of the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to extract the final three sub-components, couple relationship- positivity, couple relationship-flexibility, couple relationship-decentration 5 out of 17 who showed high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in the group therapy program on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were selected to proceed personal interview. 8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mostly common after the interview, 5 of core qualities (couple relationship-positivity, couple relationship - flexibility, couple relationship-decentration,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and 3 of other qualities(active problem solving method, energy balance, number of fights) The open type question was done with 200 people by quota sampling of 50 each from unmarried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male/female workers. As the results, there were 13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resilience in the couple relationship which were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the partner, flexibility, positivity, patience, generosity, trust, consideration, takes time, insight, friend's support, support from the family member, new changes and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Final selection of the factors in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was done by examining the 3 components from the theory research, as the main components, 8 from the interview, and 13 from the open type questions. The final factor selection was assessed by the group of counseling experts(1 counseling majored supervision/professor, 2 professors majored counseling associated, 2 students in counseling doctorate course). Five factors finally selected were couple relationship-positivity, couple relationship-flexibility, couple relationship decen- tration,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Research #2: In order to make the resilience scale of the couple relationship, question items relevant to the 5 selected factors were develop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ere evaluated by the group of counseling experts(1 counseling majored supervision/professor, 2 professors majored counseling associated, 2 students in counseling doctorate course). The face validity was also checked by 13 graduate and doctorate course students and 27 university students. Eventually, 50 items in the 5 factors were finalized from 112 draft item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0 items were checked with the factor structure. It was done with 257 university students or workers, and as a result, 20 items(4 items for each 5 factors) were chosen. The explanation rate of factor structure was 59.44% which turned out acceptable as the factor structure. Research #3: The previously developed resilience scale of the couple relationship was verified. AMOS 18.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PSS 18.0 for concurren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confirmation of the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urrent validity and analysis of the reliability were done with 800 people by 200 quota sampling from unmarried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male/female workers. 400 university students, 400 workers and 89 soldiers for the cross validity and 81 people of 54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and 27 workers,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took the test. As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same construct a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5 lower component's fitness rate, all RMR was below .05 and GFI, NFI, IFI, CFI were above .90 to be in adequate range. The five factors model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ults by GFI=.947, NFI=.902, IFI=.935, CFI=.934 in the modified model. The cross validity was verified by confirming little deviations of Cronbach's α in the different 3 group's (students, workers and soldiers) - students group .81, workers group .81, soldiers group .89.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static coefficients of the resilience scale of the couple relationship were .483 with the ego resilience scale, .550 with the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445 with meaning of life scale and .372 with subjective happiness scale to prove their validity The resilience scale of the couple relationship has its meaning in that it can help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rocess-oriented aspect of the pre-marital couple's adaptation against the hardship and stresses in the couple relationship. By introducing the resilience concept in the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it can help to extend our view on the couple relationship by not limiting only to the present partner moreover, the hardships can be accepted more positively instead of serious troubles. It is expected to see the resilience factor of the couple relationship developed in this research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courses associated with the couple relationship in education field, clinical trial, military, and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첫째, 커플관계 탄력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둘째,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며, 셋째,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조사연구, 통계적 검증과정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이론을 통한 개념탐색’과 개인면담 및 개방형 질문지로 구성된 ‘조사연구 개념탐색’을 통해서 커플관계 탄력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커플관계 탄력성을 구성하는 하위구성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론을 통한 커플관계 탄력성 구성요인 탐색에서는 국내외에서 연구된 탄력성 척도, 미혼 커플관계 척도, 커플관계 탄력성 관련 척도들을 개관하여 검토하였다. 커플관계 탄력성 개념을 중심으로 유사한 의미를 지닌 하위요인들을 분류하여 최종 3가지 하위요인(커플관계 긍정성, 커플관계 유연성, 커플관계 탈중심성)을 추출하였다. 개인면담 조사연구에서는 커플관계 탄력성을 주제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17명 중 선정기준에 의해 커플관계 탄력성이 높게 평가된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5개 핵심영역(커플관계 긍정성, 커플관계 유연성, 커플관계 탈중심성, 사회적 지지, 의사소통)과 3개의 기타영역(주도적인 문제해결 방식, 에너지 균형, 다툼 횟수)인 총 8개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질문조사연구에서는 할당표집을 통해 미혼의 대학생 남녀, 직장인 남녀 각 5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커플관계에서 탄력적인 사람들의 특징은 13가지로 나타났는데, 이를 정리하면 자신 및 상대방에 대한 이해, 유연성, 긍정성, 인내심, 포용력, 신뢰, 배려심, 시간을 둠, 통찰력, 친구지지, 부모님과 가족 구성원지지, 새로운 변화와 환경, 의사소통이다.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의 최종 구성요인 선정은 이론적 탐색과정, 개인면담 조사결과, 개방형 설문조사결과를 통하여 선정되어졌다. 최종 요인 선정은 5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상담전공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 교수 1인, 상담관련 학과 교수 2인, 상담학 관련 전공 박사과정 2인)의 평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최종 구성된 하위요인은 커플관계 긍정성, 커플관계 유연성, 커플관계 탈중심성, 사회적 지지, 의사소통의 5개 요인이었다. 연구문제 2에서는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를 제작하기 위해 최종 선정된 5가지 구성요인의 개념에 적합한 문항을 작성하였다. 구성된 문항은 전문가 집단(상담전공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 교수 1인과 상담관련학과 교수 2인, 상담학 관련 전공 박사과정 2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그리고 상담학 전공 석사 및 박사과정생 13명과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최초 구성된 112개 문항에서 최종 5요인 50개의 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0개의 예비문항에 대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대학생 및 직장인 2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 5개 요인에 4개 문항씩 총 20문항이 선정되었다. 요인구조는 59.44%의 설명력을 지닌 적합한 요인구조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에서는 개발된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하여 AMOS 18.0, 공인타당도, 교차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신뢰도 분석은 미혼 대학생 남녀 및 직장인 남녀 각 200명씩을 할당표집하여 총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차타당도 검증은 대학생 400명, 직장인 400명, 병사 8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미혼 대학생 54명, 직장인 27명 총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예비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동일한 요인구조로 나타났다. 5개의 하위요인별 적합도 지수에서 모두 RMR은 .05미만, GFI, NFI, IFI, CFI는 .90이상으로 나타나 적합한 지수를 나타내었다. 5요인 모형은 수정된 5요인 모형을 제안하여 적합도 지수 GFI=.947, NFI=.902, IFI=.935, CFI=.934의 매우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교차타당도 분석은 서로 다른 3개 집단(대학생, 직장인, 병사)을 대상으로 신뢰도 Cronbach's 𝛼를 구한 결과, 대학생 집단 1은 .81, 직장인 집단 2는 .81, 병사 집단 3은 .89로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공인타당도 검증결과는 개발된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는 .48, 커플관계 만족도 척도와는 .55, 삶의 의미 척도와는 .44, 주관적 행복감 척도와는 .37의 정적 상관계수를 나타내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는 커플관계에서 경험하는 역경과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가 교육현장이나 임상현장, 군 조직 및 대학교에서 커플관계와 관련된 상담 및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지경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대학생 시기에 형성되는 건강한 커플관계 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과업 수행을 통하여 커플 상호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커플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커플이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커플관계의 본질을 스스로 알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 기술의 교육을 통하여 파트너 이해를 돕고 이러한 기술은 파트너의 이해·파트너의 수용을 도우며, 나아가서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 커플관계의 수용· 커플관계의 개방을 통한 커플의 관계증진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1-1)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시안은 어떠한가? 1-2)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실시과정은 어떠한가? 1-3)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수정 및 평가과정 은 어떠한가? 2.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본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총 8가지 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대학생시기의 발달과정과 발달과업을 고려하여 기존의 결혼준비프로그램과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로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제 프로그램의 수혜자인 대학생 커플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들어갈 활동을 탐색,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상담관련 전문가에게 안면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및 조언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2차 수정작업을 실시하였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 수혜자들의 요구도 및 각 회기마다 실시된 슈퍼비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실시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 평가를 실시하였다. 여덟 번째 단계에서는 앞의 모든 단계를 통하여 보완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안은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 이해·파트너 수용 그리고, 커플관계의 이해·커플관계 수용·커플관계 개방의 이론적 틀을 가지고 있고, MBTI, 현실요법(RT), 교류분석(TA)의 주요이론을 중심으로 이론 및 기법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집단상담 형식의 진행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이형득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과정은 도입단계, 준비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에 걸쳐 총 10회기로 구성하였으며, 각 회기마다 2시간씩 10주 동안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각 회기는 회기 활동의 목적, 강의, 활동, 경험나눔, 마무리 순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과정은 한남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홍보를 통해 모집하였고 참가를 신청한 22쌍의 대학생 커플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쌍씩 배치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한남대학교 학생상담센터의 전문상담원에 의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수정 및 평가과정은 전반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의 슈퍼비전을 통하여 실시 및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전반적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틀과 수혜 집단의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슈퍼비전은 프로그램의 실시과정 속에서 매회 비디오 분석을 통한 슈퍼비전과 프로그램 진행 후 집단원들의 평가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 평가는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검사와 프로그램의 소 목표였던 이해·수용·개방 정도 척도를 통하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포함시켰다. 프로그램의 자체평가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이해, 수용, 개방 측면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프로그램이 커플간의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 파트너 이해·파트너 수용 및 커플관계 이해· 커플관계 수용· 커플관계 개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최종 구성은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 이해·파트너 수용 그리고, 커플관계의 이해·커플관계 수용· 커플관계 개방의 이론적 틀을 주요이론인 MBTI, 현실요법(RT), 교류분석(TA)의 이론적 측면과 기법적 측면에서 통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도입단계, 준비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를 10회에 걸쳐 구성하였고, 한 회기에 2시간씩 진행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진행방식은 집단상담 형식으로 구성하고, 각 회기는 회기 활동의 목적, 강의, 활동, 경험나눔, 마무리 순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ive Pre-Marital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This Ten-week-program is designed to help partners to achieve individual identities and develop mutual commitments and thus enhance the Coupl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1. What were th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2. What was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were as the following: ·1st step : Construct theoretical bases of the program ·2nd step : Survey of program necessity (university student) ·3rd step : Program development ·4th step : Face validity ·5th step : Practice the Program ·6th step : Revise the program ·7th step : Internal evaluation ·8th step : Finalize the program The program tried to integrate both theories and techniques of MBTI, Reality therapy and Transactional Analysis with couple-understanding, couple-acceptance, couple-disclosure. It was developed by self- understanding, self-acceptance, self-disclosure during development procedures. And then it was for partner-understanding, partner- acceptance. The program was practiced for 10 weeks: One session per week for 2 hours for each session. For each session group counselling was performed which consisted of five parts(Objective, Lecture, Activity, Experience sharing and Wrap-up).

      • 중년여성의 요부안정화 운동시 체간근 활성도 비교

        전지경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중년여성의 요부안정화 운동시 체간근 활성도 비교 본 연구는 요부 안정화 운동으로 시행되고 있는 bridging exercise를 세가지 다른 운동 방법에 따른 중년여성의 요부 안정화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와 국소근육/광역근육간의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를 알아보고, 또한 bridging exercise의 세가지 다른 운동 방법에 따른 중년 여성과 20대 여성과의 각 근육의 근활성도와 국소 근육/광역 근육간의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척추 안정화를 위한 바람직한 운동형태를 설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중년여성 17명과 20대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 방법으로 bridgingⅠ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60˚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엉덩이뼈 무릎 두 번째 발가락이 일직선이 된 상태로 골반을 들어 올려 골반 앞이 0˚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고 bridgingⅡ은 운동1과 같은 자세에서 무릎 안쪽에 지름 35cm인 링을 끼고 링을 조이면서 골반을 들어 올리는 것이며, bridgingⅢ은 bridgingⅠ과 같은 자세에서 지름15cm 길이90cm인 원통형 모양인 formllor를 세로로 바닥에 놓고, 그 위에 척추뼈가 일직선이 되게 누운 상태에서 골반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운동을 하는 동안 표면 근전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직근, 내복사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의 각근육의 근활성도와 내복사근/복직근, 다열근/요장늑근 흉추부의 근활성도 비율을 측정하였다. 각 근육의 근활성도는 맨손근력검사자세에서 최대등척성 수축시 측정한 %MVIC(%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로 표준화 하였다. 20대 성인여성그룹과 중년 여성그룹의 연령, 신장, 체중, BMI의 비교는 독립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간(20대 성인여성그룹, 중년 여성그룹) 각 Bridging 동작(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에 따른 근활성도 평균 비교는 독립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서 각 Bridging 동작간(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의 근활성도와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원배치반복측정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bonferroni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세 가지 다른 방법의 bridging exercise에 따른 각 근육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근활성도에서 bridging Ⅱ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중 복직근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에서 bridgingⅡ가 bridging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bridgingⅡ가 bridgingⅢ보다도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내복사근에서 bridgingⅡ가 bridgingⅠ보다 bridgingⅡ가 bridgingⅢ보다 bridgingⅢ가 bridging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국소근육/광역근육의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는 모두 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bridging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년 여성과 20대 여성에서의 Bridging 동작간(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의 각 근육의 근활성도는 중년 여성군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다열근과 요장늑근 흉추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비율적으로 보았을때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20대 여성에서 내복사근/복직근의 활성도가 bridgingⅡ에서 높고 bridgingⅢ에서는 같았으며, 다열근/요장늑근 흉추부에서는 bridgingⅡⅢ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은 bridgingⅡ에서 모든 근육의 근활성도와 근활성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요부 안정화에 관여하는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bridgingⅡ를 통하여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년 여성이 모든 근활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비율적인 면에서는 20대 여성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로 보아서 다른 연령대의 근활성도와 비교하여 프로그램을 선정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주요 단어: 요부 안정화 운동, 복직근, 내복사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 국소근육, 광역근육, 표면근전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