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 중~하류 유역 3~5세기 철기 屍臺 분묘의 분포와 지역적 상호작용

        장기명(Kimyeong Jang)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7 No.-

        본고는 영남지방에서 3~5세기에 걸쳐 존재한 철기 屍臺 분묘의 배치정형을 추출해 보고 각 지역별로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각 시기별로 변화하는 분포정형을 유사한 성격을 지닌 관련 유물과 함께 살펴보았다. 전고에서 밝힌 금호강~형산강 유역의 분석 결과를 참고하면서 지역적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3~5세기 대 낙동강 중~하류 유역에 분포한 철기 시대 분묘의 사회적, 문화적축조배경을 추론하였다. 부산지역은 철기 시대의 정형성과 조영 시기 측면에서 경산지역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경산지역과 부산지역은 판상철부~철정 시대가 주를 이루며 그 조영 시기가 누세대적으로 확인된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다. 또 철기 시대(철기 목관-시대 포함) → 변형적 철기 시대 → 철기 변모-시대라는 변화양상이 동일하다. 부산지역은 경산지역에 비해 비교적 늦게 철기 시대 분묘가 축조되지만 철촉 목관-시대, 복수-시대라는 특징적 요소가 확인된다. 이에 비해 김해-함안-합천지역은 조영 시기가 단발적이며 철기 배치정형에서도 예외적 요소가 확인되고 재지적 관상과 결합되는 양상을 띤다. 지리적 위치를 보면 낙동강 중~하류 유역 안에서도 그 서안지역에 한정돼 분포함을알 수 있다. 부산지역은 경산지역과 같이 진한 연계망의 소속국에서 광역적 신라의 지방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이른 시기부터 겪었으며 김해-함안-합천지역은 경주 중심의 신라 관계망과 상호 교류함으로써 일부 물질문화에서 지역적 변용이 나타난 것으로 추론하였다. 부산지역의 지배 집단은 늦어도 3세기 후엽부터 철기 시대 매장의례를 지속적으로 고수하며 진한 내 소속임을 표명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묘 부장 문화의 신라화는 다양한 방면으로 가속화되며 철기 시대 분묘의 축조 중단과 맞물려 고분군의 재편과정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가야 유력국인 김해-함안-합천지역에서 철기 시대 분묘가 4~5세기 대에 단발적으로 축조된 배경은 재지적 철기 부장 문화에서 모색할 것이 아니라 지역적 상호작용의 틀에서 관련 유물과 함께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타진해 보아야 한다. 철기의 시대 매장의례는 관련된 경주 양식의 부장품과 함께 수용됨으로써 철기의 유통 및 분배를 관할한다는 이념적, 문화적 맥락에서 유력 수장묘에 채택된다. 이는 신라-가야 관계망이 시종일관 적대적이거나 배타적이지 않았으며 낙동강 본류에 인접한 가야 유력국은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각자의 경제적 이익 또는 이해관계에 따라 상호교류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found the arrangement pattern of ironware burial with body tombs which has existed in 3rd ~ 5th centuries in the ares of Youngnam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ir regional features. On the ground of the results produced from the analysis of relics in the area between Keumho River and Hyoungsan River, which is described in the previous article, the viewpoint of regional interaction was employed for the deduc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background of those tombs. Those of Busan Area show the aspects similar to those found in Gyoungsan Area in terms of set-pattern or typicality and construction period in the ironware burial pattern. Those found in both Busan Area and Gyoungdan Area show in common that the period of flat axes and iron chisels was prevailing and that the period of their construction periods are confirmed over many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periods in Kimhae-Haman-Hapcheon Area were found to have been sporadic and to have had exceptional elements inironware arrangement pattern and condition of combination with the coffin shape intrinsic to the region. The analysis led to the deduction that the process of changes was from Jinhan Network to the large area of Shilla Kingdom, which enables the interpretation that Kimhae-Haman-Hapcheon Area had exchanged with Shilla Kingdom Network so that there had taken place a regional transformation in some material culture. In Busan Area, ruling groups had persistently stuck to the burial rituals of Iron from the late 3rd century at the latest to declare that they had been part of Jinhan Network. After all, the powerful Gaya Kingdom can be thought to have exchanged with Shilla Kingdom for ironware distribution on even ground for each other’s economic interest or benefit.

      • KCI등재

        서기전 2세기~서기 2세기 사로권역의 철기 부장 시스템과 유통망 구조

        장기명(kimyeong Jang)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3

        본고는 분묘 부장 철기의 검토, 제철 유적의 특징, 금속학적 분석을 상호 비교하여 생산-유통-분배-소비의 연결고리를 탐색함으로써, 사로국이 실질적으로 분묘에 반영하고자 했던 철기 소비 방식과 유통망 구조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서기전 2세기대부터 분묘에 부장된 초기 철기는 서북지방/호서·호남지방/중국 계통의 일부 기종 유입과 자체 생산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성되었다. 그 배경에는 다양한 경로·유입 방식에 의거한 새로운 ‘철 물품’ 입수 능력과 급속도로 발전한 철기 생산력을 표출하고자 했던 부장 맥락이 깔려 있었다. 서기전 2세기 말 이후, 사로권역의 철기 부장체계는 서북지방의 기종 구성을 기본 구조로 하되 일부 기종과 생산 기술이 추가되는 형태로 단기간에 완비됨으로써, 위만조선 유이민 영향에 의한 철기 생산체계의 이식과 적극적 수용이 상정된다. 서기전 1세기~서기 1세기에 걸쳐 금호강~형산강 유역(달천광산 일대 포함)에 입지한 수장묘에서는 철 소재를 양적으로 과시하는 매장의례(판상철부 시대, 목관 내부 장식 등)가 공유된다. 이런 현상은 분묘가 본격적으로 철기 소비처로 변모하는 변화 획기로서 진, 변한 특유의 위세적 철기 소비라는 부장 전통을 형성, 전개한 분수령이라 할 수 있다. 중간 소재인 판상철부만이 대량 부장되고 배타적 매장의례로 소비된 배경에는 불균등한 철광석 산지와 초보적 제련 공정 수준에 의해 철 소재의 유통과 확보가 매우 중요시되었고, 진한 유력 국 사이에서 일부 수장들이 철 생산 및 유통망 개입, 분배 관할력을 표출하기 위해 경제적, 이념적 유대 전략을 고안해 낸 것이었다. 2세기 전후의 상황으로 볼 때, 노동집약적 철(기) 생산, 유통의 당시 조건 속에서 사로국은 철광석 산지 확보, 사회적 조직력, 안정적 대외 교역망 등이 충족된 상태였다. 그러한 조건에 기반하여 사라리 130호묘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철 소재 부장량 및 매장의례가 극대화된 형태로 표출되었고, 사로국의 철 생산 및철기 유통과 직결된 경제적, 문화적 기반이 독보적이었음을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ironware buried in tomb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ron manufacture, as well as to undert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allurgical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sults of such a study could help to explore the link betwee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also illustrate the operation method of ironware produ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network, both of which, it is argued, was reflected in Saroguk tombs in a deliberate manner. From the 2nd century BCE, early ironware buried in tombs was comprised of indigenous products and those that could be traced to ironware from northwestern Korea, the Hoseo and Honam regions, in addition to Chinese ironware. The reason behind this ironware composition can be found in the desire to express the rapidly developed iron productivity of the area, as well as the ability to obtain new ‘iron goods’ through various routes and methods. After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E, the ironware burial system in the Saro area was complet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with the ironware tradition of the northwestern region forming the basic foundation, with the addition of some new types and production technologies. This suggests the transplantation and active acceptance of the iron production system of Weiman Joseon.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1st century CE, burial rituals (the use of iron ingots to pave the floor of the burial pit and the interior decoration of the wooden coffin) were shared in the Geumhogang River and Hyungsangang River Basin (where the Dalcheon Mine is located). This phenomenon can be seen to mark the point at which that the tradition of consuming ironware unique to Jinhan and Byeonhan emerged; it represents a transition to the active consumption of prestige ironware in burials. Securing iron ore production, social organizational power, and a stable foreign trade network was essential for spearheading labor-intensive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efficiency of iron production was not particularly high. Given such conditions, Sarari Tomb No. 130 can be seen to express a form of ironware consumption in a burial context in which the volume of iron materials and the degree of ritual practice was maximized, illustrating that the economic and cultural foundations directly related to iron production and ironware distribution in Saroguk was unique.

      • KCI등재

        영남지방 초기 국의 등장 배경과 사로국 구조

        장기명(Kimyeong Jang) 한국상고사학회 2024 한국상고사학보 Vol.123 No.123

        Through the long-distance trade network and ritual structures of base settlements that were intensively developed in the Yeongnam region in the 2nd century BC,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politics and the method of solidarity were examined. Long-distance trade beyond the Yeongnam region is concentrated in the 2nd century BC, and the bases where foreign trade is active overlap with regions(mainly Daegu, Gyeongsan, and Gyeongju) found in the early days of the clustering of wooden tombs. In some regions, politics that internally united regional units appeared in order to form a socio- economic coalition suitable for logistics distribution, redistribution, cost reduction, and information solidarity amid intensively developed foreign trade in the 2nd century BC. Thus, it is inferred that the clustering of wooden tombs appeared from the time when these early politics reached villages and townships as local political bodies to maintain active foreign trade,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situation, by linking topographic conditions, traffic routes and literature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focusing on Saro-guk, the composition of the euprak and the structure of the country were explained. Around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BC, it is expected that the early Saroguk was established,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6 villages, symbolized as major towns and villages, were united through the conference. Early Saroguk is a device that binds and maintains local communities while showing various forms for each town and village, and the phenomenon of establishing altar-style stone tombs, high- altitude enclosure, standing-ritual structures, and early wooden tombs by base is similar. In addition, the title of ChaChawoong, which was mentioned in early literature records, also weighed on the ideological and religious power base. Given the ritual structure of the settlement base and the power base of the early ruler, it was difficult to sustain the national structure only by pursuing the interests of foreign trade, and it is assumed that even by transforming the traditionally important megalithic monuments and high-altitude enclosure, it led to community cohesion. 서기전 2세기대에 영남지방에서 집중적으로 전개된 원거리 교역망과 거점 취락의 의례 구축물 들을 통해 초기 국의 성립 배경과 결속 방식을 살펴보았다. 영남권역을 넘어선 원거리 교역은 서기 전 2세기대부터 집중되고, 대외 교역이 활성화된 거점도 목관묘 군집화 현상이 이른 시기에 발견 되는 지역들(주로 대구, 경산, 경주지역)과 대세적으로 중첩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서기전 2세기대에 집약적으로 전개된 대외 교역 속에서 물류 유통·재분배와 소요 비용 절감, 정보 연대에 적합한 형 태로 사회경제적 연합체를 꾸리고자 지역 단위를 내부 결속한 국이 등장했던 것이었다. 그리하여 이런 초기 국들이 광역적으로 활성화된 대외 교역과 철기 생산, 유통을 유지하기 위해 지역 정치 체로 존속됨에 따라 취락, 읍락 인근에 이른 시점부터 목관묘 군집화 현상이 나타났다고 추론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사로국에 초점을 맞추어 지형 조건, 교통로와 문헌 기록, 그리고 고고 자료를 연계함으로써, 통시적으로 변화한 읍락 구성과 국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서기전 2세기 중엽 즈음 에는 초기 사로국이 성립되었을 것으로 예상되고, 주요 읍락으로 상징되는 6촌이 회의체를 통해 결속되었다고 풀이된다. 초기 사로국은 읍락별로 여러 형태를 보이면서도, 지역 공동체를 결속, 유지 하는 장치로서 거점별로 제단식 지석묘, 고지성 환호, 입목-의례 구조물, 초기 목관묘군 등을 구축한 현상은 유사하다. 또 초기 문헌 기록에서 언급되는 거서간, 차차웅이라는 칭호 또한 이념적, 종교적 권력기반에무게를두고있었다. 이렇듯취락거점의의례구조물, 초기지배자의권력기반으로볼 때, 국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외 교역의 이익 추구만으로는 지탱하기 어려웠고, 전통적으로 중시되어 온 거석 기념물, 고지성 환호 등을 변형해서라도 공동체 결집을 이끌어냈다고 상정된다. 서기전 1세기에 접어들면, 영남 전역에서 목관묘 군집화가 대세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인근에 존 재한 취락의 장기 지속성을 상정하여 대다수 국이 출현했던 것으로 보았다. 사로국에서도 지배자 의 칭호는 존장자를 뜻하는 이사금으로 바뀌고 여러 국들이 연대하여 진·변한 연맹체를 조직하 였으며, 낙랑을 매개로 한 對중국 교역을 통해 경제적 재부를 축적하고 정치 조직의 결속을 도모 하는 상황이 전개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