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푸슈킨 동화에 나타난 선ㆍ악 재현 수단으로서의 비유 표현

        임흥수(Im Heung-Su)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1999 동유럽발칸학 Vol.1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ypes and the functions of figures of speech used by Pushkin as the 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good and evil in his folk tales. For this analysis, the related theoretical conceptions such as ’the figurativeness of word', 'the functions of figures of speech', 'the relation between figures of speech and myth'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exts of folk tales and figures of speech’needs to be examined first. The essential features of good and evil which form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s in folk tales are also examined because logically they are the deteminant factors for the objec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bove mentioned topics, this article makes an attempt to analyze the basic means of figures frequently used in Pushkin’s tale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literary figurativeness and the themes of literary work. In this article only the pure means for figures of speech, i.e. tropes and figures,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the means to strengthen general figurativeness of the texts, are treated as the primary objects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carried out here shows the followings: 1) in his folk tales Pushkin used an extensive range of means of figures to represent the incorporating idea of good and evil and 2) the great Russian writer succeeded in raising the level of the plain language of folk tales onto that of the elaborated literary language, thanks to which the latter was made easier for an extended range of Russian readers to understand, by paying due attention to the idiom of the folks{plain people) in a creative way and at the same time enriching, extending and diversifying means of expression of the Russian language.

      • KCI등재

        언어와 문화 메커니즘

        임흥수(Im, Heung S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2 No.1

        자연언어가 약속된 기호체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상 그 자체 혹은 그 본질을 고스란히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에 속한다. 말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며, 그래서 말이 전달하는 내용 자체는 일종의 가상적인 것이다. 이러한 자연언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문학은 자연언어를 토대로 생성되는 2차 모델링 체계(secondary modeling system)로서의 언어를 사용한다. 자연언어 또는 일차언어(primary language)와 이차언어(secondary language)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 중에서 중요한 점은 문학텍스트에서 사용되는 2차 모델링 체계의 언어가 기본적으로 자연언어에 그 기 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문학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말은 그 내용과 표현이 조건적으로 같아야 하는 자연언어의 요건을 충족시키면서도, 동시에 같지 않아야 하는 이율배반적 속성을 지니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문화의 형성에 있어서 언어는 수동적인 구성 인자(dominant)가 아니다. 언어는 여러 세기에 걸친 문화적 과정의 산물이다. 이러한 자연 언어는 각 민족 문화의 지배적인 인자의 하나이기 때문에 언어학적 모델은 각각의 민족이 갖는 인식 정도를 규정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민족 언어가 2차 모델링 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문학, 특히 시에 있어서 민족의 언어는 특히 중요하다. 한편 문화는 구조적 다양성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다시 말해서 구조적 자동성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구조적 통일성을 필요로 한다. 로트만은 인류의 문화에 나타나는 역동성을 이러한 문화 메커니즘의 이율배반적 기능으로 파악하고 있다. 본고는 로트만이 정의하는 1차 모델링 체계인 자연언어와 2차 모델링 체계인 시적언어와의 관계 조망을 통해서 문화 메커니즘의 이와 같은 이율배반적 특성을 선행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기호학적 체계를 두 가지 유형 즉 일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체계와 이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체계로 구분한다면,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예술텍스트는 이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전형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단일하고 복잡한 기호학적 전체인 문화는 이율배반의 복잡한 관계에 놓여있는 이 두 가지 체계의 구조적 긴장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보다 본격적인 문화기호학 관련 이론과 이를 원용한 구체적인 문화분석은 다음 논문의 과제로 남긴다. It is a common sense that it is impossible for a natural language to represent its essence itself because it is merely an agreed upon sign system. Words are not an object in of themselves so what they convey is hypothetical. We have come to believe that literature can overcome this limit of natural language because it uses a secondary modeling system based on natural language.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 complicated mutual relations between a natural language or a primary language and a secondary language is the fact that the language of a secondary modeling system which is used in a literal context is fundamentally based on natural language. Furthermore, it is noticeable that language in a literal context is antinomic in that it can satisfy the condition of a natural language in which its meaning and expressions are the same,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different. In the formation of culture, a language is not a passive element but a product of a dynamic process over several centuries. Linguistic model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we can understand each nation because a natural language is one of its dominant elements. It is clear that the language of a nation has an affect on the secondary modeling system and it is very important in interpreting its literature and especially its poetry. Lotman realizes the dynamics in culture through the function of antinomy as a mechanism of culture. Culture not only increases the capacity of structural variety, in other words, it not only overcomes automaticity, it also needs a structural unity. This paper surveys the characteristics of antinomy in the mechanism of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natural language, a primary modeling system and a poetic language, a secondary modeling system, defined by Lotman. If the system of semiotics is divided into two; a system pointed to primary information and another system pointed to secondary information. The artistic text in this paper is a prototypical case of a system pointed to secondary information. Culture as a whole is a simple yet complicated semiotics which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tension of an antinomic structure.

      •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 어순의 유형론

        임흥수(Im, Heung Su)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1

        본 논문은 부사의 위치 및 그와 관련된 어순을 중심으로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를 유형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본어순이 SOV인 한국어에서는 조사(후치사)에 의해 여격과 대격을 나타내는데 그 순서는 ‘여격-대격’의 양상을 보이고, SVO인 러시아어에서는 격 관계가 명사 자체의 곡용에 의해 표현되므로 어순은 자유롭게 변이될 수 있다. 하지만 동사구 내의 무표적인 어순은 ‘여격-대격’의 순서를 취한다. 역시 SVO인 영어는 독일어와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여격-대격’의 어순과 ‘대격-여격’의 어순이 둘 다 나타난다. 조동사와 본동사의 상대적 어순은 기본어순인 SOV와 SVO 어순에 그대로 일치한다. 즉 SOV 언어인 한국어는 ‘본동사-조동사’ 어순을 취하고 SVO 언어인 러시아어와 영어는 ‘조동사-본동사’ 어순을 취한다. 목적어와 부사와의 관계는 주어를 제외하면 <동사+목적어+부사> 즉, VOA 또는 <부사+목적어+동사>, AOV라는 규칙성을 보인다. 몇 개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다른 요소를 두지 않으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두개 이상의 부사가 연속될 경우에도 개별언어간 보편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예컨대 SVO 언어에서는 VA1A2의 순서인 데 반해 SOV 언어에서는 VA2A1라는 역순을 보이지만, 동사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두 유형의 언어에서 모두 A1A2의 순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사를 중심으로 그와 친밀하고 가까운 것이 동사 가까이에 놓이려는 언어의 보편적인 경향이 어순을 결정짓는 원리라는 것을 인정하면 SOV 언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SVO 언어에 속하는 러시아어, 영어가 이러한 어순의 대칭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부사의 위치를 동사를 중심으로 비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세 언어, 즉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가 비록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지만 일정한 부사의 위치가 동사를 중심으로 볼 때 일정한 규칙, 즉 유형적 보편성이 발견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both the language universals and language particulars by the typological comparison of word order among the Korean, English, Russian languages with the focus on the positions of adverbs. Its secondary aim is to provide some typological data which can predict and prevent interference condi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and adverbs, aside from subjects, no other element is found between them (<verb + object + adverb> or <adverb + object + verb>) except some frequent adverbs in Russian and English (<adverb + verb + object>. When the successive adverbs occur, they seem to be mirror images of adverb orders. Considering the distances from the verbs, each language has consistent adverb orders.

      • 러시아어 민족 멘탈리티의 재현으로서의‘의지(воля)’개념

        임흥수(Im, Heung-Su)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본 논문은 언어단위의 분석을 통하여 러시아인의 민족 멘탈리티를 살펴보려는 연구구상의 한 부분으로 ‘의지(воля)’ 개념(концепт)을 체계화해 보려는 시도로서, 민족 멘탈리티의 특성을 재현하는 언어단위(주로 관용어) 의 문화적 암시의미(культурная коннотация)를 분석한다. 단어결합은 개념 구성을 파악해볼 수 있는 최소의 콘텍스트이며, 개념은 인간의 심리에 반영되어 있는 세계상(картина мира)의 편린이다. 따라서 언어형식들에 새겨진 세계상이 언어사용자의 세계관(또는 멘탈리티)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단어결합으로 이루어진 문화언어인 관용어를 검토해야 한다. 민족 멘탈리티 특성의 내용은 문화적 암시의미에서 나타나며, 이 문화 적 암시의미는 문화적 의의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암시의미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관용어들을 분석한다. 관용어는 해당 언어공동체의 물질적, 사회적 또는 정신적 문화와 관련된 형상체계가 고정된 민족어의 단위로서 민족 문화적 경험과 민중의 전통에 의해 형성된 세계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언어적 표현과 민족 멘탈리티의 관계가 들어 있다. 민족 멘탈리티 특성의 내용은 문화적 암시의미에서 나타나며, 문화적 암시의미는 실제로 생생하게 사용된 관용어의 고유 의미를 민중의 문화코드와 상호관계를 맺게 한다. 문화코드와 언어적 의미의 상호관계가 문화적 암시의미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이 암시의미는 언어 단위들에게 문화적 의미를 지니게 하는 유연성을 부여한다. 문화적 암시의미란 문화 범주들에서 외연적인 측면 또는 비유적으로 유연관계인 측면의 의미 해석을 말한다. 문화적 암시의미는 민족 문화적 특수성에 의해 제약된 의미의 부가적인 뉘앙스를 뜻하며 문화적 의의를 설명해 준다. 의지를 대개 자신의 의지와 타인의 의지로 구분한다. 자신의 의지는 개체내부에서 일어나는 열망, 희망, 번민, 고뇌 등의 동력이며 타인의 의지 또한 또 다른 독립된 개체의 자신의 의지로서 심상을 통제한다. 따라서 자신의 의지와 또 다른 독립된 개체인 타인의 의지의 만남은 상황에 따라 분쟁의 씨앗이 되기도 하고 화합의 단초가 되기도 한다. ‘의지’의 관용표현을 통해서 러시아인들이 어떠한 인식을 전제로 가치부여를 하고 판단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의지’ 개념장에 해당하는 200여개의 관용표현들을 ‘자신의 의지’와 ‘타인의 의지’, 자신의 의지와 또 다른 독립된 개체인 타인의 의지의 만남인 ‘두의지’로 구분하여 러시아어에 반영된 ‘의지’의 개념을 분석한다. 러시아어에서 의지는 선/악과 관련된 인간의 다양한 내재적 상태를 외적으로 발현시키는 원천이다. 의지는 인간의 바람과 목적을 실현시키는 능력 이자 목표를 향한 의식적 노력이요, 열망이자 욕구이다. 동시에 의지의 개념은 독립된 개체로서의 인간과 인간, 독립된 개체로서의 인간과 전체로서의 언어사용자 집단, 또는 각 언어사용자 집단간의 오랜 문화적 역사적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воля(의지)’는 개인이나 집단의 역사적 체험과 결부되어 때로는 хотение(의지)와 때로는 инстинкт(본능)과 동의관계에 놓인다. 또한 ‘의지’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폭 넓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의지의 발로인 기쁨, 슬픔, 사랑, 분노, 두려움, 미움 등의 감정에 해당문화의 가치체계가 반영된다. This article, from the stand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spiritual culture, language and national mentality, and tries to reveal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dealing with concrete data,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concepts 'will' as the representation of russian mentality in phraseological units(PU) and the semantic importance of cultural connotations realized in th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Most of the Russian PU reflect the ethnic-cultural experience of the Russian people. Essentially the functional approach to the correl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ethnic culture and phraseology is a topical problem of investigations in phraseology. The study of the question gives an opportunity to regard the ontological picture of language as a social phenomenon.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peculiarities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U and the semantic importance of cultural connotations realized in th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The PU play a special role in cultural heritage and ethnic identity because the picture of world of ethnic culture is realized in the metaphorical contents of the phraseology. We will analyze various types of the PU as much as possible to describe the above-mentioned facts in this paper.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을 위한 러시아어 발음교육 연구

        임흥수(Heung-Su 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이 논문은 한국 대학생을 위한 러시아어 발음교육에 관한 연구로서 자음, 모음, 강세를 다룬다. 오류 예측을 위한 러시아어 음성체계와 한국어 음성체계의 대조 분석 결과와,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직접 관찰하여 축적한 오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이 외국어의 발음 습득 과정을 청취 단계와 조음 단계로 나누며, 정확한 청취만이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청취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청취 단계를 다시 청각적 감지 국면과 청각적인지 국면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실제로 기초적인 음성학적 소양을 갖춘 대학생 학습자들의 발음 습득 과정에서 청각적 감지와 청각적 인지 국면으로 나누어 적용한 결과, 모국어간섭을 의식적으로 배제하고 목표어의 기준에 따라 청취하는 음운론적 청취력의 향상에 효과가 높게 나타난다. 특히 두 언어 음성체계의 특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음성 자료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결국 학습자들 의 청취력 향상은 정확한 발음 습득으로 이어 진다. This paper is a study on Russi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scope is Russian consonants, Russian vowels, and Russian accents. The method research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ussian phonetic system and Korean phonetic system.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comparative analysis, we analyze the errors of speech of learner. In general, scholars divide the pronunciation process of foreign languages into listening and articulation stages. In this study, the listening stage is divided into auditory sensing phase and auditory perception phase. As a result of applying to pronunciation education divided into two phases, learner’s phonological listening ability improved. The results of improved listening ability of learners helped learners gain accurate pronunciation. This is because it is easy for the learner to consciously exclude the interference of the mother tongue when listen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foreign language. Thus, accurate listening and correct pronunciation become possible.

      • KCI등재
      •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 한국어 강좌 개설 대학의 한국어 수강생을 중심으로

        임흥수(Heung-Su Im)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1 동유럽발칸학 Vol.3 No.1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By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preliminary and scientific research data for the main study of compiling more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For this, the contents an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is surveyed and their answers are analyzed by the methodology of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And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analysis it supports to delineate the major problems to b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in Russia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areas: 1) systematic training of Korean language specialists, 2) preparation of textbooks and other educational materials adequate namely for Russian students.

      • 러· 한· 영어의 기본문형대조

        임흥수(Im,Heung-Su)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1

        본 논문은 러시아어·한국어·영어 기본문형의 하위 범주 형식을 유형론적으로 비교 검토한 것이다. 특히 러시아어·한국어·영어 기본문형의 하위범주 비교 기준 틀을 설정, 제시하고 이에 근거해서 러시아어·한국어·영어의 기본문형을 술어의 품사 구조형식, 하위범주(보충어)의 형식 등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러시아어·한국어·영어 기본문형 비교 기준 틀로 주로 하위범주 품사들의 서술 형식 구조와 하위 실현 보충어들(NP구조, PP구조, 재귀사, 수동구문, 보문 구조, 부정사/동명사 구문)을 제시하였다. 하위범주 품사들의 서술 형식 구조로 러?한?영어의 동사가 요구하는 보충어의 성격에 따른 동사문과 러·한·영어의 형용사 술어 구조나 형용사 구조, 러·한·영어의 명사 서술어 형태, 기능동사 구문, “목적어+보어구문” 구조 등을 기술하였다. 하위범주의 보충어 형식에서는 한국어의 SOV언어의 언어 유형론적 특징, 재귀사 서술어, 영어나 러시아어의 부정사 구문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음/ 기’ 대응 구문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ypes of the subcategorization of the basic sentences in Russian, Korean and English through comparing them with typological method. I analysed basic sentences according to the parts of predicates, the structure of them, and subcategorization(complements) based on the frames of basic sentences between the three languages. I presented the types of predicates, the structure of them, and subcategorization; NP, PP, reflexive-pronouns, Passive construction, complementary, and to infinitive/gerund constructions) as the frames of basic sentence types in Russian, Korean, and English. I described the types of complements of verbs, adjectives, nouns, functional verb constructions, and "object+complement" for the structure of predicates of the parts of subcategorization in the three languages.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e SOV, eflexive-pronoun predicates, and ‘음/기’, which correspond to to-infinitive constructions in Russian and English.

      •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품사 대조

        임흥수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08 국제문화연구 Vol.1 No.2

        As well known, The Russian language has preserved an Indo-European synthetic-inflexional structure, although considerable levelling has taken place, and the Russian language is classified as a hard target language in terms of learning difficulty. Furthermore, the learners of a foreign language are suffering not small difficulties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ir mother languag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make a typological comparison of the parts-of-speech system between Russian and Korean, and through this contrastive study we can guess what problems the Korean native speakers have in recognizing the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s of a Russian word(s). Language differs in the fundamental classification of their words: many languages even lack some or more parts of speech. It implies no one can assert that the concept of parts of speech necessarily exist universally in any language. It appears explicitly, in general, within the scope of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 as a specific grammatical categ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