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보박물관의 운영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주요 5대 박물관을 중심으로

        임기홍(덕성)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1999

        Seongbo Museums in Korea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1990s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and managing the cultural assets of the temples. Early temple museums were built focusing on the prevention of theft of cultural assets but there were lots of problems in the management in terms of manpower, budget, facilities, expertise. Now, Seongbo museums are making their efforts to develop the programs and to plan the exhibitions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o fit into the new era. This paper is to present a clue for the social popularization of Seongbo museum, or its management activation to catch on with trend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its problems, for which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those who are on the frontline to come up with these issues, thereby introduc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Seongbo museum. Furthermore, it has provided an opinion to popularize Seongbo museum more and more. For now, it isn't clear to distinguish Seongbo museum from temple museum, Buddhist museum and in fact, the boundaries between the museum for religious artifacts and Seongbo museum have become blurred with the meanings of both sides intermingled. As the temple museum is often called Seongbo museum, we need to l need to think about the concept of Seongbo. Seongbo places its emphasis more on the aspect in terms of religion than on that in terms of cultural property value, while the management of Seongbo, which is worth while being preserved on the religious grounds, is included in the that of state-managed cultural assets. Seongbo is a religious expression based on Buddhist doctrines and beliefs with its religious value, no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emphasized. In this paper, the terms have been unified into Seongbo museum based on such actual circumstance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nd the methods and ranges, including the previous studies, to conduct this study are presented. Korean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have been outlined. Earlier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current state and activation measures of Buddhist museum, and the term "temple museum" was mainly used instead of "Seongbo museum", which wasdeveloped into the utilization of museum space, digitization of content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Recent research trend can be considered to have gone over to the development and digitization of cultural property contents, which may be in line with the effort to be made in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s across the society as well as the museum. In chapter 2, the functions and roles of museums and Seongbo museums have been summarized. The components of the museum are divided into five elements (method of operation, exhibition, education, finance, preservation), which were used as the attributes to compare Seongbo museum to be dealt with. In chapter 3, the current situations of Seongbo museums in Koreahavebeengrasped. In classifying Buddhist museums in Korea, they can be divided into classification by religious sects and classification by construction entities (Individuals, private organizations, and national and public agents). This paper has identified Seongbo museums in Korea with the Jogye sect as a center, which shows that there are 35 Seongbo museums, including Central Buddhist museum. With five representative Seongbo museums selected, interviews with them have been conducted. They are Central Buddhist museum, Seongbo museum at Woljeong temple, Seongbo museum at Tongdo temple, Seongbo museum at Songgwang temple, and Seongbo museum at Haein temple. In chapter3,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organiz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chapter 2 with National Museum of Korea used as the point of reference for comparing these Seongbo museums.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operation of Seongbo museum and the plans for its improvements and utilization dealt with in chapter 3 have been described. For now,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eongbo museum is roughly divided into 4 items (facilities, manpower, operation management, finance)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nce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eongbo museum enacted on July, 15, 2005 and revised on July 10, 200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d conducted the special inspections on 35 temples, identifying the operational problems from December 2013 to May 201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spection, the level of managing Seongbo museums was divided into A, B, and C grade with 14 temples of A grade, 15 of B grade, and 6 of C grade. The lower level was, the more basic facilities were missing. Based on this resul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lanned the project to promote the operation support for Seongbo museums (2014.08.07). It has promoted the support policy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by supporting the temples housing large quantities of artifacts, paying the expenses of operating the necessary facilities maintained i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hiring the professional resources. With the management systems varied by the temple, it is somewhat urgent to establish and enhance the criteria for the standard management systems of the collection of Seongbo museums. With Central Buddhist museum of the Jogye sect conducting the support project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housed collections of cultural assets since 2015, it may be called a time of transition in which the management by each temple is moving into that by central government. Apart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 way in which Seongbo museum becomes self-reliant. In chapter 4, a way in which Seongbo museum becomes self-reliant is presented by diving it into economic activation and non-economic one. Necessity of expanding the publicity and education conducted only in the temples to the outreach educational service and a variety of publicity is presented in the light of non-economic aspect. It seems to be necessary to develop the attractions for the tourists by connecting the Seongbo museums for funding, which is the biggest issue for Seongbo museums and seems to be important to collaborate with the relevant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한국의 성보박물관은 1990년대 이후 사찰소유의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초기의 사찰박물관은 문화재의 도난방지에 초점을 맞춰 건립되었으나, 인력 · 예산 · 시설 · 전문성 결여 등 운영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현재의 성보박물관은 박물관의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시 기획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성보박물관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해, 현재의 성보박물관이 사회대중화를 하기 위한 방법, 혹은 운영활성화를 위한 실마리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성보박물관의 실무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각 성보박물관의 운영과 활용에 대한 현 상황을 소개했다. 나아가 성보박물관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비견을 제시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성보박물관은 성보박물관과 사찰박물관, 불교박물관, 유물자료관 등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으며, 유물관과 성보관의 경계가 모호한 채 이 둘의 의미가 합쳐져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찰박물관을 흔히 성보박물관으로도 칭하는데, 우선 성보의 개념부터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성보란 종교적 근거에 의해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국가에서 관리하는 문화재 관리 속에 성보관리 역시 포함되어 있지만, 성보는 문화재적 가치측면보다도 종교성이 강조된 것이다. 성보는 불교의 교리와 신앙을 바탕으로 조형화된 표현물로써 종교적 가치성이 중요하며 역사성에는 그다지 구애를 받지 않는다. 본논문은 이와 같은 실정을 포함해 용어를 성보박물관으로 통일했다. 제1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기술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포함한 방법과 범위를 제시했다. 국내 문헌 및 선행연구에 대해 개략적인 정리를 했다. 초기의 연구는 주로 불교박물관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성보박물관보다는 사찰박물관이란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후 박물관의 공간활용, 디지털 콘텐츠화, 불교문화재 등에 대한 연구로 발전되었다. 최근의 연구경향은 문화재 콘텐츠 개발과 디지털화로 옮겨 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비단 박물관뿐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친 문화콘텐츠 개발에 역량을 쏟는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제2장은, 박물관 및 성보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에 관해서 개론적으로 정리했다. 박물관의 구성요소를 5개의 요소(운영방법, 전시, 교육,재정, 보존)로 구분해 기했다. 이 요소는 제3장에서 다룰 성보박물관을 비교하는 속성으로 사용했다. 제3장은 우선 대한민국 성보박물관의 현황을 파악했다. 한국의 불교박물관을 분류함에 있어, 종파별 분류 · 건립주체에 의한 분류(개인 및 사립단체 · 국공립여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조계종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보박물관을 파악했으며, 이에 따르면 성보박물관은 불교중앙박물관을 포함해 총35개소가 존재한다. 이중 대표적 성보박물관 5개소를 선정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들 성보박물관은 불교중앙박물관, 월정사 성보박물관, 통도사 성보박물관, 송광사 성보박물관, 해인사 성보박물관이다. 제 3장은 2장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진행했고, 이를 정리 · 분석했다. 이들 성보박물관을비교하기 위한 국립중앙박물관을 기준점으로 삼았다. 제4장은 3장에서 기술한 성보박물관의 운영실태의 특장점과 개선 및 활용방안에 대해 기술했다. 현재 성보박물관은 성보박물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령<제정 2005.07.15.> <개정 2007.07.10.> 에 의거하며, 이에 따르면 성보박물관의 운영 관리체계는 크게 4가지 항목(시설 · 인력 · 운영관리 · 재정)으로 나뉜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문화재청은 사찰 35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해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했다. 문화재청 점검 결과에 따르면, 성보박물관의 관리수준을 A, B, C 등급으로 나누었고, 그 결과 A등급이 14개소, B등급이 15개소, C등급이 6개소가 되었다. 등급이 낮을수록 기본 시설이 누락되어 있는 곳이 많았다. 이 결과에 따라 문화재청은 성보박물관 운영지원 계획 추진방안(2014.08.07.)을 계획했다. 유물 다량소장처 지원 · 필수설비(항온, 항습) 가동 소요비용 · 전문인력 채용 등을 통해 통합관리하는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사찰마다 관리체계가 상이한 만큼, 대부분의 성보박물관은 성보박물관 소장품 표준관리체계 기준이 시급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안고 있다.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은 2015년부터 ‘문화재 다량소장처 보존관리 지원사업’을 실시해 문화재 관리가 사찰차원의 관리에서 중앙차원의 관리로 넘어가고 있는 과도기라 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각 성보박물관에서도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4장에서는 성보박물관의 자립모색을 위한 하나의 방안을 경제적 활성화 측면과 비경제적 활성화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비경제적 측면은, 사찰 내에서만 머물렀던 홍보와 교육을 확장시켜 찾아가는 교육과 다양한 형태의 홍보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경제적 측면은 현재 성보박물관이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인 재정마련을 위해 성보박물관들이 연계해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유관기관 및 단체들과의 협업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