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점토대토기문화로 본 마한 형성기의 경기지역 - 문헌과 물질자료의 접점을 찾아서 -

        이형원 숭실사학회 2022 숭실사학 Vol.- No.49

        A study on Gojoseon must take precedence for investigating the Mahan formation period, which corresponds to the previous period. The late Bronze Age, a period of circular clay pottery between the 5th and 4th centuries BC, is closely related to the Bronze Age culture of Gojoseon. During this period, the South Korean region was part of the Gojoseon culture. The symbolism of the ruler's power was revealed through the funeral culture in which bronze weapons and objects for ritual ceremonies were buried in the Chungcheong and Jeolla regions. Meanwhile, the ruler's power was realized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round ditch, a ritual space in Gyeonggi Provi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vidence to directly link this period to Han or Mahan in the literature. The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culture, which falls betwee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is the early Iron Age. And, the Iron Culture of the Yeon Dynasty related to the Gojoseon flourishes. The material culture of Mahan and Samhan between the 2nd and 1st centuries BC, which appears in the literature, dates back to the 3rd century BC. So,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ormation period of Mahan. The Mangyeonggang River Basin in the Honam region could be considered the center of this period. However, the Iron Culture in the near Gyeonggi region likely settled in moving south from Liaoning region in China and North K orea. 한(韓) 또는 마한(馬韓) 형성기 경기지역(서울 및 인천 포함)의 문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서는이보다 앞선 시기의 고조선 문화권(古朝鮮 文化圈)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기원전 5~4세기의 원형점토대토기 시기인 청동기시대 후기는 고조선의 청동기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 시기의 남한지역은 고조선 문화권에 속하며 충청 및 전라지역은 청동 무기(武器)류와 의기(儀器)류를 무덤에부장하는 장제 문화를 통해서 수장 권력의 상징성이 확인되며, 경기지역은 종교적 의례공간인 환구의 축조 및 운영을 통해 수장(首長)의 권력이 발현되었다. 권력과 종교적 제의를 행사하는 방식에서 지역성이 반영된 것이다. 이 시기를 문헌상의 한이나 마한과 직접 연결시킬만한 근거를 찾기는어렵다. 기원전 3세기가 되면 경기지역을 비롯한 남한지역에 철기가 등장한다.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부터원삼국시대 이전까지를 초기철기시대로 보는 입장에서는 원형점토대토기의 늦은 단계부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중심을 이루는 시기에 해당한다. 경기지역에서는 주조철기(鑄造鐵器)가 부장된 인천당하동유적을 비롯하여 인천 검암동, 평택 율북리, 평택 화양리유적 등에서 초기철기시대 분묘가확인되었다. 당하동의 경우는 원형점토대토기가, 검암동의 경우는 삼각형점토대토기가 공반되었으며, 오산 탑동과 김포 운양동유적에는 삼각형점토대토기 옹관묘가 존재한다. 생활유구는 수원 고색동, 서울 가락동, 천왕동, 화성 도이리, 이천 이치리 유적 등에서 주거지나 수혈, 구상유구 등이있다. 남한지역은 기원전 3~2세기에 고조선과 관련한 연계(燕系) 철기문화가 꽃을 피운다. 문헌에 등장하는 기원전 2~1세기의 마한과 삼한(三韓)의 물질문화는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되므로 이때를 마한 형성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심지는 완주 신풍유적과 갈동유적 등이 위치한 전라지역의 만경강유역이며, 중국 요령 및 서북한지역 철기문화의 남하 루트에서 가장 가까운 경기지역에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철기문화가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경기 및 남한지역의 원형점토대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분포를 비교하면, 전자가 남한 전역에 분포하는 반면에 후자인 삼각형점토대토기는 강원을 제외한 경기·충청·전라·경상지역에서 확인된다. 남한에서 마한과 진한변한으로 구성된 삼한의 영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문헌사료(기원전 2~1세기)와 고고학 물질자료(기원전 3세기)의 접목을 통해서 볼 때 한 또는 마한의 형성기는 기원전 3~2세기대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 보다 앞선 기원전 5~4세기 단계를 어떻게 볼 것인지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문화로의 전환과정, 청동기문화에서 철기문화로의 전환과정, 고조선 중심지와 고조선문화권에 속하는 남한지역의 시기별 상호작용에 대한 진전된 연구를 통해서 이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住居文化로 본 粘土帶土器文化의 流入과 文化變動 - 江原 嶺東 및 嶺西地域을 中心으로 -

        이형원 한국청동기학회 2015 한국청동기학보 Vol.16 No.-

        한국고고학에서 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기원과 편년, 그리고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진행되 어 왔으며, 여기에 사회성격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연구경향을 발 전적으로 계승하면서 중국 요령지역에서 남한지역으로 유입된 외래계 점토대토기문화가 재지문화와 어떠한 접촉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주 거문화에 초점을 맞춰서 검토하였다. 먼저, 주거구조에서 볼 때 벽부노뿐만 아니라,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장축노도 외래계 주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또한 평양 남경 3호 주거의 토기 를 점토대토기로 인정하는 쪽과 비판적으로 보는 입장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주거구조를 검토하여 전 자의 견해가 타당하다는 것을 밝혔다.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을 취락의 측면에서 보면, 영동지역에서 는 외래계 주거 및 유물이 주체적인 유적이 주로 확인되고 있는 반면에, 영서지역의 경우는 재지문화 가 중심을 이루는 취락에서 외래문화가 일부 수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양 지역 모두 재지문화와 외 래문화가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의 문화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혼인과 같은 인적교류가 활발히 이루 어진 것과 연동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래계 취락과 재지계 취락의 교류 과정에서 나 타난 모방(절충)토기의 존재를 주목하였다. 한편 유적마다 타문화 주거지의 구성 비율 및 유물 출토 양상에서 차이가 있는 점에서 볼 때, 집단마다 공동체의 성향에 따라 외부 문화의 수용 양태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The discussion on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has focused on the origin, chro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in Korean archaeology. This paper takes an in-depth study on the foreign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in flowed from Liaoning area in China and on its influences over the existing culture and its contact aspect. It also examines the changes focused on the dwelling culture. First of all, it was turn out to be a foreign dwelling type because of a fire place attached on the wall and on the major axis on the floor. Under a controversial situation, while researchers recognize pottery pottery with clay strip excavated at No. 3 housing spot of Namgyung remains in Pyungyang-shi, others have a critical opinion against i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ormer opinion is appropriate due to its housing structure. While foreign dwelling sites and their remains are excavated mainly in the Gangwon Youngdong area, existing dwellings and their remains are dominant in Youngseo area.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ose two areas of existing culture and foreign cultu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n interchange among people with a marriage. According to this aspect, pottery manufacturers at foreign dwelling sites from existing culture had imitated the pottery with clay strip. This paper put a great importance on this pottery.

      • KCI등재

        청동기시대 중심취락의 지역적 양상 -송국리유형 시기의 대규모 기념물을 중심으로-

        이형원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49

        This paper examines the regional aspects of central settlement in the Bronze Age in South Korea. To this end, it was noted that large-scale monuments like round ditch and wooden barrier, giant stone monuments as grave like dolmen, and public ceremonial buildings among the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central settlement. The central settlements are divided into Songguk-ri culture distribution area(Hoseo,Honam and South Yeongnam),Geomdan-riculture distribution area(east Yeongnam) and Cheonjeon-ri culture distribution area(central Yeongseo). There are the largest number of ruins in the Songguk-ri culture distribution area. However, the ruins in Yeongnam region where the Songguk-ri culture and Geomdan-ri culture co-exist are excellent while they are relatively dominant in the western area in Yeongnam region.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settlement are divided into those located in the hills such as Songguk-ri site in Buyeo and the Gwanchang-ri site in Boryeong, and those formed on the alluvial riversides such as Daepyeong-ri in Jinju and Jungdo site in Chuncheon, while the latter is mostly large in terms of size. The central settlement which are equipped with round ditch or wooden barrier aiming for defending or comparting the everyday living space are mainly distributed in Yeongnam region, where Daepyeong-ri site in Jinju and Geomdan-ri site in Ulsan are located. As an exception, it is remarkable that the round ditch was built in Jungdo site in Chuncheon and the wooden barrier in Songguk-ri site. There are many sites that are mentioned as central settlement in the western regions of Yeongnam and leading ones are dolmen tombs as a type of compartment grave while the large tombs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regions of Yeongnam and Honam region. Large-scale ground buildings with the features of ceremonial spaces can be found at Songguk-ri site in Buyeo, Igeum-dong site in Sacheon and Jungdo site in Chuncheon. 이 글은 청동기시대 송국리유형 시기의 중심취락의 지역적 양상을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중심취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가운데 환호 및 목책과 같은 대규모 기념물적 구축물이나 지석묘와같은 분묘로서의 거석기념물, 그리고 공공 의례 건물의 존재에 주목하였다. 중심취락의 분포를 큰 틀에서 보면 송국리유형 중심분포권역과검단리유형 분포권역, 그리고 천전리유형 분포권역으로 나뉜다. 유적의 수는 문화유형의 구분에서는 송국리유형 중심분포권역이 가장 많으며, 지역적으로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병존하는 영남지역이탁월하다고 볼 수 있다. 영남지역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서부지역이 우세하다. 중심취락의 지형적 특징은 부여 송국리, 보령 관창리유적과 같이 구릉에 입지한 취락과 진주 대평리, 춘천 중도유적과 같이 강변 충적지에형성된 유적으로 나뉘는데, 규모면에서는 대부분 후자가 큰 편이다. 일상생활의 영역인 거주지를 방어하거나 구획하는 시설인 환호 또는 목책을 갖춘 중심취락은 주로 영남지역에 분포하는데, 진주 대평리, 울산검단리유적이 대표적이다. 예외적으로 춘천 중도유적에서 환호가, 부여송국리유적에서 목책이 구축된 것은 특기할 만하다. 거대분묘는 대부분 영남서부지역과 호남지역에 분포하는데, 중심취락으로 거론되고 있는 유적은 영남서부지역이 많으며, 구획묘의 한 종류인 묘역식지석묘가 주류이다. 의례공간으로 추정하고 있는 대형지상건물은 부여 송국리, 사천 이금동, 춘천 중도유적에서 볼 수 있다. 중심취락의 대규모 기념물은 거대 분묘와 같은 매장시설이거나 환호와 목책과 같은 방어나 구획시설로서, 혹은 의례용 지상건물과 같은제의시설로서 만들어진 것이지만, 이것은 공동체의 결속과 번영을 위해서, 또는 다른 취락 공동체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자신들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해서 조영되었다는 데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이 거대기념물의 축조와 운영에는 중심취락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시설로서 랜드마크의 성격을 갖는 동시에, 중심취락 내부에서는 공동체 전체를 통합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일반 구성원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자 하는상위계층의 조직 운영 원리가 중요하게 작동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