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연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미결정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은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4개의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24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38일 동안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강선희(2002)의 내현적 자기애 척도(총45문항, 5점 Likert)를, 강유리(2006)의 취업스트레스 척도(총22문항, 5점 Likert)를, 그리고 진로미결정 측정은 탁진국과 이기학(2001)의 척도(총22문항,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점수범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 ∼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되어 있다. 내현적 자기애, 취업스트레스, 진로미결정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18.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미결정은 성별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진로미결정에 대한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미결정에 대한 성별과 내현적 자기애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진로미결정에 대한 성별과 취업스트레스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은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진로미결정 수준도 함께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현적 자기애 하위요인 중에서는 목표불안정, 착취/자기중심성, 소심/자신감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대하여 독립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 하위요인 중에는 성격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학교환경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독립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가운데 목표불안정과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가운데 학업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취업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가 대학생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ow covert narcissism and job-seeking stress affect the career indecis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an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or this purpose. Research issue 1. According to gender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vert narcissism,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issue 2. Do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and job-seeking stres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To verify above research issues, a survey for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38 days from 24 November 2014 until 31 December 2014. The measuring tools of the study were Covert Narcissism Scale (total of 45 questions, 5 points Likert) of Kang SunHee(2002), Job-seeking Stress Scale (total of 22 questions, 5 points Likert) of Kang YuRi(2006), and Career Indecision Scale(a total of 22 questions, 5 points Likert) of Tak JinGuk and Lee GiHak(2001). The questionnaire scores range from not at all(1 point) to very much(5 point). Covert narcissism,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were investiga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Statistic 18.0 was used for i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However, the main effect of the covert narcissism and job-seeking stress on career indeci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overt narcissism on career indecision was not significant, and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job-seeking stress on career indecision was significant. Second,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and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It is found that the higher covert narcissism and job-seeking stress,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levels. Instability of goal,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and timidity/lack of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were found to have an independent effect on the career indecision. Also, personality stress, academic stress and stress from school environment which are sub-factors of job-seeking stress, were found to have an independent effect on career indecision.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instability of goal among th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and academic stress among the job-seeking stres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career indecision. Covert narcissism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ve at least stud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to decide their career.
청소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서지능 중심으로
이연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고등학생 삶의 만족도에 정서지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즉 삶의 만족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들보다 개인 내적 특성 등 개인적인 자원이 만족도를 설명하는데 관련이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정서문제를 다루는 능력과 관련되는 정서지능을 중심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북 영주지역의 고등학교 남녀 청소년 486명으로, 측정도구는 정서지능척도, 삶의 만족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에 있어 학년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별을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감정이입능력은 상대적으로 여학생이 높았고, 정서의 사고촉진능력과 정서조절능력에서 남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정서지능에 있어 학교계열, 부모의 월평균 소득,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인문계 재학생이 정서지능 전체 점수 및 하위요인별 점수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정서지능 전체 점수 및 하위요인의 점수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또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정서지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학교계열, 부모의 월평균 소득,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실업계 재학생보다 인문계 재학생이 삶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보다 상위권, 중위권인 학생이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상관분석결과,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감정이입능력, 정서의 사고촉진능력,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지식의 활용능력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삶의 만족도가 높은 청소년이 정서지능 하위요인에서 정서지식의 활용능력을 제외한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감정이입능력, 정서의 사고촉진능력, 정서조절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개인배경변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 성적, 선생님 지지, 진로계획 및 장래계획 정도가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많아지고 성적이 좋아지며, 선생님의 지지가 높아지고 진로계획 및 장래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여섯째,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정서조절능력이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이 영향력을 보였다. 나머지 하위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지만, 정서지능 모형에서 밝히듯이 정서조절능력이 가장 상위의 능력이라고 볼 때 검사결과 정서조절능력이 점수가 높은 경우 모든 영역이 높은 수준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정서조절영역의 유의미한 검증은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정서지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서지능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사회복지실천 적용을 위한 후속연구들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s life satisfac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 from the prior research that personal resources, such as personal intrinsic characteristics, could give better explanation of life satisfaction than socio-demographical factors, emotional intelligence related to the ability to cope with emotional problems remarkable in adolescence was selected as a central variabl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86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by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s measuring instrumen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the school year; girls showed relatively higher empathy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le boy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thinking promotion of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school type,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and achievements.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got higher scores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sub-factors; the higher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the higher scores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sub-factors. In terms of achievements, top-ranked student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y school type,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and achievements.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higher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achievements, top- and middle-rank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bottom-ranked one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I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thinking promotion of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bu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use emotional knowledge,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is, adolescents with high life satisfaction showed high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thinking promotion of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Fifth, as for the effects of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achievements, teacher support, career plan, and future plan were found to be variables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That i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higher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the better achievements, the higher teacher support, and the more specific career and future plan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Sixth, as for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life satisfactio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nd emotional control were found to be variables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control had the greates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ollowed by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ther sub-factors; however, as revealed by the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it can be assumed that the high score of emotional control guarantees the high level of all areas since the former is the highest ability. Therefore, significant verification of the emotional control area show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life satisfac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goal is to suggest the need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ollow-up researches in pursuit of application to social welfare practice.
전북지역 영양플러스사업 대상 다문화가족 내 결혼이주민여성의 식생활과 영양교육 실태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결혼이주민여성 식생활 적응 실태 및 영양상태, 영양교육에 대한 인지도와 원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본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올바른 영양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전북지역 14개 시군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플러스사업 다문화가족 결혼이주민여성 176명과, 영양플러스 사업 담당자 및 영양사 28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민여성은 입국초기에 비해 현재 한국 음식 기호도가 상승하였다(p<0.001). 보충식품 공급 및 영양교육을 통해 매일 3끼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경우가 전체의 78.4%로 높았다. 임신 중 음식 섭취에 대해서 한국음식에 잘 순응하여 섭취한 경우는 35.2% 정도 밖에 되지 않았으나, 순응하지 못한 경우라도 음식섭취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섭취하도록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국음식의 섭취에 대하여 월 1~2번 섭취하거나 모국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48.3%나 차지하였다.
수기요법과 괄사요법이 안면크기 변화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연옥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수기요법은 손을 이용한 관리 형태를 총칭한 것으로 마사지라는 용어로 불린다. 마사지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오래된 치료 행위 중의 하나로서, 고대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염좌로 부터 변비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마사지가 효과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괄사요법은 민간요법에서 기원한 것으로 정확한 시작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사기(史記)인 내경(內經)에 기록되어 있다. 근육 자체에 마사지를 하거나 그것을 지배하는 신경부를 자극함으로써 위축된 부위들이 이완되어 신속히 회복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관리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이들 요법이 안면 크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안면 크기 변화는 caliper와 줄자로 측정하였다. 각 군의 평균값은 Student`s t-test로 유의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기요법을 시행한 군의 안면 크기 변화는 부위별 효과 면에서 전 부위에서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2. 괄사요법을 시행한 군의 안면 크기는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3. 그러나 위 실험결과와는 달리 설문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수기요법은 괄사요법 보다 안면 크기 변화의 효과가 높았으며 자각증상 조사에서 두군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도구를 사용 했을 때 효과가 더 높을 것이라는 심리적 기대감이 표현된 것으로 생각된다. The manual therapy, the general meaning of care with hands, has been called as a term of massage. From the time of Hippocrates massage techniques have been considered effective for various diseases from sprain to constipation. Though the beginning has not been identified the meridian scrapping therapy which has been recorded in Huangti nei ching, a Chinese historical book, has been originated as a folk remedy. The atrophic problems can be removed by massaging the muscles or stimulating the nerves inervating the muscles. Thus we tried to inspect the effects of these therapies on facial size. The sizes were measured by both a caliper and a tapeline.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Student's t-test. The results were; 1. The facial size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manual therapy. 2. The facial sizes of the person who had been treated by meridian scrapping massage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3. But in discor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urvey with a questionnaire revealed positive results in general. In this study, manual therapy showed more effects than meridian scrapping massage. And the results of survey which showed highly positive responses in both groups can be regarded as the use of Gualsa tool gave the patient some expectancy.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학습전이영향요인과 학습전이정도와의 관계 연구
이연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학습의 결과를 직무에 활용하는데 미치는 요인과 학습의 결과를 직무에 활용하는 학습 전이의 인식 수준, 학습전이요인과 학습전이정도의 관계, 학습전이요인 중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이 학습전이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급, 근무년수에 따른 학습전이 요인과 학습전이 정도에 대한 인식 정도를 토대로 학습전이요인과 학습전이 정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학습전이요인 중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먼저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학습전이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Holton, Bates 그리고 Ruona(2000)가 개발한 학습전이 체제 측정도구(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이하 LTSI)를 수정 보완한 배을규· 장민영· 김대영(2009)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학습전이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Rouil1er와 Goldstein(1993)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도형(1995)이 개발한 문항들을 활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직원에게 배포되었으며, 총25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3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방법은 첫째,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도구의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직급과 근무년수에 따라 학습전이 요인과 학습전이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학습전이 요인과 학습전이 정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재직자 교육훈련의 직급별 학습전이 요인과 학습전이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전이요인 가운데 개인의 긍정적 결과, 전이동기와 학습전이 정도에 대해 직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대해 5,6급 집단보다 9,10급 집단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전이동기와 학습전이 정도에 대해 9,10급 집단보다 5,6급 집단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무년수별 학습전이 요인과 학습전이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전이 요인 가운데 내용타당성과 전이설계, 전이동기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년 이상 10년 미만의 집단이 5년 미만의 집단보다 내용타당성과 전이설계, 전이동기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전이요인과 학습전이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준비도는 상급자의 제재와 부적인 관계(r=-.206)이며 개인의 긍정적 결과, 상사와 동료의 지원, 내용타당성과 전이설계, 전이동기, 수행변화 가능성과는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397~.624). 상급자의 제재는 개인의 부정적 결과와 정적인 관계(r=.406)이며, 상사와 동료의 지원, 전이동기, 수행변화 가능성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r=-.217~-.296). 개인의 긍정적 결과는 개인의 부정적 결과, 상사와 동료의 지원, 내용타당성과 전이설계, 전이동기, 수행변화 가능성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고(r=.261~.571), 개인의 부정적 결과는 상사와 동료의 지원과 정적인 관계였다(r=.239). 상사와 동료의 지원은 내용타당성과 전이설계, 전이동기, 수행변화 가능성과 정적인 관계(r=.526~.657)이고, 내용타당성과 전이동기, 수행변화 가능성도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553~.677). 그리고 학습전이 요인 가운데 개인의 부정적 결과와 상급자의 제재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학습전이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374~807)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급자의 제재는 학습전이 정도와 부적인 관계(r=-.178)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행 변화의 가능성(65.1%), 내용타당성과 전이설계(4.5%), 전이동기(1.4%), 개인의 부정적 결과(0.6%), 상사와 동료의 지원(0.7%)이 학습전이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전이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시작 전에 직무와 유사한 교육훈련선택과 교육종료 후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공공도서관 조직은 조직 구성원이 교육훈련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직무수행에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직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인천광역시교육청 및 타 시·도 공공조직 공무원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 직역별, 유형별로 여러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는 연구여건의 제약 상 교육훈련이 끝난 시점에서 사후측정에 의존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학습전이란 교육훈련 후 현업에 돌아와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이과정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사전-사후분석(pretest-posttest analysis)을 포함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끝으로 기존의 구태의연한 선례답습형 전달식 교수법보다는 학습자에게 교육 후 즉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전형 기법으로 교육훈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은 이수 후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 토론 및 사례중심의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참가자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명확히 파악하고 장려하여야 하며, 교육종료 후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연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웹사이트의 개설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맞추어 보육사업 분야도 중앙을 포함하여 15곳의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는 최대한 효율적으로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보육정보센터 상호간의 협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고 있음이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정보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구축 및 관리형태와 콘텐츠의 구성 분석을 통해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15곳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웹사이트 관리자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구축 및 관리, 콘텐츠 구성 그리고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15개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콘텐츠를 조사분석하는 방법과 보육정보센터와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한 설문조사와 직접 방문을 통해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는 두 가지의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구축 및 관리, 활용현황에 관한 설문지와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콘텐츠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직접제시법과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구축현황은 어떠한가? 2.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관리현황은 어떠한가? 3.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콘텐츠 구성현황은 어떠한가? 4.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활용현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구축현황은 대부분의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구축하였고, 구축비용은 보육정보센터에 따라 달랐으며 보육시설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보육정보의 제공과 상담을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관리현황 분석결과,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는 전산원과 보육지도원이 특별한 운영지침 없이 관리함으로 인해 전문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나 협력을 통해 보강이 추진되고 있었다. 한편 대부분의 보육정보센터는 인터넷과 보육정보지 등을 통한 홍보가 시행되고 있었으며 보육정보를 중심으로 타지역 보육정보센터와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콘텐츠 구성현황은 정보, 교육, 상담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분류하여 중앙과 지역보육정보센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중앙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콘텐츠를 관찰한 결과 정보 콘텐츠는 전국보육시설 안내, 전국보육정보센터 토론회 등의 정보제공 등이 주요하게 관찰되었다. 교육 콘텐츠는 게시판의 형식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보육프로그램과 보육자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다. 상담 콘텐츠 중 커뮤니티 콘텐츠는 자유게시판, 새소식, 공지사항, 알뜰시장, 설문조사, 이메일 등의 하위메뉴로 구성되어 있었고 리퍼럴 개념의 상담 콘텐츠는 교사상담, 시설운영상담, 소아의료상담, 보험상담 그리고 잦은 질문으로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웹사이트 내용에 대해서는 별다른 문제점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보육정보 사이트 내 검색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었다. 둘째, 지역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정보 콘텐츠 중 몇몇 웹사이트는 특수보육시설을 따로 분리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교육 콘텐츠는 분석결과 P보육정보센터는 통합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다. 상담 콘텐츠의 경우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자유게시판, 새소식, 공지사항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었고 부모상담, 교사상담, 시설운영상담으로 상담이 진행되고 있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은 화면이 뜨는 속도가 늦어 신속성이 없었으나, 대부분의 지역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는 사용이나 내용의 편의성에 대한 세부항목들은 사용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과 지역의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 콘텐츠를 비교 분석한 결과, 웹사이트의 정보 콘텐츠 구성형식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곳은 T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로 원장님 마당, 선생님 마당, 학부모 마당, 예비교사(학생) 마당 등이 존재하였다. 교육 콘텐츠는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담 콘텐츠는 중앙과 지역 보육정보센터 간의 지역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활용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사이트 활용만족도에 관한 응답결과 웹사이트 이용자들 특히 대부분의 보육교사는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필요성을 느껴 한달에 평균 2-3회 정도 접속하며, S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웹사이트를 방문시 보육자료 및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구성에는 비교적 만족하나 교육현장에서 콘텐츠를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료가 다양하지 못한 것을 주로 지적하였다. 둘째, 웹사이트 콘텐츠 활용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정보 콘텐츠는 보육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보육정보 콘테츠의 활용도가 높은 반면 만족도가 낮았다. 교육 콘텐츠 역시 제공되어진 보육프로그램과 자료 모두가 활용도에 비해 그 내용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콘텐츠는 자유게시판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었으며 상담서비스 역시 활용도에 비해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각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공유 여부 설문결과, 대부분 웹사이트간의 정보와 자료의 공유에 대해 찬성하였고 각 웹사이트마다 제공되는 정보에도 차이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중앙과 광역시시도를 중심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할 때 필요한 필수 요소를 마련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인 웹 운영 활동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관련기관에서 새로운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를 구축 운영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정보 수집에 드는 노력 및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이 분야에 중복되는 투자를 새로운 보육 분야로 피드백 하여 그 연구 영역을 넓히고 심화시키는데 재투자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As the people who using the Internet in the worldwide is rapidly getting more, opening of the web site is getting general. Adjust in this social tendency, 15 places of the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s include the Center are managing in the Child Care business field. This research is wanted to provide a guide for web sit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construction, management and content analysis of contents of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 This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is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CCIC) 15 places that are now in running manager and Child Care Teacher and were investigate web sites construction, management, contents constitution and application present condition. The investigation methods are two ways that are as direct contact in the on-line website, exanimate and analysis the contents and were through the e-mail, direct visit and reply an answer the questions. In this investigation, research instrument is used question papers and contents analysis instrument with researcher makes out. Collecting materials treatment and analysis are using in comparison direct presentation and the statistics-handling program, SPSS. Calculate the frequency, percentage in the each questions. This research's issue is the following. 1. How is the CCIC web sites construction present condition? 2. How is the CCIC web sites management present condition? 3. How is the CCIC web sites contents constitution present condition? 4. How is the CCIC web sites application present condi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s summary i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professional company mostly constructs CCIC construction. Construction expens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CIC and it is constructed by CCIC's offer and consultation. As the result of the CCIC web sites management present condition analysis, CCIC web site is be managed by Child Care guide without special management guide so that it has the lack of the professional but there are reinforcement through the cooperation. As result of observe the centra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 contents, first, information contents are mainly observed information offering for the whole country Child Care establishment guide, the whole countr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forum, etc. The education contents can hold a several Child Care program and Child Care material information in common. Among the consultation contents, community contents are consisted in free notice board, new news, notice board, prudent market, questionnaire, e-mail of the low rank menu and referal contents are consisted in teacher counsel, establish manage counsel, child medical counsel, insurance counsel and frequently asked questions(FAQ). In case of the web site user inter face, screen slow down to showing and there are no rapidity and special problems about the contents, also its be requested to have construction of the searching system inside the Child Care information site. As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ca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information content of some web sites are offering the information divide into special Child Care establishment. Education contents is showed P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offering the union program. In case of the consultation contents, most of the web sites are activated the community in the center of the free notice board, new news, and notice board and there are progressing the parents counsel, teacher counsel and establishment manage counsel. The result to analysis inter face side of the user, there are no problems to use contents, convenience of the contents and details. As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 T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 well showing the information contents composition forms; there are the chiefs board, teachers board, parents board and preparatory teachers board. The education is requested the powerful and concentrative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apply to the education field. In the consultation contents,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The result of the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s applic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are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the answer about the web site application satisfaction, most of the Child Care teacher feeling the necessity of the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 and they're using the S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 and when they're visit this web site, they are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hild Care data, program, Child Care establishment manage information, Child Care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They're satisfied in the contents form but they're answered that its not suitable to apply the contents in the education field and they're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s are not various to apply in educa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bout web site application satisfaction, information contents have very high in the Child Care information contents application the can apply in the field but they have low satisfaction. It is also showing that education contents are not satisfied in the contents in comparison with application. The consultation contents are active used in the free notice board and counsel service also has low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application. Third, the result of the each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b sites joint whether or not evaluation, they're approve of most of the web sites information and data joint and they're answer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web site informations. So it is need to have standardization of the information that is served in the center, megalopolis, city and distric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need to construct the web site, when were manage that, we can prepare the essentiality element and apply to basis data for more effective web manage active and when related system want to construct the new Child Care information web site, it can reduce the effort and troublesome that is ne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it can give the chance the reinvestment for widen and deepen the research field as the investment of the overlapped to the new Child Care field.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교육감 선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연옥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The system of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 Korea was reformed very often but still there are lots of problems. The Reform of 2006 was to change the local board of education to a committee of local council(Shi and Do) after 2010 local election.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re to be elected directly by citizens. Recently, in the Parliament, the reform of the system is again under discuss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s the issues and problem regarding the direct election system for Superintendent based on the experiences both of the researcher as a candidate as well as the other candidates opinions in the June of 2010 election. The findings uncovered several alternatives for complementing them which are as follows: The current law related to the election for Superintendent, which is exactly the same as political elections, needs to be reformed in order to lower expenses, and low voter-turnout has led to low efficiency, consequently the voting process needs to become more efficient.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local direct election maintained on the grounds that a light level of party intervention is allows co-registering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representativeness problem of superintendent candidates. Therefore, the suggested tasks for reorganization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re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which are the election of lower expenses, cooperation links between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nd general authorities, the improvement of qualification criteria of candidate and election method system of superintendent. As the direct election of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was held on a national scale for the first time in 2010, any concrete analysis of the election is nothing but limited. However, To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election for the local education is considerable, the election system is worth studying. For improvement of local education, I hope that future studies need to address related issues such as administration, budget, system, and autonomy of loc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