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에서 ‘평화’로의 이행을 위한 DMZ 담론 변화 연구 -「판문점」과 「판문점2」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미정(Lee, Mi-Jung)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본 논의는 이호철의 통일론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호철은 전 생애를 걸쳐 통일 운동을 실천한 작가이다. 그는 초기 혈연 중심의 민족주의적 통일원칙을 중심으로 남북교류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그의 통일 원칙은 민족 공동체라는 방향성과 민주주의라는 역량으로 양분되어, 독재국가에서 벗어나 자유 민주주의를 구축하고자 했다. 반면 1980년대 후반 재야 운동권과 결별하며, 스스로 통일론자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이호철은 통일을 이루기 위한 방안에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그 전제들은 북한 독재 국가의 변화, 그리고 연방국가적 형태를 통한 민간 교류였다. 그는 민주평화론을 중심으로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고자 했으며, 북한 독재 체제에 대해 비판을 동반한 유보적 입장을 반복했다. 특히 ‘한살림 통일론’을 통해 체제에서 탈피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판문점2」는 그의 통일론에 대한 단면이 오롯히 담겨 있기에, 통일론과의 연관성은 매우 크다. 「판문점」에서 민족의 동질성을 고민했던 진수는「판문점2」를 통해 현재 현실주의적인 노년의 작가로 변화된다. 후일담 형식을 통해 남북의 현실이 달라졌음에 전면화한 이 소설은 통일에 유보적인 노년 진수의 시각을 역설하는 구조다. 「판문점2」는 이호철이 담지한 통일론에 대한 서사라는 점에서 가장 극적인 통일론이다. This paper provides a synchronic review of Ho - cheol Lee"s theory of unification. Ho - cheol Lee has campaigned for unification throughout his life. Moreover, he insisted on the nationalist principle of unification, and emphasized the capacity of democracy. On the other hand, he separated himself from the democratic movement during the late 1980s and identified as a unificationist, focusing on the “plan” to achieve unification. Moreover, as an alternative to unification, he insisted on establishing changes in the North Korean dictatorship and civilian exchanges. He suggested building a democratic system as a means to achiev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he proposed a new alternative by insisting on the “Hansalim unification theory.” Hocheol Lee’s theory of unification was revealed in his work Panmunjeom2. The character “Jinsoo,” who was concerned about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in Panmunjeom(1961), is transformed into the realistic old artist “Jinsoo” through Panmunjeom2. The author expressed the changed reality of the two Koreas through the form of a sequel in Panmunjeom2, which is a novelization of his theory of unification.

      • KCI등재

        플렉서블 전자 소자용 잉크젯 프린팅 기술

        이미정,Lee, Mi-Jung 한국세라믹학회 201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8 No.6

        The inkjet printing technology has undergone remarkable development since the concept of printed electronics was first introduced. The large interest which it has sparkled is due to its many enticing features such as processing simplicity, low cost and scalability as well as its compatibility with flexible electronics. Thanks to constant improvements, inkjet printing has nowadays become a mature technology which is an effective replacement for a number of intricate and expensive conventional laboratory tools and is also on the verge of gaining industrial significance. Technological challenges which still remain open include low temperature processing, high density integration and reproducibility. This paper reviews some recent advances in the inkjet printing technology, addressing those issues. And we also discuss a number of novel approaches to performing inkjet printing.

      • 사회적 약자와의 계약제도에 대한 운영실태 고찰

        이미정(Mi-Jung, Lee) 한국구매조달학회 2010 한국구매조달학회지 Vol.9 No.1

        정부조달시장은 민간시장과 달리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 이외에도 사회적 형평성 및 공정성 등 공공성에 대한 가치가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정부조달분야에서는 시장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조달참여지원이 주요한 정책적 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부조달대상 중 사회적 약자로 규정되는 대상은 일반 중소기업과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특정단체로 구별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보다 좀더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사회적 약자인 보훈·복지단체에 한하여 그들과의 정부조달 계약제도가 그간 어떻게 변천되어 왔고, 미래지향적인 개선을 위해 운영실태분석을 통해 현안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보훈·복지단체와의 계약제도는 특별히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보훈단체와 복지단체에 대하여 최저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조달방식으로 국가적 지원을 하는 제도로, 정부조달의 공공성을 추구하는 정책이다. 최근 보훈·복지단체의 생산품에 대한 불만족, 다른 사회적 약자와의 차별, 보훈·복지단체의 미래지향적 자립 및 자활능력 장애, 물량배정제도에 따른 수의계약 자체 법적 근거 부재 등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면서 보훈·복지단체와의 계약제도는 몇 차례 변화를 겪었다. 그럼에도 본 연구에서는 여전히 정부수요기관은 보훈·복지단체 물품에 대해 재구매 의사가 적극적이지 않는 등 불만족스러운 의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 단체수의계약제도가 폐지되었지만 보훈·복지단체와의 계약제도만 존속함으로써 다른 사회적 약자인 일반 중소기업 등에서 여전히 정부조달의 사회적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점, 다수공급자물품 계약실적이 급증함에 따라 물량배정제도가 유지된다하더라도 미래에 수요가 있는 일정한 물량배정이 지속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 마지막으로 복지단체 등의 난립으로 인해 현재 물량배정에 단체간에도 많은 갈등을 안고 있다는 점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훈·복지단체가 정부조달지원을 통해 자활 및 자립할 수 있도록 제한경쟁체계로 전환할 수 있는 중장기 정책플랜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와의 계약제도에 대한 시초적 연구로서 보훈·복지단체 계약제도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상세히 기술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Public procurement pursue the value for money and publicness at one time. For publicness, public procurement support socially underprivileged groups by contracting mea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peration of contracting with socially underprivileged groups in public procurement and its improvement direction. This paper conducted the case study about veterans and social welfare groups as one of socially underprivileged groups, and analysed the operation of contracting based on a statistical data and survey data of 2009 Public Procurement Service report. The analysis resulted in problems as follows: government agencies’ dissatisfication for repeat sales of goods produced veterans and social welfare groups, social equity between them and small companies, a thin sustainability of supply assignment contracting as MAS (Multiple Award Schedule) should develop, and the conflicts of inter-groups in contracting. This paper suggest the necessity of a long-term policy plan for the competition system to stand on their own two feet in a market.

      •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이미정(Lee, Mi-J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교사연수 프로그램은 인하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2010년 7월에 1주일 동안 30시간 진행되었다. 참여 인원은 인천지역 중등교사 38명으로, 연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수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시기는 30시간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34명(89,5%) 로 가장 많았다. 연수 일과 운영에 대해서도 36명(94.7%)이 만족하였다. 둘째, 연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결과는 35명(92%)이 만족하였다. 셋째, 연수 방법 중 '연수 방법의 전체적인 만족도', '연수자의 참여도', '교수자의 시청각 기자재 활용 정도'는 모두 35명(92%)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수자의 과제물 제시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28명(74%) 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강의 수준에 대해 32(84%)명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의 연수 환경은 다른 항목에 비해 만족도가 상당히 낮았다. 교사연수를 담당하는 기관에서는 연수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연수를 진행하는 내ㆍ외적 환경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은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향후 진행될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atisfaction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38 middle & high school teachers in In-cheon Province. The 30 hou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Inha University's Education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Second, The period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ould be right about 30hours. Third, the level of lecture was suitable generall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focus more attention on enha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d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which are expected to promote specialist who can deal with problems caused i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작문교과서와 순수문학적 글쓰기의 제도화 -1차 교육과정기(1954-1963)를 중심으로

        이미정 ( Mi Jung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본고는 1차 교육과정기 작문 교과서를 연구하여 순수문학의 개념이 보편적인 문학 개념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작문 교과서는 읽고 쓰는 과정을 학습하는 교재지만, 글쓰기의 전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작문 교과는 1차 교육과정기 주요 선택과목이었으며, 많은 문학 지문이 수록되었다는 점에서 현대문학 정전화의 중요한 논의 대상이다. 1차 교육과정기 작문 교과서는 글쓰기 개념을 ``문학``으로 한정하여 전문성을 강조했으며, 윤리적 관점에서 글쓰기를 논의함으로써, 글쓰기의 계몽주의를 강조했다. 이는 순수문학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글쓰기 개념을 형성해나갔다. 1차 교육과정기 작문 교과서의 특징은 선택된 지문의 저자를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순수문학과의 연관성이 잘 드러난다. 작문 교과서의 저자들은 대부분 당시 문단에서 영향력을 발휘했던 문인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이 문인들은 자신들의 작품을 작문 교과서의 지문으로 주로 활용하였다. 또한 순수문학론자들의 작품, 납북된 문인들의 작품 등만을 작문 교과서의 지문으로 선택함으로써, 월북 문인들의 작품을 배제하는 효과를 낳았고 이는 자연스럽게 작문 교과서의 정치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본고는 1차 교육과정기 작문교과서는 당시 문단에 지배적이었던 순수문학론을 보편적인 문학론으로 전형화하는 데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izing process of the "Pure Literature" in the 1950s through review of the composi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Learning to read and write, composition textbooks provided a canon of writing. Therefore this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as a major elective course and contained literary example sentence. The composi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d the professionalism by restricting the concept of composition to literature and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of composition. Also this textbooks were described in nationalism. In other words, "Pure Literature" opposed to proletarian literature of North Korea was the key concept in the composition textbooks. Features of this textbook emerged in the selected literary person and the quoted example sentence. The authors of composition textbooks were famous literary writers. They strenuously insisted on "Pure Literature" and selected only sample sentence of "Pure Literature". Consequently, Non-Pure Literature was denied naturally. Therefore the composi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as very political. In conclusion, the composi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contributed to canonization of the "Pure Literature".

      • 애니메이션 캐릭터 동작에 따른 효과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이미정(Jung-Mi Lee),권효정(Hyo-Jeong Kwon),김치용(Chee-Yong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1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은 캐릭터의 성격이나 심리적 변화를 얼굴 표정만으로도 충분히 표현해 낼 수 있다고 인식해왔다. 하지만 캐릭터의 신체를 이용한 동작에 있어서도 표정 못지않게 풍부한 감정의 표현이 가능하다. 애니메이션의 기본 동작원리에는 스쿼시, 스트레치, 동작의 속도와 타이밍, 관성, 선행동작, 포물선 따라 움직이기, 인비트위닝 등 많은 것이 있다. 이들 기본동작들은 모두 애니메이션의 퀄리티나 완성도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각 상황에 적절한 동작을 통하여 감상자들로 하여금 어떤 시각적, 내면적 표현을 전달할 수 있는 올바른 타이밍 기법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주요 캐릭터 신체를 이용한 동적 변화에 따른 감정표현의 전달 방식에 관해 연구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해 보았다.

      • KCI등재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교사 임파워먼트와 통합보육프로그램 질과의 관계

        이미정(Lee Mi-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통합보육시설에서 장애영유아를 보육하는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통합보육 프로그램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장애아의 수가 많은 시설에서 근무하고, 경력이 높을수록, 통합연수 횟수가 7-9회일 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질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장애영유아의 수가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질과 교사 임파워먼트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통합보육시설 교사 임파워먼트 변인 가운데 통합보육프로그램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문성 신장, 자아효능감, 자율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보육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통합보육시설에 유아특수교사의 배치와 교사 임파워먼트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및 보육시설의 민주적인 운영에 대한 노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eacher’s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in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gainst 227 subjects consist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an inclusive class at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s empowerment level was high especially when a teacher works in a big center with a large numb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eacher with experiences, and who took training courses on inclusive child care 7-9 times. Second, the larger the number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the higher the level of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quality is. Third, there was ver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quality and the teacher’s empowerment level, Among the variances of the empowerment of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teachers, the largest ones influencing on the child care program quality were professional growth, self-efficacy, and autonom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it is necessary to pla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 together and give supports to improve the teacher’s empowerment level and democratic operation of such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젠더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 친밀한 관계의 여성 살해 후 자살을 중심으로

        이미정 ( Lee Mi Jung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6

        본 연구는 젠더폭력은 여성에 대한 인권침해 행위이자 성차별적 사회구조 및 권력위계의 문제라는 본질적 맥락에서 경찰이 접근하고 개입하기 위한 대응방향을 모색하는데 궁극적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젠더폭력의 가장 오래되고 심각한 형태의 범죄인 ‘친밀한 여성 살해 후 자살(IFS)'의 본질적 특징과 발생맥락을 범죄발생률과 주요 범죄특징,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국가간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범죄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젠더불평등적 요소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가해자와 피해자의 연령이 높고, 하류층 가해자가 많았으며, 살해방법과 자살방법이 각각 다르고, 범행 동기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밀한 여성 살해 후 자살의 특징적 위험요인을 통해, 각국의 여성살인사건의 집계 방식의 차이가 가져오는 통계품질의 빈약성, 가해자의 사회계층적 차이와 형사사법처리 방식의 상관관계, 범행의 사전계획성, 여성에 대한 통제력과 소유욕이 이러한 젠더폭력에 내재된 본질적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젠더폭력에 대한 경찰의 기본 대응방향으로써, 본 연구는 Stark(2012)가 기존 ‘폭력사건 중심의 개입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강압적 통제 모델’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젠더폭력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강압적 통제 모델을 경찰개입전략에 적용하고, 친밀한 관계의 여성 살해 후 자살과 같은 치명적 결과를 사전예방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수립하며, 젠더폭력사건의 위험성 평가를 통한 피해자의 사전 안전 확보 전략을 모색하는 한편, 젠더폭력에 대한 공식통계 품질의 향상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fined that gender violence as an act of human rights violation to women in terms of gender imbalance which is a problem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power hierarchy, and analyzed intimate femicide-suicide(IFS) as the most extreme form of gender violence. Through this measure, the police ultimately sought a proper response to such gender violenc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among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focusing on the incidence of crime, major crim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n intimate femicide-suicide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it has a higher age of perpetrators and victims than other countries, a higher number of lower class perpetrators, the differentiation between killing and suicide methods, and unclear motives in Korea. Also, through the characteristic risk factors of intimate femicide-suicid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social class difference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of the perpetrators brought about by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aggregation of female murders in each country. As a basic response by the police to this issue,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a 'coercive control model ' proposed by Stark(2012) as an alternative to the violent incident model. As a concrete measure, a violent incident model for more fundamental and preemptive response to gender violence was applied to the police strategy, and a deadly result such as suicide after the murder of a woman in a close relationship was prevent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