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마우스 배아 줄기세포에서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Dihydrotestosterone의 효과

        이미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Steroid hormones (often referred to as androgens) can protect cells against apoptosis or induce cell proliferation by several mechanisms. Among androgenic hormones, dihydrotestosterone (DHT) is generated by a 5-α reduction of testosterone. Unlike testosterone, DHT cannot be aromatized to estradiol, therefore DHT is considered a pure androgenic steroi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HT on H2O2 (10-3M)-induced injuries in mouse embryonic stem (ES) cells. Treatment with H2O2 decreased cell viability, which was in turn related to an increase of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This increase, however, was decreased by DHT treatment. H2O2 treatment also activated p44/42 MAPKs, p38 MAPK, and JNK/SAPK, in a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treatment with DHT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p44/42 MAPKs, p38 MAPK, and JNK/SAPK by H2O2. Additionally, treatment of H2O2 activated NF-κB in a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H2O2-induced NF-κB activation was blocked wh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PD 98059 (p44/42 MAPKs inhibitor), SB 203580 (p38 MAPK inhibitor) and SP 600125 (JNK/SAPK inhibitor) (10-6 M). Treatment with H2O2 also decreased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 (cyclin D1, cyclin E, cyclin-dependent kinase (CDK) 2, and CDK 4) expression levels in a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DHT the effect of H2O2 on these proteins was not seen. In conclusion, DHT may prevent H2O2-induced cell injury through inhibition of ROS and its downstream molecules involving p44/42 MAPKs, p38 MAPK, JNK/SAPK, and NF-κB in mouse ES cells.

      •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초기 발성 및 음운발달 비교

        이미나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초기발성 및 음운발달 비교 2022. 06. 41page 석사학위논문 이미나 언어병리학과 지도교수: 하승희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음절성 발성과 음운 발달은 추후 아동의 말-언어 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자연스러운 가정 환경 내에서 17-23개월의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성을 수집하여 음절성 발성과 음운 발달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방법: 17-23개월 청각장애 아동 6명, 일반 아동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LENA 소형 녹음기를 통해 가정에서 하루 동안 수집된 각 집단의 발성 자료를 토대로 음절성 발성, 자음 목록, 자음 별 조음 위치 및 방법, 자음의 발성유형 그리고 음운 구조 유형을 비교하였다. 결과: 집단 간 음절성 발성과 음운 발달에 대해 살펴본 결과, 청각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음절성 발성 비율이 낮았다. 아동의 음절성 발성에 나타난 자음 목록에서는 전체 위치, 초성 위치, 종성 위치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청각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자음 목록 수가 제한적이었다. 자음 별 조음방법 및 조음위치 산출률에서는 조음 방법면에서는 파열음과 비음, 파찰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유음과 마찰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청각장애 아동은 비음을 가장 많이 산출하였고, 일반 아동은 파열음을 가장 많이 산출하였다. 조음 위치면에서 양순음과 경구개음, 연구개음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치조음과 성문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청각장애 아동은 양순음을 절반 이상 산출하였고, 일반 아동은 치조음을 많이 산출하였다. 발성유형에서는 평음, 격음, 경음 모두 일반 아동과 비슷한 산출률을 보였고, 음운 구조 유형에서는 청각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형 수와 음운 구조의 다양성 및 복잡성 면에서 제한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절성 발성과 음운적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청각장애 아동의 초기 발성과 음운적인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와 관련된 언어 및 음운 발달 지연에 대해 예방하거나 중재하는 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청각장애, 음절성 발성, 음운 발달, LENA Comparison of Early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Infant and Typically Developing Infant 2022. 41page Master’s Degree Lee, Mi Na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dvisor Prof. Ha, Seung hee Objective: : Infant's canonical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predict infant's speech-language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anonical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by collecting the vocalizations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general infants aged 17-23 months in a natural home environment. Methods : Six infants aged 17-23 month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12 general infant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the vocalization data of each group collected during one day at home through the LENA recorders, the subjec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anonical vocalizations, the list of consonants, the location and method of articulation for each consonant, the vocalization type of the consonants, and the phonological structure type. Results :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nonical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between the groups, the ratio of canonical vocalization in the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was lower than in the general infants. In the list of consonants shown in infant's canonical vocaliz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positions of the overall positio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final position, and the number of consonant lists for the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was limited compared to the general infants. Among the consonant manner of articulation and place of articulation calculation rat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osive, nasal and affricate consonants in the manner of articula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iquid and fricative consonants. The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produced the most nasal sounds, and the general infants produced the most plosives. In terms of place of artic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bilabial, palatal and vela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veolar and glottal sounds. The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produced more than half of the bilabial tones, and the general infant produced more alveolar tones. In the vocalization type, plain, aspirated, and tense all showed similar production rates to those of general infants. In the phonological structure type, the number of types,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phonological structure were limited in the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compared to the general infants. Conclusio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early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examining the canonical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his understanding provides us a direction for preventing or mediating the related delays of infant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e field of language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keywords: hearing impairment, canonical vocalization, phonological development, LENA

      •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자원봉사자의 후원기업 인식과 향후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

        이미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지속적인 경영을 이루기 위해 기업 사회공헌의 의미는 점점 부각되고 있다. 비슷한 종류의 서비스와 비슷한 제품을 제공할 때 대중들은 보다 착한 기업, 즉 사회에 기업의 수익금의 일부를 다시 환원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이용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업들은 기업의 긍정적인 인식과 인지도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후원과 자원봉사들을 앞 다투어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스포츠대회의 후원은 스포츠 대회 자체로 갖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과 긍정적 인식이 후원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에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은 기업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13년 1월부터 평창에서 열린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는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스포츠 대회뿐만 아니라 스포츠 경기에 실제로 참여 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행사가 함께 진행된다는 점에서 본 대회의 후원은 단순한 스포츠대회 후원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의 인식을 갖게 할 것 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2013평창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에 30여개가 넘는 기업들이 후원에 동참하였다. 아직까지 스페셜올림픽과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잘 알려지지 않았던 스페셜올림픽에 많은 기업들의 후원한 의미와 그 결과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스페셜올림픽과 같은 공익성을 갖는 스포츠 대회로의 관심과 후원을 창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3평창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를 후원한 기업에게 갖는 기업의 인식과 기업 인식에 따른 소비자들의 추후 행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본 대회에 참가한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총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총 33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의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대회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스페셜올림픽을 후원하는 기업을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후원하는 기업으로의 인식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으며 기업인식에 따른 향후 소비 행동의 분석 결과 후원기업을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후원한 기업 혹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의 인식을 가졌을 때 향후 후원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고 타인에게 추천 및 높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향후 소비 행동을 예측하는 3가지 인식 요인(비즈니스 전략 수단, 브랜드 이미지 제고, 사회적 책임 인식)중 다른 두 가지 인식의 후원기업보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인식했을 때 조사 대상자들은 후원 기업에 대하여 높은 관심과 제품 이용의 의사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기업들이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대회를 후원한 것은 단순히 비즈니스 전략적 수단의 인식을 넘어서 소비자들에게 신뢰와 믿음을 주는 긍정적인 인식 제고의 효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기업에 기대하는 보다 진정성 있는 기업의 사회공헌의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책임 수행의 기업 인식을 갖는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때 기업은 단발적 이고 이벤트 성격의 후원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성을 가지고 대회 자체에도 관심을 갖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세계대회 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이 함께하는 스페셜올림픽의 각종 행사 및 대회의 후원을 통하여 지속성 있고 사회공헌에 진정성을 갖는 기업으로의 인식 개선과 더불어 비인기 올림픽이었던 스페셜올림픽과 장애인들의 스포츠 대회의 저변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스페이스 마케팅 이론에 의거한 대학 학생식당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미나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시설은 대학의 고유 기능인 교육과 연구 그리고 사회봉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학의 기본적인 활동에 필요한 시설 외에도 대학 구성원(교수, 학생, 직원)의 쾌적한 생활기반을 제공하여 상주하는 개인들의 일상생활의 터전이 될 수 있는 제반 지원시설들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아울러 최근에는 대학의 국가 사회봉사에 보다 많은 역할이 강조되어 지역사회와 산업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이 요구되어지고 있어 대학시설의 범위는 지역사회까지 확대되고 있다. 대학 단위 공간의 설정은 교육시설, 연구시설, 지원시설을 기준으로 나뉜다. 교육시설에는 강의실과 학부실험, 실습실이 있고, 연구시설에는 교수연구실, 대학원 연구실, 연구 실험실이 있다. 지원시설에 행정지원시설과 생활지원시설이 있는데 생활지원시설에 학생 식당과 교직원 식당, 휴게실, 매점 및 기타가 포함되어 있다. 대학의 시설관리는 대학 목적에 적합하도록 사용•보유하고 있는 고정 자산을 최적화하여 비용의 최소화, 효용의 극대화, 유연한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관리하는 통합된 서비스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시설관리는 간혹 공간관리(space management) 혹은 자산관리(property management)와 유사하게 사용되어지나 시설관리는 공간적 범위가 보다 광범위하고 관리와 운영이 보다 복잡한 영리적 자산에 국한되기도 한다. 대학에서의 시설물 관리의 목적은 대학시설 사용자의 안전하고 쾌적한 활동을 보장하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시설관리를 통하여 에너지 소비량의 절약, 불필요한 예산 낭비 요소 제거 그리고 건물 내구연한을 연장하는 데 있다. 따라서 시설물의 치명적인 피해원인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찾아내고 그 예방대책과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통하여, 시설물의 내구연한의 증대로 예산 절감 효과를 기하고, 쾌적하고 안락한 교수•학습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시설관리의 책무이다. 이와 더불어 대학 시설의 활성화하고 개선하는 것 또한 요구되어야 한다. 시설을 계획하고 관리하여 대학 구성원에게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하도록 장기적인 경영 전략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 급식은 산업체 급식의 일부분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다른 단체 급식과는 달리 특수한 관련 규정없이 열악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다. 대학 급식점은 타 고객군에 비해 독특한 고객의 특성 및 경쟁 구도를 가지고 있다. 주요 고객은 대부분 20대의 학생들로서 중식 중심의 고정 고객이 아닌 주 2~3회 정도만 이용을 하는 유동성 고객이 며, 저렴한 가격 또는 고품질의 메뉴라는 상반된 기호를 가지고 있고, 선호 메뉴 중심의 선택을 선호하는 고객군이다. 이외에도 교수나 행정직원과 같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고 경제적 여건이 양호한 고품질의 메뉴를 원하는 일반 고객과 아침과 저녁만을 이용하는 기숙사생 등 타 고객군에 비해 다양한 고객을 상대하여야 한다. 하지만 느린 발전을 보이고 있다. 이런 주요 이유로는 대학 급식점이 타 고객군과는 달리 행정 당국의 별다른 규제 사항 없이 운영되어 왔고, 이용자의 수가 거의 고정적으로 확보되어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낮으며, 저단가 체계 및 높은 식자재 비율은 불문율처럼 여기는 학생들의 태도로 인해 저임금 체계하의 노동력 운영과 운영 수지상 유능한 관리자를 적정수 확보하지 못하게 함은 물론이고, 지속적 개선을 위한 투자도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대학 식당의 내적 여건과 달리 외부 식당의 환경은 급속도로 변화, 발전하고 있다. 그러면서 학생들은 학생 식당보다 외부 식당을 선호하고 학생 식당에 대한 편견으로 방치되어 있다. 학생 식당의 음식 개선, 비용 절감에 초점을 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생 식당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다양한 마케팅을 적용하여 학생 식당에도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대학 시설이라는 공간의 특성과 이용자가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한 스페이스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의 범위는 실제 대학생들의 대학 학생식당 이용실태와 만족도와 활성화에 필요한 스페이스 마케팅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H대학 학생식당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존의 스페이스 마케팅과 관련된 16개의 논문을 중심으로 스페이스 마케팅 요인을 추출하였다. 다시 스페이스 마케팅 요인들을 통폐합하여 재정리 하였고, 요인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대학 학생식당에 적합한 요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실제 대학 학생식당을 이용하는 215명을 대상으로 1차(2012년 6월 14일), 2차(2012년 6월 15일), 3차(2012년 6월 19일)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추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통해 대학 학생식당 공간 계획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첫째, 공간적 요인은 학생식당 활성화에 필요한

      •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및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미나 단국대학교 특수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요인,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S대학, D대학, J대학의 3년제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들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설문지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된 Larrivee와 Cook(1979)의󰡐통합교육에 대한 척도󰡑(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Scale: ATMS)와 Antonak과 Larrivee(1995)의󰡐통합교육에 관한 견해 척도󰡑(Opinions Relative to Integrat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Scale)를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관련 과목의 수강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특수교육 관련 과목을 수강 한 예비유아교육교사가 하지 않은 예비유아교육교사보다 통합교육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점에 따른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통합학급에서의 실습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통합학급에서 실습을 한 교사가 하지 않은 교사보다 통합교육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실습 기관의 유형과 기간에 따른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S시를 중심으로 조사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화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다른 지역의 예비유아교육교사를 대상으로 살펴보는 질적, 양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식에 영향을 주는 장애유형, 학년, 성별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문항을 통해 통합교육 인식을 분석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요인, 실습 요인이 예비유아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성공적인 유아통합교육 위하여 유아교육교사 양성과정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이미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한 상담 개입 및 진로프로그램과 진로교과목 개발에 참고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둘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넷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가?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충남 소재 4년제 대학교 7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0명이 응답한 결과를 토대로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 김봉환(1997)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발한 16문항의 진로준비행동검사에서 이명숙(2003)이 최근 진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인터넷 취업사이트 등의 활성화와 대학교 내에 진로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2문항을 추가한 진로준비행동 척도, 신용국, 김명소와 한영석(2009)이 Houghton과 Neck(2002)의 RSLQ(Revic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를 국내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타당화한 셀프리더십 척도 및 Luthans, Youssef, 그리고 Avolio(2007)가 개발하여 Luthans, Luthans, 그리고 Jenses(2012)가 다시 대학생의 상황에 맞게 보완한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김주섭(2013)이 번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1 통계 프로그램과 AMOS21 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긍정심리자본이 완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진로준비행동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해봄으로써 국내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것으로 고려할 때 이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된 개념으로 대학생이 성공적인 취업과 행복한 삶을 달성하는 데에도 반드시 요구되는 역량이다. 둘째, 대학생들에게 있어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완전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이 높은 긍정심리자본을 보유하여 진로준비행동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돕기 위해선 셀프리더십 전략을 잘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이 셀프리더십 전략을 이해하고 진로준비행동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진로교과목에서 셀프리더십을 키울 수 있는 경험을 심어주는 게 필요하다. 이에 따라 진로상담 과정에서 대학생들이 셀프리더십을 통해 그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여 심리적 자원을 탁월하게 발휘해 진로준비행동을 잘 실천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preparation programs and career curriculum and counseling interven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First, do university students'self-leadership have a static impaction their career preparing behavior? Second, do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have a static impa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Third, does positive psychology capital have a static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directly?To that end, 350 college students attending seve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North Chungcheong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sponded and measured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imBong-hwan (1997) developed as a measurement tool to check the degree of preparing for a career in 16 questions, and Lee Myung-sook(2003) added two more questions including the activation of Internet job sit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nd the reality that career Support Center is operating within the university (2009). And, KimMyung-soo and Han Young-seok (2009) modified the RSLQ of Houghton and Neck (2002) for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measureSelf-Leadership. Also, a measurement tool modified by Kim Joo-seop(2013)usedto compl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was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uthans, Luthans, and Jenses (2012)tailored to the sit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21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1. There 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self-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re leader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meaningful in that a study was attempted on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mportant as a concept researched to promote positive behavior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 necessary capacity for successful employment and successful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Second, we confirmed that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s important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 perfect mediating effect. Also,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students to use a good self-leading strategy in order to actively carry out golf-reading activities by holding hi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understand self leadership strategies and apply them effectively to their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nd to give them an experience to develop self leadership in the curriculum.Accordingly, college students should use their own self-leadership to raise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make excellent use of their psychological resources and help them to prepare for their career.

      • 초등학교 3학년 질문생성유형과 과학탐구능력의 관계

        이미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 시간에 학생의 질문생성유형과 과학탐구능력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학생의 질문에 대한 이해 및 초등학교 저학년 과학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 30명, 여학생 15명 총 4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탐구능력을 검사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질문지 활동을 적용하여 곤충, 동물, 힘(관성), 균류(버섯) 네 개의 과학주제에 대하여 각각 10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과학 수업 중 궁금하게 여겼던 것들을 질문지에 작성하도록 했으며 질문지를 취합하여 학생이 생성한 질문유형 특징, 성별에 따른 질문유형 특징, 질문유형과 과학탐구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수준에 따라 탐구 요소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각 탐구요소별로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관찰(150), 측정(147), 예상(146)은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분류(139)와 추리(134)는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질문 수준이 높을수록 과학탐구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이 생성한 질문유형은 이해 질문(32.4%)이 전체 주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실적 질문(18.0%), 기타 질문(13.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절차적 질문(1.48%)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생의 성별에 따른 질문유형은 여학생은 이해 질문을, 남학생은 기타 질문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질문유형과 과학탐구능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교사는 초등학교 저학년 과학 수업 시간에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에 맞는 과학탐구능력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학습내용은 학생의 질문을 충분히 존중해 주면서 직접 경험이 가능하게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성별을 고려한 수업 방법의 설계를 통하여 질문 수준을 한 차원 끌어 올려야 하며, 다양한 수업방법을 활용하여 탐구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학생의 질문을 활용한 과학 수업을 통하여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은 물론이며, 초등학교 저학년 과학 수업의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세부적인 대안 탐색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I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estion-generation typ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o provide further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a student's question and science classe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study, I made a survey of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s on 30 male and 15 female students. The scientific themes were insect, animal, power(inertia), and fungus(mushroom) with a questionnaire and class was progressed 10th steps for each themes. Students wrote the curious things in the course of science class on questionnaire and I classified the questionnaires by specificity of question and gender types and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 typ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Upo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the 3rd graders only show in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earch elements; however, each elements show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t showed that observation (150), measurement (147), and expectation (146) have high frequency and classification (139) and deduction (146) have low frequency. Furthermore, as the level of a student’s question rises, his or her level of science process skills also rises. The understanding question (32.4%) showed higher frequency on whole themes and realistic question (18.0%) and other question (13.3%) were ranked on. Whereas the procedural question (1.48%) showed lower frequency. By the gender of students, female and male students had a tendency to have understanding question and other question, individually. Also, it is appeared that question typ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statistically. These results may provide following significances; teacher seeks the instructional method of science process skills appropriate on cognitive development steps of student in science class of lower grade of elementary student and need to effort for reconstitution of learning content that is experienced directly with respecting student's opinion. In addition, the level of questions is upgraded through planning the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gender. And teacher must find the way to build up the science process skills using diverse learning method. In further study, it should be studied the way for upgrade of science process skills through science class using student's question and effective science class for lower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