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만족도 연구
윤영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related to class ope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by analyzing colleg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130 college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essential classes were conducted as recorded video classes, and class satisfaction survey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reas of class planning, class progress, class management, class data, and class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university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due to COVID-19 was high, but class data and class evaluation were low, requiring impro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suggestions related to class ope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overall, support for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hould be actively provided throughout the university, especially for professors in charge of large-scale lecture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fairness in class evaluation should be secured as to how it is fairest to evaluate large-scale students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 situations. Considering the non-face-to-face online class situation, various evaluation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ensure fair evaluation suitable for the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test questions, fair evaluation criteria, and rapid feedback on evaluation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업 운영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학년도 2학기 비대면 온라인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30명을 연구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은 녹화된 동영상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업만족도 조사는 수업계획, 수업진행, 수업관리, 수업자료, 수업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수업자료와 수업평가 부분은 수업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업 운영 관련 교육적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교양교과목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관련 기술에 대한 지원이 대학 전체에서 특히 대규모 강의 중심의 교양과목 담당 교수들을 위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 운영 기술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교양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대규모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공정한지 수업평가의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 상황을 감안하여 시험문제의 적절성, 공정한 평가 기준 제시, 평 가결과에 대한 신속한 피드백 등 온라인 교육 환경에 적합한 공정한 평가가 될 수 있는 수 있도록 평가 방안들이 다양하게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학습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윤영란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for low achieving students operated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college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for low achieving students at S University's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Center in Seoul. The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was a total of 8 sessions and was conducted every 50 minutes each week.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tudents who had difficulty in college learning with an average grade point of less than 3.0 in the previous semest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for low achieving college students improved overall, and thus their learning ability was improved. In other words, it is revealed that the program i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y that learners can voluntarily lead the entire process of university learning. However, the continuity part of the learning execution area did not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ase of low-achieving students,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keep learning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pecific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academic difficulties in colleg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학업부진으로 어려움를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하여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한 학업 저성취 학생 대상의 학습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S 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 학업 저성취 학생을 위한 학습력 향상 프로그램에 지원한 16명의 대학생이다. 학습력 향상 프로그램은 총 8회기의 프로그램으로 50분씩 매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직전 학기 평균 학점이 3.0 미만이면서 대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으로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학습의 전과정을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실행영역 중 지속성 부분은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학업 저성취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프로그램 이수 후 지속적으로 학습을 유지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대학에서 학업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윤영란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by analyzing the causes of academic warning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academic warnings, the component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for academic warnings were derived. As a result, a total of five program sessio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ive activity areas related to the learning strateg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18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an academic warning in the previous semeste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academic warning factors are ineffective learning methods, lack of learning and will, difficulty in major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employment and employment at other universities, family form, and health problems. The most difficult parts of university study were lack of learning strategy, time management, group class and discussion, note taking, basics of major, and report writing.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lem were generally improved. It can be said that learners have the ability to voluntarily lead the overall academic process from learning planning, learning execution, and learning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pecific suggestions were made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received academic warning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자 원인 분석을 통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학사경고 원인 분석을 통해 학사경고자를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학습전략 관련 5개의 활동영역을 확정하고 학사경고자 대상 자기주도학습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총 5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직전 학기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 18명이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사경고원인 분석 결과, 비효과적 학습 방법, 학습 동기 및 의지 부족, 전공 이수 어려움, 심리 및 정서적 문제, 다른 대학 입시 준비 및 취업, 가정형편, 건강 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학습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으로는 학습전략 부족, 시간 관리, 조별 수업 및 토론, 노트 필기, 전공기초, 보고서 작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학습을 실행하며, 학습을 평가하는 전반적인 학업에 대한 과정을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을 강화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에서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습지원 관련한 구체적인 제언을 하였다.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윤영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among 10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for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perated by the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consisted of five sessions, each session consisting of 50 minutes to explore their career paths, set goals for life, and practice them.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given academic scholarship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crease in credit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n order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by external stimuli. Considering that students are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conten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thoroughly analyzing the purpose, expect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identity of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in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8 out of 10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improved and escaped from the bachelor' s w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I would like to give some specific suggestions about the programs that operate under the bachelor's warning system in the univers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 중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신청한 학사경고자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사경고자를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삶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내용들로 총 5회기, 각 회기는 50분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학사경고자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외부자극에 의한 학습동기부여를 위해 프로그램 이수 후 학점이 상승되는 정도에 따라 성적장학금을 지급하였다.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생들임을 감안하여 참여한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목적, 기대사항, 요구사항 등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의 진로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 10명 중 8명의 학점이 향상되어 학사경고에서 탈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대학에서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Deep Q-learning을 활용한 열쾌적 성능기반 냉방 최적 제어
윤영란,문현준 한국생활환경학회 2019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6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lgorithm that integrates the PMV prediction model and deep Q-learning for minimized energy consumption while maintaining thermal comfort in the space. In this study, the proposed performance-based thermal comfort control (PTCC) based on a deep Q-learning algorithm for cooling in a space (or room) developed using a co-simulation was proposed. By comparing the thermal comfort (PMV) and energy consumption resulting from using fixed set-point (rule-based) control and PTCC for cooling,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erformance-based thermal comfort control was evaluated.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PTCC yielded the optimal control action value that minimized the energy consumption while satisfying the thermal comfort conditions. PTCC reduced the total VRF energy consumption by 32.2% and 12.4% compared with that required by 22°C and 24°C, i.e., the fixed set-point control, respectively.
윤영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5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과 성숙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인성 관련 필수 교양교과목 수업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그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신입생들에게 인성 관련 필수 교양교과목을 총 15주 동안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한 학생들의 심리적인 성숙도는 향상되었으나 사회적인 성숙도는 자기관리 능력을 제외하고는 향상되지 않았다. 즉 심리적인 성숙도 중 긍정적 사고, 정서적 안정감,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정서적 감수성 등은 향상되었으나 사회적 성숙도 중 자기관리능력을 제외한 대인관계, 사회적 친화력, 학교생활 적응력, 의사소통, 자기관리 능력, 사회적 유능감, 사회생활 적응력, 사회적 효능감, 공동체 의식 부분은 의미 있게 향상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인성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육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는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인성 관련 교과목 운영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을 위한 인성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인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성공적인 대학 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자신감과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삶을 사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셋째,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인성 교과목을 운영하는 경우,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계 맺음과 공동체 의식과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적 활동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이를 위한 사회성 관련 활동을 수업에 포함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subject at S University to help college freshmen to have a successful college life.. The personality education subject is composed of contents to cultivate understanding of other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self-examination. A total of 15 weeks of online classes were offered to freshman college students in related liberal arts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after tak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course, which was run as a compulsory liberal arts course for college freshmen, as online class for a total of 15 weeks, psychological maturity improved, but social maturity did not improve except for self-management ability. That is, positive thinking, emotional stability, self-identity, self-efficacy, self-esteem, and emotional sensitivity were improved, bu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ffinity, school life adaptation, communication, self-management ability, social competence, social life adaptability, social efficacy, The sense of community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oper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at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ies need to operate various character-related subjects and devel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Second, the university should systematically build a character education course for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on character from the moment they enter the university, helping them to live a life of self-confidence and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in society as well as in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Third, when a personality course is operated as online clas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ed for a separate educational activity that enables university students to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and practic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values, and to devise a plan to include sociality-related activities in the class.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모델링의 개요: NONMEM®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ling
윤영란 대한임상약리학회 2006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4 No.2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PK/PD) modeling links dose-concentration relationships (PK) and concentration-effect relationships (PD), thereby facilitating the description and prediction of the time course of drug effects resulting from a certain dosing regimen. This review gives some background information on PK/PD modeling and what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s are, why they can be useful in analysing repeated measures and what makes analysing such data challenging. NONMEM perform this kind of analysis, and will be reviewed briefly in this paper. In all phase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drug development, application of PK/PD modeling concepts are potentially beneficial. And broader application of PK/PD concepts in clinical therapy will provide a more rational basis for personalized medicine.
한국인의 Cytochrome P450 2C19 유전형 분석
윤영란 대한임상약리학회 2002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0 No.1
Background : The cytochrome P450 2C19 (CYP2C19) is a well known microsomal oxidizing enzyme showing genetic polymorphism. We extensively evaluated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CYP2C19 allelic variants in a Korean population and compared to those of other ethnics. Methods: Genotyping of CYP2C19 (*2 and *3) was carried out in a total of 282 unrelated Korean subjects. CYP2C19 genotypes were determin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Results: Two hundred forty two of 282 Korean subjects, carried extensive metabolizer(EM) genotypes including CYP2C19*1/*1 (41.8%), CYP2C19*1/*2 (35.5%), and CYP2C19*1/*3 (8.5%), respectively. Forty subjects (14.2%) were identified to have CYP2C19 poor metabolizer(PM) genotype, and the frequencies of CYP2C19*2/*2, CYP2C19&2/*3, and CYP2C19*3/*3 were 8.9%, 3.9%, 1.4% respectively. The allele frequencies of CYP2C19*1, CYP2C19*2, and CYP2C19*3 among 564 alleles evaluated were 63.8%, 28.6% and 7.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equency of CYP2C19 PM genotypes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other East Asians including Chinese and Japanese,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Caucasian.
윤영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본 연구는 대학 내 교양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진로지도 교과목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년제 대학에서 진로지도 교양과목 수업을 수강한 학생 60명과 진로지도 교양과목 수업 수강하지 않은 학생 45명 총105명이다. 연구도구는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와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진로교과목 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대학 내 교양과목으로 운영되는 진로지도 교과목은 대학생 진로지도에 효과적이므로 교양필수교과로 운영하여야 한다. 진로지도 교과목은 1학년에서부터 4학년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한학기의 진로지도 교과목 교양수업으로는 향상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강구되어 자신감 향상을 위한 비교과·교과프로그램이 대학차원에서 연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ways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guidance courses and classes that operate within the liberal arts college and university career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found through this. The subjects in the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who have taken a career guidance liberal arts classes to 60 students name and career guidance is 45 people a total of 105 liberal arts students do not attend classes. Research tools were presented the Plan of Career Identity check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 was used for two group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the difference of the following. First, the course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completed the course. Therefore, career guidance courses run by university liberal arts are so effective for college students career guidance should be run by educated mandatory curriculum. Career guidance curriculum is the whole process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and operated from the first grade to the fourth grade. Second, confidence in the Career Identity sub-factors capable of is has not improved career guidance curriculum education classes in one semester. Therefore, various measures to improve confidence in the students' abilities have been taken Compare & Save for improving self-confidence, curriculum programs research should be operating in the university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