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화관 영접의식 ‘헌가’의 양식과 의미

        윤아영 한국국악학회 2019 한국음악연구 Vol.65 No.-

        Heonga(헌가, lit. instruments on the royal court) of Mohwagwan(모화관, lit. house representing of admiring china)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yeongjeobuisik(영접의식),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was regarded not as music or its formation but as mountain-shaped stage in spite of sharing the same name with one performed inside the royal court. However heonga of Mohwagwan was presumed to be the musical stage presented by musicians of the official musical organization, Jangagwon(장악원), because the relevant records show the evidence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participation of Jangagwon. Heonga of Mohwagwan in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might have played a representative role that shows the highest diplomatic level of royal welcoming ceremony rituals as Heonga inside the royal palace yard had. Originally, heonga of Mohwagwan formed as two stages had been a long tradition of Joseon dynasty at least since the king Sejong’s reign, had been reduced one stage because of diplomatic climate change with china and the burden of structuring expense. Also, after the war Byeongja Horan(병자호란, lit.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7, Heonga had changed from playing Heongaak(헌가악, lit. music of the royal court) to presenting decorations with puppets because of loss of musicians and instruments and diplomatic climate change between two countries. Therefore, the mountain shaped stage depicted on the painting <Bongsado> (1725, the fir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was not the same with the one before the war Byeongja Horean. Heonga had changed to the same object to yungeo(윤거, lit. pulling stage) or sandae(산대, lit. mountain-shaped stage) because of these changes, therefore it had became considered as an useless object, and it had been often told abolition of it. However, as Heonga had still has purpose of entertaining visitors and indispensable symbol representing auspicious occasion, the ostensible could last till the end of Joseon dynasty. 영접의식 중 모화관에 설치된 ‘헌가(軒架)’는 전정헌가와 같은 악대나 음악과는 무관한 것으로 산대와 동물이칭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인조 12년까지만 하더라도 모화관 ‘헌가’는 그 주변이나 위에서 장악원의 악공이 악을 연주했던 무대장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모화관에서의 영접의식에는 장악원이 전정헌가의 편종 편경을 비롯한 각종 악기들을 갖추고 참여하였다는 기록에 의해 전정에서의 헌가악과 같은 음악을 연주했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이다. 모화관에서의 ‘헌가’ 설치와 헌가악의 연주는 황제의 조칙을 들고 오는 사신이 입경했을 때, 전정헌가와 같은 가장 큰 규모의 악대로 환영한다는 상징적인 예를 나타내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래 모화관 영접의식의 ‘헌가’는 양변에 각각 일기(一機)씩 조성되는 것이 전통이었으나 대외관계의 변화 및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병자호란 이후로 한쪽 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축소된 것 같다. 더불어 악공이나 악기 등도 흩어져 헌가악의 연주는 불가능해졌으므로 생략되고 잡상만을 진열하는 의물 역할로만 남게 된 것이다. 따라서 영조 원년 <봉사도>에 묘사된 모화관 영접시 헌가산대는 한 대만 남은 것으로, 장악원 악공의 연주도 빠진 잡상만 설치된 형태로 변화된 것이다. 병자호란 이후 모화관 영접의식의 ‘헌가’는 헌가악의 연주를 동반하던 양식에서 잡상만 진열하는 의물로 축소됨에 따라 무용한 것으로 여겨져 폐지가 주장되었다. 그러나 헌가는 발생과 함께 빈객을 즐겁게 하고 경사를 상징하는 필수 불가결한 증표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므로 명목만이라도 영접의식이 지속되는 한 폐지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반도와 중국의 영접의식에 나타난 보편성과 고유성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절장(節仗)을 중심으로

        윤아영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claims that the procedures for the welcoming ceremony of Goryeo recorded in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written by Seo Geung (1091-1153), correspond to the jeoljang of the Prince of Song, China, and to distinguish the uniqueness of the welcoming ceremony of Goryeo and the universality of the two cultures. The artic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organized by Seo Geung, tells us two things. First, Song and Goryeo are independent countrie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quest and conquest, and second,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culturally. Therefore, it is an error to compare the procedure of the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with the welcoming ceremony of the Chinese crown prince. This is because the two countries are independent countries and the reception ceremony set by Goryeo must be compared to the design used in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of the Song Dynasty. It is understandable that Goryeo welcomed Song's delegation in accordance with Goryeo's unique design format, and some common procedures were in consideration of the other country. In addition, it seems difficult to convince the argument that the origin derived from Janggan-gi, the only event organized in the Tang noble lady's trip, as baekhee was Goryeo's and did not include such a form in China's official cabinet system. This is because the gap between the two is far in terms of timing, class, and scale. In other words, a welcoming ceremony introduced in the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is a unique style of Goryeo. More ultimately, it can be said that the key factor that determines the uniqueness of the two countries' reception consciousness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ekhee procedure. 본 연구는 서긍(徐兢, 1091~1153)이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기록된 고려의 영접의식 의장 절차[節仗]를 중국 송나라 황태자 노부의장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비교 검토해 보고, 당시 고려 의장의 고유성과 양국 문화의 보편성변별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서긍이 정리한 고려와 송과의 관계에 관한 글은 두 가지를 알려주고 있다. 첫째, 송과 고려는 서로 정복피정복의 관계와는 무관한 독립국가라는 것과 둘째, 양국은 독립국가이지만 문화적으로는 일부 공통점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고려도경』의 절장(節仗)을 중국 황태자 노부의장에 비교한 것은 오류이다. 양국은 독립된 국가로서 고려가 정한 영접의식 의장은 송나라의 국가 단위 의식에 사용되는 의장과 비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고려는 송의 사절단을 고려의 고유한 의장 형식에 맞게 영접했고, 이 중 백희(대)를 비롯한 나머지 절차는 중국 관방 의제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고려 영접의식의 고유한 특성이다. 즉, 『선화봉사고려도경』에 소개된 영접의식으로서의 의장은 고려의 고유한 양식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더 궁극적으로는 양국 영접의식의 고유성을 가르는 핵심요소는 백희의 첨입유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우수등재

        메시지 유형과 지각된 불확실성에 따른 소셜커머스 여행상품의 광고효과

        윤아영,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1

        As competition between travel agencies on social commerce sites continues to escalate, travel agencies currently need to produce effective advertisements. Sinc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both the price and composition of tour products sold at social commerce sites, it might be difficult to differentiate each product from its many other competitors. Throughout this study, widely used message framing and scarcity message strategies were used to measure advertising effectivenes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addition, perceived uncertainty was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to verify whether the level of uncertainty (high vs. low) consumers perceive influences their purchase intention. 2(message framing: profit vs. loss) × 2(scarcity message: quantitative vs. temporal) mixed factorial design was composed, and the perceived value was divided into two groups(low vs. high). The results revealed that for the low-perceived uncertainty group, profit-message framing was more effective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for the high-perceived uncertainty group, loss-message framing wa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carcity message, a quantitative limited message encourag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more than a temporal limited message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certainty. 소셜커머스 사이트 상에서 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사들 간의 경쟁이 점차 심화됨에 따라 가격경쟁을 넘어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판매되는 여행상품들의 상품구성과 가격 면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차별화된 마케팅에 한계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인 형태인 메시지 프레이밍과 희소성 메시지 전략을 활용하여 소셜커머스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여행상품의 광고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지각된 불확실성 수준이 그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메시지 프레이밍: 이득 vs. 손실) × 2(희소성 메시지: 수량한정 vs. 시간한정)의 혼합요인 설계와 함께 지각된 불확실성(높은 집단 vs. 낮은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여 여행상품 대한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성이 낮은 집단은 이득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하여 높은 구매의도를 보인 반면, 불확실성이 높은 집단은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에 노출되었을 때 구매의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희소성 메시지와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모두에서 시간한정 메시지 보다 수량한정 메시지가 구매의도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과 시간을 제한하여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사이트 환경에서는 수량한정에 희소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는 소비자의 지각된 불확실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를 토대로 관련 광고 제작 시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가브랜드이미지 구성요인, 지각된 가치, 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다국적 관광객을 대상으로-

        윤아영,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In today’s globalized society, many countries have taken advantage of their country brand image as a symbol of their country's competitive power. To manage country brand image effectively, it is needed to investigate an empirical research which factors most significantly effect country brand imag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constructing country brand image and foreign tourists’ perceived values using the SEM. As a result, the factors shown to positively affect tourist's perceived values are culture and tourism, economy, peopl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ome country. Amo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untry brand image, culture and tourism have the most significant power affecting tourist’s perceived value. However, political factors negatively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which implies that Korea’s political and welfare system should be more stable and improved. The perceived value influenced touris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howing that satisfaction plays a key role as a mediator betwee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현대사회의 세계화 흐름 속에 각 국가들은 국가 경쟁력 지표로서 국가 브랜드 이미지(Country brand image)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어떠한 요소들이 국가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해 국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문화·관광, 정치·복지, 국민, 경제, 자국과 관계 이미지)과 외국인 관광객이 지각한 가치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정치·복지 이미지를 제외한 그 밖의 모든 이미지 요소들은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문화·관광 이미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정치·복지 이미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정치 안정 및 복지확대 등을 통해 대외적으로 우리나라의 정치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나아가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 밖에 추가적으로 외국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는데, 만족은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 대해 외국인 관광객들이 지각한 전반적 가치 향상과 국가 이미지 개선 등의 긍정적 요소들이 만족으로 이어져 향후 외국인 관광객의 재방문 및 구전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제 말기 만주 개척 서사에 나타난 젠더 표상 연구

        윤아영 만주학회 2022 만주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der representations in the Manchukuo cultivation novel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Daeryuk, Bukhyangbo and Cheonyeoji. In Daeryuk, Yukiko who is an upper-class intellectual, working as a doctor in Japan would engage herself to Oyama. Thus, she would be upgraded by him to a figure representing the colonial and economic power. She also would reestablish her identity by converting her love of Oyama into an altruism. In Bukhyangbo, Jeongae who has received a modern education hopes to realize her dream of vocalist, departing from Manchu. Unlike the characters who wish to build an ideal community in Manchu, she pursues her own individual life. After all, she would be banished because she could not be admitted into a member of the community. In Cheonyeoji, Seonju who has grown up in a rich family would break off her engagement to Nampyo. She who has existed outside of the epic or the medical cultivation would advance into the inside of the epic through her love of Nampyo. She attempts to attach a meaning of her life through the material aid to Nampyo. However, she would select suicide because her love is denied. The Manchukuo cultivation novels always feature the women who wish to reconstruct their life. Such efforts imply that the dominant discourse would not perfectly control their life. Nevertheless, the Manchukuo cultivation novels feature the efforts to construct an imaginary community through an individual subject. When such a scheme is combined with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women, the problem of silence would follow. The characters beyond the area of representation would be excluded or banished, and therefore, their existences could not be interpreted. If women’s specific life should be traced centering around their experiences,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Manchukuo cultivation novels anew. 본 논문은 대륙 , 북향보 , 처녀지 를 중심으로 일제 말기 만주 개척 서사에 나타난 젠더 표상을 분석한다. 대륙 의 유키코는 일본에서 의사로 활동하는 상류층 지식인으로 오야마와 약혼했다. 유키코는 오야마에의해 식민주의와 경제적 권력을 대표하는 인물로 만들어진다. 유키코는오야마를 향한 사랑을 이타주의로 전환하여 정체성을 재구축한다. 북향보 의 정애라는 근대적 교육을 받은 여성으로 만주에서 벗어나 성악가로서의 꿈을 실현하길 희망한다. 만주에 이상적인 공동체를 건설하고자 하는 인물들과 다르게 정애라는 개인적인 삶을 지향한다.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정애라는 외부로 추방당한다. 처녀지 의 선주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안에서 자란 여성으로 남표와 파혼했다. 의료개척 서사의 외부에 존재하던 선주는 남표에 대한 사랑을 통해 서사 내부로 진입한다. 선주는 남표에 대한 물질적인 지원을 통해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자한다. 자신의 사랑이 거부당하는 상황에서 선주는 죽음을 선택한다. 만주개척 서사에서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려는 여성들의 움직임은 항상 존재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지배 담론이 그들의 삶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없음을보여준다. 하지만 만주 개척 서사는 단일한 주체를 상정하며 상상의 공동체를 구축해왔다. 이것이 여성에 대한 재현 방식과 결합될 때 침묵의 문제를 야기한다. 재현의 영역에서 벗어난 인물들은 배제되거나 추방당하기때문에 해석 불가능한 존재로 남는다. 여성들의 경험 세계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삶의 모습들을 추적한다면 만주 개척 서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기악 심방곡(心方曲)의 궁중교류 발생설에 관한 추론(推論)

        윤아영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7 No.-

        Simbanggok is presumed to be the origin of sanjo, however the birth and background of instrumental simbanggok has not yet been determin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fer when and how instrumental simbanggok was born. First, simbanggok is not a single tune nor form, but the name given by a hyeonsu (絃首), a woman who follows a shaman and plays a zither. Hyeonsu played a role not only in shaman ritual but also in civil and royal court banquets, singing songs and playing stringed instrumental music. Among simbanggok, the “pieces” (lit. “great leaves”) Man-daeyeop, Jung-daeyeop,and Sak-daeyeop gradually linked with and turned into instrumental music and became the original form of sanjo. It was after that that Kim Changjo transformed it.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spreading instrumental simbanggok, Yang Deoksu played a big role by transcribing simbanggok in his music book and publishing the book in large quantities. Also the music of jaein (才人; lit. a person of talent, often indicating a kind of clown or entertainer) called bongjangchwi (鳳長醉, lit. drunken phoenix), had been derived from simbanggok during the royal year end ceremony, Narye. In its early stage, bongjangchwi was played with wind instruments, distinguishing it from simbanggok, which was played with string instruments. However, the differentiation gradually became vague because the two musics had shared similarities from their birth. 속칭 심방곡이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곡명이나 형식 내지는 무의식의 음악 장르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과 연향 등에서 두루 활동했던 현수가 연주했던 음악을 말한다. 현수가 연주했던 곡들 중 성악곡 만중대엽은 점차 기악곡화 되어 기악 심방곡으로 탄생되었으며, 이 기악 심방곡은 김창조의 변작 이후 산조로 변신하게 되었다. 이 기악 심방곡의 전파에는 양덕수의 공이 컸다. 현수의 기악 심방곡 발생 이후 관악기를 연주하던 재인들도 국가 행사 등에 함께 참여하면서 교류하였으며, 이때 현악 심방곡에 대가 될만한 관악기 봉장취라고 불리는 곡도 더불어 파생되었을 것이다. 봉장취는 봉황곡으로도 불리는데 이처럼 민속악으로서는 어울리지 않는 이름은 궁정악으로 연주시에 얻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봉장취가 형성되었을 초기에는 현악기 심방곡과 구분하여 관악기로 기악 심방곡을 봉장취로 불렀을 것이나 양자의 음악적 특성이 유사했던 까닭에 점차 이와 같은 구분은 희미해지게 되었다.

      • KCI등재

        장단의 박자표기 체계화 및 통일화를 위한 시론 -결합박장단, 혼합박장단, 복합박장단을 중심으로-

        윤아영 한국국악학회 2023 한국음악연구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various examples of beat notation reflecting the rhythm of jangdan, and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unification of time tables, focusing on unusual combined meter, unusual paired meter, and unusual unpaired meter. Currently,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 staff notation system, it has been generally unified by marking a note corresponding to a beat in the denominator and a clapping within a single bar in the numerator, that is, the total applause of the rhythm. In general, the single beat, for example, most of the usual beat time tables have been unified. On the other hand, Sijo jangdan with usual combined meters, eonmori jangdan with unusual paired meters, and gilgunakchilchae jangdan of nongak with unusual unpaired meters, do not reflec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music rhythm structure and are marked in different forms.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and unify the rhythm structure of the beat table of jangdans with usual combined meters, unusual paired meters, and unusual unpaired meters, an agreement for systematic notation will be needed along with the spread of academic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