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 교육 연구

        유화선 서울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that allow learners to appreciate poetry through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mental images. The visualization illustrates the process as a materialization of the learners’ mental images formed while reading poetry. This proceeds in two ways. One is the visualization that most closely reflects the attributes of the mental images, and the other is the language representation of the visualization. This study focuses on mental images as the readers’ immediate responses that contain their unique meaning. The mental images are created by students while appreciating the poetry and simultaneously begin to compose the whole meaning of the poetry. The attributes of the mental images are as follows. First, the mental images are formed by the readers’ perception and they can manipulate their own images. Second, mental images change constantly and exist in a dynamic states with figuration. This study assumes mental images as the beginning of the meaning construction and designs a poetry education to infer the meaning of text using visualization of mental images as a scaffolding. Meanwhile, mental images have limitations that can be damaged or easily disappears in a mental stat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ress them in concrete form before disappearing. The visualization of the mental images help to reveal the mystery of the psychological realm and contribute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mental images. And visualization process promotes the formation of mental images that contain learners comprehension about poetry and provides a new way of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meaning of poetry by carrying the meaning of the mind realm. The principle to appreciate of poetry through the visualization process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hole meaning about text through figurative images, the expression of the triggered psychology through abstract images, and the creation of new meanings through multimodal images'. They a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learners’ way of thinking and expression styles of images. The significance of reading poetry with visualization is that it can describe how inner images formed as students’ reponses. And visualization process encourages senses to understand and imagine about the whole discourse of text. In addition, it can enhance the ability to compose meaning by focusing on imag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cusing on how students use visualization as a scaffolding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n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has planned detailed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poetry appreciation using visualization, focused on mental images. The aspects of poetry appreciatio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ental images were observed in three types. First, learners tended to synthesis by accumulating images while expressing the perceived object figuratively. Second, in expressing subjective impressions abstractly, learners attempted to express their thoughts clearly by converting obscure objects into forms or colors and using them as a scaffolding. Third, they transformed the contents or performed extended imagination beyond the text while in multimodal expressing as self-statement the meaning of the text. Based on the asp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quality level of learners’ performance are as follows. In figurative visualization of perceived image, learners too tended to stay in the information as foreground, in which case they did not achieve a synthesis of meanings. Next, in abstractive visualization of subjective impressions, learners’ schema created by themselves were not related to text. In this case, students did not try to ensure validity. Finally, in multimodal visualization about expanded meaning, there were cases the learner imaged those are not related to the text or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ego prevented the fusion of horiz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bove aspects, this study proposes the education contents that meaning composition based on images, connecting between images and context, and image creation for new and deep meanings. Also, designed teaching methods that guided discovery learning for expansion of perceptional phases, training to generate questions for metacognition of self-interpretation, and inner dialogue to lead imagination about self-attendance on tex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has proved that learners can use their own mental images to compose meaning and they possess literary abilities.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has suggested learners can acquire a way to actively participate in appreciation of poetry by creating a scaffolding using their own images by themselves.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해 시를 감상하는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미지의 시각화’란, ‘감상 과정에서 형성된 학습자의 심상을 가시화한 것’이며, 이를 통한 시 감상은 심상의 속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시각화와 시각화에 대한 언어 표현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이미지는 학습자 특유의 의미 체계인 심상이다. 시 감상 과정에서 학습자의 심상은 생성됨과 동시에 세계로의 의미 구성을 시작한다. 심상의 특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심상은 주체의 사고로부터 비롯되고 주체는 심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동적인 것으로 존재하며 형상을 동반한다. 본고에서는 심상을 의미 구성의 출발점으로 보고, 심상의 시각화를 비계로 텍스트에 대한 의미를 구성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습자의 심상은 손상되기 쉬우므로, 심적인 상태에서 사라지기 전에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심상의 시각화는 내적 과정의 신비화에서 탈피하여 심상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것은 심상의 형성을 추동하고, 내적인 영역의 의미를 운반함으로써 이를 비계로 새로운 이해의 방식, 의미 구성의 방식을 제공한다.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의 원리로는 이미지의 존재방식을 표현의 측면에서 고려하여, ‘구상적 이미지를 통한 텍스트 내적 세계의 재현, 추상적 이미지를 통한 촉발된 심리의 표현, 복합양식적 이미지를 통한 새로운 의미의 창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 감상은 심적인 대상을 가시화함으로써 내적 이미지의 형성 과정을 구체화하고, 이미지의 표현을 통해 텍스트 세계에 대한 체험을 실현하며, 이미지를 중심으로 주체적 의미 구성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고등학생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감상 과정에서 심상의 시각화를 비계로 의미를 구성해가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의 양상을 단일양식과 복합양식의 범주로 살펴보았다. 단일양식으로의 시각화는 크게 구상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이미지의 구상적 표현 양상에서 학습자는 지각한 이미지를 축적하면서 텍스트에 대한 내적 탐구로서 의미망 구축을 시도하였다. 주관적 인상의 추상적 표현의 양상에서는 막연하거나 모호한 대상을 형태나 색채로 전환하고 이를 비계로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한 시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복합양식으로의 시각화에서 학습자는 새로운 표현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텍스트의 장면을 묘사하여 자신의 서술을 확장하거나, 연상을 통해 텍스트와의 연관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자유로운 상상 활동을 통해 텍스트 내 자아가 참여함으로써 드러나는 새로운 의미의 발견을 도모하였다. 이상의 양상에서 학습자 수행에서의 질적 차이를 분석한 것은 다음과 같다. 심상을 구상적으로 시각화할 때에는 자신이 전경화한 정보에 머물러 텍스트에 대한 전체로서의 의미 구축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심상을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은 학습자의 주관적 인상을 뚜렷하게 표현하기 위해 자신만의 도식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문제는 텍스트로부터 그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유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상을 복합양식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은 기존의 것을 확장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인데, 그 내용이 텍스트와의 관계를 상실하거나 지나친 자아의 개입으로 전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습자의 양상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한 시 감상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이미지에 기반한 의미 구성, 이미지와 텍스트 맥락 간 관계 형성, 심화된 의미 해석으로서 이미지 창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는 지각국면의 확장을 위한 발견학습, 자기 해석의 메타적 인지를 위한 질문생성, 텍스트 내부로의 상상 유도를 위한 내적 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텍스트에 대한 의미 구성 능력을 지닌 존재라고 보았다. 이에 심상을 가시화함으로써 스스로 비계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시 감상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H. Purcell의 오페라와 부수음악 분석

        유화선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amous UK composer Purcell’s vocal music, that is part of graduate performanc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erform voice effectively through a high understanding of Purcell’s time period, lifetim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ory and exact analysis of composition. Purcell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usicians of Baroque period, as he composed a variety of music. In particular his vocal art songs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ater period in perfect harmony with English lyrics. The opera “Dido and Aeneas” is Purcell’s only opera song composed in 1689. This work was developed in a small opera-house format in which the only content is singing. It creates dramatic expression by applying Baroque era’s musical diction. Especially the <Thy hand belinda! When I am laid in earth> is a unique ground-based work before Dido died singing arias. Incidental music <Music for a while> is composed for Dryden and Lee plays Oedipus(1692) and depicted the lyrics to the pictorial technique. Also, an eighth note broken by the comma in the “Drop” reveals the desperate feelings. In other words, Purcell has placed great importance on using a comma, that showed a dramatic expression through repeated lyrics. Incidental music <Nymphs and Shepherds> emphasizes the meaning of the words to describe the language with music by using Melisma figuration and melody to either raise or low the pitch. In short, Purcell’s vocal works have much artistic merit and well describe the sense of human emotions in music theory, vocal elements and English lyrics.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산편성과 성과평가 간의 관계 분석

        유화선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국가 R&D 예산의 투자 효율성·효과성 제고 필요성에 대한 꾸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고도화 된 성과평가체계 구축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 결과와 차기 년도 예산배분과의 연계를 명문화한 것이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성·효과성 제고 유인을 위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 결과 우수 등급 이상인 사업은 예산을 증액하며, 미흡 이하의 사업은 감액한다.’는 법·제도상 명문화된 규정과는 달리 성과평가 결과와 예산배분 간 연계 실효성 대해서는 다양한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엇갈린 평가가 이뤄져 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간의 논란이 되어온 성과평가와 예산배분구조 연계정책 관련 법·제도적 명문화 규정의 순기능 작동여부에 대해 명확히 실증하기 위해 패널회귀분석 및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결과와 예산배분 구조의 연계성을 저해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저해요인 최소화를 통해 성과평가 제도의 체계성 및 평가결과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고도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As Korean national R&D projects have steadily grown in size, the needs of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R&D budge spending has been also discussed. Therefor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R&D project. One example of such efforts is the stipulation of connecting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ranking of the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 budge allocation of for the coming fiscal year. Unlike the stipulated article in the law/regulation that 'more budge shall be allocated to a project rated over excellent grade and vice versa', however, precedent studies have been casting mixed opinions over to the effectiveness of the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 results and budge allocation.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if the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ranking of the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 budge allocation work properly, us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and quantitative data.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deterrent factors to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national R&D projects and budge allocation and sought for a way to improve the system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by minimizing the hindrance factors.

      • 정책 수혜자 관점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설계 고찰 : 정책 수용성과 환류효과를 중심으로

        유화선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supporting national R&D programs i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pacities, the advancement of national industries, and economic revitalization by making an upfront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ve high risks and uncertainties. As of 2018, the budget for national R&D programs is KRW 19.6 trillion, fourth largest in the world, and the ratio of investment to GDP ranked no. 1 around the world with the high investment intensity. With an increasing demand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R&D programs, the Korean government has exerted great effor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by implementing a reinforce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R&D programs since 2005. Nevertheless,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as limitations, such as provider-centered evaluation, the use of uniform evaluation criteria and limi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that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s to be evaluated, and the lack of linkage between evaluation outcomes and budget allocation and adjustment, resulting in controversy over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nlike existing research, which mostly focused on improving the laws and systems,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and the promot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provider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ppropriacy of the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n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and feedback activities from the viewpoint of policy beneficiaries. In addition, it analyzed which feedback activities had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improving performance, and budget allocation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grams, based on which, effective measures to increase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were suggested. For this study, an explanatory design method was utilized among other mixed research methods where quantitative analysis and complementary qualitative analysis are perform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erformance evaluation beneficiaries including project managers of dedicated organizations, corporations, universit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by utilizing binary and ordered logit model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olicy providers and beneficiaries such as governments, dedicated organizations, corporations, universit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order to supplement the specificity of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nd obtain credibility. The maj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the effects of the appropriacy of the components, which include 15 sub-items of each of the four stage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n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the evaluation committee, period and duration, outcomes, reports, etc.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while evaluation preparation had a negative effect.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 of the evaluation committee equipped with expertise was a critical factor that determined the suc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outcomes, having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while the item of evaluation preparation showed the most negative effect due to excessive workload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preparation, tight evaluation schedule, et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detailed items of each stage consisting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plan, input, process, and output) on the acceptance, the evaluation criteria was the key component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stage of plan; the evaluation committee and period and duration on the stage of input; the linkage between evaluation processes on the stage of process; and the evaluation outcomes and outcome adjustment on the stage of output. Since such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reveal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considered vali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on feedback activities at each stage of the national R&D programs, it was revealed that acceptance had a very high positive effect at all stag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 components on the feedback activities at each stage found that the evaluation committee, fairness of evaluation, the linkage between the evaluation processes, and evaluation reports showed positive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fairnes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credibility of evaluation outcomes improve the acceptance and encourage active feedback activities to enhance national R&D programs. Third,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reflection levels of the evaluation outcomes’ feedback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found that the reflection levels of the input, process, and output stage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roject performance; the reflection level of the input stage on the improvement of budget allocation efficiency; and the reflection levels of the plan, process, and output stages on the improvement of goal achievement. Given that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was achieved by inputting appropriate budget, promoting systematic management, and carrying out activities to achieve goals and excellent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reflection through feedback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D programs derived from performance evaluation has critical effects on increasing policy effectivenes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appropriacy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and feedback activiti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specificity and reliability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nd explor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the experts provided specific solutio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mplementing the evaluation system by establishing an evaluation index system that reflects project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void uniform evaluation; transform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rom the current quantitative indicator-based evaluation method to multi-faceted evaluation including qualitative evaluation by experts; evaluating the performance for a mid to long-term, instead of immediate performance; varying the evaluation preparation and period according to project size; adjusting the evaluation period for sufficient investigation and verification; promoting a range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upport policies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mmittee; facilitating the linkage between self-evaluation and meta-evaluation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outcomes;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actual performance evaluation outcomes and budget allocation and adjustment; introducing various incentives to expand the use of performance evaluation outcomes; establishing the evaluation direction by taking the global trends a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to account; and analyzing the causes of success as well as failure and reinforcing feedback.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multi-angled analyses such as literature review,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As fo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entering on how much the system had contributed to the general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evaluation, and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vel of reflection on the process of feedbacking the evaluation outcomes can vary according to the acceptance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outcomes. In addition, the feedback of the policy evaluation process was set as a medium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discovering the implication that the reflection level of the feedback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This study also enhanced the sophistication of meta evaluation research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R&D programs by drawing the conclusion that the components of each stage of the evaluation system have effects on the appropriacy and acceptance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improving the uniform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system; exploring ways to increase appropriacy such as the expertise of the evaluation committee; enhancing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outcomes by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the evaluation outcomes; reinforcing institutional complementation to strengthen the effective linkage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outcomes and budgets allocations; introducing evaluation methods to separate short-term and mid and long-term performance by transforming the current immediate performance-focused evaluation method; improving the system by chang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preparation and response to a customer-oriented system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workload; and diagnosing the exact policy effec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R&D programs and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for continuous improvement.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목적은 위험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과학기술영역에 선행투자를 통한 과학기술 역량강화, 국가 산업 고도화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함에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2018년 기준 19.6조 규모로 세계 4위이고, GDP 대비 투자 비중은 세계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투자집중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국가연구개발사업 효과성 제고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정부는 2005년 이후 강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시행을 통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효과성 제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는 공급자 중심 평가, 평가대상 사업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평가기준 및 한정된 성과평가 지표 활용, 평가결과와 예산배분 및 조정 간 연계미흡 등의 한계점으로 인해 성과평가제도의 정책효과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가 주로 정책 공급자 관점에서 법·제도, 성과평가 프로세스 및 추진체계 개선에 중점을 둔 것과 차별화하여 정책 수혜자 관점에서 성과평가제도 구성요소의 적절성이 성과평가 결과에 대한 수용성 및 환류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어떠한 환류활동이 국가연구개발사업 목표 달성도 향상, 성과제고, 예산 배분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했는지에 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의 정책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실효적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양적분석 결과와 이에 대한 보완적 설명을 위한 질적분석이 추가된 혼합연구방법 유형 중 설명적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정책 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전담기관 사업담당자, 기업,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등 성과평가 수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항 로짓 모형 및 순서형 로짓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도출된 실증 분석결과의 구체성을 보완하고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정부, 전담기관, 기업,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등 정책공급자 및 정책수혜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평가제도 4개 단계 별 15개 세부항목 등 구성요소의 적절성이 성과평가 결과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평가위원회, 평가시기 및 기간, 평가결과, 평가보고 등이 성과평가 결과의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평가준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이 확보된 평가위원회 구성은 성과평가제도 시행의 성공여부 및 성과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성과평가 결과 수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인 반면, 평가준비 항목은 성과평가 준비과정의 과도한 업무량, 촉박한 평가일정 등으로 인해 부정적 영향을 크게 미치는 구성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평가제도를 구성하는 각 단계 별(기획, 투입, 과정, 결과) 세부항목이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기획단계에서는 평가지표, 투입단계에서는 평가위원회, 평가시기 및 기간, 과정단계에서는 평가과정 간 연계성, 결과단계에서는 평가결과, 평가결과 조정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핵심 구성요소로 나타나, 문헌분석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나타난 성과평가제도의 한계점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타당한 실증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성과평가 결과 수용성이 국가연구개발사업 각 단계 별(기획, 투입, 과정, 결과) 환류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모든 단계에서 평가결과의 수용성이 매우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평가제도 구성요소가 각 단계 별 환류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평가위원회, 평가공정성, 평가과정 간 연계성, 평가보고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높게 미치는 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평가제도 시행의 공정성 및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수용성을 높이고, 국가연구개발사업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환류활동을 유인하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성과평가 결과의 환류활동 반영도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사업성과 제고에서는 투입, 과정, 결과단계 반영도가, 예산배분 효율성 증대에서는 투입단계 반영도가, 목표달성 향상도에서는 기획, 과정, 결과단계 반영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가 적정 예산을 투입하고 체계적 관리를 추진하며, 목표달성 및 우수성과가 창출되기 위한 활동이 복합적으로 적절하게 이루어진 결과임을 볼 때, 성과평가 결과 도출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선사항에 대해 환류활동을 통한 적절한 반영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통한 정책 효과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볼 때, 성과평가제도 시행의 적절성이 평가결과 수용성 및 환류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제고를 통한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증분석 결과에 대한 구체성 및 신뢰도를 높이고 현행 성과평가제도의 실효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추진하였다. 인터뷰 결과, 전문가들은 획일적 평가를 탈피하기 위해 사업특성을 반영한 평가지표체계 구축을 통한 성과평가 시행, 정량적 지표중심 평가에서 전문가 정성적 평가를 포함한 다면평가로의 성과평가제도 방식 전환, 즉시 창출 성과에서 중장기 파급성과 중심으로의 평가, 사업규모에 따른 평가준비 및 평가기간 차별화, 충분한 성과조사 및 검증기간 부여를 위한 성과평가 시기 조정, 성과평가 평가위원회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개선 및 지원정책 추진, 성과평가 결과 신뢰도 향상을 위한 자체평가와 상위평가 간 연계 활성화, 실질적인 성과평가 결과와 예산 배분 및 조정 간 연계성 강화, 성과평가 결과 활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제도 도입, 글로벌 트렌트 및 대내외 환경변화를 고려한 평가방향성 설정, 성공요인과 더불어 실패요인에 대한 분석 및 환류 강화 등 성과평가제도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개진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헌분석, 실증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 등 다각적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성과평가제도 시행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반적인 성과제고에 기여한 정도를 중심으로 성과평가제도의 효과성을 살펴본 정책평가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정책시행 결과의 수용성 정도에 따라 성과평가결과 환류과정에 대한 반영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분석 결과로 도출하였다. 또한 성과평가제도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간 연계성 진단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정책평가 과정의 환류를 매개로 설정하여 환류 반영도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제고에 영향을 미쳤다는 함의를 발굴했으며, 성과평가제도 각 단계 별 구성요소가 성과평가제도 적절성 및 수용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관련 메타평가연구의 정교함을 높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현행 성과평가제도의 획일적인 평가지표에 대한 개선, 평가위원회 전문성 등 적절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모색, 평가결과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한 성과평가 결과의 수용성 제고, 성과평가 결과와 예산 반영의 실효적 연계강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강화, 현행 단기성과 위주의 성과평가에서 단기성과와 중장기적 성과로 이원화하는 평가 방안 도입, 성과평가 준비과정 및 대응과정에서의 과도한 업무량 저감을 위한 수요자 관점의 제도개선,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의 정확한 정책효과를 진단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이루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을 도출하였다.

      • Saucerneol D의 수지상세포에서 면역억제 효과

        유화선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우서니올 D는 삼백초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으로 항염증과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사우서니올 D의 세포 타겟으로 염증성 세포인 비만 세포와 RAW 264.7 세포가 밝혀져 있다. 그런데 아직 수지상 세포, 대식 세포, B 세포, 그리고 T 세포와 같은 다른 면역세포에서의 약리활성에 대해서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본 실헙에서는 다양한 염증성 면역세포에 대한 사우서니올 D의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우서니올 D는 B 세포의 항체 생성, T 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 대식세포의 NO와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였다. 사우서니올 D는 수지상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세포 표면분자 발현, 사이토카인 생성, 항원취득능력, 림프절로의 이동을 억제하였으며, 수지상 세포의 미감작 T 세포 활성화 능력을 억제 하였다. 더욱이 사우서니올 D는 TLR4 신호전달을 통하여 유도되는 NF-B와 MAPKs의 활성화를 억제하였지만 NF-B의 활성화에 연관된 주요 인산화 효소인 IRAK4, IRAK1, TAK1 그리고 IKK의 활성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우서니올 D는 수지상 세포에서 HO-1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지상세포의 기능과 TLR4 신호전달을 간접적으로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우서니올 D는 면역체계에 관여하는 B 세포, T 세포, 대식 세포, 그리고 수지상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였으며, 새로운 면역억제제로써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Saucerneol D (SD) isolated from Saururus chinensis has anti-inflammatory activity. Until now, two inflammatory cells, mast cells and RAW264.7 cells, have been known as target cells of SD. However, the effect of SD on other inflammatory cells, such as DCs, B cells, and T cells, remains to be elusive. First, we confirm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D by using RAW264.7 cells, and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data, SD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TNF-α, and IL-1β by preventing NF-B and MAPK signaling in RAW264.7 cells. Then, we examin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SD on other inflammatory cells. SD inhibited IgG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B cells and cytokine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of concanavalin A-activated T cells. SD suppressed NO production and cytokine expression of LPS-induced primary macrophages. SD decreased LPS-induced NO production by dendritic cells (DCs) without cytotoxicity. SD inhibited phenotypic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DCs, such as antigen capture capacity,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 expression and allogenic T cell activation capacity. Additionally, SD attenuated LPS-induced activation of NF-B and MAPK signaling. In summary, SD may exert immunosuppressive activity by inhibiting the functions of B cells, T cells, and DCs as well as macrophages and mast cells, which are key players in the pathogenesis of many autoimmune diseases.

      • 하천의 오염이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유화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easonal fluctuation of invertebrates community was investigated with surveying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to elucidate the effect of water pollution on the stream community in Gap-chun Stream and Mangyung River from April to October in 2000. Field study was performed over three stations, two of which were located on polluted area and remaining one was located at upstream region as a control, in each stream. Water temperature, pH, and dissolved oxygen, suspended solids, biological oxygen demand,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14.0-3O.O℃, 7.0 -8.4, 5.0-12.3mgO_(2)/l, 2.4∼16.8mg/l, 1.4∼11.8mgO_(2)/1, 1.6∼17.6mgO_(2)/l, 1.33∼18.75㎍/㎥, and 0.03-l.10㎍/㎥, respectively. In the most of thes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parameters, the control study station was distinctly differentiated from the stations on polluted area in both stream. Eighteen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comprising 11 molluscks, four hirudineans and three crustaceans, and 16 microinvertebrates of oligochaet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Most invertebrates occurred consistently over the seasons while much changed in occurrence according to the localities of stations. Invertebrates community biomass was much lower in the rainy season of summer than in spring or autumn. In both streams, biomass of macroinvertebrates was more or less higher in control station than in the stations on polluted area, but that of microinvertebrates was much lower in control station. From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each species abundance according to water quality, it was suggested that two gastropods (Physella acuta, Radix auricularia) and four hirudineans (Glossiponia weberi, Hemiclepsis sp., Erpobdella lineata, Whitmania acranulata) were the index species for the organic pollution, and four molluscks (Semisulcospira coreana, Unio douglasiae, Corbicula fluminea, C. leana) and two shrimps (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Palaemon paucidens) were those for the cleanness in stream waters. All sixteen microinvertebrates of oligochaetes were also presented as the index species for the water pollution in the present study.

      • 미성숙 전구세포에서 유래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기능 분석

        유화선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ytokine-induced killer (CIK) cells have been explored for active immunotherapy of cancer and were clinically generated from mature T cell precursors in human blood. However, whether immature T cells could be used as precursors of CIK cells was not clarified yet. CIK cells were generated from immature T cells of bone marrow and thymus, and their functions were compared with CIK cells generated from mature T cells of spleen. Cells isolated from bone marrow, thymus, and spleen were cultured with IL-2-containing medium in anti-CD3 antibody-coated flasks for 5 days, followed by incubation in IL-2-containing medium for 9 days. The absolute number of splenocytes, bone marrow cells, and thymocytes increased by 249, 54, and 14-fold, and CD3+NK1.1+ cells were 30%, 30%, and 33%, respectively. They showed similar gene expression profiles of IFN-gamma, TNF-alpha, granzyme A/B, perforin, and FasL. In addition, they showed similar antitumor activity in B16F10 syngenic tumor model. In summary, although CIK cells generated from immature or mature T cells showed similar profiles in phenotypes, cytokine expression, and antitumor activity in vivo, clinical application of immature T cells might be impeded by lower ex vivo expansion. These data suggest that new generation protocols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 of immature T cells as CIK cell precursors.

      • Two-dimensional MMSE channel estimation for wireless OFDM systems

        유화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무선 채널환경에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반송파 (OFDM) 시스템을 위한 2차원 최소평균 제곱오차 (MMSE) 채널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정된 부반송파에 파일롯 부반송파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OFDM 시스템에서의 수신단은 채널 추정 및 채널 변화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다. 기존의 채널 추정방법들은 한 개의 심볼에 포함된 1차원 파일롯 부반송파 간의 주파수 축 상관 관계만을 이용하거나, 파일롯 대신에 결정 지향 (Decision Directed) 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변화를 추적하기 때문에 심각한 잡음이나 페이딩, 에러 확산 등에 의해서 채널 추정이 부정확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반대로, 2차원 파일롯 심볼을 이용한 MMSE 채널 추정방법은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상관 관계를 모두 이용하기 때문에 채널의 변화와 잡음에 강인한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최적화 2차원 MMSE 채널 추정방법은 매우 높은 복잡도와 채널에 관한 시간 및 주파수 통계 특성을 필요로 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보다 단순화된 채널 추정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방법은 주파수 축 벡터 채널 추정기 (FD-VCE)와 시간 축 스칼라 채널 추정기 (TD-SCE)로 구성된다. 직사각형 구조의 파일롯 패턴에 대해서 제안된 2차원 MMSE 추정기가 최적화 2차원 MMSE 추정기와 동일한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제안되는 MMSE 채널 추정기에서는, TD-SCE와 FD-VCE 중에서 한 개만 MMSE 추정기로 구현되기 때문에 채널의 2차원 통계 특성에 관한 사전 정보가 1차원으로 감소된다.또한, LMS나 RLS와 같은 적응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MMSE TD-SCE를 구성해서, 이를 활용한 2차원 채널 추정기는 채널에 관한 사전 정보를 전혀 필요치 않게 된다. 각각 병렬 관계의 TD-SCE는 동일한 최적화 계수를 가지게 되므로, 단일 시간에 각 TD-SCE에서의 오차에 따라 모든 계수들을 동시에 갱신하는 블록 단위 적응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기법은 적응형 2차원 채널 추정기가 열악한 채널 조건에서도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렴하도록 만들어 준다.제안되는 2차원 채널 추정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채널 추정 오차의 영향을 분석하고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모의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되는 채널 추정기가 기존의 기법들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two-dimensional (2D)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channel estimation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in wireless channels. By periodically multiplexing pilot subcarriers into assigned subcarriers, OFDM systems enable the receiver to estimate and track the channel variations. The majority of existing channel estimators for OFDM systems exploit only frequency correlations of 1D pilots included in a single OFDM symbol or track the channel variations by decision directed (DD) methods instead of pilotobservations. The channel estimation methods suffer from severe noise, fast fading or error propagations, which result in inaccurate estimation.On the contrary, the 2D MMSE channel estimation in pilot symbol assisted modulation (PSAM) OFDM is robust to the channel variations and noise because it exploits time- and frequency- channel correlations of the 2D pilot observations. The optimal 2D MMSE channel estimation, however, requires very high complexity and prior knowledge about channel time and frequency statistic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simplified 2D MMSE channel estimator, which consists of a frequency-domain vector channel estimator (FD-VCE) and time-domain scalar channel estimators (TD-SCEs). Especially in OFDM system with pilots on rectangular grid, we prove that the simplified 2D MMSE estimator has the same performance as the optimal 2D MMSE estimator. Between TD-SCEs and an FD-VCE, only one is chosen as an MMSE estimator for the simplified estimator. Therefore, the prior knowledge about channel 2D statistics is reduced into that about channel 1D statistics.Furthermore, we develop the adaptive MMSE TD-SCEs updated by LMS and RLS algorithms. The 2D MMSE estimator using the adaptive MMSE TD-SCEs do not require any prior knowledge about channel statistics. Since it is obvious that the parallel TD-SCEs have the common optimal coefficients, we propose a block-wise adaptation method, which simultaneously updates all coefficients of the parallel TD-SCEs based on multiple error observations at a single time instance. The block-wise adaptation method brings the adaptive 2D channel estimator out fast and stable convergence even at low SNR.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2D channel estimator,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nnel estimation error and simulate it in OFDM systems with receive or transmit antenna divers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2D estimator outperforms the previously proposed channel estimators in regard to SER performance.

      • Blind direct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using prediction error filter

        유화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이차 통계 특성을 이용한 블라인드 결정 궤환 등화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블라인드 결정 궤환 등화 기법은 채널의 추정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신 신호의 통계적 특성으로부터 직접 등화기 계수를 얻어낸다. /SIMO 채널의 경우, AR 모델 신호는 MA 모델로도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최적화된 다단계 예측기 에러 필터의 출력은 채널의 부분 응답과 송신 신호열의 곱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특성은 임의의 지연을 가지는 블라인드 선형 등화기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역방향 다단계 예측기 에러 필터가 결정 궤환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필터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피드백 필터로는 채널의 심볼율 부분응답을 얻음으로써 블라인드 결정 궤환 등화기를 구성한다. 또, LMS와 RL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응 등화 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차통계를 이용한 블라인드 채널 추정 기법들과는 달리 채널 오더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고, 결정단의 비선형성에 의해 다단계 예측기 에러 필터의 오류를 줄여줌으로써 등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의실험에 의해 주어진 여러 실험 환경에서 제안된 블라인드 결정 궤환 등화기가 기존의 블라인드 선형 등화기와 블라인드 채널 추정에 의한 결정 궤환 등화기보다 안정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thesis, we propose the blin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 using only second-order statistics. The proposed blind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technique does not require channel estimation procedure. The equalizer coefficients can be obtained directly from second-order statistics (SOS) of the received signals. In the case of single-input multiple-output (SIMO) channels, autoregressive (AR) process is also moving average (MA) process. Therefore, the output of the optimized multistep prediction error filter (PEF) can be represented as a product of channel partial impulse response and transmitted sequence. This property has led many researchers to study blind linear equalizers with the arbitrary delay. /This thesis shows that a backward multistep prediction error filter can be used as the feedforward filter (FFF) of blind DFE. The corresponding feedback filter is obtained from the symbol-rate partial channel impulse response. We turn this batch type algorithm of the blind DFE into adaptive solutions using LMS and RLS algorithms. The proposed algorithm has several advantages that are not shared with existing blind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The proposed DFE achieves stable performance without the exact channel order estimation./The performance of the equalizer can be improved by the nonlinearity of the decision device which alleviates the errors of the multistep PEF. Computer simulation shows the proposed blind DFE achieves better and stabl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blind linear equalizers and the DFE using blind channel estimation algorithm such as subspace based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