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캐드 도면 기반의 시뮬레이션 배치 모델 생성

        유지성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인해 제품의 생명주기는 짧아지고 있으며, 소비자는 소득증가로 인한 신제품 구매욕구와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의 수요를 요구해오고 있다. 특히 생활필수품으로 여겨지는 가전제품의 생명주기는 다른 제조분야보다 짧다.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제조분야 기업은 신제품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생산라인의 변경이 요구되며, 이는 레이아웃의 변경을 요구한다. 제조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는 빠른 신제품생산을 위한 레이아웃변경이라고 할 수 있다. 레이아웃의 변경은 시간과 비용이 막대하게 투자되므로 의사결정단계에서 검증할 방법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시뮬레이션기술을 통한 생산라인을 검증하는 방법이 있다.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이 과정은 수일에서 수십 일을 거쳐야하는 짧지 않은 과정이다.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 빠른 시뮬레이션결과를 도출하고, 이는 다양한 대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기존연구에서는 대부분 공정모델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의 자동화연구를 수행해왔으며, 생산라인의 배치와 관련된 모델자동화 구축방법의 연구를 찾기는 어려웠다. 배치문제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구축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생산라인의 도면을 그대로 활용하는 방법과, 공정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규칙을 제안하며, 배치 시뮬레이션 모델을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한국공공정책의 유형에 관한 연구 : 박체제의 주택정책을 중심으로

        유지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analyze the policy style of Park regime. in order to probe the policy styles of Park regime (1962 - 1980), in chapter Ⅱ. the policy-cycle model, the policy-learning model and the Hirschman's problem-solving model have been carefully reviewed for conceptual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research. However, the three models are not themselves suitable for applying to the types of policy styles in Park regime. Since the Hirschman's problem-solving model is primarily concentrated on transactions between the political elits and bureaucrats (including technocrats). It has some merits for Park regime. But it is not enough to comprehend the policy style of the regime, and so the policy-style model presented by Jeremy Rlchardson has been adopted in revising and constructing a more furitful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olicy-style analysis at Park regime. Policy-style model means policy-making and policy-implementing style. Thus, the researches of policy styles do not limit themselves to policy-making, but encompass policy-execution as well. They focus on whether or not societies have successfully develope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making and implementing of the governmental policies. Jeremy Richardson defines policy .style as the interaction between (a) the government's approach to problem-solving and (b)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other actors in the policy process. in addition, Richardson suggests that the variables, characterizing the policy-styl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may be defined as the bargaining, the negotiation, and the comsultation between the governmental actors and the non-governmental actors (Particularly interest and pressure groups). However, those variables seem to require some modifications in order to be utilized in studying the policy-style of Park regime, due to the absence of well organized interest and pressure groups in the Korean political process. Thus, the research imports the concept of policy-instrument as an analytical variable for characterizing the policy-style. Based on the reformulated framework of analysis, chapter Ⅲ, focuses on the four categorizations of policy-style in the Park regime as following: ⅰ) The first period, Low actives - Low imposition (1962-1965). ⅱ) The second period. Low actives - High imposition (1966-1971). ⅲ) The third period, High actives - High imposition (1972-1978). ⅳ) The fourth period, High actives - Low imposition (1979-1980). Finally, based on the four categorization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Ⅳ probes the context of the policy-style of Park regime as ⅰ) the bureaucratic-authoritative policy-style, ⅱ) the exogenous of public policy, ⅲ) the non-autonomy of public policy, Particularly housing policy.

      • 鐵筋콘크리트모멘트骨造의 連鎖崩壞 解析 및 補强

        유지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연쇄붕괴로 인한 대변형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현수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 연쇄붕괴 해석을 수행하여 연쇄붕괴 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연쇄붕괴에 취약한 구조물에 대해 내진 및 연쇄붕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예제 구조물을 층수와 경간 길이, 설계 시 지진하중의 유무를 변수로 각각 설계하였으며, 비교 대상으로 설계조건이 동일한 철골모멘트골조를 설계하였다. 연쇄붕괴 해석은 GSA(2003)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대체경로법에 따라 비선형 정적 해석과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변수에 따라서는 층수가 증가할수록, 경간 길이가 짧을수록 연쇄붕괴 저항성능이 향상되었고, 설계 시 지진하중을 고려한 구조물은 연쇄붕괴에 저항하기 위한 적절한 성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설계 시 지진하중이 고려되지 않은 구조물은 연쇄붕괴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쇄붕괴 시 구조물의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하 비선형성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쇄붕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비내진 구조물의 내진 및 연쇄붕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선과 회전마찰감쇠기를 이용하여 보강하였다. 회전마찰감쇠기의 설계는 설계절차가 간편하고, 성능목표를 만족하기 위해 요구되는 감쇠기의 용량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능력스펙트럼법을 이용하였다. 능력스펙트럼법의 검증을 위해 인공지진을 생성하여 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 능력스펙트럼법을 이용한 보강방법은 지진하중 작용 시 회전마찰감쇠기에 의해 에너지가 적절하게 소산되면서 설정한 성능목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강선과 회전마찰감쇠기를 이용한 보강방법은 연쇄붕괴 시에도 강선과 회전마찰감쇠기에 의해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s and parameters involved in catenary action at large deformation caused by progressive collapse and evaluated progressive collapse potential of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Also, this study presents efficient retrofit method to enhance both seismic and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of vulnerable structures for progressive collapse. To this end analysis model structures were designed with different design parameters; story, span length, seismic load.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of RC analysis model structures was compared with steel moment framed structures designed the same loading conditions. Nonlinear static and dynamic analyses were carried out following the alternate path method recommended by the GSA 2003. According to the nonlinear analysis results,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of structure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tory increased and the span length decreased. The structures not designed for seismic load turned out to be highly vulnerable for progressive collapse, whereas the structures designed considering seismic load showed superior performance against progressive collapse. When geometrical nonlinearity was not considered analytical model overestimated the force-displacement relationship of RC structures, whereas the analytical model including geometrical nonlinearity predicted behavior by progressive collapse more precisely. Nonseismic designed model structures highly vulnerable for progressive collapse retrofitted by the cables and rotational friction dampers to enhance both seismic and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Rotational friction damper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CSM) to satisfy given performance objectives against seismic load. The validity of the design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CSM us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by performing the time history analysis. According to the nonlinear analysis results, the retrofitted structures showed superior performance against seismic load as energy adequately dissipated by rotational friction dampers especially in the 3-story structure.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retrofitted structures showed more stable behavior against progressive collapse.

      • 학교 스포츠클럽 참여가 중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유지성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교육과정 외 스포츠클럽이 중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시의 D중학교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중학교에 2017학년도 입학한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3년 간 교육과정 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학생 45명과 이들이 자신과 체력 수준이 비슷한 학생 45명을 추천하여 총 90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들 중 3년간 이탈하거나 설문조사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 26명을 제외한 6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참여집단(교육과정 외 스포츠클럽에 3년간 참여한 학생) 32명, 비참여집단(교육과정 외 스포츠클럽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32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집단과 시기 간의 주 효과 및 상호작용효과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이용하였고 집단 내 변화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집단 간 변화는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신장은 참여집단(p<.001)과 비참여집단(p<.0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중은 참여집단(p<.001)과 비참여집단(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BMI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체력에서 왕복오래달리기 기록은 상호작용이 나타나 참여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기록은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 3학년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악력과 제자리멀리뛰기 기록은 비참여집단에서 1, 2학년 때 비해 3학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1), 참여집단은 1, 2학년떄에 비해 3학년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본 연구 결과 교육과정 외 스포츠클럽의 참여가 기초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남학생의 기초체력 중 부족한 부분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 및 제도로 교육과정 외 스포츠클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기초체력의 다면적인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orts clubs outside of the curriculum on youth physical fitness. Students who entered D middle school in G city, Gyeongsangnam-do in 2017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More precisely, 45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s outside of the curriculum for 3 years and the other 45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preceding 45 students as of similar physical fitness leve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ut of these students, 64 students were finally targeted as subject of this study except 26 students who deviated from the course or who didn't answer the questionnaire in earnest. That i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2 participa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clubs outside of the curriculum for 3 years) and 32 non-participating groups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sports clubs outside the curriculum).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be specific,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for analysis of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periods, one-way ANOVA for within-group variability and independent t-test or between-group variability were used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data was set to .05,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participating group (p<.001) and the non-participating group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in the participating group (p<.001) and the non-participating group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2. The average record of shuttle ru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actions in the participating group (p<.01). The average record of seated hip adductor stretch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groups in the 3rd grade(p<.05). The record of grip strength and standing long jump decreased in the 3rd grade compared to the 1st and 2nd grades in the non-participating group (p<.001),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ng group(p<.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ports clubs outside of the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asic physical strength. It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ways for multi-faceted development of basic physical strength if it is used effectively as a measure to supplement to basic physical strength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 통합 환경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와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지성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 환경의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적용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와 적응행동을 증진시키는 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의 만 3세 반에 통합되어있는 3명의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로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실시되었고, 중다기초선 설계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선 단계에서는 자유선택놀이 상황에서 3명의 발달지체 유아 수행수준을 동시에 관찰하며 대상유아 1이 관찰행동에서 일관되고 안정적인 경향을 보일 때 중재를 시작하며, 대상유아 1의 활동참여가 상승세를 보이며 안정된 변화를 보일 때 대상유아 2에게 중재를 실시하였다. 대상유아 3도 대상유아 2의 중재가 효과를 보이는 시점에서 중재를 시작하였다. 대상유아 3명에 대한 중재를 마친 7일 후에 4회기 동안 중재효과의 유지 정도를 알아보았다.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이루어진 활동참여와 적응행동을 부분간격기록법과 사건기록법을 각각 기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환경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자유선택놀이 시간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 발달지체 유아의 활동참여에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 환경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긍정적인 적응행동 빈도를 높이고 부정적인 적응행동을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재 라미네이트 두께와 광원 및 광조사 시간에 따른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의 FT-IR을 이용한 중합도 비교

        유지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orcelain Laminate Veneer(PLV) 접착 시에 레진 시멘트가 치질과 도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재의 두께, 색상, 투명도 등에 따라 광강도가 감소되어 도재의 특성이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어왔다. 최근 연구 중에도 미세 경도 측정이나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e(FT-IR)을 이용한 이원중합형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임상적으로 0.3~1.5mm의 다양한 두께를 갖는 PLV 수복물의 접착에서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를 사용하였을 때, 도재 라미네이트에서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PLV 수복물의 접착 시 사용되는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를 FT-IR로 측정하여 도재의 두께, 광원 및 광조사 시간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대조군으로는 1.0mm의 투명한 slide glass를 사용하였고, 도재 시편은 IPS Em-press Esthetic shade ETC1을 선택하여 0.5, 1.0, 1.5mm의 두께로 제작하였다. 레진 시멘트는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인 Rely XTM Veneer Shade A3를 사용하였다. 광원으로는 Quartz Tungsten Halogen(QTH) 광중합기로 3M Curing Light XL3000, Light Emitting Diode(LED) 광중합기로는 EliparTM FreeLight2, Plasma arc curing(PAC) 광중합기로 Flipo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는 FT-IR과 OMN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one-way ANOVA와 Tukey HSD를 이용하였다(α=0.05). 대조군에서 QTH와 LED로 광중합을 시행하였을 때 PAC로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보다 중합도가 높았다. 도재의 두께가 1.0mm, 1.5mm의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QTH와 LED로 광조사를 시행하였을 때, PAC로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보다 중합도가 높았다(p<0.05). 도재의 두께가 0.5mm의 실험군에서는 세 가지 광원에 따라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존재하였는데, LED, QTH, PAC순으로 중합도가 높았다(p<0.05). QTH와 LED로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 대조군과 0.5mm, 1.0mm, 1.5mm의 도재 두께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PAC로 광조사를 시행한 결과, 도재의 두께가 1.5mm인 실험군의 중합도가 대조군과 0.5mm에서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인다(p<0.05). 두께가 1.0mm의 도재와 LED 광중합기로 광조사하여 중합도를 비교한 결과, 20초간 광조사를 시행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80초와 160초간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합도의 평균값이 높았다(p<0.05). 이번 연구의 한계 내에서, 도재의 두께가 0.5~1.5mm 이내의 PLV 접착 시, PAC 중합기의 사용은 고려되지 않으며, QTH나 LED로 40초 이상 중합한다면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를 LED를 이용하여 중합시킬 경우, 광조사 시간의 증가가 중합도의 증가와 비례하지 않으며, 일정시간 이상의 광조사가 중합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 유아의 다중지능 유형과 실내흥미영역 선호도 간의 관계 연구

        유지성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Gardner가 제시한 다중지능의 하위 영역들은 만 3~5세 누리과정의 구성 영역 및 목적과 유사한 방향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따라 구성된 실내흥미영역에 대한 선호도와 유아의 다중지능 유형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누리과정의 목적인 조화로운 발달에 대한 내용이 실내흥미영역에 반영되어 누리과정의 목적이 적절한 방향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효과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중지능의 특성을 유아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교육에 적용·연계하는 것에 대한 효용성의 근거를 마련하고, 유아의 강점, 약점 지능을 파악하여 각 유아에게 맞는 개별적 교육 및 균형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다중지능 유형과 실내 흥미영역 선호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개별적 특성이 놀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5, 6세 유아 총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유아들의 다중지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EBS유아다중지능검사를 이용하였고, 유아들의 실내흥미영역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자유선택활동 기록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다중지능 검사 지는 EBS표준화심리검사 연구소로 보낸 후, 1차적으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다음, 1차 자료 분석 결과와 연구자가 조사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실시 및 Pearson의 단순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중지능 유형의 차이를 설펴본 결과, 여아가 남아에 비하여 모든 지능 유형이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실내 흥미영역 선호도 차이에서는 쌓기영역, 미술영역, 역할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중지능 유형 간의 상관분석을 살펴보면, p<.001 수준에서 모든 지능이 서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내흥미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쌓기영역과 미술영역, 쌓기영역과 음률영역, 쌓기영역과 역할영역, 수·조작영역과 역할영역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다중지능 유형과 실내흥미영역 선호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에 따르면, 음률영역과 음악지능, 수·조작영역과 논리수학지능, 과학영역과 자연친화지능, 언어영역과 언어지능, 언어영역과 논리수학지능, 언어영역과 대인간지능, 언어영역과 자기성찰지능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쌓기영역과 대인간지능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 유형과 실내흥미영역 선호도 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다중지능이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유아의 실내흥미영역 선호도의 분석결과는 누리과정의 내용이 실내흥미영역에 적절히 반영되었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표가 될 것이며, 성별에 따른 유아들의 놀이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실내흥미영역 선호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자유놀이 시, 또래관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과 유아의 놀이참여에 실내흥미영역의 환경적 배치가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모형 및 유형 예측 AI모델 개발

        유지성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모형을 개발하고 구성요소 및 내용 분석을 통해 스마트교육 통합환경의 구인과 구인의 타당성을 위한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타당화된 평정척도를 활용하여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유형 예측 AI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모형 개발을 위하여 스마트교육을 지원하는 통합환경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연구논문 데이터분석)와 현장의 실천적 근거(전문가 델파이분석)를 분석하여 스마트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개발된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모형을 통해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평정척도 예비문항을 추출하고 예비검사와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문항으로 평정척도 검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타당화 과정을 거쳐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평정척도를 확정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유형 예측 AI모델 개발은 데이터마이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개별 유아교육기관의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유형을 예측하고 유형의 장단점을 분석하도록 설계되었다.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모형의 개발 방향은 ‘21세기를 살아갈 유아들이 협업과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성을 높이며 바른 인성을 함양하도록 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모형의 구성요소는 생태·인프라 환경요소, 물적·기술적 환경요소, 인적 환경요소, 안전·돌봄 환경요소 등으로 추출되었다.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평정척도는 생태·인프라 환경 4문항, 물적·기술적 환경 4문항, 인적 환경 3문항, 안전·돌봄 환경 3문항, 평가관리 및 보안 2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통합환경 유형 예측 AI모델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정척도의 점수를 통해 유형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프로세스로 구성하였으며 Test and Score 분석 결과 유형 예측 결과가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del of an integrated environment for sm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develop a rating scale for the validity of recruitment and hiring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for smart education through component and content analysis. In addition, the validated scale was used to develop and apply an AI model for predicting the type of integrated environment of sm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model of integrated environment for sm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2. How is the evaluation scale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 of sm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3. How is the AI model for predicting the type of integrated environment of sm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order to develop a smart education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 analyzed theoretical evidence (data analysis of research papers) and practical evidence (expert Delphi analysis) on how an integrated environment supporting smart education should be, and developed a smart education model. In addition, through the developed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model, we extracted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rating scale and conducted preliminary tests and content validity analysis. After testing the scale with the first question, the scale was finali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The development of an AI model for predicting the type of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designed to predict the type of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in individ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a data mining program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yp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Model is that it should be built to solve problems, increase creativity, and cultivate good character throug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for children who will live in the 21st century, and the components of the model are extracted as ecological and infrastructure environment factors, physical and technical environment factors, human environment factors, and safety and care environment factor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Rating Scale was developed with 4 questions on ecological and infrastructure environment, 4 questions on physical and technical environment, 3 questions on human environment, 3 questions on safety and care environment, and 2 questions on evalu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and was found to be valid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AI model for predicting the type of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s composed of a process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the type through the score of the rating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test and scor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ype prediction results are accurate. Key words : smart education, integrated environment of smart education, text mining, data mining, AI algorithms, type prediction AI model

      • 대전광역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유지성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세기에 있어서 우리 나라 산업화시대의 도시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은 주택산업과 정부 중심의 논리로 전개되어 왔다. 특히 도시재개발에 있어서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규모 주택수요가 있는 곳은 재건축사업이나 주택재개발사업, 그리고 전면철거방식의 주거환경정비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재개발사업이 전개되었다. 재개발사업은 철저하게 시장성과 사업추진의 용이성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따라서 고층의 공동주택방식과 전면철거방식이 재개발사업의 두 축을 이루어왔다. 이제는 1980〜90년대에 이루어진 재건축재개발단지를 다시 재개발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고 있다. 인구감소시대가 목전에 다가온 시점에서 또 다시 용적율의 확대를 매개로 하는 비즈니스식 재개발사업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우리 나라의 주택재개발방식은 사업추진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도모해야 하는 시기가 되었다. 주택정책의 공공성 제고와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지난 1988년 ‘도시저소득주민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임시조치법’을 근거로 사업이 시작되어, 20년이 넘도록 낙후된 도시내 주거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전면철거방식에 의한 사업 추진, 원주민의 재정착율 저하, 도로 등 기반시설과 물리적 주거환경에만 중점을 둔 사업내용 및 지역거버넌스의 참여 부족 등으로 인하여 종합적인 주거지역의 재생에는 한계를 보여 왔던 것이 사실이다. 즉, 물리적 재정비에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사회적 재정비의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주택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과거와는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주택, 특히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강했던 것은 사실이다. 자산 증식의 과정으로써, 편리한 주거생활의 공간으로써 아파트는 그야말로 온갖 투기의 온상이었었다. 그래서 역대 정부마다 이를 근절하기 위해서 각종 부동산 대책들을 내놓았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오면서 이러한 과거의 생각들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은 주택에 대한 선호 의식이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우선 어려운 경제상황과 가구당 인구 수가 감소함에 따라, 과거와 같은 중대형의 주택보다는 중소형의 주택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 정부에서도 이에 부응하여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주상복합아파트 등과 같은 공급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즉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권 중심지역에 컴팩트시티를 조성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광역 대도시인 대전의 경우에도 비슷한 양상을 띠면서 따라가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실태를 파악하여 보고, 이로부터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개선 방안을 찾아보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의 범위로써, 내용적으로는 이러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이론적으로 살펴 보고, 대전시의 주거환경정비사업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업추진과정에서의 문제점들은 무엇인지를 찾아 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전시의 주거환경정비사업에 있어서, ① 현지개량방식의 문제점은 첫째, 저소득층의 주택개량 여력의 부족으로 양호한 주택 확보 및 주거환경개선 보다는 개발이익 위주의 과도한 개발이 이루어고 있다. 둘째, 건축법 특례조치에 따른 건축기준 완화로 인한 과밀개발로 일조권 및 프라이버 확보 곤란, 주차장 부족 등 도시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셋째, 사업비의 도로개설 및 상하수도 등 일부 기반시설 설치에 편중되고, 공공의 편익시설 등의 투자가 미흡하다. 공동주택방식의 문제점은 첫째, 철거개발로 인한 주민의 재정착률이 매우 낮다. 둘째, 사업성을 위한 분양주택 중심의 획일적인 공급으로 다양한 주택수요 및 주택규모의 중형화로 공공지원의 당위성이 저감되고 있다. 셋째, 주변의 단독주택지와의 경관상 부조화 및 일조 등 도시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②주택재개발사업에 있어서 문제점은 첫째, 구릉지 등 지형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 및 층수(層數) 계획의 부재로 경관상 주변지역과의 부조화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사업지구 내에서 확보해야 할 기반시설의 종류 및 면적을 달리 규정하고 있어서 사업성의 이유로 최소한의 기반시설만 확보하고 있다. 셋째, 개별 구역단위의 사업 시행으로 필요한 기반시설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넷째, 낮은 재정착률 및 주변 주택지와의 단절된 단지 조성으로 지역 커뮤니티가 붕괴되고, 주거환경이 불량화되고 있다. 다섯째, 부정형의 사업구역 및 소유권, 주민의사 양분 등으로 사업시행이 장기화되고 있다. ③주택재건축사업에 있어서 문제점은 첫째, 재산증식의 방법으로 주민에 의한 사업추진 의지가 확대되고 있으며, 고층아파트 선호로 인한 획일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둘째, 사업성에 의한 소규모 및 과밀개발로 인해서 주변의 기반시설이 부족하다. 셋째, 조합 중심의 사업시행으로 시공사 선정 등 개발이익 배분시 갈등으로 인한 사업기간이 장기화되고 있다. 넷째, 고밀도 개발에 따른 주변지역의 일조, 프라이버시, 경관 등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④기타 문제점은 첫째, 과거에 시행된 토지구획정리사업의 완료지구는 대부분이 4〜6m의 도로로 구획되어 있고, 주거지 내의 주차장 부족으로 심각한 주차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노상주차로 인한 화재 등 재해에 취약함을 보이고 있다. 둘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지역에 있어서 현지개량방식으로 이루어진 지역은 공공의 한정된 기반시설의 공급으로 자력의 주택개량에는 한계가 있어 향후 공공재원의 재투입이 예상된다. 기존의 노후불량주택지의 정비사업 시행시에 있어서 개량건축물의 비율 감소로 주민의 재정착률 및 세입자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대전시가 주거환경정비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개선방안을 찾아 본다면 첫째는 도시디자인적 측면에서 주거공간을 배치한다. 도시의 무질서한 주거공간의 확산을 막고, 도시가 전체적으로 아름답고 기능적인 인간 활동의 동선 구조가 되도록 주거공간을 배치하여야 한다. 둘째는 도심지에 소형의 주거공간을 집중 배치하여야 한다. 앞으로 도심지를 집중적으로 재개발하여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기함과 동시에, 시민들도 편리한 생활서비스시설들이 집중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도심지를 향하여 소형 주택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중생활권을 역세권과 연결하여 뉴타운식 개발을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대전과 같은 대도시는 하나의 도심지로써 그 기능을 다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더구나 주변의 8개 시‧군까지의 중심지 기능을 한다면 더욱 그렇다. 그러면 부도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중생활권 20여개 정도를 조성하되, 역세권과 잘 연결하여 주거공간도 이곳에 집중 배치하여야 한다. 넷째는 중생활권별로 특색있는 컨셉을 가지고, 매력있는 주거 및 생활공간으로 조성하여야 한다. 생활권별로 나름대로의 특색이 있는 컨셉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이 그 공간은 생명력을 가지고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주거공간만을 삭막하게 고층으로 건축하는 것보다는, 앞으로는 생활권 주민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주거와 동시에 일상생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는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시행 단계에서는 주거환경이 대체로 양호하고, 일부 기반시설이 부족한 경우에는 도시계획시설사업 등을 통하여 기반시설을 확보하도록 하여 과도한 정비사업을 억제하여야 한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할 때에 실질적인 양질의 주택공급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하여 공공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한다. 저소득 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개발이익 위주의 과도한 개발을 억제하고, 적극적으로 공공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세입자를 위한 주택 공급의 확보 방안도 적극적으로 강구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