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노인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가족지지, 사회적지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

        유은사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1980년대에 전체 연구의 3.8%에 지나지 않았던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지난 30여년 간에 걸쳐 지속적인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2010년 전체 인구의 11.0%를 차지하여 고령화 사회에 돌입하였고,2020년 에는 15.6%를 넘어 고령사회에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보건복지부,2010). 이러한 전망 속에서 우리 사회의 노인들은 퇴직 이후 역할상설과 경제적 빈곤,고독과 의료 문제(질병,노환,불안),가족 문제 등의 개인적 인 문제와 사회활동 참여의 기회 상실과 무역할 등의 사회 • 환경적인 다 양한 문제들로 인하여 자신이 주체가 되어 성공적이고 가치 있는 노후생 활을 누리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김가호,2008).따라서 노년기에 발생하는 이와 같은 신체 • 정신적 사회 • 심라적 문제 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며 이때 노인에게 가장 가까운 가족과 지역사회의 적절한 지지는 필수적이라 할 수 았다(임현정,2001)이에 본 연구는 노인이 노년기에 갖는 자아정체감에 대해 가족지지와 사회적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적 검증을 통해 규명하고 더 나아가 노년기의 삶의 질을 고양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노인의 가족지지,사회적지지,자아정체감의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지지,사회적지지,자아정체 감은 어떠한가? 셋째,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가족지지,사회적지지,자아정체감의 관 계는 어떠한가? 넷째,노인의 자아정처l감에 대한 제 변인(사회얀구학적 변인,가사회적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은 얼마인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중 의사소통 및 설문 응답에 어려움이 없는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현장에서 조사 후 바로 회수 된 400부의 설문지 중 정확하고 성 의껏 답변된 섣문지 261부(대상이 노인분들이라 현장에서 조사를 해도 사 용할 수 없는 설문지가 많았음)를 연구를 위한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가족지지,사회적지지, 자아정체감 척도의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테스트 (Cronbachalpha test)을 실시하였고,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노인의 가족지지,사회적지지,자아정체감의 정도를 살펴보가 위하여 기술통계 분 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지지,사회적지지, 자아정체감의 차이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가족지지,사회적지지, 자아정체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 석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설시하였고 가족 지지,사회적지지가 노인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조사대상자인 노인들의 가족지지,사회적지지,자아정체감의 정도 에서 먼저 가족지지는 3.59(0.67)점 이었고 사회적지지가 3.64(0.84)점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지지를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정서적.정 보적 지지가3.63(0.85)점,물절적지지가3.76(0.96)점,애정적 지지가3.63(l.08)점,긍정적 상호작용이 3.56(l.03)점으로 나타났다.그리고 노인의 자아정체감은 3.27(0.42)점이었으며 하위요인별로는 목표지향성이 3.41(0.82)점,자아존중감이3.30(0.81)점,대인관계역할인지가 3.28(0.81)점,자가수용이2.93(0.86)점,자기주장이 3.33(0.8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주된 수입원 (F=8.769),현재 같이 살고 있는 사람(F=6.893),연령(F=6.272),최종학력 (F=4.69) 에 있어서는 P<O.OO1 수준에서 과거직종(F=2.863)에 있어서는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즉,주된 수입원이 근로수입을 가진 노인인 경우,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의 경우,연령이60-64세인 노인의 경우,대졸 이상의 높은 학력을 가진 노인의 경우,파 거에 자영업을 했던 노인의 경우 가족지지 정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는 현재같이 살고 있는 사람(F 1l.320),주된 수입원(F 1l.061),연령(F 10.704),현재건강상 태(F=6.462)에 있어서는 P<O.OO1 수준에서 최종학력(F=8.398),한 달 용돈 (F=5.725),살고 있는 지역(F=5.309),과거직종(F=4.733) 에 있어서는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즉,배우자와 함께살고 있는 노인의 경우,주된 수입원이 근로수입을 가진 노인의 경우,연 령이 60-64세인 노인의 경우 건강한 노인의 경우 최종학력이 대졸이상 을 가진 노인의 경우,한 달 용돈이 51만원 이상인 노인의 경우,시에 살 고 있는 노인의 경우 과거에 자영업을 했던 노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정 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사화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은 주된 수입원 (F=7.083),종교(F=6.188),과거직종(F=6.129)에 있어서는 P<.OO1 수준에서 연령(F=5.115),현재 같이 살고 있는 사람(F=4.138)에 있어서는 P<.OOl 수 준에서 그리고 현재 건강상태(F=2.93)에 있어서는 P<.05 수준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주된수입원이 근로수입인 노인의 경우,종교를 가진 노인의 경우,과거직종이 자영업을 가진 노인의 경우,연령이60-64인 노인의 경우,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노인의 경우,건강한 노 인의 경우 자아정체감 정도가 높았다. 셋째,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가족지지,사회적지지,자아정체감 사이 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연령과 가족지지 사이에는 (r= -0.277)로 유의한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연령과 사회적 지지 사이에는 (r= -0.360)상관관계가 나타나 유의한 중간 정도의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연령과 자 아정체감 사이에는 (r=-0.251)로 유의한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최종 학력과 가족지지 사이에는 (r 0.196)로 상관크기가 나타냐 유의한 약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최종 학력과 사회적 지지 사이에는 (r=0.317)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유의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최종 학력과 자아정처l감 사이에는 (r 0.142)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유의한 약한 상관관 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 달 용돈과 사회적 지지 사이에는 (r=0.243)로 상관 크기가 나타나 유의한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현재 건강상태와 가족지지 사이에는 (r=0.156)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유의 한 약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재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사이에는 (r=0.282)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유의한 약한 상관관계가 있으며,현재 건 강상태와 자아정체감 사이에는 (r=0.198)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유의한 약 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였다. 사회적 지지와 가족지지 사이에는 (r二0.676)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 사이에는 (r二0.463) 로 상관 크기가 나타나 유의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지지와 자아 정체감 사이에는 (r=0.571)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조사대상자인 노인의 가족지지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 이 높았으며,사회적지지가 많을수록 자아정체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노인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제 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의 1 단계로 현재 건강상태,성별,연령,한 달 용돈,최종 학력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아정체감을 종속변인으로 한 화귀식은 (R2 =.091,F=5.078,p<.OOl) 로 9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연령(β -.220,p<.01),현재 건강상태(β .135, p<.05)가 95% 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마치고 있으 며,연령(β= -.220,p<.01)가 95%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연령이 적을수록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을수 록 노인의 자아정체감은 높아지고 았다. 다음으로 1단계 화궈식에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를 추가한 2단계에서는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설명력이 (R2 =.357,F=20.028,p<.OOl) 로 99.9% 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회귀식의 설명력은 35.7%로 냐타나,가족지지,사회적 지지가 자아정 체감에 대한 영향력이 26% 정도 증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지지의 정도는 자아정체감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가족지지(ß =.476,p<.OOl)가 99.9%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노인의 자아정체감은 가족지지가 많을수 록 높아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가지고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 및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정책적인 대안이 요구 되며 자아정체감에 대한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가 구체적이 고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자아정체감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노인들 중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은퇴 이후 노년가가 길어지고 있는 현재 특히 노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며 노인 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사회적 만족뿐만 아니라 노인 자신의 만족 즉,사 회적지지,가족지지로 이끌 수 있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그라고 본 연구에서의 결론으로 노인의 자아정제감에 대한 가족지지,사 회적 지지의 영향이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노인들이 자아 정체감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족지지 사회적지지가 삶을 영 위해 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조사 지역이 전남으로 국한되어 이루어진 바 본 연구 결과를 전국적인 연구결과로 일반화 할 수 없음을 제한점오로 여기며 향 후 전국적인 규모의 조사가 이루어져 광범위한 표집에 의한 객관적인 후 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