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 경로모형 분석

        유미옥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아청소년과 간호사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며 스트레스를 지각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 간호수행에 문제를 일으켜 환아 부모와의 협력적 관계 및 아동간호의 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소아청소년과 간호사가 스트레스를 어떤 과정을 통해 대처하고 있는지 이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설명하고 중재법 개발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기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과 간호사가 업무적인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이 포함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변수들 간의 경로를 검증하여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를 설명하는 타당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스트레스-대처-적응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해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간호근무환경, 감정성향의 2개의 외생변수와, 업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간호사-부모 파트너십과 대처를 포함하는 4개의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는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까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지역의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총 16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소아청소년과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불충분한 자료 10부를 제외한 최종 244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²=.033(df=1, p=.855), normed x2=.033, GFI=1, CFI=1, NFI=1, IFI=1, RMR=0, RMSEA=0으로 모든 적합도 지수가 모형 적합도의 권장수준을 만족하였으나, 간명한 모형을 위해 모형을 수정하기로 하였다. 2. 모형의 수정은 사회적 지지에서 업무스트레스로의 경로와 간호근무환경에서 대처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이 두 경로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수정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²=1.661(df=3, p=.646), normed x2=.554, GFI=.998, CFI=1, NFI=.992, IFI=1, RMR=.003, RMSEA=0으로 모형 적합도의 권장수준을 만족하며 모형이 가설적 모형보다 간명한 모형이 되어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으며, 최종모형에서 설정한 11개 경로에 대한 가설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감정성향, 업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간호사-부모 파트너십은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처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5%였다. 4. 간호근무환경은 업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간호사-부모 파트너십을 매개변수로 하여 대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감정성향, 업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간호사-부모 파트너십은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사회적 지지와 간호사-부모 파트너십은 간호근무환경을 매개하여 다양한 유형의 대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매개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관리자들은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다양한 유형의 효율적인 대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급자와 동료간호사의 지지적인 체계를 구축시켜야 할 것이며, 간호사가 부모와 파트너십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여성 운전자에 관한 온라인 뉴스가 수용자의 고정관념(stereotype)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미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정관념(stereotype)’은 특정 개인이 비슷한 속성을 지니는 집단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개인의 개성을 특정 범주로 귀속시키는 관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성 고정관념(gender stereotype)’은 성별에 따라 형성되는 편견이다. 세계적으로 남녀평등과 관련된 문제는 심각한 갈등사안으로서 논의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여성 운전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여성 운전자에 대한 ‘성 고정관념’은 꾸준히 논의되는 성불평등 문제 중 하나이다. 여성 운전자에 대한 ‘성 고정관념’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형성된 ‘성 고정관념’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는 미디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거브너의 문화계발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미디어가 만든 유사환경은 직간접적으로 사람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편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미디어 환경도 다채널 다매체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온라인 미디어는 주류미디어로 빠르게 정착하면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온라인 뉴스는 사람들에게 뉴스 소비의 새로운 채널로 급부상하였다. 이렇듯 최근의 미디어 환경에서 볼 때, 기존의 신문, TV와 같은 전통적 미디어 뿐 만 아니라 온라인 뉴스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브너의 문화계발이론을 바탕으로 수용자의 여성 운전자에 관한 뉴스의 노출과 기억에 대해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온라인 뉴스가 여성 운전자에 대한 수용자의 고정관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 온라인 뉴스를 통해 형성된 고정관념이 여성 운전자에 대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흐름, 연구 문제,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 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24.0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운전자에 관한 온라인 뉴스를 접해본 대상자는 뉴스의 긍정적 내용보다는 부정적 내용을 더 많이 기억했다. 또한 여성 운전자에 관한 온라인 뉴스에 많이 노출된 수용자는 여성 운전자에 대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문화계발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문화계발이론의 현실구성효과가 나타나면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강해진 것이다. 그러나 여성 운전자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보다 긍정적인 내용을 더 많이 기억하는 수용자의 경우 여성 운전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성별, 학력, 여성 운전 차량을 타는 경험 등 개인적 특성도 여성 운전자에 대한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성 고정관념이 여성운전자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여성운전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성 고정관념이 부정적으로 형성된 사람은 여성 운전자에 대한 행동의도가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여성 운전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줄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수용자가 여성 운전자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은 있지만, 실제로 여성 운전자에게 부정적인 행동은 삼가는 것이다. 이는 중국에서 여성의 권익에 대해 극단적으로 예민한 페미니스트들의 영향력이 크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의 문화계발효과를 검증하고, 중국 사회에서 온라인 뉴스가 수용자의 여성 운전자 대한 성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영어 가정법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 If-clause를 중심으로

        유미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glish subjunctive mood and investigate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condition and unreal condition. This study will eliminate students' misunderstandings about the subjunctive mood and help English teachers teach it effectively. Subjunctive conditionals are selected from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from traditional grammar books frequently used in class. The following four tips are suggested to aid the English teachers in teaching the subjunctive mood. Firstly, only the past subjunctive group has to be discussed in class. The subjunctive present and future are explained in detail in traditional grammar books and classes. But the only obligatory use of the subjunctive present tense in present-day English is found in certain set phrases of a formulaic character. Most commonly, the simple present indicative is used. As for the subjunctive future, it takes the same form as the subjunctive past so it should be included with the subjunctive past. Second, even if most conditional sentences are used in the form of an if-clause, there is a distinction of meaning within each if-clause. Conditional sentences are either real condition or unreal condition. The if-clause of the real condition is truth-neutral whereas that of the unreal condition is negative truth-committed. The subjunctive indicates a greater improbability, therefore it belongs to the unre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ssibility, the proper if-clause should be used. Third, all of the subjunctive past perfect is not counterfactual. If the belief of the speaker about a counterfactual situation is weak or isn't based on proof, the subjunctive conditionals mean non-fact, not counter-fact. Lastly, there is a clear difference of meaning between subjunctive and indicative sentences. In spite of this, students have been taught to transform the subjunctive into the indicative or vice versa. But the subjunctive has a softer tone and can express emotion with more clarity compared to the indicative. Therefore, English teachers should focus on each meaning independently. The four tips presented above will help English teachers teach the subjunctive mood more easily and more effectively.

      •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미옥 충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Influences of Verbal Abuse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verbal abuse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The questionnaires for a verbal abuse developed by Nam Kyung-dong(2005), job stress evaluation developed by Lee Dong-soo(1998) and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developed by Mowday, Porter and Steers(1979)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6, 2011 to September 5, 2011. The participants were 172 nurses who had experienced verbal abuse.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for verbal abuse was 2.39±0.60(patients and guardians), 2.22±0.58(doctors) and 2.04±0.61(nurses). 'Talking down' was the most common form of verbal abuse from doctors, nurses and patients and guardians. 2. Mean score for nurses' job stress was 2.92±0.51 out of 5. Mean score for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2.89±0.57 out of 5.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ctors r=-.190, p<.05/ nurses r=-.180, p<.05 / patients and guardians r=-.221, p<.01), and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344, p<.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erbal abuse from patients and guardians and job stress (r=.301, p<.001). 4. The construction of a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ed of .091 with the patients' and guardians' verbal abuse serving as the major predictor variable for job stress among nurses (F=5.581, p<.001). 5. There was not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verbal abuse of patients and guardians has an influence on nurses' job stress. Therefore, hospital organization will be sought an effective counterplan that prevents nurses from verbal abuse of patients and guardians, reduces the job stress and increases the job involvement. Key words : Verbal abuse,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es 요 약 제목: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임의표출된 충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언어폭력 경험이 있는 간호사 17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남경동(2005)이 개발하고 구자관(2007)이 수정, 보완한 언어폭력 측정도구, 이동수(1998)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평가 측정도구, Mowday, Porter와 Steers(1979)가 개발하고 김계정(1986)이 번역한 조직몰입 측정도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8월 16일부터 동년 9월 5일까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의 주된 행사자는 환자 및 보호자(2.39±0.6점), 의사(2.22±0.58점), 간호사 (2.04±0.61점)로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언어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 간호사,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언어폭력의 형태는 ‘반말’이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2.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2.92±0.51점(5점 척도)이었고, 간호사의 조직몰입은 2.89±0.57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3.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과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언어폭력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은 낮아지고(의사 r=-.190, p<.05/ 간호사 r=.180, p<.05/ 환자 및 보호자 r=-.221, p<.01),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상자의 조직몰입이 낮아졌으며(r=-.344, p<.001), 환자 및 보호자의 언어폭력이 많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r=.301, p<.001). 4. 환자 및 보호자의 언어폭력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9.1% 설명력을 가졌다(F=5.581, p<.001). 5.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환자 및 보호자의 언어폭력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병원조직은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이를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궁극적으로는 직무몰입을 높이는 효과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주요 단어(key word) : 언어폭력,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간호사

      • 전통회화에서 나타나는 먹 번짐 및 농담을 활용한 디지털 아트 구현에 관한 연구

        유미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아날로그적인 것에서 탈피하여 점점 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해져 있다. 현재 컴퓨터나 각종 시각매체와 영상매체에서 모든 사물과 미술, 기타 예술작품들이 디지털 상에서 공감각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것들에 대한 시각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널리 대중들에게 보급되어 진다.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TV나 광고, 각종 영상매체에서 널리 표현되어진 캘리그래피나 먹을 이용한 작품들을 디지털 페인팅 작품이 만들어 지고 이를 디지털 아트 작품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상매체들로 더욱 우리에게 친숙해진 먹을 이용한 영상이나 시각 디자인들을 디지털 아트에 활용하여 전통적이면서 아날로그적인 먹의 존재를 실시간으로 라인 드로잉하여 그 안에서 나타나는 먹이 번지는 현상이나 농담의 구조 등을 표현함으로서 관객들에게 더욱 친숙한 느낌으로 작품으로서 다가서려는 시도이다. 앞서서 공학 분야에서는 피지컬적인 현상을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활용하여 좀 더 사실적이고 실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현상들을 시각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붓 터치감을 실제 현상에서 나타나는 먹 번짐 현상, 농담 표현 분류하고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디자인적 관점에서 붓의 조형을 파악해 보고 하나의 타원으로 구성하여 도식화된 붓 터치의 느낌을 표현한다. 이는 단순히 붓 터치의 느낌만을 표현한다기보다는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아트에 시도하여 작품에서 나타나는 실시간 라인 드로잉을 통하여 붓 터치의 느낌이 미학적인 조형성을 갖추어 가는 과정을 관객이 함께 느낄 수 있는 작품을 만든다. 최종결과물을 통하여 하나의 도식화 되어진 붓 터치감이 표현되어지는 것에 대하여 표현한다. People who live in the modern digital society are increasingly accustomed to the digital environment by getting out of analog one. Every sort of visual and image media including computer digitally handles with all the things such as painting works and other artistic works in a manner of synesthesia. Visualization for these things is carried out in a variety of manners and then distributed to the public broadly for the present. Digital painting works are created in the use of calligraphy or Oriental ink for TVs, advertisements or various visual media with which the public could easily contact. In this regard, digital art works seems to be increasingly utilized. It is because Oriental ink-used images or visual designs are familiar to the modern people. Therefore, by expressing the phenomena of diffusion or shading of Oriental Ink on the basis of real-time line-drawing of traditional and analog existence of Oriental ink, the digital art works attempt to approach audience in a more familiar manner. In this vein, preceding stud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focusing on the visualization of physical phenomena which are realized in a more real and actual situation using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actual sense of brush touch into the diffusion phenomena and shading expressions of Oriental ink and then examine it in detail.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formativeness of brush from the aspect of visual expression-oriented design and then expressed the sense of schematized brush touch by composing it as an oval. It is not because the investigator wants to express the simple sense of brush touch but because the investigator attempts to create a work with which audience can feel the process of aesthetic formativeness of real-time line-drawing-oriented sense of brush touch of an artistic work.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or presents the process of schematized brush touch through the end product.

      • 축구 선수 특성에 기반한 팀 전력 다각적 시각표현

        유미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Soccer is one of the most entertaining and popular sports around the world, and also it is very interesting from the scientific point of view. Most of the research in scientific research is related to soccer matches and game play analysis. In our paper, we propose a novel system for team performance analysis and visualization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a team and concentrat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and their team based on player transfer data. Our system visualizes a single player performance, team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different teams, and time varying changes of team characteristics. Analized data is presented in two seperate ways. Firstly, the system creates a pixel grid visualization which presents every playe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team. Secondly, a horizon graph is used to present how team characteristics change over time due to the player transfer. Such an approach allow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layer transfers on team characteristics in a very simple and easy way. Recently, many methods studies to scientifically collecting soccer data for performance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players, teams, and matches. However, most of them focus on visualized analysis of matches using match contents, and simple curves or pie charts on player movements. Some of the attempts on detailed analysis of match contents include that of H. Janetzko et al. on visualization based on instantaneous velocity of a single player and special events in a player movement, and that of C. Perin et al. which offers a search interface for insights into specific team plays between players during matches. Most visualized analysis researches using the conventional soccer data are centered around visualization of matches to examine actual player movements and strategies on the field. In other words, currently there is no known study on visualization of player performance centered on players, teams, team strengths, team comparisons, and changes in strength after substitutions,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ethods simply based on matches. The study here proposes a visualization system specialized in transfers based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by Robert Spence [7] and graphic semiology by Jacques Bertin [8], by modifying and expanding the pixel-grid method and horizon graph method. Utilizing the pixel-grid method, the value of each attribute is described in pixels, the performance of a player is expressed in a list of the attribute-pixels, and the team performance is built with the player performances shown in the pixels for an ultimate visualization in a 2-dimensional pixel grid. Also, the visualized team comparison is portrayed by deducting each pixel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two pixel-grids resulting from the visualizations of the two teams. For a visualization of the performance changes per the roster changes and transfer in a specific team with respect to time, many graphs, each representing the team visualization during a certain period, are piled up together and blended to show the entire flows in a glance. 축구는 전 세계 인구의 4% 이상이 즐기고 있는 스포츠로서, 유럽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의 시청자 수는 약 2억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독일 분데스리가의 평균 관중 수는 43,543명에 달하고 있다. 프로 축구 5대 리그(UEFA rankings for club)의 각 팀은 - 총 98개의 팀은 전술과 전력 보강을 위한 선수 이적을 시행하는데, FIFA TMS (이적 매칭 시스템)를 통해 일 년에 두 번씩 각 석 달간 이루어지고 있는 이적 시장 기간 동안 계약기간이 끝난 선수들을 영입, 또는 이적기간 상관없이 이적 할 수 있는 신분인 프리 선수들을 영입하기도 한다. 국제 축구 연맹에 등록된 선수 약 265만 명 중에서, 약 5,000명(남자선수만)의 선수가 일 년간 팀을 이적하였고, 빅 5 리그 중 2014 여름 시즌에만 773명의 선수가 이적했다. 2015년 전 세계 구단이 지급한 이적료는 41억 8000만 달러에 달해 2011년보다 44% 늘어나, 4년 만에 시장 규모가 50% 가량 성장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이적 시장의 규모는 점점 거대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축구 데이터를 과학적으로 획득하여 선수, 팀, 경기를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각화 및 분석관련 연구들은 경기 내용과 선수 움직임에 대한 간단한 곡선이나 파이그래프 등으로 표현하는 경기 시각분석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H. Janetzko et al.는 싱글 플레이어의 순간 스피드 시각분석과 선수 움직임의 특정 이벤트 행위를 기반으로 한 시각분석 연구를, C. Perin et al.는 경기 내에서 선수 간의 특정한 팀 플레이의 인사이트를 찾는 인터페이스를 분석가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경기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사례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축구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분석 연구들은 경기 위주로 시각화하여, 경기장에서의 실질적인 선수의 움직임과 전술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래서 기존의 경기 중심 시각분석이 아닌 선수와 팀 중심의 플레이어 퍼포먼스, 팀 전력, 팀 간 비교, 선수 변경 시의 팀 전력 등의 시각화 방법 등은, 알아본 바에 의하여, 없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팀 구성과 성공적인 이적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다차원 데이터를 한 눈에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신속한 분석이 가능한 시각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다차원의 정보 속성을 가진 선수와 팀, 이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중요하다; 1)선수 개인의 퍼포먼스를 나타내는 attributes 항목별 능력치가 각 각 보이면서, 팀 구성원으로서의 기여도를 파악; 2) 팀의 20~21명 가량의 선수들을 포지션별로 분류하고 그룹핑하여, 전체 팀의 전력을 한 눈에 보면서도 각 그룹별(포지션에 따른) 성향 또한 구분; 3) 서로 다른 팀 비교가 용이; 4) 이적 이벤트에 따른 팀 전체 전력적 변화 양상. 따라서 싱글 플레이어 퍼포먼스, 팀 전력, 팀 비교, 이적 시장 기간 동안의 팀 전력 변화 흐름을 표현 할 수 있는 시각 분석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로버트 스펜서의 비교시각화 이론과 자크 베르탱의 그래픽의 기호학 이론에 기반하여, pixel-grid 방법과 horizon graph 방법을 수정 확장하여 이적 시장 맞춤형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픽셀 그리드 방법을 활용하여, 각 능력항목의 값을 픽셀로 표현하고, 한 선수의 performance를 능력항목-픽셀의 나열로 표현하고, 팀의 performance를 일련의 픽셀로 표현한 선수 시각화의 쌓아나감으로써 결과적으로 2차원 픽셀 그리드로 시각화한다. 또한, 팀 비교 시각화는 양 팀의 시각화 결과인 두 개의 픽셀 그리드에서 서로 대응하는 각 픽셀을 차분하여 묘사한다. 특정 팀의 선수교체와 이적에 따른 performance 변화를 시간의 흐름과 연관하여 시각화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그래프, 각각은 특정 시간대의 팀 시각화를 중첩하여 블렌딩함으로써 한 눈에 흐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의 이중매개효과

        유미옥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S시에 거주하는 29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SPSS PC+ Win.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Sobel’s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macro PROCESS 모델 4를 활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직렬 이중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을 이용하였으며, 검증 시 부트스트랩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hope and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on 290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do.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17,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PC + Win. 21.0 for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SPSS macro PROCESS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dual mediation effect. The dual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 The number of bootstrap samples was set to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to 95%.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higher in university graduate group than in graduate school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ion group.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hope of mediating variable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es, and respondents of Christian were higher than non-religious students. The growth mindset was higher among graduate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growth mindset, hope and happiness of children. Especially, the growth mindset and hop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s of control variables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 's happiness. Fourth,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child 's happiness through hope. Fif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Six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hopes and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 - do, so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urvey area.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sampling the mothers nationwide.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consists of affectionative, rejective, autonomous, and controlled attitudes in sub - domains, but in this study,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the double mediated effect is analyzed for each subtyp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hope and growth mindset as mediators. In addition, man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grit have been reported,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happiness by using these variables in the follow - up study.

      • 개인사업자의 종합소득세 신고소득률과 회계 계정과목과의 관계 : 비용항목을 중심으로

        유미옥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인사업자의 종합소득세 신고 자료와 회계장부를 바탕으로 신고소득률과 회계 계정과목과의 관계를 비용항목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인사업자의 필요경비를 주요경비와 기준경비로 구분하고 각 요인이 개인사업자의 신고소득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한 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주요경비는 매입비용‧인건비‧임차료의 합계금액으로 정의하였으며, 기준경비는 질적 및 양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복리후생비, 기타판매비와관리비, 지급수수료, 소모품비, 기타비용 총 5가지 계정과목으로 범위를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요경비는 신고소득률과 음(-)의 관계를 보이므로, 주요경비가 높을수록 신고소득률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준경비의 경우 계정과목별로 차이를 보였다. 복리후생비, 기타판매비와관리비, 기타비용dms 신고소득률과 음(-)의 관계를 나타냈으나, 지급수수료와 소모품비는 신고소득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보였다. 셋째 전체표본 중 당기순이익이 양(+)인 흑자표본을 대상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리후생비, 지급수수료, 소모품비에서 추가분석을 통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급수수료는 흑자표본인 경우에 해당 계정과목을 통해 소득금액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고, 소모품비는 다른 계정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세회피와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본수집의 한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신고소득률과 재무적 요소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과세관청이 사후검증 및 세무조사 시 신고 자료의 성실성을 분석하는 지표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것을 제안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미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ich effects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y has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aimed to be identified. Does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y have upon improvement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cognitive, emotional, social, physical self) and Will there b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young children's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otally 60 people with 30 children aged fully 4 and 5 who are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and 30 children aged fully 4 and 5 who are attending B child care center in Geumcheon-gu of Seoul. Through pre-test, young children's self-concept homogeneity was confirmed. After applying experimental tool,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A test tool was used a self-concept test tool for young children that was made by Lee & Goh (2013, inedited). An experimental tool was used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y and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age fully 4, 5.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Win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ecu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y was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improvement level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than young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ith execution of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age fully 4~5. In other word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results of cognitive self, affective self, social self, physical self, and total self test. Second,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y was confirm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self-concept of all children aged fully 4 age 5. However, a differential effect wasn't shown between fully 4 and 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y was identified to have been a program that brings about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Hence, the operation of curriculum at child care center through forest experience activity will become an effective program for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based on each age.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로 숲 체험 활동은 유아의 자아개념(인지, 정의, 사회, 신체자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각 연령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가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금천구에 위치한 A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4세, 5세 유아 30명과 B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4세, 5세 유아 30명 총 60명 이었으며 사전 검사를 통해 유아의 자아개념을 측정하여 동질성을 확인 한 후 실험집단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이경화, 고진영(2013, 미간행)이 제작한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도구로는 오감각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과 만4세, 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9.0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만 4~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유아들 보다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적 자아, 정의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총 자아 검사결과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숲 체험 활동이 만4세, 5세 모든 유아들에게 자아개념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만4세와 만5세간의 차별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오감각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 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오감각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을 통한 어린이집에서의 교육과정의 운영은 각 연령별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을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