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嘯齋 卞鍾運의「角저少年傳」에 관한 文藝的 考察

        유권석(Yu Kwon-Sek) 우리문학회 2006 우리文學硏究 Vol.0 No.19

        This study investigated its qualities as biographical literature, based on the text of "The life of Gakjeo" written by Jongwoon Byeon with the pen name of Sojae, who is one of representative novelists of civil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Most of preceding researches on The life of Gakjeo has discussed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a novel rather than a documentary literature. The life of Gakjeo certainly shows some difference from other biographies in terms of its content and form, and yet it has a typical aspect of biography in terms of its motive and descriptive structure. That means, it is easily found everywhere in the life of Gakjeo that the story has several characteristic qualities as biography, with respect to 1) its motive, 2) realization of the didactic by a storyteller, and 3) biographic elements embedded in the descriptive structure. Thes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of Gakjeo result from the manner of writer's explaining a story told by many other people about a single happening occurred over a short time, which is an aspect of documentary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Externally, it is like a simple novel in the way of solving conflicts between main figures, but internally, the story well recontextualized a happening arose between heroic characters with physically strong power. In this sense, Sojae achieved success in showing more authenticity than that of real story. In conclusion, The life of Gakjeo has biographic qualities in that it represented the heroic deeds in a narrative way that a boy, named Gakjeo, having an excellent power solves citizen's difficulties through Korean wrestling and realizes their communal good.

      • KCI등재후보

        近代 歷史小說의 스토리텔링 樣相 硏究 : 「南怡將軍實記」를 중심으로

        유권석(Yu Kwon-Seok) 중앙어문학회 2010 語文論集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tory-telling trends in modem historical novels,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A History of General 남이' and its special characteristics on the creation of a new form of story-telling. The dramatic life of General 남이 has received attention due to the tragic life of the hero. He has been well known from 'A History of General 남이', an older type of historical novel, since the 1920's. The main reason why his story attracts attention is the coincidences between his whereabouts and the circumstances of his times. On the one hand, readers were thought to be attracted by the dynamic development of events and his great abilities and on the other hand by his tragic dea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A History of General 남이', I have identified three elements that we can also find in today's story-telling. First, the modem historical novel has a realistic story development based on records and documents. This realism is only possible within a historical novel that adheres to the truth. Second, the hero is extraordinary and the novel embodies his fateful love. Third, it is a story of god versus evil with a tragic ending. These elements of the story were inspired by those same characteristics of 'A History of General 남이'. Today,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History of General 남이' are very meaningful at a time when cultural contents based on historical truth have come under a critical spotlight.

      • KCI등재

        <져부인젼>에 수용된 부(富)의 관념과 여성의식(女性意識)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0 동양문화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져부인젼」을 텍스트로 삼아 부의 축적에 내재되어 있는 관념과 여성의식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져부인젼」은 규방가사에서 고소설로 장르 전환이 이루어진 작품으로 열녀인 져부인과 악녀인 뽈똥어미를 등장시켜 복선화음이라는 주제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두 여성의 상반된 행위는 재물의 축적 여부에 따라 행복과 불행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부의 축적 여부는 이 작품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의 축적에 내재되어 있는 관념을 살펴보면 이상적인 열녀의 조건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점과 선행의 동기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찍이 열녀는 수절이나 순절, 절사를 통해 일부종사한 여성에게 부여되던 용어였다. 그러나 「져부인젼」은 이러한 전통과는 다른 새로운 열녀상을 제시하고 있다. 즉 단기간에 많은 부를 축적하여 적빈한 가문을 일으킨 져부인을 이상적인 열녀로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관념과는 다른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부의 축적은 유교에서 권장하는 선을 행하여 공덕을 쌓아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나눔과 공존에 기초한 교화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의 축적을 통해 져부인이 보여준 인간다운 삶의 실현은 가부장제사회에서 출가한 여성들에게 가해진 뿌리 깊은 차별을 극복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부녀자들은 재물을 모으고 자식과 남편을 뒷바라지하는 등 집안을 일으키는 실질적인 주체로 활약하고 있지만 제도적 모순으로 인해 단지 남성들을 위한 조력자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노복보다도 못한 존재로 취급되고 있는데, 축첩제도로 인한 비참한 가정의 제시는 여성들에게 가해지는 차별의 시정을 주문하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The study deeply considers what wealth means and female consciousness based on [Jeobuin-jeon]. Basically, the [Jeobuin-jeon] realizes Didacticism by casting two characters ‘Jeobuin’ who is a virtuous woman and ‘Bbulddong-ami’ who symbolizes evil. On the basis of that concept, the different results coming from how much they accumulate wealth represent outwardly virtues but also it is the point to fully understand the real message in this novel. From that point of view, [Jeobuin-jeon] presents conditions for being virtuous women and the way to approach goodness in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Jeobuin-jeon] shows a fact that women are denied because of Confucianism in the process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irtues in accordance with saving or wasting wealth. Shortly, women are granted limited role being a supporter for men on account of disadvantages in the social system even though they actually save wealth and lead men make a success as a main character in a family. These advantages reveal miserable life of women and also appeal paradigm shift toward the system so as to induce new recognition about status of women with criticizing the flawed social system.

      • KCI등재

        『의암집(毅菴集)』 소재(所在) 인물전(人物傳)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8 No.-

        이 논문은 『의암집』에 수록되어 있는 14편의 인물전을 대상으로 구성방식과 유형적 특성, 예의 회복과 현실인식, 문학사적 의미 등을 고찰해 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14편의 인물전을 분석해 보면 충 · 효 · 열 · 의라는 4가지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작품들의 구성방식을 살펴보면 대체로 인물전이 추구하는 도입부-서두부-전개부-결말부-논찬부의 5단 구성을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4편의 작품을 내용에 따라 분류해 보면 烈行에 관한 작품이 6편이며 충과 관련된 작품이 3편이다. 또한 효행이 2편이며 의와 관련된 작품이 1편이다. 아울러 효와 열이 함께 나타나 있는 작품이 2편인데, 이러한 경우 열행에 관한 작품이 최대 8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성별로 구분해 보면 여성은 9명이며 남성이 5명으로 여성이 더 많이 등장한다. 신분으로 보면 지체 높은 명문거족보다는 노비와 평민, 평범한 반가의 부녀자를 주 대상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죽음의 형태를 보면 순절과 총살, 책형 등 비극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작품 중에는 「소숭자전」과 「열녀사비연덕전」과 같이 길게는 200년 이상 짧게는 50년 전의 인물을 입전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의암이 활동할 당시 유교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약해진 상황에서 이를 부각시키기 위해 부득이하게 차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14편의 작품에 빠짐없이 실려 있는 논찬을 보면 풍속에 대한 경계와 교육을 등한시 하는 세태를 지적한 경우, 외세의 악행을 예를 통해 극복하고자 한 경우, 열녀의 죽음에 대한 유학자로서의 소회를 밝힌 경우 등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의암이 남긴 14편의 인물전을 문학사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유추해 보면 첫째, 여성들과 힘없고 가난한 민초들을 입전하여 인물전의 지평을 확대하고 있으며 둘째, 논찬을 활용하여 당면한 현실 문제를 피력하는 차별화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유교적 가치관에 입각한 인륜의 회복과 인간다운 세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교화에 대한 의지를 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considers a format, characteristics of type, recovery of the propriety, awareness of reality and the meaning in history of literature based on 14 biography sequels in 『Wuiamjip』. It maintains loyalty, filial piety, manners and justice until the end in analysis of 14 biography sequels in 『Wuiamjip』. The sequels are composed 5 steps [introduction-beginning-development-end-comment] which follow an typical type of biography. There are six sequels for manners, three sequels for loyalty, two sequels for filial piety and the rest one for justice by classifying it. In particular, two sequels have both filial piety and manners in which two manners comprise 8 sequels the most in 『Wuiamjip』. Male appears five and female appears nine that male appears 4 people more than female by sexual distinction. It is found that the main characters are mostly servants, commoners and normal women than the nobility and the forms of death are mainly followed to be such as dying for chastity, execute by firing squad or crucifixion. There are few cases like 『Sosungjajeon』 and 『Yeolnyesabiyeonduckjeon』 related to people who lived before minimum 50 years or maximum 200 years that it is used unavoidably to enhance the weaken awareness of the value for Confucianism at the time of Wuiam. In every comment of 14 sequels, it includes the case of precaution against richness, the trend of less concern for education, overcoming evil conduct from foreign influence through the manners and Confucian scholar`s impression about the death of a virtuous woman. In the view of history of literature, 14 biographies of 『Wuiamjip』 has three significance. First, it expands the range of the biography by choosing female and poor people. Secondly, it shows distinguished composition through the comments expressing faced actual issues. Thirdy, it has the will to reform and realize the human-centered society based on the Confucian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가전체고소설 「해의국사」에 나타난 寓意性과 주제의식 연구

        유권석 ( Yu Kwon S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 동양문화연구 Vol.36 No.-

        「해의국사」는 가전체고소설로 17세기에 활동했던 금곡 박상연의 작품이다. 2007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된 후 언론 보도와 후속 연구들이 있어왔는데, 이 논문에서는 우의성과 주제의식이라는 측면에서 「해의국사」를 창작한 의도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했다. 박상연은 숙종 당시 국정을 쇄신하고자 만언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인물이다. 관직을 떠난 후 한때 서해를 주유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 김을 비롯한 해초를 접하며 「해의국사」를 창작하게 된 계기가 마련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김을 천자로 의인화하여 「해의국사」를 지은 배경에는 숙종의 정치 행위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문제 삼은 것은 바로 군왕의 자질이다. 해의국을 다스리는 짐 천자는 사해에 명성이 자자했지만 자만심이 강하며 예절이 침중하지 못했다. 또한 관대하고 후한 역량이 부족했으며 불법을 믿고 승려를 가까이 했다. 이러한 짐 천자의 자질은 반란의 원인이 되었으며 결국 나라가 망하는 단초를 제공했다. 여기에서 짐 천자의 자질 문제는 어린 나이에 등극했던 숙종의 정치 행태를 빗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신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나 있다. 변방 신하인 강동왕 하순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진압 작전을 구상하고 맞서 싸운 것은 승상 감태와 장수 곽동 같은 짐 천자의 신하들이었다. 그리고 전쟁의 과정에서 미나리로 대변되는 문신들을 나약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신하들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 등 독선적인 관점도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의국사」는 경신환국을 배경으로 군왕인 숙종이 자신의 문제점을 깨닫고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바라는 충심을 우언으로 표출시킨 작품이라고 하겠다. 「Haeuiguksa」 as an anthropomorphism novel is written by Keomkok Park, Sangyeon in 17th century. The study 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me and allegoricalness so as to figure out the reason why 「Haeuiguksa」 is made since it has been a lot articles and researches from the very first in 2007. 「Haeuiguksa」 consists of the country 「Haeuiguk」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which the king is personified as a laver produced in Southwest Sea. it may be considered the writer’s condition as he is living in West Sea after he retired. 「Haeuiguksa」 points out the king’s character causing governments’ unstable management based on political issue 「Kyeongshinhwanguk」 in Sukjong’s Reign in Chosun Dynasty. it firstly comments the king’s ability. His lacking abilities and inappropriate behaviors caused riot which connected to the end of country. Second is his awareness towards lieges. it contains the necessity of change on his trust of certain lieges, underestimate to civil officials and arbitrary decision-making. In conclusion, the novel reflects the writer’s loyalty that the king awaken himself and fulflls the right things to do by using allegoricalness.

      • KCI등재

        <져부인젼>의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져부인젼」을 텍스트로 삼아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분석해 보고 서사를 흥미롭게 이끌어가는 특징적인 요소를 파악해 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져부인젼」은 주인공인 져부인이 가난과 불학의 난관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이루어 가는 과정을 묘사한 가사체 고소설 작품이다. 남성 중심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부녀자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도 이례적인 경우지만 저승체험을 통한 시공의 초월은 이 작품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선시대 차별과 희생의 상징이었던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아 기존의 통념을 극복한 「져부인젼」의 이야기는 콘텐츠의 확산과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져부인젼」의 서사 구조를 분석해 보면 연속된 반전을 통한 사건의 전개와 경외의 공간인 저승을 체험하는 초월을 통해 부귀영화의 삶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에 대한 무한한 헌신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인공의 탁월한 능력과 부덕의 실천에 따른 조상의 보상이라는 논리가 더해져 복선화음이라는 주제를 더욱 선명하게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져부인의 성공은 어디까지나 내조적인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조건없이 헌신한 여성에게 가해진 제도의 폐해와 차별을 드러내는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져부인젼」의 서사에서 발견되는 반전과 초월은 우연히 등장한 것이 아니라 유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져부인의 가족에 대한 절대적인 헌신과 조상의 보상 또한 부귀영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아름다운 사랑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간애가 결여되어 있다고 하겠다. 이것은 이 작품이 여성의 성공담을 활용하여 유교이념의 가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정략적인 의도에서 창작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aspects shown in storytelling using < Jeobuin-jeon > as text and to identify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interestingly lead the narrative. The work, < Jeobuin-Jeon >, playsthe pivotal role of a woman leading her family in a male-centered patriarchal society and reveals the importance of Confucian ideas by experiencing the underworld. In this respect, the story of < Jeobuin-jeon > is very meaningful in terms of content diffusion and reproduction as overcame the existing conventional wisdom by using a woman, a symbol of discrimination and sacri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main character,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 Jeobuin-Jeon >, we can find that the development of events through a series of twists and the transcendence of experiencing the underworld, a space of awe, results in a life of wealth and honor. Also, the main character’s outstand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infinite dedication to the family and the logic of compensation of ancestors according to the practice or virtue added to make the theme of double-track harmony clear. However, the reversal and transcendence found in the narrative of < Jeobuin-Jeon > can be said that they were essential ways to incarnate Confucian ideology, not a coincidence. In addi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narrative is lack humanity as the absolute devotion or the rewards of the ancestors are also focused on wealth and honor, not showing beautiful love etc. Therefore, this can be said to mean that < Jeobuin-jeon > was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incarnating the value of Confucian ideology by utilizing a woman’s moving tales.

      • KCI등재

        「져부인젼」과 「복선화음가」의 대비적(對比的) 고찰

        유권석 ( Yu Kwon Sek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이 논문은 가사체 고소설 「져부인젼」이 계녀가류 규방가사인 「복선화음가」 계열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을 서사의 전개와 확대라는 측면에서 비교해 보고 장르의 변용에 담긴 의미를 고찰해 본 것이다. 「져부인젼」은 주인공인 져부인과 악행을 일삼는 뽈똥어미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가 펼쳐진다. 반면에 「복선화음가」는 이 한림의 증손녀인 이씨 부인과 괴똥어미가 등장한다. 작중 인물의 호칭에는 차이가 있지만 善惡에 따른 역할과 인물유형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시점과 구성을 살펴보면 「복선화음가」는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활용한 단편에 해당하는데, 「져부인젼」은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은 물론 액자식 구성을 통해 장편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복선화음가」는 발단-전개-결말의 3단 구성에 해당하는 반면 「져부인젼」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5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져부인젼」과 「복선화음가」의 서사 구조를 살펴보면 출생→결연→시련→시련극복→행복한 결말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두 작품이 표면적으로 보면 유사한 전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면적으로 보면 성장과정과 결연의 조건, 부덕의 가르침, 부귀의 완성 과정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덕을 실천하지 않은 부정적인 인물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복선화음가」는 괴똥어미 이야기를 간단하게 들려주는 형식인 반면에 「져부인젼」은 뽈똥어미의 최후가 져부인의 삶과 얽히게 되면서 초현실적인 저승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계녀서사의 전개 양상을 존재 가치의 재인식과 변주라는 측면에서 비교해 보면 「져부인젼」은 「복선화음가」와 달리 여성이 남성들과 다르게 불합리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지적하면서 출가한 여성들이 가난을 타개하기 위해 글을 배우고 일에 힘쓰는 고단한 삶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부덕을 확대시켜 가난함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실천해야 함을 저승을 통해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복선화음의 논리가 저승을 통해 변주되면서 자기희생에 대한 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여성이 가정에서 행하는 일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인가를 강조함으로써 여성의 존재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동시에 유교적 가치관을 고수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계녀서사의 소설적 변용에 담긴 의미를 추론해 보면 첫째, 허구적 공간인 저승을 대두시켜 여성들의 희생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으며 둘째, 여성에게 주어진 불평등한 현실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끝으로 여성의 역할에 따른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focuses on the story development, structures and comparison as Jeobuin-jeon belongs to a kindof Bokseonhwaeumga in Kyubanggasa so that it considers the message for transformation of Gyenyeseosa. Jeobuin-jeon and Bokseonhwaeumga have the same concept of story development from birth, marriage, hardship, recovery to a happy end. It means the two stories basically show similaraspect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difference about a condition of growth process, marriage and a lesson for virtue. In addition, Jeobuin-jeon shows the expansion to the surreal underworld by crossing the end of Bbulddongami and the life of Jeobuin whereas Bokseonhwaeumga has a simple frame telling a story of Gueddongami. From a perspective of re-recognition and changes of story development, Jeobuin-jeon points out the sexual discrimination with showing female makes an effort to learn language and works for overcomingpoverty. Furthermore, the story strongly pursues keeping a virtue despite the poor through the underworld that it brings compensation of sacrifice. In conclusion, the story emphasizes the role of female in family so that it tries people re-consider the value of female and to keep the Confucianism. In terms of the dramatic transformation of Gyenyeseosa, firstly, it tries to justify the death of female by raising the underworld. Secondly, it mak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exual unfairness. In the last, it highlights the existence of female with role in society.

      • KCI등재

        <져부인젼>에 나타난 저승의 특성(特性)과 문학사적 의미(意味)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이 논문은 최근에 소개된 가사체 고소설 <져부인젼>에 나타난 저승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저승을 소재로 한 이야기는 서사무가와 설화, 고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발견되는데, 최근에 발굴된 가사체 고소설 <져부인젼>에도 저승체험담이 실려 있어 주목된다. <져부인젼>에 실려 있는 저승체험담은 <져부인젼>이 「복선화음가」 계열의 계녀가사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복선화음가」나 「복션화음기」, 「김씨열행록」, 「여자탄식가」와 같은 가사체 고소설 작품에서는 볼 수 없었던 매우 이례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져부인젼>은 져부인의 일대기를 출생→결연→시련→시련극복→행복에 이르는 과정으로 서사화 시키고 있는데, <져부인젼>에 실려 있는 저승체험담에는 크게 두 가지 특성이 나타난다. 첫째, 복선화음의 구현이다. 효행과 부덕을 고수한 주인공 져부인은 저승에서 시부모를 통해 보상이 주어질 것임을 확약 받고 악행을 행한 뽈똥어미는 갖은 문초 끝에 비참하게 죽는다. 둘째, 이승을 주관하는 가치 판단의 세계라는 점이다. 저승은 이승과 닮은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승을 주관하며 선악이라는 가치에 따라 모든 것을 판별하는 신성한 영역이다. 이러한 저승은 도교를 앞세운 불교, 무속의 개념들이 혼재되어 있지만 어디까지나 유교적인 교화가 중심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져부인젼>에 나타난 저승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져부인젼>은 초기 고소설에 등장하는 저승담의 유형을 계승하면서 조선후기 민중들의 눈높이에 맞게 저승을 보편적인 세계로 탈바꿈 시켜 놓았다. 즉 저승은 준엄한 심판의 세계이지만 민중들의 염원이 실현되는 공간이자 유교적 이념의 실천 여부에 따라 누구나 쉽게 복을 받을 수 있다는 논리의 근거로 활용된 것이다. The study is tri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fterlif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in literature of < Jeobuin-jeon > which is recently founded as an old lyric style novel. Stories based on afterlife have been founded in various genres and < Jeobuin-jeon > is also as same as those stories that make it receive attention. afterlife in < Jeobuin-jeon > is particularly unusual case in classic novels because it belongs to < Boksunhwaumga > which is written for rules called < Gaenyeogasa > to a lady who is ahead of getting married even while most of classic novels come from original lyrics. < Jeobuin-jeon > is composed based on Jeobuin’s lifetime and emphasizes importance of virtue to her daughter. It visualizes Jeobuin’s life from birth, marry, hardship, recovery and happiness. She experiences afterlife before she raises wealth through work that it would be a hint being successful later. Afterlife in < Jeobuin-jeon >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space to activate < Boksunhwaum >. Second, it reflects the world which rules life based on judging value. Therefore, Confusian harmony is center of afterlife in < Jeobuin-jeon > even though it is mixed by Buddism, Taoism and Shamanism. In addition, afterworld in < Jeobuin-jeon > is noticeable in terms of building a new paradigm containing < Gaenyeogasa > style. Shortly, it is especially special case since it reflects the recognition of people about afterlife in its er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