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우이구,김수연,권택환,박은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4

        제 7차 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여, 교과용 도서에서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않게 수록되어 있다. 장애관련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내용이 어떠한 관점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학생들의 장애이해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유ㆍ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의 후속연구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등교육에서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은 초등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도 매우 부족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사양성 교육에서도 중등교사는 특수교육 관련 과목을 제대로 이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릴 수록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청소년은 초등 학생에 비해 개인의 능력이나 외모의 차이에 더욱 민감한 시기이다. 또한 중등교육의 목표 중에 대학 입학 준비가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장애학생 통합 및 개인의 다양성 수용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든 조건이다. 따라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매일의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를 통해 장애이해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장애관련 내용이 많은 국어, 사회, 도덕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으로 총 52권의 교과서에서 장애 관련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내용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관련 용어는 별도로 정리하고 장애인 묘사를 통해 드러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으며,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하기 위해 공통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고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한 다음,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1) 장애체험활동, 2) 장애관련 인물, 3)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4)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장애인 묘사는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1) 봉사활동의 대상으로서의 장애인, 2) 장애인을 돕는 장애인, 3) 장애인 본인의 목소리, 4) 문학작품 속에 그려진 장애인, 5)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관계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장애인 묘사, 그리고 4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가 있었다. (예, 장애자, 벙어리, 귀머거리, 장애 기사) 국어교과서에는 현대에는 사용하면 안되는 장애관련 용어가 문학작품이라는 이유로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이는 교과서의 각주와 교사용지도서에 별도의 안내가 보강되어야 하겠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또한 중등교과서는 그 내용이 심화되고 분량이 많으므로 장애 관련 내용이 직접 언급되기보다 삽화와 삽화설명을 통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본문의 내용에 적합하지 않은 삽화는 수정되어야 하며, 장애인 수용시설의 사진은 좀더 신중하게 선정되어야 하겠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을 때 삽화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도 휠체어 탄 장애인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다른 사람이 휠체어를 밀어주는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 묘사에서 드러난 장애인관을 살펴보면, 장애인 개인 또는 집단의 목소리를 통해 주체적인 모습을 느낄 수 있는 내용도 있기는 하였으나, 많은 내용은 일반인의 봉사나 도움의 수혜자로서 그려지고 있었다. 성공한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장애는 극복의 대상이며, 초인간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넷째, 공동체 사회의 구현과 정의로운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해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집단의 권리 존중의 측면에서 장애인의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사회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각 출판사마다 장애관련 내용의 비중과 수준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음이 드러나 장애 관련 내용에 대한 표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함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와 마찬가지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장애이해 교육이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방법과, 교과용 도서 출판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3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five framework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4)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5)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ummarize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cripple, handicapped person). Seco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For the most part, they receive help from others.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perso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inclusive community is required. Third,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econd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that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및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우이구 ( Woo Yi Gu ),신은선 ( Shin Eun Sun ),김동규 ( Kim Dong Ky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re increasing in Korea and they are difficult to reading. Th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ability are basic skills in rea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ability between multicultura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For this study, 84 elementary school students(36 multicultural students and 48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phonological awareness test, phonological memory test and word recognition test.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lower than general students i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was significant.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memory were explanatory variables of word recognition. Based on this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reading to multicultural students

      • KCI등재

        장애학생 인권보호를 위한 교육정책의 성과와 발전방안: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우이구 ( Woo Yigu ),김현태 ( Kim Hyunta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 poli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tec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s awareness, importance,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by detailed tasks of education poli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tection,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s by analyzing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poli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tection was positive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xual and human rights education was activated,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classroom were strengthened. We were able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improved laws and institu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tection, expanding training, enhanced the role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monitoring teams. Development pla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tection are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should be strengthened by links of the family, school, community, support for school by strengthening expertise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monitoring team should be strengthened, development and supply of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향후 과제

        노선옥,우이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s to achieve for smart learning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study, five policies and three kinds of result reports were to choose and analyze. Results: The policies are knuckling down to from 2011 up to now.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was centered around those policies propulsion from 2011 to 2014 to perform basic researches, to develop contents, to improve web-accessability and to manage the advisory panel. After 2015, the offices of education are taken an active parts in the support. Despite their efforts, more tasks to achieve are still remaining. Conclusion: First, physical environment constructing for activated smart learning will be need by smart devices support to the teacher and smart class establishment. Second, in case th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developed, the standards for applying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will be prepared. Third,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widen and strengthening for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efforts to improving competency of teachers will be needed for successful smart learning support. 연구목적: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과 그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방향을 발견한다. 연구방법: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과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정부의 정책 중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계획,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장애인종합발전 5개년계획 등 5종을 선정하여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내용을 분석하였다. 정책 수행 현황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정보화 백서, 국립특수교육원 사업계획 및 사업운영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은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후 2014년까지는 주로 국립특수교육원을 중심으로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사업이 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국립특수교육원의 콘텐츠 개발 및 감각장애학생의 지원 강화, 시도교육청의 기기 보급, 스마트교실 설치, 교사 역량 강화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강화되거나 확대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장애학생들의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스마트교실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 1인 1기기는 물론 인터넷 회선의 확보 및 장애학생을 위한 통신장비 이용료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 영역의 콘텐츠의 개발을 확대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표준화된 콘텐츠의 개발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교과 이외의 활동에 대한 콘텐츠의 개발 역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자들은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추진 전략의 마련 및 지원 노력을 필요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