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악성종양에 사용되는 천연물약재의 항암효과에 대한 대체보완의학적 문헌고찰

        오선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본초에 관한 각종 문헌을 대상으로 선발된 418종의 천연약재를 1차적으로 항암활성 작용기전에 부합하는 암 종류로 분류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천연약재의 생리활성 물질 및 유효성분 등을 연구하였다. 총 418종류로 선발된 천연약재 중에서 111종류(26.55%)가 항암생리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암에 관련된 천연약재는 13종류(3.10%)로 가장많았고, 간암은 8종류(1.90%), 유방암은 7종류(1.67%), 자궁경부암, 백혈병, 전립선암, 위암은 5종류(1.20%)였으며, 대장암, 난소암, 고형암 등이 각각 4종류(0.95%)로 나타났다. 2014년 현재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은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4년 이후로 매년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암에 대한 현대의학은 꾸준하게 발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 사회에서의 보완대체의학은 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용 또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의학의 체계적 한계와 암 치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반발에서 우리나라에서도 보완대체의학의 존재감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으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민간요법의 부작용 실태도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보완대체의학 차원에서 본 연구는 2차 암으로의 전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식이요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천연약재 활용에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사회적 기술 훈련이 대학생의 분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오선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피훈련자의 분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분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둘째,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보다 분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셋째,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내향성 대학생은 외향성 대학생보다 분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넷째,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우울이 높은 대학생은 우울이 낮은 대학생보다 분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 중에서 불안이 높은 대학생은 불안이 낮은 대학생보다 분노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모두 24명의 대학생이었다. 이들은 부산광역시내의 P대학교 남녀학생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차영희(1995)가 개발한 사회적 기술 훈련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매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Spielberger(1983)의 상태-특성분노 검사(State-Trait Anger Scale: STAS)를 강신덕(1997)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것을 사회적 기술 훈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실시하였고 사회적 기술 훈련을 통한 분노 감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한 달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외-내향성에 따른 분노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Eysenck와 Eysenck(1975)가 공동 제작한 한국판 아이젱크 성격 검사(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의 외-내향성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우울 정도에 따른 분노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eck(1978)이 제작한 우울검사(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김명권(1984)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불안정도에 따른 분노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ielberger(1970)가 제작한 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를 김정택(1978)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것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서 SPSSWIN 8.0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검사시기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2(집단처치)×3(검사시기) 혼합요인설계를 활용하여 반복측정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 훈련은 대학생의 분노 감소에 효과적이다. 둘째, 사회적 기술 훈련은 분노 감소 정도에 있어 남자 대학생보다 여자 대학생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셋째, 사회적 기술 훈련은 분노 감소 정도에 있어 외향성 대학생보다 내향성 대학생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넷째, 사회적 기술 훈련은 분노 감소 정도에 있어 우울 정도가 낮은 대학생보다 우울 정도가 높은 대학생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다섯째, 사회적 기술 훈련은 분노 감소 정도에 있어 대학생의 불안 정도에 따라 차이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n reducing college students' ang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social skill training will sco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nger test. 2. The anger score of the female group will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ale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3. The anger score of the introvert group will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trovert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4. The anger score of the high depressed group will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ow depressed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5. The anger score of the high anxious group will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ow anxious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4 students attending P university in Pusan City. Those students who wanted to learn the social skill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2 students received training for 20 hours,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another 12 students received no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s. One of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as STAS(State-Trait Anger Scale). It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nd 1 month after the training. In addition, EPQ(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train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alysis and t-test, processed by SPSSWIN 8.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ocial skill training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college students' anger. 2. The social skill training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anger for the female group than the male group. 3. The social skill training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anger for the introvert group than the extrovert group. 4. The social skill training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anger for the high depressed group than the low depressed group. 5. The social skill training isn't different in the reduction of anger between the high anxious group and the low anxious group.

      • 한국 근대 해외 유학 서사 연구

        오선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 novels have triggered the literature of universal language in middle ages to develop the literature of slangs and dialects, and provided the members of community with a reading experience that is based on common memories. As novels were simultaneously delivered by the standardized print language, certain area could be imagined as one linguistic community. Korea also began to develop interest in modern ‘novels; around 1905. As the historical novels and fictional biographies rendered the emergence of ‘nation(minjok)’ as the collective representation and made Korea to dream of the possibility of national literature, political expectation in novels began to heighten even more. What were the historical backgrounds that enabled Korean novels to seek modernity through national literature? What was the epistemological assemblage when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language was problematized? Predicat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that supported the movement away from the savage to the civilization, ‘modern’ has bean idealized as the upcoming time and space that one must reach. The modern of the non-West is often called the interpreted modern. In the East,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cquired the position of historical truth, after the Opium War in 1839 and well into the period of Russo-Japanese War and Sino-Japanese War according to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Since Korea opened up its port to the West in 1876, many institutional reforms bas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were attempted on political, social level. Civilization discourse understands the diversity in time and life as the simple, linear track that leads the savage to the civilization. In order for Korea to not fall in the hands of the imperial powers as their colonies, it had to prove how well or how much it has embodied civilized institutions or civilized notions. Even the literary modernity was achieved under the pressure of civilizati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discourse of civilization with the diverse concepts or writings is the pretext to asking the historicity and literarines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re are a few phenomena that indirectly proves literature’s relationship with the civilization. The awareness for national language and the necessity for literary language emerged in the attempt to understand and translate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National language’ became the issue among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s the media for translating civilization, and the literature was also called forth to cultivate people to become civilized human beings with emotional elements. The concept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at was conceptualized during the mid-1910s was maintained by the conscious effort to register Korea in the history of world civilization. The influence of civilization discourse is verified in actual narratives, not alone in the concepts that surrounded modern literatur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the modern novels can be identified as a formal series on both levels of narrative content and expression. This series can be named as the narrative of oversea study. Since 1905, the literary works that tried to achieve literary modernity in line with the fictional biographies laid their eye on those who went overseas to accomplish civilization. Starting with The Tears of Blood, the incidents that happen to the characters who go abroad, experience the civilization, come back and/or go abroad again become an important aspect of a novel. The fact that numerous sinsoseol, the novels that occurred and grew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ook up the overseas study experience as a theme allude to the strong influence from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called the civilization discourse. To be sure, many students were going abroad at the time. It was urgent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essence of ‘civilization’ that already existed in the West in order to get the ‘civilization’ translated, which was good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Novels sometimes treated the process of civilization as an event, using its narrative imagination, even before that many students went abroad, and definitely before these students came back. Novels were not merely reflecting the reality, but already deploying the thoughts on civilization, along with or prior to the reality. When novels invented the sympathetic community based on the reading experience of national literature, they produced directly the communal identity through the fictional characters. If the historical novels or fictional biographies planned the poiesis of people’s empathy by using the national heroes as the protagonists, what kind of identity was produced by the novels that used students studying abroad as protagonist? What kind of imagination was evoked to the readers of the community by the fictional characters who specialized them within the theme of overseas study? Tracing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with the theme of overseas study would be an attempt at revealing how the literary imagination driven by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constructed the collective identity of Korea inside and out.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was reconstructed as a cultural discourse around 1919. In the 1920s, the logic of ‘from the savage to the civilization’ was deployed in artistic and spiritual level. This was not unrelated to the beginning of Daisho period in 1921 and the democracy craze that swept away the imperial Japan. The result was a shift of gravity: ‘culture’ acquired more importance over ‘civilization.’ This coincided with the time when modern novels no longer took study abroad experience as an important theme of imagination. Overseas study was considered as a universal path to acquire higher education in real life, and the literary attempts to produce identity predicated on the civilization discourse have secured certain figures of civilized subject. Along with this change, the narrative of overseas study lost its momentum. In the 1920s’ novels, the characters studying abroad idled around in their little rooms without studying, or frustrated by failed romance. They faded into the background and the overseas experience itself did not evoke meaningful events. However, the kind of novel that reflected on the logic of civilization and its epistemological power were still being written occasionally, whether the objective was ‘civilization’ or ‘culture.’ In some novels that appeared after the mid-1920s, attempts were made to problematize the violence embedded in the identification process coerced by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The narrative of overseas experience showed absolute faith in the identification of civilization, but it also questioned the antinomy of civilization. This dissertation aims to demonstrate the intimacy that civilization discourse shares with the manifestation of modern novels by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concepts such as “Korean language,” “literature,” “history of Koran novels,” etc. Within the large category of the narrative of oversea study, the novels that problematized the question of civilization and the production of identity ar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on the level of content and expression. The beginning of narrative of overseas study that sought the modernity of Korean novels along with civilization could be marked by The Tears of Blood (1906), and the end could be marked by The Tale of Manse (1923; first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Cemetery.”) The series of overseas study narrative planned, represented and acknowledged the identification of civilization. “The Price of First Love”, “Diary of Kim Jeong-gui” and “During the Half-Year” questioned the identification of civilization from the mid-1920s to the early-1930s, when the righteousness of civilization was no longer questioned. These novels denied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the identification process, upon which the narrative of overseas study depended until 1910s by its narrative expression. Recognition of self is achieved through the other. However, none of the non-Western areas display a homogeneous phenomenon, though they identically recognized themselves through the other called the West or the civilization. Hence, by examining a series of accepting and interpreting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novel, the singularity of Korean novel among the modern phenomena of world li terature which was indebted to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해외 유학의 서사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소설 안에서 생산되는 주체의 문명화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민 국가가 소설의 감화력과 계몽성에 기대어 그에 내속하는 국민적 정체성을 생산할 수 있었다면, 그때 생산된 정체성의 성격이 문제가 될 것이다. 영토의 식민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주체화의 문학적 형태들은 문명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의 근대성은 야만에서 문명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문명론’적 역사 인식에 반응하면서 구축되었다. 1876년 개항을 기점으로 제국 열강들과 맺게 되는 불평등 조약은 문명화의 대의와 함께 강제되었다. 가열찬 식민화의 압박과 함께 수용된 문명 개념은 하나의 집단과 한 사람에게 자발적 계기에 의해 달성되는 문명화를 인정하지 않았다. 조선을 근대적 문명국으로 만들기 위해, 또 조선인이 문명인이 되기 위해서는 문명이 있다고 말해지는 곳으로 나아가서 배워 올 수 밖에 없었다. 해외 유학과 해외 유학생의 삶이 사회적으로 주목받게 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근대 소설의 기원을 장식하는 작품들 안에서 해외 유학은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정치적 식민화에 밀려 가면서 문명 주체로의 전환에 서둘렀던 계몽 지식인들에게 소설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문명화 도구였다. 그러나 소설에 해외 유학생이 출현하고 문명의 학습처가 배경으로 주어진다고 해서 그것이 현실을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유학이 본격화되기 전이나, 여학생의 사회적 출현이 자연스러워지기 전에 소설에서는 이미 태평양을 건너는 여자 유학생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근대 소설은 문명론을 둘러싼 이념과 실제 사이에서 문명화 과정 자체를 질문하는 사유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문명론이 근대 소설에 미친 영향력을 확인하고, 문명 주체화의 서사적 유형론을 만들기 위해 실제 해외 유학생들의 행보를 추적해 볼 수 있는 당대의 신문과 잡지, 유학생들의 학회지, 해외 유학을 다루고 있는 소설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선택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유길준의 「서유견문」(1895), 이인직의 「혈의 루」(1906), 1900년~1910대 유학생 학회지의 다양한 서사물, 현상윤의 1910년대 작품들, 나혜석의 「경희」(1918)와 구미 유람 실기(1920~1930년대)들 , 이광수의 유학기인 「동경잡신」(1916), 이광수의 장편 「무정」(1917), 염상섭의 「만세전」(1923), 주요섭의 「첫사랑값」(1924, 1927), 임영빈의 「김정긔의 일기」(1931.1933), 박태원의 「반년간」(1933). 쓰여진 시대와 다루고 있는 해외 유학의 모습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은 모두 문명 주체화에 필요한 타자 인식과 자아상의 구축 과정을 서사의 중심 테마로 삼고 있었다. 본문의 논의들은 다음의 진행을 따른다. Ⅱ장에서는 동아시아 근대 문명론이 어떤 과정을 통해 출현하게 되었는지 진보와 진화 개념의 번역 과정을 통해 밝히게 된다. 문명론과 근대 문학이 갖는 상관성 속에서 해외 유학 서사가 출현하게 되는 맥락을 재구해볼 것이다. 조선의 식민화란 문명론을 인정하고, 보다 개명한 일본에 지적으로 종속되는 과정이었다. 작품 안에서 해외 유학은 일본을 경유해서 서양으로 나아간다는 발상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Ⅲ장과 Ⅳ장은 해외 유학 서사가 구현한 주체화의 양상을 서사적으로 유형화한다. 서사가 발생시킨 문명 주체의 모습을 문명의 이념적 주체와 문명의 체험적 주체로 나누었다. 문명 주체화를 하나의 이념으로 삼고 쓰여지는 서사들은 유학처로 떠나는 모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를 출발 서사라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다를 건너게 되면서 문명론 자체가 주제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명은 아버지로 조선은 어머니로 표상되었고, 아픈 어머니를 떠나 문명한 아버지의 세계로 건너가는 모험 속에서 주체들은 비로소 자신의 미성숙을 깨닫고 성숙한 문명인이 되어갔다. 문명국의 학습처인 도시는 그 자체가 거대한 학교였다. 이 거대한 학교는 조선의 궁벽한 현실을 되비추어 주었다. 이때 유학처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도시적 삶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서사화되기도 했다. 조선은 상대적으로 궁벽한 농촌으로 표현되었다. 유학생 주인공이 환상적인 경험을 하는 서사에서는 문명과 야만 사이에서 방황하는 주체를 확인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서사들은 문명 주체로 거듭나는 장면으로 수렴되곤 했다. 출발 서사와 마찬가지로 일상의 서사화에서도 문명화를 하나의 이념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문명 주체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체의 분열과 갈등을 서사화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이런 시도들 중에는 재출발의 형식을 취하는 것들이 있다. Ⅳ장의 A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바가 이것이다. 해외 유학의 서사화에서 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유학을 끝내고 조선으로 귀환하는 일이었다. 「무정」과 「만세전」은 조선과 문명화 과정이 갖는 관계를 논리화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문명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전근대적 조선을 부정하거나 추상적으로 해외의 문명을 긍정해서는 안되며, 조선이라는 고향을 적극적으로 문명화 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인식이 작품 속 유학생들의 여로를 통해 드러났다. Ⅳ장의 B에서는 해외 유학이 강제한 문명 주체화를 회의하는 작품들을 분석했다. 유학처에서 이국 여인과 만나게 되는 남자 유학생들은 공부도 못하면서 사랑에도 실패했다.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의 논리를 갖는 문명론은 이민족간의 순수한 사랑을 지켜줄 능력이 없었다.(주요섭, 「첫사랑값」) 때로 문명이 온전히 백인들만의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문명화되기 위해 도항을 감행했던 이들에게는 돌아갈 곳이 없어져 버리기도 했다.(임영빈, 「김정긔의 일기」) 문명인도 조선인도 될 수 없는 이들의 이중 구속된 처지는 사랑의 불가능성과 함께 폭력적으로 재현되기도 했다.(박태원, 「반년간」) 그리고 문명론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삶의 출구에 대한 암시가 드러나기도 했다. 작품 안에서 문명 주체화에 도달하지 못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고 해서 이들 서사의 의미가 퇴색하는 것은 아니다. 식민지 조선에서 문명 주체화란 조선의 입장에서는 피식민 주체화 과정이기도 했다. 해외 유학 서사는 문명론의 이율배반을 회의하면서 피식민 주체화에 저항했다. 본고는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근대 문명을 도입하는 일이 가능했었다는 점에 착안해서, 그들을 문명의 번역자, 문명과 조선을 왕복운동하는 환승자로 정의한다. 번역자에 의해 두 개의 언어 공동체가 연결되고 서로를 지탱할 수 있듯이,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문명과 야만이라는 경계가 확인되고 또한 매개된다. 문명과 야만을 상태적으로 정확하게 분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 개념은 절대적 배리 관계에 있지 않고, 상대적 참조 관계 속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두 세계는 배타적으로 설정되었다. 해외 유학 서사는 식민지 출신의 유학생이 자기 내부에서 끊임없이 문명과 야만을 분절해 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사화된 유학생들은 문명국의 시민 교육 속에서 소외를 느꼈을 뿐만 아니라 고향의 전통과도 서서히 유리되어 갔다.

      • 중등학교 지리교사들의 야외 답사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오선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답사를 진행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지리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등학교에서의 야외 답사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야외 답사의 진행 및 확산을 돕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지리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야외 답사 실행에 관련된 인터뷰를 하였다. 또한 참고적으로 답사 자료 분석, 부분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야외 답사의 진행 동기, 계획 방법, 유형, 제약요소 및 지원요소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지리교사들이 학생들과 함께 야외 답사를 진행하게 된 동기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교사 자신이나 교과의 측면 보다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진술된 특징이 있었다. 둘째, 지리교사들이 야외답사를 계획함에 있어서는 접근성, 지리적 의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장소를 선정하고, 책과 논문, 지리 관련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었다. 하지만 학교에서 사용하는 야외 답사 자료는 순전히 개인 역량에 의존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학교에서의 야외 답사 형태는 동아리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고, 캠프나 학급별 테마학습, 수업, 일시적인 행사를 통해 진행하기도 하였다. 야외 답사의 유형은 답사가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하는 유형에 따라 견학(Visit), 탐구(Inquiry), 발견(Discovery)으로 구분하였고, 답사 준비의 주도자에 따라 교사 주도(Teacher-led), 학생 주도(Student-led)로 구분하여 총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등학교에서 야외 답사의 유형은 IT유형의 답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VT유형, IS유형, VS유형, DS유형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야외 답사의 제약요소와 지원요소를 교사 개인 요인, 학교 환경 요인, 학생 요인, 프로그램 요인 등으로 분류해 본 결과 교사 개인 요인과 학교 환경 요인이 많았으며 답사 진행 경력에 따라 차이가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야외 답사를 고려하고 있는 여러 지리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더불어 행정적, 관리적 제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trip in secondary school and furthermore, to heip to progress and spread the field trip effectively, by surveying geography teachers who carried out, or are carrying out the field trip, now. For this study, an interview about the practice of the field trip was conducted with 18 geography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reference, additionally, field trip guidebook was analyzed,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performed, partially. The survey was focused on the motives for the field trip, planning methods, types of the field trip, restriction elements and supporting elements. Firstly, most teachers stated, from perspectives of learners rather than from perspectives of them or subjects, when examining motives for the field trip with students. Secondly, when planning the field trip, geography teachers chose sit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accessibility and geographical meanings, and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books, papers and geographical web-sites. However, field trip guidebook used in school wholly depended on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Thirdly, mostly, the types of the field trip in secondary school were managed by circle activities, and in some cases, they were carried out through camps, theme learning for each class, classes and temporary events. The types of the field trip were classified into six areas including Visit, Inquiry and Discove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xperience provided by the field trip for students, and Teacher-led and Student-led, according to the leaders to prepare the field trip. As the result, IT typ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ypes of the field trip in secondary school, followed by VT type, IS type, VS type and DS type. Lastly, teachers' individual factors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s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restriction elements and supporting elements of the field trip, when classifying them into teachers' individual factors, school environment factors, student factors and program facto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eachers' experience in conducting the field trip. These result would provide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roposals for several geography teachers who consider the field trip, in addition to practical heip.

      •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요소 탐색

        오선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된 연구를 기초로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에서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분석하여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긍정적인 요소를 강화함으로써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에 있어서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요소를 탐색한 결과를‘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조부모의 역할 인식과 성공적 역할수행을 위한 요구’와‘성공적 역할수행을 위한 요소’등 세 가지 맥락으로 서술하였다. 그 결과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과 양육유형으로 분류·기술하였고, 조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양육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요구를 도출하였으며, 조부모의 성공적인 양육수행을 위한 요소들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조부모가 조부모역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었고,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요구로는 조부모교육프로그램 제공은 물론 사회적지지(새로운 유형의 공동육아시설 등) 확대, 국가 차원의 경제적 지원, 건강검진 및 건강관리프로그램 운영, 세대 간 관계지원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등이 요구되었다. 또한 조부모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요구에서 가장 필요성이 강조된 조부모교육프로그램을 임옥희(2012), 서혜석(2005), 김정원(2002)의 연구를 토대로 비교한 결과, 조부모와 손자녀의 공동목표로는‘갈등상황 정리하기’와‘의사소통 훈련하기’가, 조부모를 위한 목표로는‘조부모의 자기가치감 인식’,‘조부모역할 인식’,‘손자녀 중심의 교육관 이해’가, 손자녀를 위한 목표로는‘유아의 인지·정서·신체발달 이해’가, 양육위임자를 위한 목표로는‘양육방법 및 가치관 이해하고 통합하기’등이 공통적인 요소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provide sources of successful role-play for grandparents who nurture their grandchildren by analyzing diverse situations of specific areas of nurturing, eliminating negative factors, and reinforcing positive elements.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previous research. It demonstrates three aspects of successful role-play for grandparents' nurturing: elements that affect grandparent’s nurturing, their recognition, and need for successful role-play.  This study offers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in proposing a type of childcare for these grandparents. It promotes the recognition of grandparent’s roles and their need for successful role-play by exploring elements of successful role-play.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illustrate the foundational elements of successful role-play for grandparents nurturing their grandchildren. The hope is that grandparents will recognize and practice their roles positively. Grandparent’s needs for successful role-play are shown through education, extension of social support (such as new models of co-childcare institutions),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medical check-ups and health care program, and counseling for healthy relationships between grandparents and parents. Additionally, these are the common results compared to the researches of Okhee Lim(2012),  Hyeseok Su(2005), and Jungwon Kim(2002): the goal for both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is to solve conflict and encourage communication; the goals for grandparents are to recognize self-esteem, their roles, and understand education settings for children. The goals for grandchildren are to understand their recognition, emotions, and physical development. It is also critical to know methods and values of child care.

      • 럭셔리브랜드 고객자산 측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선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ocal fashion market is on continuous growth, depending on the flexible recovery of domestic consumption. Especially, the luxury market shows continuous 2-digit increase in sales turnover. As the demand of luxury goods increases, the supply of luxury goods also rises up so the future luxury market is expected to be more seriously competitive among companies.When making a purchase, consumers buy social and symbolical meanings, not only a product, and a luxury brand meets with consumers' desire like that. Therefore, the luxury market will grow up further, and in formulating marketing strategies, the study of the relevant customers is an indispensible factor. Local fashion companies think customers important more than technologies or products. Therefore, in order for companies to continuously create profits and grow up in the local fashion market, they need to forecast customers' future purchase behaviors.This paper intends to monetarily measure customers' assets, focusing on the luxury brands imported to Korea, and to clarify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that have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The concrete research goals of this paper are: to clarify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based on the preceding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customers' assets - value asset, brand asset, and relation asset - that Rust, Zeithal & Lemon(2000) applied to the field of distribution and service;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and customers' asse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that ha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ustomers' assets by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gender, age, tendency of diversity pursuit, price sensitiveness, period of relation maintenance, and annual purchase amoun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that have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by brand type;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and customers' assets by classifying customers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s.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o females and males living in Seoul in the ages of 19~49. From the traditional luxury brand type, Louis Vuitton, Chanel, Hermes, Fendi, and Gucci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rom the masstige luxury brand type, MCM, Polo, DKNY, Diesel, and Coach were selected.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SS13.0 was used for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It was found that customers' assets of the luxury brands were: 34.2% at less than ₩500,000; 25.6% at ₩1,000,000 ~ ₩5,000,000; 12.6% at ₩500,000 ~ ₩1,000,000; and 9.0% at over ₩50,000,000.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focusing on the value asset, the brand asset, and the relation asset, 'differentiated brand image', 'personal ties', 'qualitative trust relation', 'rational brand image against quality', 'service quality value', and 'convenience value' were found as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erties having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differentiated brand image', 'personal ties', 'qualitative trust relation', 'service quality value', and 'convenience value' were,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 Thir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having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period of relation maintenance and the annual purchase amount had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and that 'qualitative trust relation' had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When the relation with the luxury brands was maintained long, customers' assets were higher. And the more the annual purchase amount was,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 As they pursued rapid diversity more, the qualitative trust relation had more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Fo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having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by brand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sonal ties' and 'qualitative trust relation', depending on brand type. The traditional luxury brand type showed that the properties of 'personal ties relations' and 'qualitative trust relation' had more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than the masstige luxury brand.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perties of the luxury brands having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based on the customer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having influence on customers' assets (period of relation maintenance, annual purchase amount, and brand type), in the case of the consumer group of initial purchase, the higher 'qualitative trust relation' and 'personal ties' were,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sumer group of repurchase, the higher 'differentiated brand image', 'personal ties', and 'service quality value' were,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 And in the case of the consumer group that had low purchase amount than the avera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group that had higher annual purchase amount than the average, the higher 'personal ties', 'service quality value', and 'qualitative trust relation' were,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 Finally, in the case of the consumer group of the traditional luxury brands, the higher 'personal ties', 'differentiated brand image', 'qualitative trust relation', and 'service quality value' were,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 In the case of the customer group of the masstige luxury brand, the higher 'personal ties' and 'differentiated brand image' were, the higher customers' assets were.This paper proposed the producers of luxury brands with the method of measuring customers' assets, clarified the preceding and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formation of customers' asset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customers' assets.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for the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formulation of systematic br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luxury brands to continuously create profits and keep the current growth trend. 국내 패션시장은 내수 소비의 탄력적 회복 여부에 따라 꾸준하게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럭셔리시장은 꾸준하게 두자릿 수의 매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럭셔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럭셔리 제품의 공급 또한 증가하고 있어 미래 럭셔리시장은 기업들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은 이제 상품 그대로만을 구매하기보다 사회적, 상징적 의미를 함께 구매하고 있으며 럭셔리브랜드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따라서 럭셔리시장은 더 많이 성장할 것이고, 마케팅 전략을 구상하고 실행함에 있어 이와 관련된 고객들에 대한 연구 또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것이다. 국내 패션 기업들은 오늘날 기술이나 제품보다는 고객을 더 중요한 자산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패션 시장에서 기업들이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끊임없는 성장을 거듭하기 위해서 고객의 미래 구매행동을 예측하는 것을 필수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럭셔리브랜드를 중심으로 금전적으로 고객자산을 측정하고,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럭셔리브랜드 속성을 규명해 봄으로써 고객자산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유통과 서비스산업 분야에 Rust, Zeithal & Lemon(2000)이 적용한 고객자산 형성의 선행차원인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을 기본으로 하여 럭셔리브랜드에 적합한 럭셔리브랜드 속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럭셔리브랜드의 속성과 고객자산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소비자특성(성별, 연령, 다양성추구성향, 가격민감성향, 관계유지기간, 연간구매금액)을 고려하였을 때,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럭셔리브랜드 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넷째, 브랜드 유형을 고려하였을 때,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럭셔리브랜드 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다섯째, 영향요인에 따라 고객을 유형화하여 럭셔리브랜드 속성과 고객자산 사이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이에 본 연구는 럭셔리브랜드를 최근 2년 이내 구매해 본 경험이 있으면서,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49세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브랜드로는 전통적 럭셔리브랜드 유형에서 루이비통, 샤넬, 에르메스, 펜디, 구찌가 선정되었으며, 매스티지 럭셔리브랜드 유형에서는 MCM, 폴로, DKNY, 디젤, 코치가 선정되었다. 총 500부가 자료분석에 이용되었으며,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럭셔리브랜드 고객자산은 50만원 미만에 34.2%로 고객자산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그 뒤를 이어 100만원~500만원 미만에 25.6%, 50만원~100만원 미만에 12.6%로 고객자산이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5000만원 이상에도 9.0%의 비교적 높은 비중으로 고객자산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을 중심으로 럭셔리브랜드 속성은 ‘차별적브랜드이미지’, ‘개인적유대관계’, ‘품질적신뢰관계’, ‘품질대비 합리적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가치’, ‘편의적가치’의 6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다.둘째,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럭셔리브랜드 속성 중에서 ‘차별적 브랜드이미지’, ‘개인적 유대관계’, ‘품질적 신뢰관계’, ‘서비스 품질가치‘, ’편의적 가치‘가 높을수록 고객자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소비자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럭셔리브랜드 속성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본 결과, 특히 소비자특성 중 관계유지기간과 연간구매금액이 고객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럭셔리브랜드 속성 중, ‘품질적신뢰관계’가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럭셔리브랜드와의 관계를 오랜기간 유지한 경우가 보다 더 고객자산이 더 높으며, 연간구매금액이 많을수록 고객자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진적인 다양성추구성향이 높을수록 품질적신뢰관계가 고객자산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브랜드 유형을 고려하였을 때,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럭셔리브랜드 속성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본 결과, 브랜드 유형에 따라 ‘개인적유대관계’ 속성과 ‘품질적신뢰관계’ 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스티지 럭셔리브랜드유형보다 전통적 럭셔리브랜드 유형의 경우 ‘개인적유대관계’와 ‘품질적신뢰관계’ 속성이 고객자산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관계유지기간, 연간구매금액, 브랜드 유형)에 따라 고객집단을 구분하고 유형화하여 고객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럭셔리브랜드 속성을 알아본 결과, 초기구매 고객집단의 경우, ‘품질적신뢰관계’와 ‘개인적유대관계’가 높을수록 고객자산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재구매 고객집단의 경우에는, ‘차별적브랜드이미지’, ‘개인적유대관계’, ‘서비스품질가치’가 높을수록 고객자산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간 구매금액이 평균보다 낮은 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연간 구매금액이 평균보다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개인적유대관계’, ‘서비스품질가치’, ‘품질적신뢰관계’가 높을수록 고객자산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통적 럭셔리브랜드 구매고객 집단의 경우, ‘개인적유대관계’, ‘차별적브랜드이미지’, ‘품질적신뢰관계’, ‘서비스품질가치’가 높을수록 고객자산이 높게 나타난 반면, 매스티지 럭셔리브랜드 구매고객 집단의 경우에는 ‘개인적유대관계’와 ‘차별적브랜드이미지’가 높을수록 고객자산이 높게 나타났다.본 연구는 럭셔리브랜드 기업에게 고객자산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고객자산 형성의 선행차원 및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고객자산을 기본으로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럭셔리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지금의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구현과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20세기 초 역사·전기 소설 연구

        오선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국가'와 '국민' 정체성 구현을 위한 서사적 기획의 복원과 그 과정에서 '국민문학'이라는 지위를 갖게 된 '소설의 양상(樣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출발에는, '자본주의 세계체제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겪게 된 극심한 정체성의 혼란을, 20세기 초의 한국에서는 어떻게 극복하려 했었는가.'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쓰여진 글들은 중화질서가 붕괴되는 자리를 대체해나갈 '앎의 체계', 다시 말해 새로이 구성되어야 할 정체성의 지반이 '국민국가(國民國家)'로 수렴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때, '문명'을 향한 진보야 말로 "살길"이라는 절실한 외침 속에서 '국민국가'가 방법으로 제시·계몽되고 있었으며, 그 계몽의 촉수(觸手)였던 것이 바로 '소설'이라는 글쓰기였다. 그리고 소설은 '전쟁'을 그려낼 것을 요구받고 있었다. 정체성 구현에 동원된 '전쟁서사'의 기획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체성이 새롭게 요구된 정치·사회적 배경과, 그것을 실천할 수 있었던 문화적 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다. 그리하여 II장에서는 제국주의 질서의 국제적 확산과정이 중화질서라는 견고한 중세의 구조를 붕괴시키는 가운데서 나타났던 사람들의 반응을 통해, 그들이 필요로 했던 현실극복의 도구가 '국가'와 '국민'이 될 수밖에 없었음을 살펴보았다. 그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은 '사회진화론'이었으며, '진화'하여 '문명'으로 나아가야할 당위는 이 시기에 번역되고 소개된 서양제국, 그리고 '국가 만들기'에 실패한 월남과 애급 등의 사례들로 뒷받침되었다. 그러나, 제국주의의 돌파수단인 '국가'와 '국민'이 물질적인 힘을 갖기 위해서는 그 개념의 절대성과 보편성이 설명되어야 했다. 바로 이것을 위해 그 구성됨의 근거를 밝힐 수 있는 마당으로 '역사'가 부각되었다. 그리고 그 근거로 자리잡게 되었던 것이 '민족'이었다. '민족'이라는 견고한 뿌리야 말로 '국가'와 '국민', 또 그 밖의 많은 낯선 개념들에게 안정된 지반을 가져다 줄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지반이 아무리 '보편성'과 '상속성'으로 증명되더라 해도, 구성원 전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공허한 관념의 놀이에 그치고 말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계몽되지 않으면 안 되었고, 계몽을 위해서는 하층의 "아동주졸(兒童走卒)"과 "우부우부(愚夫愚婦)"에서부터 상층의 지식인에게 이르기까지 효과적으로 전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했다. 여기에서 이야기가 가지고 있는 힘이 주목되었다. 이것이 III장에서 다루었던 내용이다. 살펴본 결과, 소설이라는 전통적인 글쓰기 방식은 인쇄매체로 확대된 대중을 향해서 부담없이, 그러나 가장 강력하게 스며들 수 있는 매체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소설이 가지는 '감화력'과 '보급력'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는 '소설 개량론'으로 확대되어 나갔고, 이것이 '소설'을 교과서로 여기게끔 만들면서 그 지위를 격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국민문학'으로서의 '소설'이 비로소 등장하게 된 것이었다. 국민국가의 문학으로 각광받게 된 소설, 그렇다면 '국가'와 '국민'이란 새로운 정체성을 어떤 내용에 실어보낼 것인가. 대부분의 역사·전기 소설은 '전쟁'을 다루고 있었다. 그렇다면 '전쟁의 서사'에 정체성을 전달시킬 만한 어떤 힘이 있었을 터이다. 이들의 능력을 검토하기 위해서, 작품의 본격적인 분석을 IV장에서 해보았다. 우선 그것은, 1) '국가'의식을 구현할 수 있었다. 非我를 통해 我를 발견하게 하는 실제 전쟁의 구도는 소설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국가의 가원을 단군의 상고시대로부터 증명해내었고, 중국 여러 왕조와의 싸움을 부각시키는 과정에서 중화질서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해내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을지문덕과 이순신 등이 치루었던 전장을 국가의 물리적 경계로 재배치하고 구성함으로써 국가의 공간을 독자에게 상상시켰고, '전쟁에 대한 아픈 경험이 구성원 전부의 것이며 그것은 국토에 대한 감정이다.'라는 점을 주지시키고 있었다. 한편, 2) 전쟁서사의 주인공들은 한결같이 영웅, 그 중에서도 상무정신으로 무장한 남성영웅으로 그려졌다. 여성이 주인공일 경우는 남성영웅의 보조자이자 후원자의 성격이 강했다. 적자생존과 약육강식의 원리로 움직이는 20세기의 현실을, 소설 속에서 강한 무사적 자질을 갖춘 것으로 자신을 형상화하면서 극복하려 한 것이다. 그리고 민족영웅의 이름으로 호명된 역사 속 장수들을 통해, 독자는 그들과 정신적인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되었고, 또 영웅을 매개로 해서 국경 안의 전혀 모르는 사람들과 형재애와 같은 유대감을 쌓아갈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전쟁서사는 개인의 차원에서는 영웅을 배울 수 있도록 했고, 나아가서는 집단 전체의 정체성을 민족영웅의 모습으로 구현하게 만드는 장치로 기능했다. 이들 전쟁서사의 강렬한 파토스야 말로, 상하·수평으로 펼쳐진 구성원들의 편차를 '민족영웅'의 이름으로 수렴하여 '국가'에 기투시키는 일의 중요함과 절박함을 증거하는 점이다. 그러나 민족영웅이 중년남성으로 이미지화되면서, 국가와 국민에 대한 상이 그것에 고착되는 결과 또한 낳고 말았다. 그리고 3) 이들 전쟁서사는 위대한 주인공의 빈번한 좌절을 그려내는 비극 양식을 취하고 있었다. 순결한 여성의 이미지로 국토는 대상화되었고, '그녀'를 돕고 지키기 위해서는 목숨도 아깝지 않다는 의견이 피력되었다. 그리고 그 희생의 대가가 크면 클수록 여성인 '국가'의 가치 또한 높아질 것이므로 비극은 더욱 극적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들 비극이 눈물과 한탄을 동반하려는 것은 아니었다. 성찬의식(聖餐儀式)과 유화의식(宥和儀式)을 치루는 듯한 독서경험은 민족영웅의 세계로 독자를 흡입하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더 큰 희생을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또 상실의 아픔마저 딛고 일어나가야 한다는 적극적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민족영웅이 펼치는 전쟁을 그려낸 역사·전기 소설들은 독자 대중의 감정에 '국가'와 '국민'을 호소하려 한 것이지, 결코 체념을 조장하려 했던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어떤 전쟁도 일어나지 않았던 20세기 초에, 역사·전기 소설은 민족영웅들과 함께 수많은 전쟁을 다시 치러내었다. 그러나 '국가'와 '국민'의 실현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와중에도, 실제로는 전쟁을 일으킬 힘이 없었으며, 현실에서 국가와 국민이 경험되는 일은 점점 더 불가능해지고 있었다. 그 경험내용과 기대공간의 불일치야말로 '전쟁서사'가 놓여 있었던 자리다. 이로써 '전쟁서사'가 맡았던 역할의 실체가 드러난다. 표상으로서의 전쟁은 국가와 국민에 대한 정체감을 심어주려 했고, '서사화'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려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world of the novels in the name of the national literature in the age of 1900s. At that time, Koreans were trying to confirm the notion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in the identical crisis of their own existences. It was the notion of 'the nation-state' that substitute the dominant paradigm of 'the Sinocentrism(中華主義).' First of all, the progress of civilizations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enlightenment of Korea. Naturally, Korean novels were very widely spread as a way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novels were required to describe of 'the war (dealing with historical wars)'. Above all, 'the war-related-narratives(戰爭敍事)' were asked to express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roughout the modern histories. Consequently, Koreans were destined to fight for establishing the nation-state in the 1900s to deviate from Sinocentrism. But after the Sinocentrism, there was more fatal barrier to progress, that is to say, imperialism. To justify the necessities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e education of histories were greatly emphasized among the intellectuals. The subject of national histories was evidently 'the nation' and 'the people'. But the justification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had to be concreted and popularized to be supported by 'the public'. It was necessary for Korean intellectuals to describe the wars of Western-Oriental histories in exciting and absorbing styles. 'The power of stories' was highlighted at this point. The traditional writing systems of novels had great influence on Korean people. The inspirational power of novels were absolutely extended to 'the theory of the improvement of novels(小說改良論)'. Novels were raised to the status of 'the textbooks' at that time. Finally, the novels as 'the national literature' made its experience. Most of the biographical-and-historial writings(歷史傳記物) dealt with plentiful wars of the world. 'The war-related-narratives' have confirm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out the Korean Enlightenment Era. Inherently, wars were destined to find its identities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others(or the enemies)'. And the origin of the nation-state went back to the ancient times, what is called, Tangun Era of Korea(檀君時代). The ancient histories of Korea were justified through the wars against many Chinese dynasties(=the others). The Koreans generals such as Euljimunduk(을지문덕) and Lee-sun-shin(이순신) were highly estimated, because they had fought for territorial expansion of national borders of Korea. The battlefields of them were regarded to be the boundaries of Korea. Eventually, the painful experiences of wars became 'the national experience of ours(=Koreans)'. And the imaginary experiences of wars inculcated common feelings of collective painfulness. On the other hand, the protagonists of 'the war-related-narratives' were described as 'male heroes'. In the case of women-protagonists, women played the role of supporters or assistants of male heroes. The writers of 'the war-related-narratives' tried to overcome the real world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through delineating the touching adventures of the warrior-heroes. Conclusively, the readers of 'the war-related-narratives' cold have the national homogeneity in common. Through the warrior-heroes, Koreans cultivated the spirit of brotherhood and solidarity. The intensive pathos of 'the war-related-narratives' had impressed the Korean readers deeply, and they beared the common spirit of loving national heroes in mind, and certainly, the collective feelings of loving heroes turned to patriotism easily. However, the national heroes were fixed to the image of 'elderly men', and the image of 'the people' was limited to male heroes. Thirdly, 'the war-related-narratives' are described as tragedy whose protagonists were likely to frustrate bitterly. The country(=Korea) was represented as 'the damaged women', and it was worshipped in 'the war-related-narratives' at any risk. The bitter the sacrifice to protect 'our country(=she)', the bigger the dramatic effect of 'the war-related-narratives'. But the tragedy didn't always accompany overflowing tears and regrets. 'The war-related-narratives' truly aimed at positive willingness to overcome the damages and pains of 'losing our country'. It is important that 'the war as a representation' occurred in narrative styles while there was no real war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expected world' delivered 'the war-related-narratives'. The war as a representation in novels was supposed to create new national identities among Koreans, and the narratives of novels effectively appealed to Koreans through its own literary inspi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