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박물관 사회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의 현황과 발전방향

        여중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8 No.-

        This paper is mainly deals and suggests about a brief history, an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pubic education program which is running by the university museum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past and current public education program. There are 20 university museums which operate public education program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etc. Yeungnam University museum has been well running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ince 1990.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named museum university, museum class, culture class, that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 the theme and education method.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curriculum, it consists of the fields of archaeology, art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modern arts. The programs are being held in the classroom and taking field trips to the related sites. Most of the lectures are given by the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are mainly mid-aged female. I found that the self evaluation and participant evaluation are insufficient for now. Education on demand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and also it is mandatory set up the curriculum opening committee. A good way to make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is that to establish the sub-committe talk group under KAUM and I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constant research on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 guess it is worth to open a program for youth and weekend program for family. 이 글은 대학박물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역사를 일별하고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을 논한 글이다. 대학박물관 중에서 사회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충복대학교, 영남대학교 박물관을 비롯한 20개 기관인데, 영남대학교 박물관이 1990년에 시작한 것을 비롯하여 20년이 되지 않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박물관대학, 박물관교실, 교양강좌, 문화강좌 등의 명칭으로 시작한 사회교육은 주제나 교육방식 등이 점차 다양해져가고 있다.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불교사, 역사학, 인류학, 현대미술 등 분야에 대한 강의실 강의와 현장강의, 답사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고 강사는 대학교수가 주종을 이루고 수강생은 4,50대의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나 수강생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므로 가칭 교육프로그램 개설위원회의 설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으로 대학박물관협회에 사회교육분과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고 사회교육의 청년화와 자녀와 함께 하는 토요박물관에서의 강좌수강도 권유해볼만한 사항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여중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4 No.-

        이 글은 1990년대부터 우리 사회에 나타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과 국제결혼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것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판으로 그간에 나온 논문들과 신문자료, 인터넷 검색자료 등을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①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단일민족론에 대한 담론과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 6・25전쟁과 국제결혼, ②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 ③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 건강한 다문화사회 건설을 위한 제언을 주 내용으로 담고 있다. 우리는 흔히 스스로 ‘단일민족’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단일민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유전적 동질성을 획득했다는 의미이지 한국인의 기원이 하나라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한국인은 동아시아 내에서 남방과 북방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이뤄져 형성된, 다양성을 지닌 민족이다.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지금까지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단일민족에 대한 그간의 생각을 수정할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국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넘어선 만큼 대한민국도 이제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다문화가족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다. 농촌지역에서의 가족관계는 핵가족 직계가족에서의 가족관계를 넘어 친족관계까지로 확대되어 있어 도시에서의 그것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며느리가 이해해야 할 가족관계가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가족생활에의 몰입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어온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으로는 ①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 문제, ②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부적응 문제, ③ 다문화가족에 대한 언론의 편견조장, ④ 가정폭력문제. ⑤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곤란, ⑥ 국제결혼 중개업자들의 도덕적 문제, ⑦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교육문제를 드는 경우가 많다. 첫째,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에서는 단일민족에 관한 종전의 개념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은 아직 변화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6・25전쟁은 국제결혼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어 지금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족 형성의 기틀을 제공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에서는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배경을 설명하고 2000년대 들어 형성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의 형성과정과 그들의 가족관계에 대하여 간략히 검토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과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한국사회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향해가는 배경에는 6・25전쟁을 전후한 국제결혼,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2000년대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외국인과의 결혼 등이 자리잡고 있고 문화적 적응이라는 의미로 교육을 통해 이주자의 동화를 지향하는 것은 곧 다른 형태의 차별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which emerged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1990s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wit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et-based data, this article discusses the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Specifically, the main issue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①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ternational marriages-discussions on single-race and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the Korean War and international marriages, ②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the influx of workers from oversea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③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cultural adjust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proposals for the construction of healthy multicultural society. We, Koreans, generally refer to Korea as a single-race nation. Here, a single-race nation does not mean that the origin of Korean people but means that Koreans have acquired genetic homogenenity with time. Koreans were formed by the genes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 and they are a race of people with ethnic diversity.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data,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it is time for us to modify our ideas of a single-race nation.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Experts assume that since the foreigners take up 2% of Korea’s population, Korea has set foot in the age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re easily found in the rural areas rather than in urban areas. In the rural areas, the family relation has extended from nuclear immediate family to kinship and this kind of aspect has a big difference with that of the urban areas. Accordingly, the family relations get widened and more complex which make foreign wives to put more effort in their family life. The drawbac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which have been discusses are as follows: ① cultural mal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② the problems of 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③ promoting bias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by press ④ the problem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⑤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⑥ the moral problems of matchmak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 ⑦ the educational problem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in terms of racial mixture, multiracial people and international marriage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revious concept of a single-race nation and that there is a lack of changes in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 addition,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served as a basi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present. Second,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this article explicate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briefly discusses the form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relations. Third, in terms of the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tural families,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raws out a conclusion that bilingual acquisition of the children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As a result, international marriages around the Korean War, the influx of foregi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opening of the 21st century account for the Korean society’s chang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inclination to assimila...

      • KCI등재

        우리 음식의 세계화방안에 관한 일고(一考)

        여중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e aim of this study with its focus on the plan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to define the present-day as the time of cultural imperialism and to explore the way to globalize two types of Korean food such as bibimbap (rice mixed with vegetables and beef) and bindaetteok (mung bean pancake)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article develops a discussion on globaliztion along with the concept and argumentation of globalization and a debate on globalization and food culture. The methodology used in research with a plan for gloabalization of Korean food is document research and data compilation through field surveys. The targets of document research are theses and books in the fields of food and nutrition, culinary arts science, folklore and anthropology, and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in Seoul, Daegu, Jeonju in Jeolla Bukdo, Jinju and Tongyoung in Gyeongsang Namdo, Fukuoka in Kyushu, Japan from 2003 to 2009. Data was compiled through key-informant interviewing in restaurants, specializing in bibimbap and bindaetteok including ‘Gogung,’ a restaurant which is famous for bibimbap in Jeonju. However, participant observation, which is a key research strategy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was not undertaken in depth. It was not easy to conclude, but to draw a tentativ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tensive researches on the taste of Koreans and foreigners, followed by a plan for globalization and in addition, we expect a lively discussion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target food. The chief tasks to be promoted are as follows; creating new flavors in combination with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s and recipe, developing various sauces and ingredients including gochujang (Korean hot pepper paste), creating an image of bibimbap and strengthening publicity of bibimbap, operating Kimchi experience programs, establishing and managing overseas Korean restaurant with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nalyzing preferences for similar foreign foods and tastes, thoroughly examining ingredients, seeking for a rise in the value of the brand through public relations marketing. Meanwhile, as a tentative conclusion, the first consideration in the globalization of bibimbap is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s and recipes, discovering the kind of food which goes well with bibimbap, taboo food, development of Korean panfried food which matches bibmbap such as panfried pollack pancake, panfried pumpkin pancake, panfried potato pancake, panfried sweet potato pancake, etc… development of set menus including side dishes, development of low-nutrition high-calorie food and high-nutrition low-calorie food, development of fastfood and frozen food, development of food packaging containers and plans for promoting hospitality. While my study was under way, I foun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research on food and nutrition, culinary arts science, but, overall, I, as an anthropologist, found it a little overwhelming to cover those researches. From now on, I plan to conduct intensive field surveys and document researches on Korean food item by item. 우리 음식의 세계화 방안을 연구주제로 한 이 글은 현재 시점을 문화식민주의시대라고 규정하고, 세계화의 흐름 속에 우리 음식 중 비빔밥과 빈대떡을 세계화하는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세계화의 개념정리와 토론, 세계화와 음식문화에 관한 논의와 함께 세계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리 음식의 세계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동원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지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이 그것이다. 문헌연구는 식품영양학, 조리과학, 민속학, 인류학 분야의 논문과 저서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현지조사는 2003~2009년간에 서울, 대구, 전라북도 전주시, 경상남도 진주시와 통영시 그리고 일본 큐슈의 후쿠오카 등지에서 이루어졌다. 전주의 비빔밥전문식당 고궁을 비롯한 전국 각 지역의 비빔밥, 빈대떡 전문식당 등에서 제보자면접을 통한 자료수집을 하였는데, 인류학의 주요조사도구인 참여관찰을 깊이 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결론을 쉽게 내릴 수 없었으나 잠정적이나마 마무리를 하자면, 국내와 외국인의 기호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조사가 있는 뒤에 세계화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대상음식의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어야 한다. 비빔밥의 세계화 방안으로 재료와 조리법의 ‘표준화와 개성화’의 퓨전으로 새로운 맛의 창조, 고추장을 비롯한 다양한 소스와 재료의 개발, 비빔밥의 이미지 창조와 홍보 강화, 비빔밥 체험프로그램 운영,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는 해외 한국음식점의 설립 및 운영, 타국의 유사음식과 입맛에 대한 선호도분석과 음식 재료구성에 대한 철저한 조사, 홍보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가치상승 등이 있는데, 이들은 앞으로 추진해야 할 주요과제라 할 수 있다. 한편, 빈대떡의 세계화에는 식재료와 제조법의 표준화, 빈대떡과 음식궁합이 맞는 음식의 발견, 금기음식, 빈대떡과 어울리는 전류의 개발(동태전, 호박전, 감자전, 고구마전 등), 사이드 디쉬를 포함한 세트 메뉴의 개발, 저영양 고칼로리식품과 고영양 저칼로리식품의 개발, 즉석음식과 냉동음식의 개발, 포장용기의 개발, 친절도 제고방안 마련 등이 선결과제라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식품영양학, 조리학 분야의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류학전공자로서 이 모두를 수용하기에 다소 버겁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도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소득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우리 음식의 주요 아이템별로 집중적인 현지조사와 문헌연구를 할 것을 다짐한다.

      • KCI등재
      • KCI등재

        科學技術과 文化變動 : 山間村落을 통한 徵視的 接近 A Microscopic Approach through Mountain Villages

        여중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민족문화논총 Vol.23 No.-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s on human society and culture caused by scientific technique in the perspective of the comparative culture. In the same context, the study, in general, depicts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population, social system, family, consumption, leisure, health and culture change. At the same time, the study microscopically pinpoints the influence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daily routines of village people within mountain villages where there are less chance of access to the outside world. The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gave rise to the population growth and the change in population composition. In addition,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leading out an increase in the gulf between rich and poor, differentiation in a social stratum and diversification of social structure.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had an influence on family, which is the basic unit of a society, leading to the great changes in family pattern, family relationship, division of role among family members, domestic duties of women and family training. Advance in scientific technology also affect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of human beings. Moreover, it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hange in material culture and consumption pattern due to the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system and caused an increase in leisure activities through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Although th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have been lengthened with the help of innovating advancements in medical services, a new type of disease has been developed due to environmental disruption. Opportunities of coming in contact with the different cultures have been enlarged due to the advanc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re have been drastic culture changes such as new form of culture such as mass culture being spreaded. Within mountain villages, where there are relatively less chance of getting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the spread of science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material way of living. Nevertheless, a spirit of mutual help, in which people relied on cooperation with no benefits from science and technology, is gradually disappearing. As we have seen, although the growth in science and technology ha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human beings, mankind were not able to receive those benefits. Even though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material living of human beings, exploring ways toward contributing to spiritual affluence is an important problem for us to solve.

      • KCI등재

        대학박물관 사회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현황과 발전방향

        여중철,Yeo, Jung-Cheol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8 No.-

        이 글은 대학박물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역사를 일별하고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을 논한 글이다. 대학박물관 중에서 사회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충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박물관을 비롯한 20개 기관인데, 영남대학교 박물관이 1990년에 시작한 것을 비롯하여 20년이 되지 않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박물관대학, 박물관교실, 교양강좌, 문화강좌 등의 명칭으로 시작한 사회교육은 주제나 교육방식 등이 점차 다양해져가고 있다.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불교사, 역사학, 인류학, 현대미술 등 분야에 대한 강의실 강의와 현장강의, 답사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고 강사는 대학교수가 주종을 이루고 수강생은 4, 50대의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나 수강생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므로 가칭 교육프로그램 개설위원회의 설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으로 대학박물관협회에 사회교육분과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고 사회교육의 청년화와 자녀와 함께 하는 토요박물관에서의 강좌수강도 권유해볼만한 사항이라 여겨진다. This paper is mainly deals and suggests about a brief history, an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pubic education program which is running by the university museum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past and current public education program. There are 20 university museums which operate public education program induc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etc. Yeungnam University museum has been well running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ince l990.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named museum university, museum class, culture class, that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 the theme and education method.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curriculum, it consists of the fields of archaeology, art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modern arts. The programs are being held in the classroom and taking field trips to the related sites. Most of the lectures are given by the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are mainly mid-aged female. I found that the self evaluation and participant evaluation are insufficient for now. Education on demand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and also it is mandatory set up the curriculum opening committee. A good way to make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is that to establish the sub-cormmitte talk group under KAUM and I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constant research on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 guess it is worth to open a program for youth and weekend program for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