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 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엄사랑(嚴사랑),신혜리(申慧利),김영선(金英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으며, 연령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령집단은 중년층(55~64세) 247명과 고령층(65세 이상) 253명을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이, 사회적 요인에서는 사회활동, 개인적 요인에서는 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직적 요인은 컴퓨터 접근성이 기술활용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중년층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제외한 경제적 요인(취업여부), 사회적 요인(사회활동),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질적 요인(컴퓨터 보유)과 같이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요인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고령층의 경우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과 물질적 요인(컴퓨터 및 스마트폰 보유)의 영향요인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연령집단 별 상이한 양상을 보임으로 중・고령자의 기술관련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정보역량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년층의 경우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통합 기술활용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고령층의 경우 컴퓨터 접근성 및 스마트폰 접근성 등의 물질적 차원을 높이는 단기성・일회성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자기효능감 프로그램과의 병행 운영 등 개인적 차원을 함께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by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ersonal, and material factor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ver 55 years old(total participants= 500), and for the analysis of age group was classified as Middle-Aged(55-64), Older Adults(6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mong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demographic factors(age),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and physic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In addition, by age group, middle-aged were significant in economic factors(employment status),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person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and physical factors(computer access). On the other hand, the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personal factors (education, self-efficacy) and material factors(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re multidimensionally verified, and the age 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So, in order to promote the technology utilization, middle-aged people should provide an integrated technology utilization promotion program that conside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mater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Older Adults, need to provide a long-term program that improves personal dimension such as a self-efficacy program, along with short-term programs that increases the material dimension of 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ibility.

      • KCI등재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의 아바타가 사용자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엄사,왕자웅,이상준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23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20 No.2

        As non-face-to-face socializing has become common worldwide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e emergence of metaverse platforms such as ZEPETO is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drawing much atten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metaverse related to the business field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effect of creator's avatar characteristics on parasocial interactions in the metaverse, and to study the effect of brand preference on brand loyalty in the real world. The results of 324 responses obtained by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with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avatar's social and physical attractiveness was discovered. In addition, we suggest that creators should research the latest fashion trends in advance when creating an avatar.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비대면 사교가 보편화되면서 ZEPETO와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의 등장으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메타버스에 대한 연구는 비즈니스 분야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메타버스에서 일어나는 크리에이터 아바타의 특성이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자 하며, 메타버스에서 브랜드 선호도가 현실 세계에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은 300여부의 응답결과를 SPS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바타의 사회적 매력과 신체적 매력의 중요성을 발굴하였다. 또한,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사용자에게 실용적인 전략을 제공하여 아바타 디자인 및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크리에이터가 아바타를 만들 때 최신 패션 트렌드를 미리 조사하여 신체적 매력이 있는 아바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ㆍ고령자의 인터넷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결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엄사랑 ( Um Sarang ),신혜리 ( Shin Hyeri ),김영선 ( Kim Young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중ㆍ고령자의 인터넷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차년도(2008년) 한국복지패널」과 「11차년도(2016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2008년도와 2016년도에 모두 응답하고 2008년도에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만 55세 이상의 중ㆍ고령자(2008년 기준) 3,262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1:2)을 실시하여 총 492명(인터넷 이용자 164명, 인터넷 미이용자 328명)을 최종 분석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이중차이 결합모형을 기반으로 인터넷 사용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패널랜덤효과모형에서 관측되지 않은 시불변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독립변수인 인터넷 사용의 효과(상호작용 항)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사용은 삶의 만족도에 종단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ㆍ고령자의 인터넷 등의 정보기술 이용과 삶의 만족도의 학문적 논의를 확장시켰다는 의의를 가지며, 중ㆍ고령자 대상 인터넷 등의 온라인 기능을 활용한 삶의 만족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정보화 교육 기회 확대 등 인터넷 사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천적ㆍ정책적 노력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3rd (2008) Korea Welfare Panel and 11th (2016) Korea Welfare Panel data were used, and all of the data were answered in 2008 and 2016 and the internet was not used in 2008. Propensity score matching (1:2) was conducted for 3,262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s of 2008), and a total of 492 individuals (164 Internet users and 328 non-Internet users)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for analysis. Afterwards, the effect on internet usage was precisely measured based on the double difference model. As a result, the effect of using intern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teraction ter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unobserved time invariant in the panel random effect model. In other words, the use of the Interne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olicy intervention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by the elderly, such as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 KCI등재

        연령집단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 : 기술활용능력의 조절효과

        엄사랑,반시우,유나영,신혜리,김영선,한기명,Wajahat Ali Khan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4

        본 논문은 중년층, 전기노인, 중・후기노인 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술활용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를 시행하여, 전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5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연령집단을 중년층(55-64세) 247명, 전기노인(65-74세) 140명, 중・후기노인(75세 이상) 113명으로 구분하여 분산분석(ANOVA), 조절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중년층과 전기노인의 경우 사회활동 및 기술활용능력은 정서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층은 기술활용능력이 조절 효과까지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후기노인의 경우 사회활동이 정서적 안녕감과 통계적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층, 전기노인, 중・후기노인 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술활용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아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였으며, 특히 중년층을 대상으로 기술활용능력을 증진시켜 높은 수준의 정서적 안녕감을 도모하고, 사회활동이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사랑,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is based on Bennett's (1976) Logic Models to examine the path of Attitudes,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2018 Digital Devide Survey' was used, and 1,665 middle and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who used the Internet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tical subject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y,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of toward new technology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higher the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on activity.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mobile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but PC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plan to the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by promoting information competency and activity through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especially, it proposed a practical intervention to activate mobile-based information activities rather than PC-based inform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Bennett(1976)의 논리모형(Logic Models)을 기반으로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수집한 ‘2018년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1,665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이용성과 및 삶의 만족도까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고령자의 기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정보역량과 정보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정보활동은 디지털 이용성과를 높여 삶의 만족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PC 정보활동의 경우 디지털 이용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기술에 대한 포용력 있는 태도를 통하여 정보역량 및 활동 수준을 증진시키고, 특히 PC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보다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을 활성시키는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