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소설교육에서 영화매체 수용의 적합성 연구 - <오발탄>과 <내 마음의 풍금>을 중심으로 -

        양정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is study is about the suitable of the media movie that was introduced to novel education of high school. The study consider a position of the movie media in novel education focused on 「Aimless Bullet」. Comparative study about the media features of the novel and the movie has been addressed repeatedly in the preceding paper. Generally,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previous studies. After present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beginning, and compare with novel text in textbooks. Previous studies have common problem. The thing with them is, these studies do not provide any educational effects can be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movie media in novel education. Thu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objection on the universal discussion of others. It is true that introduction of visual media in literature education is nonetheless fit for the effectual communication. If so, critical media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that is acceptable to learners. If no prior training, it is possible to add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students losing interest in the written language. It is that defenceless students is exposed with practical visual media. If using the media language is a tool for enhancing more interest of class, dare not even need to deal with in the curriculum. However, this is not the purpose of taking the ‘media language’ into the novel education. Education officials should have to consider again for revive the spirit of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n presented curriculm. The phenomenon that ‘media language’ is inserted for organizing materials fit for the digital age is problematic. There are gaps with training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media language> is organized by the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in curriculum revision 2007. However, <media Language> suddenly disappear from the curriculum revision 2009, the reason is estimated to be unrealistic field education. Meaning of that ‘unreality’ implies lots of things. First, the problem may be in the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or economic policy. Second, the leadership skills of front-line teachers in high school education. Third, it can be referred to the limitations of the capacity of learners completing the language course.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육의 선택과목으로 <매체언어>가 편성되었다. 그러나 어떤 설명도 없이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매체언어> 과목이 삭제되었다. 대신 국어교육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도록 교육과정에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2011 개정교육과정을 반영해 편찬되고 있는 문학교재에서 ‘매체 언어’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렇듯 들쑥날쑥한 교육과정의 원인은 교육이론과 교육현장의 현실적 문제가 충돌하고 있다는 증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 도입된 ‘매체 언어’ 중 소설교육에서 수용하고 있는 ‘영화매체’에 중점을 두고 고찰했다. 문학 교육과정에 명시된 교육목표와 문학교재 편성방향의 적합성, 문학교육에서의 영화매체 도입의 적합성을 논했다. 문학 교육과정에 명시된 ‘매체 언어’의 교육목표는, ‘매체 언어에 대한 통찰력과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즉, 소설교육에 영화매체를 도입한 것은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소통방식을 교육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문학교재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한 결과, 보조 자료로 영화매체를 가지고 왔을 뿐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매체 언어’ 도입을 통해 교육부가 지향했던 교육 본래 의의를 상실했다면 이는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걸맞은 문학교육을 위해 영상매체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보는 것이 대세라면,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 이러한 현상을 전제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소설을 영화화한 텍스트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문학교육에 가장 적합한 텍스트가 선정되어야 한다. 텍스트 선정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문학, 교육학, 영화, 현직 교사)이 함께 논의를 거처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자가 영화매체의 의의와 문제점을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다양한 '매체 언어'에 대해 탄탄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육부의 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로 하여금 영상매체에 대한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학교재가 ‘문제 중심 학습방법’으로 재편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 대안들 역시 ‘매체 언어’의 교육목표를 위한 기존의 비현실적인 교육여건 문제가 개선될 때 가능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일시대 준비교육을 위한 문학작품 도입과 활용방안 -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양정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본 연구는 통일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의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했다. 준비 없이 이루어진 통일 혹은 통합은 사회적 혼란과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 통일시대의 주체는 오늘의 청소년들이 될 것이다. 이에 본고는 통일시대 준비를 위한 청소년 문학교육의 가능성과 교육방법론에 천착하여 교육적 활용방안을 탐색했다. 무엇보다 문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실질적 응용을 마련하고자 했다. 문학교육을 통한 통일역량강화의 선결문제로, 문학작품 선정 및 교육방법론의 구체화가 필요하다. 문학교과서에 어떤 작품을 선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곧 청소년 시기에 적합한 문학경험과 정서적 인지적 역량의 성패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현행 문학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초점을 두고 편성된 것이기 때문에 통일 관련 텍스트를 다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통일역량 강화에 적합한 문학작품 선정방안과 ‘교수-학습’ 방법을 고찰했다. 무엇보다 내용적 대상적 차원의 문제를 고려한 작품의 특성을 제시하고, ‘공감’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언했다. 그리고 이론과 실제의 병행을 위해 ‘연합교육’ 및 ‘찾아가는 교실’을 방법론으로 제언했다. 통일시대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이 통일시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준비하지 않으면 통일시대를 낙관할 수 없다. 문학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통일역량을 점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곧 통일시대를 향한 문학교육의 소임이다. 본 연구 또한 그 길목에서 문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실질적 응용을 마련하고자 했다. This is study is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the unified era. A studied the need and methodology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appropriate texts for the preparation of the unification era. It is a way of education through exchanges with alternative schools of refugee north korean youth. The current literary textbook focuses on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urreculum, and is not covered by the unification relate tex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election direction of literary works that were appropreate for strengthening the unification capacity. And the theory ane practice of this premise, “Here” “Now” and “Professor-Learning” for the realization of a realistic leterary education. For example,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literary work and the “language” that fit the sentements of youth were present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empathy education methodology can be found to be a good way to deepen your reunification capabilities. This is an efficient way to explore the realities, issues and alternatives of the literary approach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must be preceded by the realization of the educational goal of preparing a unified era through literary education. Removable classed with alternative schools are difficult without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 수준에 따른 교양 영어과 수준별 수업의 효과

        양정임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9 중등영어교육 Vol.12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ollege English classes depending on the students’proficiency of Englis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ook diagnostic test to examine the homogeneity of the separated groups by English proficiency.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mid-term test and final test of 105 students were analyzed from three different levels of classes; 28 from advanced level, 39 from intermediate level, and 38 from low level. For qualitative research, open-ended questions wer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level-differentiated class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English learning. Students of intermediate and low level students repres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level-differentiated classes, professors, and self-evaluation rather than high level studen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needs of adopting level- differentiated classes to boost college students’overall competence in English.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統一新羅 王京 S1E1遺蹟의 靑銅工房 性格에 대한 試論

        양정석(Yang Jeong seok)(梁正錫)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2 No.-

        통일신라의 왕경이었던 경주에서는 최근까지 많은 생산유적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청동공방으로 생각되는 생산유적은 당시 다양한 청동제품을 만들어서 소비공간으로 납품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공방은 생산의 주체에 따라 官營, 私營 등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당시 생산은 근대적 의미의 생산이 아니므로 전근대의 경제외적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소비 주체, 국가, 왕, 귀족, 사원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관영 또는 귀족소유의 개별 공방에서는 그들이 필요로 하는 고급청동제품을 제작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생산을 담당하는 제작 공인들이 율령을 중심으로 한 국가체계하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되는가 하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왕경 내 생산공간의 변화가 생겨 특정지역이 일종의 국가 공단화되고, 가로로 구획된 왕경의 중심구역에서 개별적인 사영 공방의 확산되어 가는 것은 이러한 점에서 시대의 변화를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이다. 더불어 당시 최고이자 최대의 소비 공간인 궁궐과 비견할 수 있는 불교 사원도 그들이 필요로 하는 청동 의기를 제작하였을 것이다. 우선 사원에서는 佛事로 이야기되는 과정을 통해 권위건축 창건 등에 소용되는 대불, 대형 동종 등이 제작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불교사원의 경우 불사가 아니더라도 지속적으로 청동으로 제작된 儀器들이 사용되었을 것이다. 특히 대형 사원들이 밀집된 지역이라면 상시로 제작을 수행할 공방이 필요할 것이다. 황룡사 동남편의 S1E1 왕경유적에서 확인되는 공방 가옥은 이러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공방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공방의 성격은 일본 官寺의 공방과 비교하여 국가관리 사원에 설치된 成典과 관련하여 보고, 일반적인 관영 공방과는 다른 별도의 사원공방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Recently, in Gyeongju, a Capital of Unified Silla, a lot of manufacture relics were discovered by investigations through excavation activities. The manufacture relics of bronze workshop delivered many kinds of bronze works to consumer spaces. The workshops in which works were delivered were classified with government management and private management. At that time, manufacture was not be made by the modern style. So, the workshops would have been closely related with consumer subject, before modern time non-economic, nations, kings, nobles, and temples. Respective works possessed by the governmental offices and nobles manufactured high-class bronze works they needed. So, the system was very important, how manufacturing workmen were managed in the national system, basing on regulation and laws, At that time, manufacturing spaces were changed in Capital, and specified regions became national complexes. Respective private workshops were distributed in the center area of Capital divided horizontally. It will be a clue which shows period change. In addition, Buddhist temples which consumed the articles in the largest scale, almost similar to royal palace, would have manufactured bronze container articles. Even for non-Buddhist affairs, the Buddhist temples would have used the bronze container articles. Especially, the areas in which temples were built closely would have needed the workshops to work always together. The workshop residences found in Capital S1E1 site located at the south east of Hwangryongsa Temple would have been built for the necessity. This workshop's character has many simularities with japanese government-managed temple's workshops, so that I understand this workshops were attached to government-managed temple rather than belong to government directly.

      • KCI등재

        『五洲衍文長箋散稿』における清とチベット仏教に 関する認識背景の考察

        양정연(梁晶淵)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6 No.-

        본 논문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보이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청과 티벳불교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다.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티벳불교에 대한 이해는 『열하일기(熱河日記)』와 다양한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는 백과사전류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설명된 티벳불교에 대한 내용은 기본적으로 『열하일기』의 내용에 근거하면서도 ‘변증’의 방법으로 기술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17세기 이후로 조선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대외 상황에 대해 대처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 청의 등장은 ‘중원의 지배자가 중원 문화를 계승하는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가져왔다. 서양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알려지게 되면서, 중원 문화로서의 중국이라는 것은 절대적으로 부여받은 것이 아니라 지리적인 위치에서 다른 지역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 지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들은 티벳불교를 불교 사상이 아니라 중원 문화에 대한 청의 위치와 역할을 통해서 이해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관점에는 천주학에 대한 그들의 태도와 지리적인 이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late Joseo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the Qing Dynasty and Tibetan Buddhism in the Oju Yunmun Jangjeon Sango. Their understandings of Tibetan Buddhism can be examined in the Yeolha Ilgi『( 熱河日記』) and the Oju Yunmun Jangjeon Sango『( 五洲衍文長箋散稿』) which is an encyclopedic book with various subjects. The explanations of Tibetan Buddhism in the Oju Yunmun Jangjeon Sango are basically based on the Yeolha Ilgi, but it is notable that they were written in the dialectic way. Since the 17th century, the Joseon had shown its limitations in dealing with various changing external situations. For the intellectu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ppearance of the Qing Dynasty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uler of Zhongyuan should inherit the Zhongyuan culture. As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West became known, they discovered that the Central State as the Zhongyuan culture was not empowered absolutely but was relatively positioned to other regions in the geographic location. They understood Tibetan Buddhism not from the Buddhist thoughts but from the Qing"s Position and role in the Zhongyuan(中原) culture. We need to examine the points that their perspectives we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their attitudes toward Catholicism and the geographical understanding.

      • KCI등재

        곤충체험 지향성에 따른 동애등에 체험 프로그램의 세분시장 예측

        양정임,황대용,이정규,Yang, Jong-Im,Hwang, Dae-Yong,Lee, Jung-Ky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곤충산업 시장에서 지역자원을 활용한 동애등에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체험객의 곤충체험 지향성에 따라 세분화 하고 세분화된 체험객의 특성을 프로파일 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곤충체험 지향성의 주요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곤충 체험객과 곤충체험 박람회의 참석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5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체험 지향성의 속성은 교육 지향성, 정서 지향성, 사회 지향성, 자아 지향성과 연관되었다. 응답자는 학생들과, 자녀가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2개와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예측타당성 및 판별분석 결과 모두 높게 나타나 최종 분석을 위해 응답자를 3개의 군집으로 적절하게 세분화하였다. 3개의 군집은 체험에 소극적, 중도적, 적극적 지향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적극적 지향 집단은 곤충체험에 대해 다양하게 지향하는 집단으로 5 ~ 9세와, 10 ~ 14세의 자녀를 둔 부모는 감성적 체험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체험 프로그램 비용으로 7 ~ 8천원의 지불의사를 밝혔다. 세분 집단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소극적 지향 집단과 중도지향적 집단은 교육적 체험에 가장 높게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을 체험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게 위해서는 교육 지향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보마케팅을 강화한다면 참가의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곤충산업의 6차 산업화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다양한 지향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곤충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 experience for different market segments based on insect experience orientation in order to develop Ptecticus tenebrifer (Diptera: Stratiomyidae [Walker]) experience programs using local resources in the insect industrial market. A total of 325 effective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 attributes of insect experience orientation were connected to education, emotion, society, and ego. The survey respondents were students and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or three groups that were all found to be high in the prediction validity and discriminant analysis. Based on this result, the respondents were properly subdivided into three clusters for final analysis. Those three groups were: the passive group, the moderate group, and the active-orientation group. As a group aiming for various insect experiences, the active-orientation group consisted of parents whose children range in age from either 5 to 9 or from 10 to 14. This group was willing to spend 7 ~ 8,000 won on each experience program, and they preferred emotional experience programs. The passive and moderate orientation groups were most interested in having an educational experience.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interest in experience programs, education-orient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motional marketing should be reinforc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insect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meet various visitor experience orientations as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plan for the insect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