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모자가정의 자립지원을 위한 단기체류형 공동주거시설 모형개발 연구

        양수련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single parent family has increased rapidly according to divorce growth. Single mother family form over then 80% of total single parent family and many of them are the weak in financial things. Especially residential problem of low-income single mother family has appeared upon the field of social problem. It is encouraged for unstable single mother families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to live in residential facilities in order to recover their anxiety. But single mother family has undergone unpleasant prejudice in our country. Besides domestic facilities were established as the shelter for widows and unmarried mothers in post age. In these reason many single mother family avoid entering residential facility. In recent years, however, the tendency that dwellers attach importance to self-sustenance and privacy has rising continually. In addition residential facilities changed into the system supporting private life not protecting one-sidedly. Therefor it is necessary to plan new residential facility in order to accept new type of single mother family-over than 9% of total family. So, preceding survey including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firstl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composed of not only architectural theory but social welfare theory and domestic science. Also direct observation and open- ended interviews has used by the method of condition survey. The target of condition survey is existing facilities, the persons concerned and the dwellers. Especially this study contain the evaluation of dweller's spacial usage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is based on qualitative survey, because the amount of facility and dweller is short to quantitative survey and the dweller's character is so delicate. Based on collecting data by studying theory and surveying the present condition, design guideline is suggested. Besides the prototype of residential facility is presented. The design guideline is composed of the guidelines of outdoor space, working space, public space, residential space, corridor and passage according to the frame of condition survey. And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is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scale and children's age. (1) The design guideline is based on the propriety investigation of legal standard and existing condition survey. So, in this study the improvable matters and alternative proposal is referred according to separate space-outdoor space, working space, public space, residential space, corridor and passage. (2) The development by the scale of facility is divided in to 20 families' scale, 30 families' scale, over than 40 families' scale. For example 20 families' scale facility has young dwellers relatively and limit upon the size of land. And 30 families' scale facility has various program and program rooms. 40 families' scale facility is located in suburban and has the older dwellers. (3) Also we can separate the prototype according to children's age. Because the life style of dwellers is very different by the children's age. So,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is divided into residential space for the families has young children and the families has adolescent boys and girls. I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design guideline and prototype by the scale and children's age. This guideline and prototype will be applied to remodeling of old facility or a new building. And a new building will be built in future style as the model of this study. Theses building works had better be done by the government or community of social welfare. However there are a few limitations of this study. Firstly a former study and precedents isn't sufficient to develope prototype. So this study had to depend on direct observation and open- ended interviews. But it was the good chance to perceive correct usage and the opinions of dwellers. From now on, the study on short-term residential facility for single mother family will be continue since it is worth establishing new house type, public daycare center for children and future welfare facility. 최근 편부모가정은 이혼율의 증가에 따라 그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편부모가정중 80%이상이 편모가정이며, 이들은 경제적으로 약자의 입장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저소득층의 주거문제는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복지학적인 측면에서 모자가정의 경제적·사회적 안정을 위해 공동체 생활을 일정기간 누리면서 자립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관념상 모자가정은 ‘아버지가 없는’ 또는 ‘결손가정’이라는 따가운 시선을 감당할 수밖에 없게 된다. 게다가 모자가정을 수용하는 공동주거시설이 전후세대에 설립된 ‘보호시설’이기 때문에 입주를 꺼려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입주자의 성향이 자치적이고 사생활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공동주거시설 또한 일방적인 ‘보호’가 아닌, 자립적인 주거생활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전체 가구수의 9%에 달하는 모자가정이라는 새로운 가정 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미래형 공동주거시설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단계의 경제적,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한 단기체류형 공동주거시설 모형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자가정을 위한 미래형 공동주거시설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모자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고찰로는 공동주택에 대한 건축 문헌뿐만 아니라 사회복지학이나 가정학 분야의 참고문헌 등을 통해 모자시설 입소자들의 생활패턴과 성향을 알 수 있었다. 현황조사의 방법으로는 직접관찰법과 심층면접법을 이용하였는데, 현재 모자보호시설에 상주하는 직원 및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현장관찰과 직원 및 관계자 인터뷰에서 그치지 않고 ‘거주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실제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관계자 심층 인터뷰 및 거주자 설문조사는 양적으로 정량적 통계를 내기에 충분하지 않고 거주자 특성상 물리적 요소와 더불어 심리적, 정서적 고찰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질적인 자료 수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공동주거시설을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모형개발을 수행하였다. 설계 가이드라인은 현황분석의 틀에 따라 공간을 옥외공간, 사무공간, 공용공간, 주거공간, 복도 및 통로로 분류하여 설계 지침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 제안하는 모형들은 규모별, 동반자녀 연령별로 구분되어 있다. (1) 설계 가이드 라인은 ‘시설기준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현황조사를 근거로 제안하였다. 옥외공간, 사무공간, 공용공간, 주거공간, 복도 및 통로에 대한 개선점 및 추가사항, 대안책 등 각각의 지침을 마련하였다. (2) 규모별 모형개발은 크게 20세대 규모, 30세대 규모, 40세대 이상 규모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국내 모자시설의 규모를 바탕으로 주변 환경과 입소자의 특징에 따라 차이점을 나타내는 경계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20세대 규모 시설은 평균연령이 낮은 사람들이 입소하며 도심에 위치하고 면적의 제한이 심한 경우가 많다. 또한 현존하는 시설의 대부분에 해당되는 30세대 규모 시설은 공용공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특징이있다. 40세대 규모이상 시설은 외곽에 위치하며 입소자의 평균연령이 높은 편이다. (3) 동반자녀의 연령별로 주거단위를 개발한 이유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거주자들의 생활패턴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가정을 위한 주거공간과 청소년기 이상 자녀를 가진 가정을 위한 주거공간을 각각 분리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모형개발에 필요한 설계 가이드라인과 규모별, 자녀연령별 프로토 타입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과 프로토 타입은 기존시설의 증개축시 적용될 수 있으며 새 부지를 매입하여 신축하는 최근 경향에 따라 미래형 공동주거시설 건축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모자가정이 단기적으로 체류하는 시설인 만큼 국가적 차원이나 복지적 차원에서 많이 시행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번 연구의 한계점은 문헌자료와 기존연구 사례가 불충분하다는 점인데, 따라서 현황조사와 실사용자 설문을 통한 자료수집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정확한 현황파악과 실제적인 사용성에 대한 세세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 또한 있었다. 향후에도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주거시설의 차원을 넘어서 특수한 가정형태의 수용, 자녀의 공동체적 양육, 복지 사업의 체계적 운영이라는 차원에서 계속 진행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음악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수련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The effectiveness of an integrated instrumental ensemble adopting CMLS model influencing on musical concepts and attitudes of 5th grade students Yang, Su Lyeon Major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integrated instrument ensemble music class measures adopting CMLS model aims to study the impact of 5th grade musical concepts and attitudes. To do this, the teaching / curriculum for instrumental ensemble adopting CMLS has been developed by searching relevant research, reviewing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ing elementary fifth grade music curriculum and choosing title song linked instrumental ensemble and devising appropriate body activities. 16th music class were tried by inviting 20 student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nyang, Gyeonggi to evaluate musical concepts and attitudes.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research, musical concepts and attitudes which has tested by each of The Korea Test of Music cognition (KTMC, Eun-Shik Choi and others) and Attitude test papers with pre/post examination were quantified with t-verification. In order to verify music interest, excitement, and self-confidence through observing music class, the journals, interviews, plays video analysis, individual 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has been evaluated.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re following below; First, the integrated instrument ensemble adopting CMLS model has been affected on 5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 After evaluating the result of pre/post test, the average grade of musical concept has been increased and meaningful statistical gap (t=-2.89) was seen.  Here is the detail area of effectiveness on the beats, melodic line, melodic, rhythm, main melody, chord respectively. It shows musical class applying instrument ensemble with CMLS could increase the ability of music concept.  Second, in the sexual difference of musical concepts, the melody, rhythm, beat, melodic line was improved more than an average score by mail students while female ones melody, chords, beats, melody line showing improvement respectively. It has been analyzed that meaningful statistical gap was seen in beat, melody line for mail students so that the music class with integrated instrument ensemble adopting CMLS can contribute more in male students’ musical concepts improvement than female.  Third, through an integrated instrument ensemble adopting CMLS , it has been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musical attitude. Reviewing the result of musical attitude pre/post test, the average score of 16 among 17 questionnaire were seen improvement and 9 ones has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urth, there has been positive impact on musical interests, attractiveness, self-confidence, and cooperative attitude by applying the integrated instrument ensemble with CMLS in music class. Before the class, a few of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and passive in music, after the class more  students were seen their interest, activity, and enjoying in music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proactively. Since instrument ensemble should get harmonized each other not alone, it can raise the attitude of caring and cooperative with others.  Based on this research, it has confirmed that applying integrated instrument ensemble with CMLS to 5th grade of elementary students’ musical clas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musical concepts and attitudes.   국 문 초 록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음악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 수 련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는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음악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연구, 이론적 배경 고찰, 초등학교 5학년 음악과 교육과정 분석 및 기악합주와 연계할 수 있는 제재곡을 선정하고 적절한 신체표현을 구상하여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안양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20명을 연구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16차시의 음악수업을 실행하고 음악적 개념 및 태도를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음악적 개념 및 태도를 각각 한국음악인지능력검사(KTMC, 최은식 외)와 태도 검사지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t-검증으로 양적 분석하였다. 수업관찰을 통한 음악적 관심과 흥미, 자신감, 협동심을 알아보고자 교사일지, 면담, 연주동영상 분석, 개인평가 및 동료평가지로 질적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은 5학년 학생들의 음악적 개념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더니 학생들의 음악적 개념의 평균점수의 향상이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89). 세부영역에서 보면 박자, 가락선, 가락, 리듬, 주선율, 화음의 순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이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높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남녀 성별에 따른 음악적 개념의 변화에서는 남학생은 가락, 리듬, 박자, 가락선에서 평균점수의 향상이 있었고, 여학생이 가락, 화음, 박자, 가락선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왔다. 남학생은 박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은 음악적 개념 향상면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좀 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이 학생들의 음악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음악적 태도검사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17개 문항 중 16개 항목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고, 9개 문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넷째,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이 학생들의 음악적 관심과 흥미, 자신감, 협동심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수업 전에는 음악에 관심이 없고 소극적인 아동이 많았는데 점차 흥미를 보이며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였고 음악을 즐기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수업 후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관심 특히 악기연주에 큰 관심을 보였다. 기악합주는 혼자가 아니라 서로 소리를 들으며 조화를 이루어 나가야 하므로 서로를 배려하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를 수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CMLS모형을 적용한 기악중심의 음악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음악적 개념 및 태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경기도 지역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인식

        양수련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actual status of the music teacher system in Gyeonggi Province? (2) How do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elementary schools perceive music teacher system?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nd the perceptions of school administrators regarding the music teacher system? (4) Bas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music teacher system perceived by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what actions could be taken to stimulate the music teacher system? For this study, references about subject teacher system, music teacher system, and professionalism of music teachers were reviewed. Subsequently, the transition of music teacher system was divided into preparatory stage, implementation stage I, and implementation stage II. In addition,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was retained by exploring professionalism of music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nsequently, surveys for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wer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 system. Furthermore, an interview tool was develop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er system from music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75 music teachers and 253 school administrat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affiliated with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at have music teacher system. Surveys were distributed to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from December 30, 2020 to February 5, 2021. 172 copies (62.5%) of the surveys for music teachers and 220 copies (87.0%) of surveys for school administrators were retriev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nterviews with 22 music teachers were conducted from May 24, 2021 to June 18, 2021 who wished to be interviewed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The survey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 of music teacher system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χ²) using SPSS 28. The interview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coding data from recorded transcription and interview no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music teachers preferred music subject and wanted to be music teachers due to their professionalism.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resulting from burden of school work and teaching multiple subjects. School administrators tried to operate music teacher system by selecting professional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needs of classroom teachers. There are a number of music teachers who teach music in a music classroom that is not equipped with musical instruments and soundproofing. In addition, contents from online were being used in class instead of musical instruments. Music teachers value practical skills and they are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ism by applying music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o their music classes. For music teacher system to be activa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ditions for music teacher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and to teach music subject intens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er system,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re aware of needing music teacher system for students' musical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music teachers have difficulties due to other school work, student guidance, music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 treatment, and relationship with classroom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 subject specialization of music teachers,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teachers with music professionalism and classroom teachers do not prefer music teacher system which makes it hard for the school to operate music teacher system. In order to stimulate music teacher system, music classroom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teachers are important, but it is important that professional music teachers are assigned priorly so that school members are aware of necessity for music teacher syst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there were perception gap in criteria for music selection, music room facilities, perception of the activation of music teacher system, and support from the school and Office of Education. There must be a clear standard for objective judgment as to whether a teacher has the right qualification for being a music teacher. School administrators consider music teacher system more important than that of music teachers and perceive that music classroom facilities and support for music classes are in good condition. There should be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s and learning materials required for music class through communication with music teachers who actually teach music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survey conducted with music teacher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music teacher system, the music teachers feel rewarding and satisfied while teaching music but face various difficulties as a music teach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to be music teachers.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music teachers are continuously striving for musical growth of their students and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ism. School members are requi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music teachers to do better in music classes, and to cooperate so that the music teacher system could be well established to provide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 system, music teachers must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with passion and sense of duty and work hard to do well in music classes in order to stimulate the music teacher system. School members should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usic teacher system,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consider music subject specialization preferentially when assigning music teacher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o that professional music teachers can continue to take charge of music subject. At the beginning of implementation of subject teacher system, training was conducted at the Office of Education so that music teachers could have professionalism along with other support. The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create a talent pool to manage music teachers as part of supervision over the operation of music teacher system.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fessional music teachers priorly, so that music education can be continuously conducted with enough music teachers. With the efforts of music teachers, school members’ awareness, and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good quality music education will be realized systematically by the music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1) 경기도 지역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4)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가 인식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바탕으로 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교과전담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음악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전담제의 변천과정을 준비 단계와 시행 Ⅰ단계, 시행 Ⅱ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의 전문성을 탐색하여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 설문지와 관리자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의 경험을 통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 연구 대상은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중에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를 운영하는 학교의 음악교과 전담교사 275명, 관리자 253명이다. 2020년 12월 30일부터 2021년 2월 5일까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음악교과 전담교사 설문지는 172부(62.5%)를 회수하였고, 관리자는 220부(87.0%)를 회수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설문 응답자 중 면담을 희망한 음악교과 전담교사 22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24일부터 2021년 6월 18일까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 분석은 SPSS 28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 일원 변량분석(ANOVA), 카이검정(χ²)으로 양적 분석하였다. 면담 조사 결과는 녹음 전사, 면담 메모 등의 자료를 코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음악을 선호하고 전문성이 있어서 음악전담을 희망하였으나, 학교 업무 부담과 복수 교과 지도로 어려움이 있다. 관리자는 학급담임들의 요구에 따라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선정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를 운영하고자 하였다. 악기 구비와 방음시설이 안 된 음악실에서 음악수업을 하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다수 있고, 악기 외에도 온라인 콘텐츠를 수업에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음악교사의 전문성으로 실기 능력을 중요시하며, 음악교수법과 자료를 수업에 적용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를 위하여 전문성이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전문성을 개발하며 음악교과를 집중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는 학생의 음악적 성장 발달을 위해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하지만,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학교 업무, 학생지도, 음악수업환경, 교사 처우, 학급담임과의 관계 등으로 어려움이 있다. 관리자는 음악교과 전문성이 있는 교사를 전담교사로 배정하고자 한다. 그러나 음악교과 전문성이 있는 교사 확보가 어렵고, 학급 담임들이 음악교과를 전담교과로 비선호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한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음악실 환경, 교사 처우도 중요하지만,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우선 배정되어, 학교 구성원들이 음악교과의 전담교육 필요에 대한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전담 선정기준, 음악실 시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활성화에 대한 인식,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학교마다 음악교과 전담을 선정할 때, 음악교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라는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하겠다. 관리자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활성화에 대한 인식이 음악교과 전담교사보다 높고 음악실 시설, 음악수업을 위한 지원이 잘 된다고 인식한다. 실제 수업을 하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서로 대화와 협의를 통하여 음악수업에 필요한 악기와 학습자료에 대한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조사를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음악을 가르치면서 보람과 만족을 느끼지만, 전담교사로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은 음악전담을 지속하기 어렵게 한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다. 학교 구성원들은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음악수업을 잘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잘 이루어져 아이들의 음악적 성장이 있는 음악교육이 될 수 있도록 협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활성화되기 위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열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전문성을 개발하며, 음악수업을 잘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학교 구성원들은 음악교과 전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관리자는 음악교과 전담교사 배정 시 음악교과 전문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청에서는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음악전담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교육청에서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운영에 대한 관리 감독의 일환으로 인력풀을 만들어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먼저 확보하여, 음악전담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학교에 음악전담 정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의 노력과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교육청의 지원이 있을 때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음악교육이 잘 이루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