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

        양성혁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적이 처음 알려진 지 근 100년이 되고 있다. 그동안 신석기시대 연구는 괄목상대한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토기 분야 연구는 신석기문화 연구의 중심으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그간 연구사에서 논의 되었던 토기 연구 성과의 검토를 통해 지난 100년 간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의 성과를 1) 즐문토기에 대한 시대 인식의 변화, 2) 즐문토기의 지역권 설정과 편년체계 수립 3) 토기 형식 및 양식 설정에 두고 정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선후관계에 대한 고찰 없이 막연히 석기시대의 유물로 평가받았던 즐문토기에 대한 시대 인식은 광복 후 남북한 여러 학자들의 노력으로 ‘신석기시대=즐문토기’, ‘청동기시대=무문토기’라는 성과를 얻었다. 이후 즐문토기 연구는 1970년대 이후 각 지역별 유적조사의 증가와 함께 즐문토기에 대한 지역권이 설정되었으며, 지역권별로 세부 편년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토기의 형식과 양식이 설정되면서 토기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시간적·공간적 위치가 확정되고, 문화 양상의 실체가 파악되고 있다. 이는 선학들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그러나 토기 연구가 형식학적 방법에 의한 편년 연구에 치중되고, 그 검증 절차 역시 논리성이 부족하다는 점 등 아직 많은 부분에 있어 미진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연구의 논증 절차 강화와 연구 주제의 다양화를 통해 우리가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It has been about a hundred years since sites dating from the Neolithic Ag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first known. Research on the Neolithic Age, particularly on earthenware, has made a noticeable achievement. In the Peninsula, evaluation of research on the Neolithic Age has been made by numerous researchers. This paper has divid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on Neolithic pottery, which had been practiced for over 100 hundred years, as follows: 1) Change in the period identification of comb-patterned pottery; 2) Designation of comb-patterned pottery’s regional sphere and establishment of a dating system; and 3) Establishment of pottery types and patterns. Thanks to the efforts made by researchers of the two Koreas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in 1945, the period identification of comb-patterned pottery, which were vaguely said to be artifacts dating from the Stone Age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me to be arranged as follows: comb-patterned pottery dating from the Neolithic Age and plain pottery dating from the Bronze Age. In the 1970s and thereafter, the regional sphere of comb-patterned pottery was established amid an increase in the surveys of local historic sites, and the work focused on the detailed dating of artifacts was briskly carried out by region. In the process, the pottery’s types and patterns came to be identified and a theoretical basis of pottery research was provided. Based on such results, the temporal and spatial locations of the Neolithic Ag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fixed, along with an accurate status of the culture.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efforts made by researchers to shed light on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Neolithic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Nonetheless, pottery-related research still has a long way to go. Many studies solely focused on dating research based on a typological method, and the relevant verification procedure lacks logic. We must get over the problems by reinforcing the procedure for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and diversifying the research subjects.

      • 동삼동패총 출토 그물무늬토기 고찰

        양성혁,박승원 국립중앙박물관 2014 고고학지 Vol.20 No.-

        동삼동패총에서 출토된 그물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의 그물이 토기 겉면에 찍혀 있는 유일한 것으로 당시 그물의 실체와 방적 기술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본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아 신석기시대 그물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자료의 출토 현황 및 3D 현미경 관찰 결과 등 기초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 글을 작성하였다. 우선 그동안 일부에서 동삼동패총 하층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고 신석기시대 전기의 유물로 평가되었던 본 자료가 실제로는 이중구연토기를 대표로 하는 문화층에서 출토된 유물임을 밝혔다. 이와 함께 능형집선문 혹은 조우문과 유사한 사격자문, 동체 상부에만 시문된 무늬, 장석이 혼입된 태토 등을 근거로 본 자료가 봉계리식토기 단계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시하였다. 본 자료에 찍힌 그물감을 3D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물감은 단사 2올 이상을 꼬아서 만든 합사임이 확인되었다. 이 실 꼬임의 각도는 평균 38°로, 현재 기술로 이 정도의 꼬임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합사가 적절하지만 당시 가락바퀴로 단사 3올을 동시에 꼬기에는 어렵다는 점에서 단사 2올을 강하게 꼬아서 만든 2합사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물감의 원료는 강도가 크고 내수성이 좋은 대마로 추정하였다. 동삼동패총을 비롯해 동남해안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그물추가 거의 출토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이 지역에서는 그물추가 없는 형태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와 함께 그물과 그물추의 존재가 곧 그물어법의 존재라는 단순한 구도에서 벗어나 선사시대의 그물 사용례를 들어 그물이 단순히 고기잡이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냥과 운송 등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였다. The net pattern pottery from Dongsam-dong shell midden represents the only example of pottery decorated with the imprint of a Neolithic net. This paper aims to compile basic information on net pattern pottery, by identifying the context of its discovery and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3D microscope analysis. First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is type of pottery, which had been seen to have come from the lowest layer of Dongsam-dong shell midden and was therefor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Early Neolithic culture, in fact came from the cultural layer represented by double-rimmed pottery(二重口緣土器). In addition, given the presence of rhombus-shaped motifs(斜格子文), the way in which patterns were used to decorate only the upper part of the vessel body, and the use of base clay with feldspar inclusions, it is tentatively suggested that net pattern pottery may in fact belong to the cultural phase represented by Bonggye-ri style pottery. By observing the net imprints on the pottery surface using a 3D microscope,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net was made using cord which consisted of more than two same types of single yarn. These yarns had been twisted together at an angle of 38°; in modern spinning technology, three is believed to be the appropriate number of yarns needed to maintain this angle but given that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twist together three yarns using the spindle whorl available at the time, it is likely that the cord was made by tightly twisting only two yarns. It is inferred that the material used to make the yarns would have been hemp yarns, which was strong and water resistant. The Neolithic sites of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including Dongsam-dong Shell Midden, have rarely yielded net sinkers. Based on this fact, therefo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fishing nets in this region were used without sinkers. In addition, nets would not have been limited to this function alone; nets would have also been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 hunting or the transportation of goods.

      • 박물관에서의 면진(免震)시스템 활용 :  

        양성혁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3 동원학술논문집 Vol.6 No.-

        이번 조사연구는 용산에 새로 건립하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면진시스템을 도입하기에 앞서, 박물관 분야에서 면진시스템과 그 필요성에 대해 이해를 공유하기 위해 행해졌다. 현재 건축 분야에서는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내진(耐震)·면진(免震)·제진(制震) 개념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지진 피해가 많은 일본의 경우, 지진에 의한 문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의 박물관이 면진시스템을 적용하여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합리적이고 적합한 방식을 모색하여 면진시스템을 도입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 부안 계화도 산상유적 재검토

        양성혁,김왕국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8 고고학지 Vol.24 No.-

        부안 계화도 유적은 故 전영래 선생에 의해 소개된 유적으로, 신석기시대 다른 유적과는 달리 산 정상에 입지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출토된 토기는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단사선문계 구분계토기와 남해안지역 전기를 대표하는 영선동식토기이다. 영선동식토기는 당시에는 서해안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석기 중 옥부와 전면마연 장방형석부 역시 당시 출토 예가 많지 않았다. 발표 당시 고고학적 지식의 한계로 유적과 유물에 대한 평가가 부족한 점이 없지 않았다는 점에서 계화도 산상유적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계화도 산상유적에 대한 현지답사를 하고 새롭게 유물을 실측하여 유적과 유물을 재보고하였다. 처음 소개 당시 이미 유적이 훼손되어 유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었다. 이에 새롭게 현지답사를 한 결과, 유적이 있었던 계화산 정상에는 조선시대 봉수시설이 복원되어 있었으나, 주위에는 돌과 풀이 무성하여 지표상에서는 별다른 유구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계화도 산상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는 이른바 영선동식토기로 불리는 것으로 남해안지역 전기에 해당되는 것들이다. 석기는 석부 중심인데, 옥질의 석재를 정밀 마연한 옥부와 장방형석부가 주목된다. 이 석기는 비실용적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계화도 산상유적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주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산 정상 혹은 능선의 평탄면에 조성된 신석기시대 유적인 부산 다대동 유적, 용호동 유적, 인천 시도 유적, 영종도 는들 유적, 울진 후포리 유적의 입지와 출토 유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이 유적들이 신석기시대 의례 행위와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The site of Gyehwa-do, Buan, was first made known to the archaeological community by the late Jeon Yeong-rae. It is distinctively located at the summit of a mountain, presenting a contrast to other typical Neolithic sites. Yeongseondong-type potter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ottery type of the Early Neolithic of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was recovered at this site, representing the first discovery this pottery type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The jade axe and rectangular axe polished on all sides are also rare finds for the time. Due to lack of archaeological knowledge at the time that the site first came to be known to the wider archeological community, there is need to re-examine the mountain based site of Gyehwa-do and its artifacts. This paper represents an up-to-date report of the site, based on the re-survey of the site and the re-drawing of the artifacts. The site had already been destroyed at the time of its discovery,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n its archaeological features. A re-survey of the site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that Joseon period beacon facilities had been constructed at the summit of Mount Gyehwa, where the Neolithic site had been located. The surrounding area was densely covered with stones and grasses, making it difficult to find any traces of archaeological remains. The pottery from the mountain based site of Gyehwa-do is of the Yeongseondong-type, which is attributed to the Early Neolithic of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The lithic assemblage consists of stone axes; of particular interest are the finely polished rectangular axe and jade axe. Given that these axes would not have served a practical function, their presence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nature of this site. Other examples of Neolithic sites situated at mountainous locations (on summits or relatively flat locations along ridges), and their associated artifacts were examined. These sites are as follow: Dadae-dong and Yongho-dong (Busan), Shi-do and Yeongjong-do Neundeul (Incheon), Hupo-ri (Uljin). It is proposed that it is highly likely these sites, along with the mountain based site of Gyehwa-do, were associated with Neolithic ritual activities.

      • 미니어처 말에 대한 시론적 고찰

        양성혁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7 고고학지 Vol.23 No.-

        고고학 현장에서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되지 않는 유물이 출토되면 우리는 대체로 어떤 상징성을 지닌 의례 용품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 흙, 쇠 등으로 만든 미니어처 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미니어처 말은 일반적으로 출토 상황이나 민속신앙의 사례를 들어 기원의 대상 혹은 의례의 도구로 추정되고 있다. 물론 그럴 개연성이 충분하지만 이에 대한 검증 절차를 생략하고 막연히 추정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또한 고고학적 연구 방법으로 접근한 예도 거의 없다. 이에 본 글은 고고학 현장에서 발견되는 미니어처 말의 제작방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형식들이 시간적 속성과 공간적 속성을 지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재질에 있어서는 기존에 알려진 대로 고대에는 토제의 비율이 높았으며, 중근세에 들어서면서 철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음을 재차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과 함께 형식적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다르게 그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다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니어처 말이 출토되는 유적 수는 중근세로 갈수록 증가하였지만, 공간적으로는 오히려 산 정상이나 사찰, 민가 등 한정된 장소에서 확인된다. 이는 말 신앙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고려시대 이후 국가적 차원의 마제(馬祭)가 유교적 형식으로 바뀌면서 민간 신앙으로 확산되었다는 기존의 견해를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산성을 포함한 산 정상에서 미니어처 말이 많이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니어처 말과 관련된 의례행위를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산악신앙 혹은 국사당 신앙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When an artifact that was likely not used in the common daily life is found, we often tend to interpret it as a ritual objects holding some kind of symbols. This is also true in the case of miniature horse figures made of clay, metal, etc. Miniature horse figures are usually considered as worship objects or ritual objects based on the excavation context or ethnic customs of the area. It is highly probable, but in many cases this conclusion is simply assumed without any verification process. Moreover archaeological approach was not applied in those cases. This study examined the manufacturing procedures of the miniature horses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and made a typological classification to understand any temporal and spacial patterns.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at ancient periods favored the use clay for making miniature horse figures, and the use of iron became relatively common in the medieval and later periods. However, it disproved the conclusion of former studies that claimed typological diversity increased as time passed, but found that the diversity, in fact, decreased as time pas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sites in which the miniature horses were discovered increased throughout the medieval and modern times; however, many were in spatially restricted areas such as mountain tops or in rural areas. This implies that there was a certain change regarding the horse ritual, supporting the idea that official government-level horse rituals gave way to Confucian rites after the Goryeo Dynasty, and instead became a popularized folk belief. It also suggests that horse rituals were related with ancient mountain religion or perhaps religious services for the mountain god(Guksadang) since many miniature horses were discovered at the top of mountains and mountain fortress wal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