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의 매개효과

        양민정 동아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 폭식행동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은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고생의 스트레스, 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셋째, 여고생의 스트레스, 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 넷째, 여고생의 스트레스, 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이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총 11개 교육지원청에 소속된 70개의 여자고등학교에 전화를 하여 설문실시에 응한 7개교에 재학 중인 여고생 450명을 대상으로 폭식행동,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34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스트레스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기자비, 우울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자기자비는 폭식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우울은 폭식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매개효과가 있다. 여고생의 스트레스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자기자비를 통해서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보이고, 결과적으로 정적인 총효과를 보인다. 셋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우울은 매개효과가 있다. 여고생의 스트레스는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우울을 통해서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보이고, 결과적으로 정적인 총효과를 보인다. 넷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있다. 즉, 여고생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기자비가 낮고, 자기자비가 낮을수록 우울을 더 느끼며, 우울할수록 폭식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고생의 폭식행동과 관련된 상담을 위해서 주요한 시사점은 발달적 특성상,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여고생들의 자기자비를 증진시키는 것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개입은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자기자비를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은 정서조절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수용하는 것,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을 수 있음을 자각하는 것, 자신에게 좀 더 너그러이 대하는 것 등의 자기자비를 증진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들의 폭식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스트레스의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여고생들의 정서를 조절하는 것이 예방차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수영 경기결과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 비교

        양민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정보기술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활용하여 스포츠가 가지는 특성과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분석기법의 예측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스포츠와 관련된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경기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지능형 모델개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포츠경기에서 예측은 경기의 흐름을 제공하고 경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여 경기운영과 훈련방법을 전략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해주며 경기력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경기력을 향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포츠 경기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머신러닝의 여러 기법 활용은 예측시스템 및 경기결과에 따른 설명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17년~2021년 전국수영대회 경영 여자 자유형 200m 경기분석자료(data)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활용한 경영 경기결과 예측모델을 설계하고, 설계된 예측모델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여 경영 경기에 적합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경영 경기결과 예측모델별 경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력 변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머신러닝 예측기법인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라쏘 회귀(Lasso Regression), 릿지 회귀(Ridge Regression), 엘라스틱 넷 회귀(Elastic Net Regression),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그래디언트 부스팅 머신(GBM: Gradient Boosting Machine), 인공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설계하고 모델별로 예측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경영 경기결과 예측모델별 경기력 변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첫째, 머신러닝 예측모델의 예측 성능을 비교한 결과 Lasso Regression 예측모델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Elastic Net Regression 예측모델, Linear Regression 예측모델, Ridge Regression 예측모델, DNN 예측모델, Random Forest 예측모델, GBM 예측모델 순으로 예측력이 나타났다. 둘째, Linear Regression 예측모델, Lasso Regression 예측모델, Ridge Regression 예측모델, Elastic Net Regression 예측모델에 입력된 변인 간 상대적 중요도는 스트로크 구간의 기록 변인인 4lap cleanswim record, 3lap cleanswim record, 2lap cleanswim record 변인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예측모델에서는 스트로크 구간의 기록 변인이 모델을 예측하는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ndom Forest 예측모델, GBM 예측모델에 입력된 변인 간 상대적 중요도는 3lap cleanswim speed, 3lap cleanswim record, 4lap cleanswim record 변인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비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예측모델에서는 스트로크 구간의 속도와 기록이 모델을 예측하는데 높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DNN 예측모델은 알고리즘의 특성상 예측에 활용되는 변인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여자 자유형 200m 경기분석기록(data)을 기반으로 경영 경기결과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예측기법의 활용이 가능했으며, Lasso Regression 예측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 자유형 200m 경기에서 스트로크 구간의 기록은 최종 기록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머신러닝 예측기법을 수영 경영 경기결과 예측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추후 머신러닝 예측기법의 스포츠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다양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비교

        양민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으로 인하여 환자 측면에서는 만족도와 재이용의도가 높고, 환자안전지표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인력 간의 불분명한 업무와 역할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결과가 혼재하고 있으며, 간호조직 관련 연구에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직무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 차이를 확인하고,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연관성을 분석,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S상급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내과계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기존 측정도구를 기초로 일부 문항을 변경 및 삭제하여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3월 14일부터 4월 2일까지 3주에 걸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응답 내용이 불완전한 3명을 제외한 24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T검정 및 분산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간호사의 직무특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근무병동에 따른 비교를 위해 다중회귀분석 및 하위그룹분석을 수행하였다. 직무특성에서 일반병동은 기술다양성(p=0.001)과 직무정체성(p<0.0001)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직무중요성(p<0.0001)과 피드백(p<0.0001)이 일반병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일반병동보다 직무만족(p<0.0001)이 높고, 이직의도(p<0.0001)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연관성 분석에서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 자율성(β=0.40, p=0.0065)과 피드백(β=0.76, p<0.0001)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정체성(β=-0.26, p=0.0091)과 피드백(β=-0.31, p=0.0083)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자율성(β=0.55, p=0.0079)과 피드백(β=0.76, p<0.0001)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특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직무정체성(β=0.44, p=0.0245)과 피드백(β=0.49, p=0.0262)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는 직무정체성(β=-0.48, p=0.0053)만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근무병동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직무특성의 하위변수를 확인했다는 데 있어 의미가 있다. 의료기관에서는 병동 간호사에게 직무를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 업무 범위 내 자율성을 부여하고, 업무 성과의 효과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는 서비스의 범위와 인력 간 업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job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nurses work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The subjects were nurses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in internal medicine of “S” General Hospital,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onlin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changing and deleting some questions based on the existing measurement tools from March 14 to April 2, 2023. This study utilized a total of 242 surveys except 3 responses that are insincerely answered. The data conducted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As a result in all subjects, it was found that autonomy(β=0.40, p=0.0065) and feedback(β=0.76, p<0.0001)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ask identity(β=-0.26, p=0.0091) and feedback(β=-0.31, p=0.0083)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results of general ward nurses, it was found that autonomy(β=0.55, p=0.0079) and feedback(β=0.76, p<0.0001)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results of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it was found that task identity(β=0.44, p=0.0245) and feedback(β=0.49, p=0.0262)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nly task identity(β=-0.48, p=0.0053)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sub-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Health providers should give nurses autonomy within the scope of work in planning and performing their duties, and provide feedback that can directl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ir work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larify the scope of service and job allocation among various worker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양민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college students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2 graduate students in Busan. A total of 4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of which 410 copies were returned. 18 copies whose answers were not sincere, were excepted. 39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measurement scales were used Multi-item Measure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Scale,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of Interpersonal Problems-Circumplex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undergraduate'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xiety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static correlation. avoidan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too.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genar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static correlation.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too. Second, the anxiety attachment had an more effect on general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avoidant attachment had an more effect on socially avoidant and cold. Three, the general self-efficacy had an more effect on general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social self-efficacy had an more effect on nonassertive, socially avoidant and cold. In all,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had a signigicantly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 to interpersonal problems include the anxiety attachment, the avoidant attachment,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Namely, it means tha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o help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make harmonious, enhancing the self-efficacy is important. Using the theoretical suggestion as basic data, it is to obtain practical suggestions that would be helpful for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 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 감,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기효능 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시 소재의 4년제 및 2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50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40부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18부를 제외하고 392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인기 낭만적 애착척도, 자기효능 감 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를 사용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중 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 감이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상관이 있다. 애착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더 많이 경험한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대인관계문제 전반적으로는 애착불안의 영향력이 더 크며, 냉담성과 회피성의 대인관계문제는 애착회피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셋째, 청년기 뿐 아니라 전 생애를 걸쳐 중요시되는 발달과업인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전반적인 대인관계문제와 보복성, 간섭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회적 효능감은 비주장성, 냉담성, 회피성의 대인관계문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안정적인 애착형성과 높은 자기효능감 수준의 형성으로 원만한 대인관계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법적인 면을 시사하고 있다.

      • 그림 안에서 보기 : 회화적 재현의 본질에 대한 논의

        양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표는 “회화적 재현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우리 주변의 많은 그림들은 어떤 대상이나 장면을 재현한다. 그러나 그림이 어떻게 재현하는지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그림이 재현하는 방식이 언어, 도표, 조각 등이 재현하는 방식과 구별된다면, 그 차이는 무엇인가? 그림이 재현하는 방식에서 특징적인 점은 무엇인가? 본고는 그림은 “안에서-보기(seeing-in)”라고 하는 경험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그 대상을 재현한다는 주장을 옹호하고자 한다. “안에서-보기”는 리처드 볼하임(Richard Wollheim)에 의해 제시되고 발전되어온 개념으로서, 차별화된 표면에서 어떤 형상을 보는 특별한 경험을 가리킨다. 안에서-보기는 그림 경험에 특징적이지만 그림 경험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안에서-보기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진 능력으로서, 우리는 얼룩진 벽이나 구름 등을 보면서도 안에서-보기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림은 이러한 자연적인 지각 능력을 계발하고 촉진한다. 안에서-보기의 가장 큰 특징은 그 경험이 이중적인 측면을 가진다는 점이다. 우리는 그림의 표면을 보는 동시에 그것이 재현하는 대상을 본다. 그러나 볼하임은 안에서-보기가 형태적 측면과 재인적 측면이라는 두 가지 구분되는 국면으로 구성된 하나의 경험이라는 것만을 말할 뿐, 그러한 경험의 현상적인 특징에 대한 더 나아간 설명을 거부한다. 이러한 점은 안에서-보기 이론을 이해하거나 지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본고의 전략은 안에서-보기 이론과 경쟁적인 다른 이론들을 비판함으로써 다른 이론들과 안에서-보기 이론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 안에서-보기 이론이 다른 이론들에 비해 가지는 타당성과 설명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회화적 재현의 본질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많은 유력한 이론들이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닮음 이론, 상징 이론, 재인 이론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본 후, 안에서-보기 이론이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닮음은 회화적 재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가장 직관적이고 전통적인 대답이다. 그러나 본고는 이 닮음이라는 개념이 회화적 재현을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에서부터 출발한다. 어떤 대상을 닮은 모든 것들이 그 대상을 재현한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닮음은 재현의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 닮음이 과연 재현의 필요조건이 될 수는 있을까? 그림은 그 대상을 닮아야만 재현할 수 있다고 할 때, 중요한 것은 그림이 그 대상을 어떤 측면에서 얼마나 닮아야 하는가이다. 그러나 그림이 그 대상과 닮은 측면을 찾아내기란 그리 쉽지가 않다. 2차원적인 평면인 그림이 3차원적인 대상을 두드러지게 닮았다고 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최근의 닮음 이론들은 그림과 대상 사이의 닮음을 주장하는 대신, 그림이 그 대상을 닮은 것으로 경험된다고 주장함으로써 그림과 그 대상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에 대한 비판에 맞서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된 닮음” 이론들 역시 재현 독립적인 닮음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닮음은 재현을 설명하기보다는 재현에 의존하는 개념이라는 점이 밝혀진다. 재현이 닮음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그림이 무엇을 재현하는가를 알아차리는 데에 닮음이 의존한다는 사실은 재현을 닮음과 독립적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시도를 불러온다. 상징 이론은 회화적 재현은 무엇보다도 인간이 무엇인가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징이며, 그러한 점에서 인간이 상징을 사용하는 관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그러나 회화적 재현의 본질을 자연적 지각성에 기대지 않고 형식적 속성으로만 규정하고자 하는 상징 이론의 시도는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상징 이론은 회화적 재현이 인간의 사용에 의존하는 상징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지만, 그림의 지각성이 제거할 수 없는 회화적 재현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정당하게 다루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재인 이론은 최근의 회화적 재현에 대한 논의들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이론이며 안에서-보기 이론, 나아가 경험 기반 이론과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재인 이론이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은, 회화적 재현은 그것을 해석하는 인간의 지각 능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재인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그림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실제 대상을 알아보는 우리의 능력이 그 대상을 재현하는 그림에 대한 해석에 관여되기 때문이다. 재인 이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이야기할 수 있다. 첫째, 회화적 재현은 상징이며, 그것이 실제 대상에 대한 우리의 재인 능력에 의해 해석된다는 점에서 언어적 재현과 구분된다. 둘째, 회화적 재현의 제작과 해석은 화가의 의도보다는 인과적 과정에 의존한다. 이러한 재인 이론에 대비되는 안에서-보기 이론에 대한 옹호 역시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된다. 첫째, 회화적 재현은 상징이기 이전에 어떤 경험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둘째, 회화적 재현에 대한 옳음의 기준은 인과가 아닌 화가의 의도이다. 안에서-보기 이론을 옹호하는 데 있어 본고가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그림은 상징이기 이전에 지각되는 대상이라는 점이다. 그림을 그 상징 기능 내에서 정의하고자 하는 이론들이 놓치고 있는 것은, 우리가 그림을 볼 때 그것이 상징하는 바를 파악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재현하는 대상과 세계를 그 자체로 경험한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그림에서 재현되는 대상을 시각적으로 의식한다. 그러나 그림 안에서 보는 것은 실제 세계의 대상이 아니라 매체에 의해 구성되는 대상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그림이 재현하는 대상과 그림 사이의 유사성과 그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그림이 수행하게 되는 상징 기능이 회화적 재현의 본질이라고 간주하는 이론들은 실제 세계에 대한 지각과 그림에 대한 지각이 서로 너무나도 다르다는 사실을 무시한다. 안에서-보기 이론은 재현적 그림이 본질적으로 지각적 경험의 대상이며 그러한 지각 경험은 일상적인 보기와 다른 종류의 보기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그림이 대상 지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면서도 또한 인간이 의도적으로 만들어내는 예술적 대상이라는 사실을 정당하게 다룰 수 있다.

      • 무즙을 첨가한 장황용 풀의 물리적 특성 연구

        양민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heat starch paste, the main material for mounting, is an adhesive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ancient documents and paintings. and is made of wheat starch paste and aged wheat starch past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object and the use of the mounting. Wheat starch paste is made by adding wheat starch mixed with water to a pot and stirring it quickly with a wooden stick over high hear. Aged wheat starch paste is boiled and then ripen in a jar for about 5 years or more. Aged wheat starch paste is used for long scrolls with paintings and wide scrolls of documents that require flexibility because it has weaker adhesive strength and lower viscosity than wheat starch paste. However, aged starch paste has the disadvantages;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at ever craftshop, difficulty to obtain, and long production period.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 records of paste for mounting can be found for a long time, but there are few. In the past, artisans used the additives to compensate for hardening of the work and prevent severe damage from insects when mounting with starch only. In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records, the radish juice was added to the wheat starch paste for mounting tin order to keep the scroll from warping like a tile-roofed house. The added radish juice contains the liquefaction enzyme, which breaks down the components of starch, and is used to make mounting that require flexibility.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the radish juice used, the mixing ratio of wheat starch and the radish juice are not presented, and the related information is insufficient.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n additive to the paste for mounting. In addition, studies on paste for mounting carried out to date have been evaluated for the removal of wheat protein and the reinforcement of insect and fungus prevention in the manner of making paste. The study on the flexibility of the wheat starch paste to replace research of aged wheat starch past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is insufficient. Since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natural organic adhesive have a great influence on physical properties, research related to this is essential. In this study, therefore, based on the literature records, the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a wheat starch paste added the radish juice and compared it’s physical properties with aged wheat starch paste’s. The possibility that it is applied to the use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mounting-cultural heritage was examined. To this research, the physical analysis, optical analysis, and 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aged wheat starch paste and wheat starch paste with added the radish juice.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surface observation, adhesion strength measurement, and fracture strength measurement by physical analysi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specimen through visual observation and a portable microscope, it was observed that the more ratio the juice added to the wheat starch paste increased, the more time the UV deterioration increased, the darker the color of the specimen became. The higher the amount of radish added to the wheat starch paste, the lower the concentration and the weaker the adhesive strength became like a aged wheat starch paste, and the change in adhesive strength was the same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dhesive strength in the previous study. After UV deterioration, the higher the amount of radish added to the kidney, the longer the deterioration time, the more the measured value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measurements o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wheat starch paste was similar to that o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juice of radish 5 before the deterioration,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adhesive strength of the aged wheat starch paste and the juice 5 similarly decreased after 120 hours of UV deterioration. As a result of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in the optical analysis, before UV deterioration the more ratio the juice of radish added to the wheat starch paste increased, the less the L* value tended to decrease, and the L* value of the juice of radish 5 juice sampl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specimen with aged wheat starch paste. After UV deterioration, the longer the UV deterioration time and the higher the ratio of the juice added, the larger the color difference value of the sample, and the highest the color difference value before and after deterioration of the aged wheat starch paste. In chemical analysis, two methods were used: pH measurement and viscosity measurement. The pH value decreased, as the longer UV deterioration time in both the aged wheat starch paste and wheat starch paste added with radish juice. Both aged wheat starch pastes and wheat starch pastes added the juice of radish showed neutral pH before UV deterioration, and pH was neutral even after UV deterioration. As a result of the viscosity measurement, the more the amount of radish added to the wheat starch paste, the lower the viscosity, but it was judged that the viscosity had a certain effect on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fracture strength. This is presumed to affect properties other than viscosity because the starch degrading enzyme of radish acts to give flexibility. Through this study, I think it will help grasp the physical properties of aged wheat starch paste used in mounting work that requires flexibility, and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as a repair and restoring material of the juice of radish, a natural additive that can replace the aged wheat starch paste with, I think this study will help the research on materials of paper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mounting. 장황(粧潢, mounting)의 주재료인 소맥전분풀은 서화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한 접착제로, 신풀과 고풀로 만들어 대상물의 종류와 장황의 용도에 따라 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사용한다. 신풀은 냄비에 물과 혼합한 소맥전분을 넣고 강한 불에 나무 봉으로 힘을 주어 빠르게 저어 만들며, 고풀은 소맥전분을 끓여 약 5년 이상 항아리에 숙성시켜 만든다. 고풀은 신풀에 비해 접착력이 약하고 점도가 낮기 때문에 유연성이 필요한 족자, 두루마리 등의 장황에 사용된다. 그러나 고풀은 제조방법이 공방마다 다르고, 구하기 어려우며, 제작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기록을 보면 장황용 풀에 대한 기록은 오래전부터 찾아볼 수 있으나 그 기록은 많지 않다. 옛 장인들은 전분만으로 장황할 경우 작품이 딱딱해지므로 이를 보완하면서 충해도 예방하기 위하여 첨가제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문헌기록을 보면 족자가 기와처럼 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장황용 풀에 무즙을 첨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첨가된 무즙에는 전분의 성분을 분해하는 전분 액화효소가 있어 유연성이 필요한 장황을 할 때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된 무즙의 농도, 소맥전분과 무즙의 배합비 등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오늘날 장황용 풀에 첨가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현재까지 수행된 장황용 풀에 대한 연구에서는 풀 제조법에 있어 소맥의 단백질 제거와 방충·방미·접착력 강화에 대한 항목을 평가하고 있으며, 고풀을 대체할 수 있는 풀의 유연성을 비롯한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천연 유기물 접착제의 종류 및 농도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기록을 토대로 하여 전통 장황 재료인 소맥전분풀에 무즙을 첨가한 풀로 시편을 제작하여 고풀과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전통재료의 활용과 장황 문화재 수리·복원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고풀과 무즙을 첨가한 신풀의 물리적 분석, 광학적 분석,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물리적 분석으로 표면 관찰, 접착강도 측정, 내절강도 측정의 3가지 실험을 시행하였다. 육안 관찰과 휴대용 현미경을 통하여 시편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전반적으로 신풀에 무즙을 첨가한 비율이 증가할수록, 열화시간이 길어질수록 시편의 색이 진하고 어두워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신풀에 무즙을 첨가하는 양이 많아질수록 저농도가 되어 고풀처럼 접착강도가 약해졌고, 접착강도 변화 양상은 기존 연구에서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와 동일하였다. 자외선 열화 후에는 신풀에 무즙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열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측정값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열화 전 고풀의 접착강도와 무즙 5의 접착강도는 유사한 측정값을 보였고, 120시간 열화 후 고풀의 접착강도와 무즙 5의 측정값이 유사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광학적 분석에서 색도 측정 결과, 자외선 열화 전 신풀에 무즙을 첨가한 비율이 증가할수록 L*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풀로 배접한 시편보다 무즙 5 시편의 L* 값이 낮았다. 자외선 열화 후에는 열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무즙을 첨가한 비율이 높아질수록 시료의 색차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고풀의 열화 전 후 색차값이 가장 높았다. 화학적 분석에서 pH측정과 점도측정 2가지 방법을 시행하였다. 무즙을 첨가한 신풀과 고풀 모두 자외선 열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 값이 낮아졌다. 무즙을 첨가한 신풀과 고풀 모두 열화 전 pH는 중성으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열화 후에도 pH 는 중성으로 나타났다. 점도 측정 결과, 신풀에 무즙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점도는 낮아졌으나, 점도가 접착강도나 내절강도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무즙의 전분 분해 효소가 작용하여 신풀에 유연성을 주기 때문에 점도 외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연성이 필요한 장황작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풀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고풀을 대신할 수 있는 천연 첨가제인 무즙의 수리·복원 재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장황을 비롯한 지류문화재 재료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