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의 교육론에서 리(理)의 세계관

        안동렬 ( Ahn¸ Dongryeol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퇴계의 교육론을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교육론이 어떠한 세계관에 근거하여 제시되는지를 밝혀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퇴계는 그의 마지막 저작인 『성학십도』를 통하여 자신의 교육론 체계를 정리하였고, 「소학도」와 「대학도」를 중심으로 하는 자신의 교육론 체계에서 「태극도」와 「서명도」를 교육론의 근원이자 바탕이 되는 세계관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퇴계의 교육론 체계의 맥락에서 「태극도」와 「서명도」를 해석할 때 그의 세계관이 교육론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태극도」와 「서명도」를 통해서 리(理)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관을 제시한다. 그의 세계관은 형이상자인 리에 능동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유학적 세계관과 차별성을 지니며, 그의 세계관에서 인간은 이러한 리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의 가능성을 지닌다. 리가 중심이 되는 퇴계의 세계관은 자연적 질서와 사회적 질서를 통합함으로써, 인간에게 본성으로 내재하는 리의 실현이 곧 이상적인 사회의 구현으로 귀결된다. 리로 말미암아 유기체적으로 존재하는 사회에서 일상은 곧 리가 활동하는 장이며, 교육은 개인을 통한 리의 실현과 확장의 과정으로서 리가 온전하게 실현되는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는 방편이 된다. 이러한 퇴계의 세계관은 그의 교육론이 개인의 수양에 초점을 두고 해석될 때도 언제나 자연과 사회 전체와의 유기체적 관계성이 그 바탕에 전제되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orldview upon which Toegye’s education theory is based. Toegye systematically organizes his educational theories in his magnum opus, Seonghaksipdo (聖學十圖;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 his educational theories mainly presented in “Sohakdo” (小學圖; Diagram of the Elementry Learning) and “Daehakdo” (大學圖; Diagram of the Great Learning), he proposes “Taegeukdo” (太極圖;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and “Seomyeongdo” (西銘圖; Diagram of the Western Inscription) as the worldview his educational theories are originated from and grounded upon. Therefore, interpreting “Taegeukdo” and “Seomyeongdo” in the context of Toegye's educational theories can lead us to see how his worldview is related to education theory. Toegye presents a worldview centered on li (理; principle) through “Taegeukdo” and “Seomyeongdo”. His worldview differs from the existing Confucian worldview in that it gives activeness to the metaphysical thing, li. In his worldview, humans have possibilities of education in that they can recognize this li. Toegye's li-centered worldview integrates the natural order and the social order, thereby making the realization of li as humans nature that of an ideal society. In a society that exists organically through li, everyday life is a field in which li is active. Also, education is a process of realization and expansion of li through individuals and it is a means of realizing an ideal society in which li is fully realized. Toegye's worldview suggests that even when his educational theory is interpreted with a focus on individual discipline,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whole society should always be premised as the basis of his theory.

      • KCI등재

        학교의 기본교육으로서 퇴계의 경(敬) 공부

        안동렬 ( Ahn¸ Dongryeol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퇴계의 경 공부가 현대의 학교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 공부를 사상적 특징으로 하는 퇴계의 문헌을 활용하여, 퇴계가 당시의 교육과정에서 경 공부를 학교의 기본교육으로 강조하는 맥락을 해석하였다. 소학과 대학의 단계로 이루어진 성리학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퇴계는 학교의 기본교육으로서 경 공부에 주목한다. 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기본교육의 단계에 해당하는 소학은 일상에서의 생활을 통한 마음공부를 핵심으로 하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경 공부는 마음과 몸을 분리하지 않음으로써 교육에서 앎과 삶이 분절되지 않도록 한다. 먼저, 경 공부는 인식의 바탕으로서 마음을 다루고, 이를 통해 가치판단의 성찰적 인식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경 공부는 몸을 주재하는 마음을 다루고, 이를 통해 본성에 의한 주체적 삶이 가능하게 한다. 즉, 지식의 토대를 형성하고 실천의 주체를 확립함으로써, 경 공부는 교육에서 앎과 삶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기제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지식과 실천이 분리된 우리의 학교교육에 기본교육으로서 경 공부의 현대적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oegye’s gyeong (敬; mindfulness) in modern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imarily analyzed the literature of Toegye, which characterized gyeong as a theoretical characteristic, and interpreted the context in which Toegye emphasized gyeong as basic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at the time. Based on the curriculum of Neo-Confucianism consisting of phase sohak (小學; the rudimentary phase of school education) and daehak (大學; the advanced phase of school education), Toegye focuses on gyeong as basic education in the school. Sohak, which corresponds to the basic education phase in the school curriculum, focuses on heart-mind discipline in everyday life, and in this process, gyeong does not separate the heart-mind and the body, such that knowing and doing are not divided in education. First, gyeong treats the heart-mind as the basis of cognition, and through this, reflective recognition of behavioral judgment is possible. Next, gyeong treats the heart-mind that presides over the body; thereby, it is possible to live as the true self according to nature. In other words, by forming the foundation of knowledge and establishing the subject of practice, gyeong exists as a mechanism to connect and integrate knowing and doing i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dern application of gyeong as basic education is necessary for today’s school education, in which knowing and doing are separated.

      • 다문화 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사상 비교 연구 :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신유학 이해를 중심으로

        안동렬(Dongryeol Ah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권 속에서 다문화 교육의 사상적 기초를 논하며, 특별히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 지역의 신유학 이해에 주목하였다. 먼저, 유교 문화권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면서도 각 지역의 유학 이해에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유학의 사상적 흐름을 정리하였다. 중국에서 시작된 신유학이 한국에서 철학적 완성을 이루고 일본에서 문화로 정착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신유학 사상에서 다문화 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핵심 개념을 밝히고 정리하였다. 신유학의 공동체적 인간관에 따라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인간에 대한 관점을 통해서, 교육 공동체의 개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신유학 사상에 근거한 교육 공동체의 적용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는 세계적 추세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논점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thesis discusses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ultural area of eastern Asian area and focuses on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of China, Korea and Japan particularly. First of all, it arranged differences of each area's confucianism understanding under the common matter of Confucianism cultural area and philosophical stream of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starting from China accomplished philosophical completion in Korea and confirmed the process to settle it in Japan as a culture. Next, it revealed and arranged the core concep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neo-Confucianism philosophy. According to the communal human view of neo-Confucianism, there was an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rough the standpoint for human learning and growing in community, there was a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Finally, it examined an aspect of applying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neo-Confucianism. It provides important issues and implications while forming commun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bal tendency of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성현에 대한 퇴계의 교육적 이해

        안동렬(Ahn, Dongryeol)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퇴계가 교육의 목표로서 성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있다. 그리고 그 교육철학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우리의 역사에서 교육의 목표로서 성인됨을 제시했던 것이 오늘날 우리의 교육에 어떠한 통찰을 제공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퇴계의 문헌을 중심 자료로 활용하여, 교육의 목표로서 성현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교육 실천의 장에서 교육적으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성현은 교육에 인간됨이라는 존재론적 가치가 포함되도록 하는 핵심적인 기제이다. 성현은 인식론적 교육목표를 인간됨이라는 존재론적 맥락으로 표상화하는데, 성현이 의미하는 인간됨이란 모든 관계 안에서 선한 본성의 실현을 뜻한다. 다음으로, 교육 실천의 장에서 성현을 공경하는 것은 학습자가 교육목표를 내면화하도록 한다. 학습자가 제향을 통해 성현을 공경함으로써 교육의 시작인 입지가 이루어지며, 입지를 통해 학습자는 본성의 실현이라는 가치를 믿음으로 내면화하게 된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교육목표로서 성현에 내포된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을 규명할 뿐만 아니라 존재론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사례로서 우리의 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oegye understands sage - as the ideal objective of educated beings. Looking into its educational philosophical meaning, this study examined the insights that presenting the sages as the objective of education in our history provides for our education today. To this end, this study uses Toegye s literature as the primary data to interpret what aspects of sages are characterized as an educational goal and how they function education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First, sages are a key mechanism to ensure that the ontological value of human beings is included in education. Sages represent the educational goal presented epistemologically in the ontological context of being human. The being human in the meaning of the sages stands for the embodiment of the good nature in all relationships. Next, honoring sag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ractice allows learners to internalize their educational goals. By honoring sages through memorial rites, learners establish their will, which is the beginning of education. Through setting up a will, the learner internalizes the value of embodiment of nature through faith. In conclusion, the presentation of sages as the objective of educated beings not only enable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n practice, but also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our education in that it enables education to take place in an ontological dimension.

      • KCI등재

        퇴계의 『성학십도』에서 마음공부의 의미

        안동렬(Ahn, Dongryeol)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지향하는 학습원리의 중요한 역사적 사례로서 퇴계의 마음공부(心學)의 성격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퇴계의 대표 저작인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중심 자료로 활용하여, 그 안에서 제시되는 학습의 원리로서 마음공부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먼저, 퇴계는 학습의 과정에서 마음(心)을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존재론적 차원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음은 사유하고 느끼는 지각의 작용을 하며, 마음의 지각은 인간의 형이상학적 본성을 지각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다음으로, 퇴계는 학습의 관점에서 배움(學)이 내포하는 실천적 성격에 주목함으로써 실제적인 삶의 차원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움은 현실의 삶에서 실천으로 드러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실천은 인간의 본성을 온전하게 실현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마음공부란 학습자가 자신의 형이상학적 본성을 지각하고 이를 실현함으로써 자신을 전인적으로 완성해나가는 학습의 원리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우리의 교육에서 학습이 단지 인식론적 차원이 아닌 존재론적 차원의 바탕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oegye s heart-mind discipline as an important historical case of the learning principle aimed at a holist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erpreted the heart-mind discipline as the principle of learning presented in Toegye s magnum opus,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s the primary data.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oegye placed the heart-mind at the center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 that learning proceeds in the ontological dimension. The heart-mind acts as a way of thinking and feeling perception, and the heart-mind s perception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human metaphysical nature. Next, it was confirmed that Toegye focused on the practical nature of discipline in terms of learning, so that learning was carried out in a practical life dimension. Discipline has meaning in what is revealed as practice in real life, and this practice focuses on realizing the human nature to the full. In conclusion, the heart-mind discipline is a principle of learning in which learners perceive their metaphysical nature and realize them to complete themselves hol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arning in our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ontological dimension, not just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

      • KCI등재

        퇴계의 교육론에서 학교의 의미와 성격

        안동렬 ( Ahn Dongryeol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학교철학적 사유의 중요한 역사적 사례로서 퇴계의 교육론에서 학교의 성격을 밝혀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퇴계는 그의 마지막 저작인 『성학십도』를 통하여 자신의 교육론 체계를 정리하였고, 「소학도」와 「대학도」를 중심으로 하는 자신의 교육론 체계에서 「백록동규도」를 통해 교육의 제도적 실천의 방편으로 학교를 제시한다. 따라서 퇴계의 교육론 체계의 맥락에서 「백록동규도」를 해석할 때 그의 교육론에서 학교가 어떠한 성격으로 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인간에게 본성으로 내재하는 리(理)의 실현을 교육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그는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구분하여 인간 본성의 초월적인 영역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유학적 인간관과 차별성을 지니며, 이 초월성에 기반하는 존재 근원의 정감을 중심으로 지식과 실천을 구조화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특징을 지닌다. 인간에게 본성으로 내재하는 리(理)의 실현은 오륜(五倫)을 통해 관계 중심적 교육으로 제시되며, 학교는 오륜이 의미하는 관계성을 중심으로 리(理)의 실현을 돕기 위한 기관으로 존재한다. 즉, 학교는 사회적으로 리(理)의 실현이라는 공통 가치를 형성하며, 개인에게 본성으로 내재하는 리(理)의 실현을 도움으로써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존재론에 기반하는 관계성이 학교교육의 중심에 있어야 함을 의미하며, 관계 중심의 교육을 위하여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정감이 학교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in Toegye's theory of education as an important historical case of school philosophy. Toegye systematically organizes his educational theories in his magnum opus, Seonghaksipdo (聖學十圖;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 his educational theories mainly presented in “Sohakdo” (小學圖; Diagram of the Elementry Learning) and “Daehakdo” (大學圖; Diagram of the Great Learning), he proposes schools as a means of institutional practice of education through “Baeknokdonggyudo” (白鹿洞規圖; Diagram of Rules of the White Deer Hollow Academy). Therefore, interpreting “Baeknokdonggyudo” in the context of Toegye's educational theoies can lead us to se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the school presented in Toegye's theory of education has. Toegye presents the realization of li (理; princile), which is inherent in human nature, as the core of education. He differs from the existing Confucian view of humanity in that he secures the transcendental realm of human nature by separating Sadan (四端; Four Beginnings) and Chiljeong (七情; Seven Feelings). He has an educational characteristic in that he structures knowledge and practice around the sentiments of the origin of existence based on this transcendence. The realization of li, which is inherent in humans, is presented as a relationship-centered education through Oryun (五倫; the Five Relationships), and the school exists as an institution to help the realization of li,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s that Oryun contain. In conclusion, a school is an institution that realizes an ideal society by forming a common value of realization of li socially, and helping the realization of li, which is inherent in the individual's n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relationships based on ontology should be at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and for relationship-centered education, the fundamental sentiments of human existence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in schoo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