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도조(入島祖) 묘역에 나타난 제주의 형기론(形氣論) 풍수지리(風水地理)

        신영대(Young Dae Shin) 제주학회 2009 濟州島硏究 Vol.32 No.-

        제주에 산재 (散在) 한 모든 묘역(墓域)과 입도조(入島祖) 묘역은 전통적인 풍수지리(風水地理)의 한 축으로 불리는 형기론(形氣論)의 바탕 위에서 판단하는 좌향법(坐向法)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장법(葬法)은 제주 특유의 지리적 상황과 융합되면서 형세(形勢)를 중시하는 제주풍수로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종산(宗山)인 한라산과 오름을 연계한 지맥(地脈)의 유기적(有機的)인 관계는 제주의 양택(陽宅)파 음택(陰宅)을 이루는 풍수의 모태(母胎)가 되었다. 대부분의 묘역이 오름의 형세와 연계한 지형·지세의 기본 골격을 중시하였고 제주의 전형적인 형기론(形氣論) 풍수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오름이나 동산에 의지하여 묘역의 위치를 정할 때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에 따라 오성체(五星體)의 산형(山形) 과 형세적인 요소를 결합하면서 상징적인 물형(物形)의 형국이 묘역마다 부여되었다. 그 이면에는 한라산과 오름을 매개체로 한 지맥(地脈)의 개념이 근간(根幹)을 이루었으며 이러한 관념은 제주의 형기론 풍수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이어진 360여개의 오름과 마을의 동산에는 제각기 지세(地勢)의 형국을 바탕으로 독특한 성격과 상징을 가지고 있는 묘역이 산재하고 있다. 본 논고(論考)에서는 특히 지난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때로 유배(流配)와 은거처(隱居處)로 제주에 낙향(落鄕)하여 지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입도조(人鳥祖) 묘역을 중심으로 형기론(形氣論) 풍수를 고찰하고자 한다. 입도조 묘역에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고 제주 풍수의 형기적(形氣的)인 심미성(審美性)을 유추(類推)할 수 있다. 형기론 풍수에 각인(刻印)된 내면의 정신적인 가치와 자연적인 가치는 풍수의 형국(形局)에 바탕을 둔 풍수적 상정을 통하여 모든 분야에 더욱 제주적인 모습을 발현시킬 수 있다고 본다. 동시에 제주의 입도조(入島祖) 묘역에 나타난 제주풍수의 형기론적(形氣論的) 형국을 중심으로 독특한 제주 풍수의 방식과 제주의 관념, 정신, 생활, 윤리 등 한라산과 오름을 지맥의 매개체로 한 묘역의 지세를 통해 제주풍수의 참다운 모습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For all tomb sites around Jeju, including the ones form the first movers of a clan to the island, the applied method for site selection was Fengshui Direction or Jwahyangbeop(坐向法), a method used to select and place a tomb based on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ne the axes of the traditional feungshui principle. The practice of such method embraced and merged with Jeju s indigenous geographical surroundings to develop into Jeju s particular fengshui that emphases the shape and force of terrain. The organic relations of the mountain ranges(地脈) from the backbone mountain of Jeju, Mt. Hallasan, to the scattered volcanic cones ororeums have been the source of Jeju fengshui in selecting Yang-tack(陽宅) for people to live in and Yin-taek(陰宅) for the dead to be buried. Most of the tome sites display that the importance is given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shape and energetic force of a site in connection with those of the surrounding oreum. This has been the opportunity from which Jeju s classic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to be developed. In particular, when a tomb site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rounding oreums or hills, a shape of a symbolic object is assigned to the site by combining the shape of mountain in terms of the body of the five elements(五星體) and the elements that makes the shape based on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陰陽五行). The basis of such practice was the concept of topography that uses Mt.Hallasan and surrounding oreums as medium, which has been the driver for the development of Jeju s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f fengshui. There are tomb sites scattered around on more than 360 oreums, stretched out from Mt. Hallasan to the north, east, west, and south and on the hills near by villages. Each of the sites has a unique characteristic and a symbolic feature based on the shape and force of the site.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f feungshui by reviewing some of the representative tomb sites for the first movers of a clan who mad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munity. They were the people who became the first movers to form a clan on the island as they were sent to Jeju in exile or chose to sequester themselves in the island. The sites vividly reveal well-maintained history and culture of Jeju an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ju fengshui s shape and energy. The spiritual and natural value, ingrained in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f fengshui, are embodied in fengshui symbols based on the shapes of fengshui, which shall be able to manifest the Jeju s unique features further in different areas. Based on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in Jeju s particular fengshui, the study also aims to highlight the genuine features of Jeju fengshui, such as its unique method of practicing and Jeju s idea, spirit, life, and morals as shown in the tomb sites of the first movers of a clan, by reviewing the shapes and the energy emitting from the sites that use the topography of Mt. Hallasan and its surrounding oreums as medium.

      • 치유적 개념의 힐링풍수

        신영대 ( Shin Young Dae ) 대한풍수연구학회 2017 대한풍수연구 Vol.4 No.-

        본 연구는 자연환경과 풍수의 융합을 통한 산림에너지활용과 명상, 물형(物形)의 상징성과 명당주택, 오성산형(五星山形)의 상징성 등을 치유활동에 이용하여 현대인의 심리개선과 심신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힐링풍수의 가치와 더불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활동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힐링풍수는 사회, 환경, 지리, 물리, 인문 등의 요소를 보다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자연과학을 토대로 우리가 사는 주거형태나 도시의 형태까지도 다양하게 연구하는 분야로써 바람, 물, 태양, 산 등에서 발산하는 다양한 에너지의 관계를 활용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인간의 생명은 기(氣)의 작용에 의해 유지되며 기의 조화와 부조화에 의해 건강이 좌우된다고도 볼 수 있다.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반복하면서 기의 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것은 바로 우리 인간이 호흡을 하는 원리와 같으며 모든 삼라만상은 이렇게 기적(氣的)인 호흡을 하고 있는 것이다. 천지대자연을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의 영향권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자연생태계에서 발산하는 기운, 즉 자연에너지를 활용하여 인생의 번영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힐링풍수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라 할 수 있으며, 자연에서 발산하는 좋은 에너지를 교감하여 보다 건강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함이다. 힐링풍수를 통한 다양한 치유활동은 자연, 경관, 생태, 인문, 예술에 이르기까지 대상에 제한이 없으며, 풍수와 산림을 결합한 치유의 숲 명상 프로그램 조성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인성회복 차원에서 필요하다. 산업화와 도시문명, 각종 공해에 찌든 현대인들에게 힐링풍수는 지속가능한 미래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과학적인 바탕 위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대의 풍수지리는 입지론을 중심으로 지리적 환경과 기후적 조건에서 오는 기의 특성을 치유적 개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체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value of Healing Pungsu and suggestes the programm about it. Healing Pungsu is important to human healths and mental conditions which is affected by Pungsu energy so called ki(氣). The final goal of Pungsu science is something for the prosperity and happiness of individuals, being in harmony with confortable conditions that is provided with winds and waters, and sun's directions. The programme may consist of meditation and breathing in terms with walking, shouting, praying in Pungsu bright yards. Modern Pungsu have to be developed from locational theory to healing theory related to life theory and the methodolog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