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몸 담론의 교육적 의미

        송혜린(Song, Hye-Rin),노상우(Ro, Sang-Wo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본고는 들뢰즈의 몸에 대한 담론을 탐구하고, 그것을 통해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며, 몸 담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들뢰즈는 ‘기관 없는 신체’라는 몸 개념을 통해 몸을 욕망의 강렬도에 따라 무한한 변용 역량의 잠재성이 실현되는 ‘생성적’ 장소로 보았다. 이러한 몸에 대한 이해는 기존의 근대철학에서 무시한 몸의 끊임없는 인 식능력이 발현되는 곳임을 드러내는 것이어서 기존의 이성중심의 교육철학을 수정할 수밖에 없도록 한다. 몸이 앎의 생성을 위한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임을 염두에 둔다면, 이것은 교육이라는 장에서 몸의 복권을 요청한다. 들뢰즈에 있어 이성, 정신, 마음, 의식과 같은 형이상학적 교육용어들은 그것이 육화된 경험으로 나타날 때 비로소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몸은 이성이나 정신을 담아내는 그릇 정도가 아니라, 오히려 그것들이 생겨나고 작동하는 뿌리이며 토양이다. 이에 본고는 들뢰즈의 배움을 구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낯선 몸-되기’를 제시하였다. 일상화된 몸의 감각을 낯설게 만들게 되면, 새로운 몸의 감각을 통해 배우는 내용이 다르게 보이고 해석된다. 더 나아가 기존의 삶의 방식이나 세계의 질서 속에 감춰져 있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의 교육철학자들은 욕망이 자유롭게 순환하고 통과하는 ‘충만 한 몸’에 대한 긍정의 힘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 while watching, feeling and understanding each other's various gestures. In this respect, to understand body is the basis of education research, also, the foundation of educational activity. Research on Deleuze's body discourse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reflect the problems of today's education, also, a new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could be got from the bo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leuze viewed body as a 'creative' place where infinite potential of change capacity according to intensity of desire through the concept of 'CsO'. Such understanding of body enables desire to freely circulate and pass, accordingly, it positively acts in 'full body' that creates new 'self' every moment. Second, now body performs the major role, not the assistant role that assists the mental area, which requests restoration of body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Deleuze, rationality, mentality, mind, and consciousness can perform their own function when they appear through physical experience. Third, this research suggested 'Becoming-unfamiliar body', as a method of realizing Deleuze's learning. 'Becoming-unfamiliar body' disassembles students' conventional way of thinking and suggests new challenge and stimulation to current habituated way of understanding. In other words, students could learn that their viewpoint is partial through this 'becoming-unfamiliar body', furthermore, get a sight to newly discover the significance hidden in the existing way of life or the order of the world.

      • 영화 <하녀>의 인물 대비 상징이 함의한 시대적 문제의식

        송혜린(Song Hye-Rin) 미디어스토리텔링학회 2015 미디어스토리텔링 Vol.2 No.-

        1960년에 제작된 영화 <하녀>는 성실한 아내와 두 어린 자녀를 둔 40대 중반의 피아노 강사 김동식을 중심으로 그와 공단의 여공들, 그리고 아내의 가사를 돕기 위해 자신이 불러들인 어린 하녀와의 새로운 관계들이 가정을 파괴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영화는 이를 통해 광복과 6.25 이후 근대 자본주의 사회로 진입하게 된 한국사회의 계급과 젠더의 정체성의 변화와 혼돈을 공간의 구조와 자아의 상징물들의 의미에 함축하여 비유적으로 드러낸다.

      • KCI등재

        노마디즘에 나타난 "감응"의 교육

        송혜린 ( Hye Rin Song ),노상우 ( Sang Woo R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들뢰즈의 철학에 담겨있는 배움의 개념을 알아보고, 이 개념이 노마디즘의 철학적 특징인 ``감응``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힌다. 그리고 이 ``감응을 통한 배움``이 교육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는 배움을 아직 알지 못하는 것, 알 수 없는 것을 파헤치는 탐구의 과정으로 정의한다. 배움은 외부 세계에서 주어지는 낯선 기호(=경험)들을 적극적으로 체험하면서 기존의 인식과 지각의 틀을 허물고, 미세지각능력을 자신의 몸에 새롭게 키워 나가는 ``기호와의 마주침``이다. 또한 어떤 특정한 인식 상태에 고정되지 않고, 대상과의 만남에서 생길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사태에 개방되어 무수히 많은 차원들과의 접속을 통해 새로운 특이성(창조성)을 창조해 가는 ``이념에의 침투``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노마디즘에서의 ``몸``은 다양한 기호들과의 우연적인 마주침을 통해 감각들의 차이가 생성되는 터전이다. 외부의 다양한 실재가 내뿜는 기호와 차이들에 학생들의 신체가 접속함으로써 새로운 감응을 얻고, 이러한 감응들로부터 내적 열림의 실천과 새로운 자기 창조, 즉 ``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셋째, 감응 교육의 방법으로 들뢰즈가 제시한 것은 예술이다. 예술은 세상을 가장 넓게 횡단하고 자신과 가장깊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서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선 삶의 잠재적 지대로 안내하는 힘이 있다. 학생들은 이 예술을 통해 일상에서 기대하지 못했던 새로운 지각, 정서, 사유와 같은 창조적 본성을 일깨울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어떤 초월적인 규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의 관계에 기반한 탈근대교육을 연구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concept of learning in philosophy of Deleuze, and study that how this concept has a relationship with ‘affect’ which is a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Nomadism. And also this studies what meaning this ‘learning through affect’ has educationall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Deleuze defines the status of not knowing learning yet and the process of exploration to expose the things cannot be known. Learning is an ‘encounter with signs’, breaking down the existing framework of awareness and perception by experiencing strange signs (=experiences) given in an external world, and growing the micro-perception capability of the self on its body. Also, it can be explained as a ‘penetration of the ideology’ that is not fixed to a specific recognition status but exposed to all possibilities that can happen from encountering the objects and creating new specificities (creativity) through connections with the myriad dimensions. Secondly, ‘body’ in Nomadism is a ground where differences in sensation through contingent encounter with various signs are created. As student`s bodies are connected to signs and differences which are from variety of external reality, new affect is gained and practice of the inner opening and new self-creation from this affect, in other word, ‘Becoming’ can be realized. Thirdly, art is the method that Deleuze suggested for education. Art crosses the world widely and it gives a chance to communicate with oneself and has strength to guide to potential zone of the life which is beyond personal dimension. Students will be able to realize the creative nature, such as new perception, emotion and reason through art, which cannot be expected from the daily life. The above discussion is very suggestive in that it studies postmodern education based on relationship of free life which is not bound by certain transcendent regulations.

      • KCI등재

        노마디즘에 나타난 교육인간상 탐구

        노상우(Ro, Sang-Woo),송혜린(Song, Hye-R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노마디즘의 철학적 사유가 어떤 교육적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노마디즘에 내포된 인간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둘째 그러한 인간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과제는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와 가타리는 '선분'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성의 특징을 '이항성', '통일성', '초코드화'로 보고 이것의 문제를 비판한다. 근대는 지배적인 질서가 요구하는 규범이나 규칙에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게 되며, 교육에서도 그 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규범을 내면화한 표준화된 인간상을 전제한다. 노마디즘은 이러한 인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 둘째, 노마디즘적 인간은 이미 고정되거나 주어진 틀에 가두어 지는 것을 거부하고, 타고난 잠재성에 따라 끊임없이 자신을 변형하고 다른 무엇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노마디즘에 바탕을 둔 교육적 인간상은 낯선 곳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무엇이든 접속과 소통을 통하여 배우고 탐구하는 '탈주적-유목적 인간형'이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타자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신체적 감각을 활동시켜 새로운 자기생성과 자기변혁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어떤 초월적인 규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의 관계에 기반한 탈근대교육을 연구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what kind of the ideal of an educated pers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Nomadism, which Deleuze and Guattari suggested, contains. Two subjects for this are to examine humanity connoted Nomadism and to look into what is the educational aim to cultivate such huma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Deleuze and Guattari point out the character of modernity as binomical properties, unity, surcodage. The problems of this is to form mechanism identifying itself to the standards and the rules which the dominant order in modern age requires. And it premise the standardized man internalized the ideology and social norms which the society aim for in education. Second, the type of man in Nomadism, as creator of itself, refuses to be confined in the frame fixed and given. And the man in Nomadism is the being who has the purpose to fulfil the desire which translates itself constantly at the born potential and wants to become new something. Third, the man which the Education wants to realize in the life of Namadism is to find new self at an unfamiliar place. And it is being who learn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something and communication and does research on something. Also, it is the being which lets physical sense act constantly and makes new things and creates through active interchange with the another person surrounding itsel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about the post-modern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free life which is not bound by transcendent rule.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은해(Un Hai Rhee),송혜린(Hye Rin Song),신혜영(Hye Young Shin),최혜영(Hye Yeong Choi)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4

        This preliminary study aimed to develop 3 assessment scales for self-evaluation by day care directors and teachers. The development of major areas of evaluation and items as well as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item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research and major evaluation instruments. A panel of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ed the contents. The 3 preliminary scales were administered in 87 day 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by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Items indicating low item discrimination were deleted and minor revisions were made to improv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each scale. The final version of the 3 scales is valid for use as self-evaluation instruments by day care directors and teachers.

      • KCI우수등재

        어린이집 프로그램 관찰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이은해(Un Hai Rhee),최혜영(Hye Yeong Choi),송혜린(Hye Rin Song),신혜영(Hye Young Shin) 한국아동학회 2003 아동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bservation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day care programs an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Instruments included 3 self-assessment scales, the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an observation scale completed by 8 trained observers in 89 day care sites. Item analysis indicated that most items were acceptable in terms of item discrimination and item response distribution. Cronbach α`s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relatively high. Validity of the scale was evidenced by correlations between the observation scale and the criterion measure and inter-correlations among sub-areas of the observation scale. Scores on the observation scale were validated by quality ratings from self-assessment sc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