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론 : 성향적 분석과 추론주의적 설명에 대하여

        송하석(Hasuk Song)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론으로서 성향적 분석과 추론주의적 해석이 만족스러운 이론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성향적 분석은 직설법적 조건문과 관련된 논리적인 해명에 있어서의 설득력을 갖지만,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일상적인 직관을 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추론주의적 해석은 논란 없는 원리와 이행 원리가 모두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직설법적 조건문을 질료적 조건문과 완전히 다른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추론주의적 해석을 따르면, 오히려 그 두 원리가 성립하게 되고, 직설법적 조건문은 질료적 조건문과 동치가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는 것을 논증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positional analysis of conditionals and the inferential account of conditionals. The former is suggested by Dr. Hojin Noh and the latter by Dr. Byeongdeok Lee. I argue that those views are not satisfactory because the dispositional analysis cannot explain our common sensical intuition of ordinary use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the inferential account has serious logical problems. That is, although the proponents of the inferential account argue that neither uncontested principle nor passage principle does not hold, I show that two principles cannot be rejected by the inferential account

      • KCI등재

        사건 인과와 사실 인과

        송하석(Hasuk Song) 한국분석철학회 2006 철학적 분석 Vol.0 No.14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인과를 두 존재자 사이의 관계로 보고, 그 관계항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대답은 그 관계항은 사건이라고 주장하는 사건 인과론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부정적 인과를 설명하지 못하는 사건 인과론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인과의 관계항을 사실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실 인과론을 옹호한다. 이를 위해서 사실 인과론이 사건 인과론 보다 더 설명력이 있음을 논증하고, 나아가서 새총 논증을 비롯한 사실 인과론에 대해서 주어지는 비판에 대해서 답함으로써 사실 인과론을 옹호한다. 끝으로 사실 인과론이 보다 설득력있는 이론이 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지적하고 그에 대해서 답함으로써 사실 인과론이 성공적인 인과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Assuming that causation is the relation of two entities,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about discussing with what the relata of causation are. A general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at those are events, which is called the theory of event causation. However, pointing out that the theory of event causation fails to explain cases of the negative causation, I argue for the theory of fact causation which says that the relata of causation should be facts. And I argue that the theory of fact causation is more explanatory than that of event causation. Moreover, I defense the theory by replying some criticisms such as the slingshot argument. Finally, I suggest that although the theory has some unsolved problems, it can be given the answers to them to be a persuasive theory of causation.

      • KCI등재

        논리적 비선험주의에 대하여

        송하석(Hasuk Song) 한국분석철학회 2011 철학적 분석 Vol.0 No.24

        이 논문은 논리학의 규칙이 경험증거에 의해서 수정되거나 파기될 수 있다는 논리적 비선험주의의 주장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논리학이 강한 의미에서 선험적이라는 논변이 옹호될 수 있음을 보인다. 논리적 비선험주의자들이 논리학의 규칙이 경험증거에 의해서 파기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제시하는 사례인 양자역학적 현상, 거짓말쟁이 문장의 존재 등이 논리학의 선험성 논변을 결정적으로 논박하지 못함을 논증할 것이다. 끝으로 논리적 비선험주의자들이 무모순율도 경험증거에 의해서 수정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논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This paper concerns debate between logical apriorism and non-apriorism. Logical apriorism in the strong sense is the view that logical principles and laws are indefeasible by virtue of empirical evidences. In this paper, the arguments for non-apriorism are criticized and those for apriorism are defended. Non-aprioirsts claim that quantum phenomena and the liar sentence are empirical evidences against apriorism. But it is argued that those evidences are not enough to defeat aprioricity of logical principles. In addition, it defends apriorism to criticize the non-apriorist claim that the law of non-contradiction is corrigible by empirical evidences.

      • KCI등재

        거짓말쟁이 문장은 무모순율의 반례인가?

        송하석(Hasuk Song) 한국분석철학회 2013 철학적 분석 Vol.0 No.28

        프리스트는 거짓말쟁이 문장을 양진문장이라고 주장함으로써 거짓말쟁이 역설을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즉 프리스트의 초일관주의 논리체계인 LP에 따르면, 거짓말쟁이 문장은 LNC의 반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의 첫 번째 난점은 ‘거짓말쟁이 문장은 양진문장이다’는 주장도 또한 양진적이라는 점이다. 이 문제는 LP 자체에 비일관성이 포함된다는 문제와 그러한 논리체계에서는 주장과 거부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화용론적인 문제를 낳는다. 물론 프리스트에게 LP 자체가 비일관적이라는 것은 그렇게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문장이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인 양진문장이 있다고 주장하는 초일관주의적 양진주의는 어떤 주장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음을 표현할 수 없다는 화용론적 비판은 대답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러한 화용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 문장이 단지 거짓이다’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이는 다시 LP에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거나,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LP를 수정하면 다시 복수의 문제에 부딪힌다. 결국 거짓말쟁이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시된 프리스트의 초일관주의 논리체계는 성공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거짓말쟁이 문장을 LNC의 반례로 받아들여야 할 이유는 없다는 점을 논증한다. Priest attempts to solve the liar paradox by arguing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That is, his para-consistent system claims that the liar sentence is a counter-example of the Law of Non-contradiction. However, this solution has some problems. In this system, the claim that the liar sentence is a dialetheia is also a dialetheia. This means that the system contains some inconsistency and that it is difficult to express asserting/denying some claims. It may be answered that a way to avoid these problems lies in modifying this system to be able to express ‘being false only’. To express such a phrase, an alternative neg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this system. But the system modified in this way produces the revenge problem. Therefore, it is argued that Priest’s suggestion to solve the liar paradox is not successful and we do not need to regard the liar sentence as a counter-example of the LNC.

      • KCI등재

        거짓말쟁이 역설과 시몬스의 특이성 이론

        송하석(Hasuk Song) 한국분석철학회 2017 철학적 분석 Vol.0 No.37

        시몬스는 거짓말쟁이 역설을 해소하기 위해 기반이 있음, 맥락 의존성, 최소성 원리라는 세 가지 개념을 핵심으로 하는 특이성 견해를 제시한다. 시몬스의 특이성 견해는 버지의 언어 위계론을 발전시킨 맥락주의 견해 중 하나이다. 그는 거짓말쟁이 문장은 반성적 평가 맥락에서 참이 아니고, 다음의 반성적 평가 맥락에서 거짓말쟁이 문장이 참이 아니라고 한 평가 문장은 참이 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버지나 시몬스처럼 어떤 문장의 진리치가 맥락 의존적이라는 견해는 최고 거짓말쟁이 문제나 보편적으로 참인 문장의 맥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시몬스의 특이성 이론은 복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한 논증이 타당성을 의심할만 한 것이고, 최고 거짓말쟁이 역설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맥락 독립적인 진리 개념이 있다고 함으로써 진리 개념은 맥락 의존적이라는 기존의 입장과 일관되지 않은 주장을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논증할 것이다. Simmons presents the singularity theory to solve the liar paradox, of which main concepts consist of groundedness, context-sensitivity, and minimal principle. His view is a kind of contextualism that is developed from Burge’s hierarchical view of language. Simmons argues that the liar sentence is not true in a reflective context and that the evaluating sentence saying that the liar sentence is not true, in turn, is true in another reflective context. However, the contextualism to claim that the truth-value of a sentence depends on the context, as Burge and Simmons do, should face with the problem of the super liar paradox and the problem of universal truth. I will argue that his argument to solve the revenge problem seems invalid and that his solution of the super liar paradox is not consis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