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2018 지역발전지수

        송미령,성주인,심재헌,서형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Vol.- No.-

        ○ 우리나라 시·군의 상대적인 현황 진단, 지역발전정책의 목표 설정, 정책의 모니터링과 성과 측정 등에 합리적 의사결정 근거로 활용하기 위해 지역발전지수를 개선 분석함. ○ 2018년 지역발전지수(RDI: Regional Development Index)를 활용하여 개별 시·군의 발전 정도와 잠재역량 등 지역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특정 부문별로도 지역여건을 비교·분석함. - 삶터(생활서비스 지수), 일터(지역경제력 지수), 쉼터(삶의 여유공간 지수), 공동체의 터(주민활력 지수) 등의 부문 지수들로 구성한 RDI를 바탕으로 159개 시·군의 발전 정도를 파악함. 지역경제력 지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수도권 및 광역시 주변 지역들의 종합적 지역발전 정도가 높게 나타나며, 도·농간의 격차가 여전히 있음을 확인함. ○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10년 동안 RDI를 비교 분석하여 각 시·군의 지역여건 변화를 분석함. - 지역발전지수를 종합한 결과 수도권 및 대도시권 시·군, 지방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상위권 시·군이 분포하는 경향이 지속됨. - 연도별 상위권 지역들 중 일부 변화가 나타나는바, 2009년에는 수도권과 남동권, 일부 강원권에 상위 지역이 분포했는데, 2018년의 경우는 전남지역에서 상위권 소속 시·군들이 나타나고 있음. ○ 지역발전지수와 지역 주민들이 느끼는 행복함 및 정주 만족도 등을 비교한 결과 강한 정도는 아닌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됨. - 특히 삶의 여유공간 지수와 행복도 간의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남. - 물리적, 경제적 측면의 지역발전 이외에도 주민들에게 행복감을 주는 것은 환경, 경관, 공동체 등 농촌지역의 가치와 연관성이 높음을 시사함.

      • KCI등재

        국토계획체계의 개편과 농촌계획의 과제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농촌경제 Vol.25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and-use planning system and to ponder upon various ways to raise the level of rationality not only in national land-use planning but also in rural planning at the very same time. For this, first, a number of problems that rural planning has been facing will be examined, and secondly, major contents of the attempt at the reorganization of national land-use planning system and important issues regarding the place of rural planning in this attempt will be explicated. From this discussion, finally, a number of means and ways to strengthen rural planning and its significance will be suggested.

      • 2016년 10대 농정 이슈

        송미령,김홍상,박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120

        ◦ 미국 금리인상,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 대외여건 악화로 인한 수출부진과 생산가능 인구 감소 등의 구조적 요인에 따라 내수회복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는 등 국내경제의 어려움이 예상됨. 그러나 농업 · 농촌이 가진 기회요인을 활용하여 대응한다면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착안해 10대 농정 이슈를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안함. [메가 FTA 대응전략] ◦ 메가 FTA에 따른 중요 이슈를 선제적으로 분석하여 가입비용 최소화 및 민감성 확보를 위한 대응전략을 마련 [한 · 중FTA 발효에 따른 밭농업 활성화와 수출 확대] ◦ 지역 및 품목 특성을 고려한 주산지 중심의 밭 기반정비, 기계화, 공동경영체 육성 등 조직화 · 규모화를 도모하고, 생산유통가공을 아우르는 혁신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 연구개발 및 신기술 개발보급 확대 등을 통해 밭농업 경쟁력 제고 기틀 마련 및 대중국 수출 확대 [농축산물 수급안정 강화] ◦ 슈퍼엘니뇨 영향 등 기상이변에 따른 수급 불안정에 대비하여 사전 계도(과수), 수급안정제도 보완(노지채소), 자조금 소비촉진운동(축산) 필요 [쌀 수급안정과 균형관리] ◦ 일시적인 풍작 시 시장격리 원칙 수립, 과잉재고 중기 처리 계획 제시, 논 이용 범용화를 통한 생산감소 유도 [직접직불제 개편] ◦ 시장개방에 따른 간접피해 보전 강화, 품목 간 형평성 제고, 농업의 공익적 기능제고를 통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직불제 개편 [신기술 개발과 신수요 창출] ◦ ICT와 빅테이터 등 과학기술이 접목된 농업 신기술 개발 보급과 산업폐열(온배수) 농업부문 확대 활용, 곤충산업에 BT기술 연계 등을 통해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림업부문 역할 확대] ◦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농가소득원과 연계하는 프로그램 개발, 기후변화 완화 · 적응을 함께 추진하는 기후스마트농업 추진, 산림부문의 온실가스 흡수원 활용 모색 [기상이변 대비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 관리] ◦ 급격한 기후 변화, 심각한 가뭄 등을 고려하여 농업용수 이용체계 재편과 전담조직 신설 및 농업인 참여를 통한 선제적 · 과학적 농업용수 이용 · 관리체계 구축 도모 [6차산업 활성화를 통한 농업 · 농촌 일자리 창출 확대] ◦ 지역 맞춤형 일자리, 6차산업 관련 일자리, 청년 창농 · 취농 활성화 [귀농 · 귀촌인 정착 지원과 지역사회 상생] ◦ 늘어나는 귀농 · 귀촌인구에 대해 비농업 부문 일자리, 농촌형 임대주택 등 지원을 확대하여 이주 시 겪는 소득 문제를 완화하고 그들이 농촌사회에 기여토록 유도

      • 대학보건소 현황과 대학보건소 간호사의 업무분석

        송미령,차규정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2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보건소 간호사가 학생들의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할 때 그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대학보건소의 현황과 대학 보건소 간호사의 업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설문지 분석을 통한 조사연구로서 2012 년 11 월 한 달 동안 설문이 진행되었다 . 전국대학보건간호사회에 등록된 대학보건소 간호사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보냈으며, 설문지를 작성해 송부해온 84 명의 자료를 SAS 9.3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대학보건소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달은 3 월 (33.35%), 4월 (20.2%) , 5월 (22.6%) 등 봄이 가장 많았다 . 보건간호사의 업무는 상처소독 및 치료 , 응급환자 처치,학내외행사시 구급품 지원 등의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 설문에 참여한 대학보건소 간호사의 73.8 %는 대학보건소가 대학구성원의 건강증진에 기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77.4 % 의 대학에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었다 . 대학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는 건강증진프로그램 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프로그램이었으며,실시방법으로는 개별교육이 가장 많았다 . 결론: 대학보건소에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학생들의 이용률을 고 려한다면 봄이 좋겠으나 대학 보건소 간호사의 업무과중을 고려한다면 많이 이용하는 봄을 피해 가을에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좋겠다 . 많은 대학에서 건강증진프 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고안되고 배포된다면 대학별로 프로그램 작성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건강 증진프로그램의 성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분석될 필요성이 있다 .

      •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성 비염 발생의 차이와 증상유형 분석

        송미령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1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9 No.1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알레르기는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건강문제이며 특히 어린이 알레르기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알레르기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 , 아토피 피부염,천식 ,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여러 유형이 있는 데 아동의 경우 그 중에서도 알레르기성 비염이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을 방해하며 나아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중재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그 증상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성 비염 발생의 차이와 증상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0 년 9월 한 달 동안 일개 지자체의 8개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학생 총 설문참여자 1513명 중 알레르기성 비염과 관련해 성실하게 응답한 1322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응답자 1322명 중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550 명으로 전체의 41.6 % 에 달하였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남아와 가족의 알레르기력이 있는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은 코막힘이 가장 많았으며 일년 중 9월과 3월 등 환절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알레르기성 비염 중재 시에 가족의 알레르기력이 있는 경우와 남아는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환절기 알레르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在美 韓國女性들의 衣服 購買行動에 관한 實態調査 硏究

        宋美令 同德女子大學校 1988 同大論叢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lothing buying behavior of Korean Women in U.S.A. and investigate some factors affecting the clothing buying behavior. The 279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Korean women group who were living in U.S.A.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mean, x²-test,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 44% of the subject group planned their clothing purchase in advance, and their friends and majazines affected clothing buying behaviors more gagines affected clothing buying behaviors more than other fashion information sources. The store in which the subject group purchased clothing most frequently was a department store. In clothing selection, hygienic factor and aesthetic factor were shown as important factors. 2. There were significat differences in clothing buying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 KCI등재후보

        淸初 정책 결정기구 속의 滿洲人

        송미령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This paper aims to explain Manchu Bannermen’ appointed pattern in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early Qing empire.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 on organization of manchu officers of the main institutions under Hongtaiji and the Shunzhi Emperor. As you know, during Hongtaiji’s early reign, the Deliberative Council of Princes and Ministers(議政王大臣) was an advisory body for the monarch. But, Hongtaiji gradually set up the Inner Three Courts(內三院), the Six Ministries(6部), the Censorate(都察院) and the Lifan Yuan(理藩院), he had strengthen the powers of the monarch. The Inner Three Courts and the Six Ministries were main policy-making body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at emperors appointed someone. These organizations were responsible for deciding major policies of the Imperial government. The number of officials comprising organizations varied from time to time, they staffed mainly by members of the Imperial clan or descendants of Founding contributor. These flow continued even the Shunzhi Emperor started to rule personally. In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early Qing empire, becoming the officials of these organizations, important factors were the Imperial kinship and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s. How these flow change in the Kangxi period? I will continue to research on this topic. 이 글은 여러 측면에서 淸 역사상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되는 崇德年間(1636~1643)부터 順治年間(1644~1661)까지 內三院, 6部, 理藩院, 都察院의 滿洲人 책임자를 분석하였다. 입관 전 홍타이지(Hongtaiji, 皇太極)는 군주로서의 권한을 확보하면서 커져가는 국가의 규모에 걸 맞는 행정조직을 마련해갔다. 그의 통치시기에 내삼원의 대학사들은 비트허시(Bithesi, 筆帖式) 출신들이며, 황실과 조정 내에서 세력을 형성하지 못한 이들이었다. 반면, 6부나 이번원, 도찰원의 承政들 중에는 ‘皇族’이나 ‘功臣’과 관련된 인물들이 다수 임명되었다. 입관을 한 후 도르곤(Dorgon, 多爾袞)이 섭정을 하는 시기에, 내삼원 대학사들은 숭덕연간과 비교를 할 때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시기에 6부 상서로 임명된 이들 중에는 숭덕연간 후반에 6부의 책임자였던 이들이 그대로 順治 3~4년까지 그 업무와 지위를 그대로 유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치제가 친정한 이후의 상황을 보면, 숭덕연간이나 도르곤 섭정기 6부 상서들의 성격을 규정하는 ‘황족’, ‘공신’ 키워드는 여전히 유효했다. 오히려 그동안 ‘황족’들과는 거리가 있었던 내삼원에 覺羅들이 임명되었고, 6부 상서들 중에도 ‘황족’들이 7명이나 되었다. 五大臣 家系의 인물들도 입관 전이나 도르곤 섭정기와 마찬가지로 임명되었다. 이러한 ‘황실’이나 ‘공신’에 연관된 이들 외에도 世職이나 世爵을 바탕으로 정책결정기구로 진출한 이들이 있다. 이들도 일정 정도의 지위는 갖은 家系였으나, ‘황실’이나 五大臣 반열의 ‘공신’들과는 구별되는 존재들이었다. 또한 세직이나 세작을 계승하지 않은 이들도 있으나, 그들이 이들 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