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작(露雀) 홍사용(洪思容) 시(詩)와 희곡(戱曲)에 나타난 메나리적 요소(要素)와 상관성(相關性)

        손필영(孫必榮) ( Sohn Pil-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홍사용의 희곡에서 메나리적 요소를 발견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그가 1919년부터 쓴 시조집 청구가곡에서 추구한 운율과 앎과 삶을 일치하려는 조선정신은 <백조>에 발표한 현대시에도 의미와 분리되지 않는 리듬과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러한 메나리 정신은 그의 <토월회> 운영 관여와 공연 활동과 연계되어 나타났다. 특히 극단 <산유화회> 창단과 극 창작 및 연출은 그의 정신을 실천적으로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공연된 「향토심」은 이러한 특징을 담아냈고 희곡 「할미꽃」이나 「제석」도 메나리적 요소로 구성되어 설화적 요소와 리듬과 아이러니적 이미지를 혼용하였다. 원본 없이 줄거리만 전하는 「벙어리굿」도 제목부터메나리적 특징을 담았음을 드러낸다. 그의 메나리의식에서 연유된 조선적리듬과 결합된 정조는 후에 민요시에까지 일관되게 실천되었다. 그가 선택한 자유시와 민요시는 당시 우리문단의 서구적인 경향과는 달리 전통시의 맥락에서 창작되었고 그의 메나리정조로 이루어진 희곡작품은 불행한 시대를 사는 인간에게서 시대나 이념에 함몰되지 않는 조선심의 기품을 볼 수 있게 하였다. It is not a coincidence to find the elements of Menari’s style in the Hong Sa Young’s plays. The Confucian Chosun spirit, the concord of rhythm, knowledge and life, which he pursued in < Cheong Goo Ga Gok >, a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that he has written since 1919, reveals the rhythm and image reflected in the modern poetry seen after the < Baek Jo >. This Menari spirit is linked with his participation of < Toweol-hwe > operation and performance activities. In particular, his foundation of < Sanyoohwa-hwe >, along with his writing and directing revealed his spirit practically. < Hyang To Shim > captures these characteristics, while the play < Hal Mi Kkot > or < Je Seok > also consist of menaristic elements and consist of poetical irony, mixed with the use of silent scream, narrative elements and rhythm of tale and ironic images. < Beong Uh Ri Gut >, which contains Menari’s element and conveys only the story-line, reveals its Menari characteristic from the title itself. < Heen Jeot > especially, where the story is based on the ‘Lee Cha Don’s death’ , symbolically shaped his spiritual value, interlocked with the period of the era. His fidelity combined with Chosunistic rhythm, which derived from the Menari spirit, was consistently practiced to his folk song poetry later on. Hong created his free verse poetry and folk song poetry from the context of traditional poetry, contrary to the majority of our literary circles during that period, which contained Western tendency. More notably, he linked folk songs and Chosun spirit to the creation of drama and theatrical activities despite living under the colonial in post mid 1920s. The attitude to find the national spirit and cultivate personality was practiced through his play. The play piece composed of the poetic image of Menari makes it possible to see the grace of Chosunism that does not fall into the times or ideologies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 unfortunate times, and further provides an opportunity to find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modern drama with the traditional drama. Writing a po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eans treading a path as a Chosun’s poet, which can be seen as realization of self-talent from the tradition like the Eliot once said.

      • KCI등재
      • KCI등재

        박용래 시의 기법과 시적 순간

        손필영(Sohn Pil-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시 연구가 이론이나 개념 중심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각 개별 시의 완성도나 아름다움보다 연구자의 의도와 기획에 따라 시가 분류되어 시적 완성도와 무관한 연구가 된다. 본고는 반복과 나열의 특질을 지닌 박용래 시의 형식이 어떻게 정서에 연결되어 시적 순간을 맞이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그러한 순간에 사용된 어휘와 구절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징의 세계로 나아가는지 구체적으로 밝혀보았다. 특히 명사의 반복, 동일 통사구조의 반복, 사람이 보이지 않는 풍경과 같은 일반적 박용래 시의 외형적 특질을 모두 드러낸 <열사흘>은 부엉이 울음과 뱃고동 소리를 연결하여 아무리 애를 써도 환한 기쁨 속에서 살 수 없는 인생을 열사흘 달로 상징화하였다. <월훈>과 같은 대표적인 시도 동일 통사구문이 반복되다 ‘허방다리를 들어내면’과 같은 구문에서 순수한 공간으로의 시적 전이의 순간을 마주하게 한다. 서술어 없이 사물만 나열하거나, 풍경처럼 형상화된 시들도 <열사흘>의 세계와 ‘허방다리를 들어낸’ 세계와 같이 삶의 비애와 순수성을 지향하는 의식을 드러낸다. 박용래는 사물을 통해 이미지를 움직이면서 정서를 환기하는 순간에 시를 끝내거나, 서술어를 생략하여 주장하는 대신 사물의 본질을 환기시키며 시적순간을 맞이한다. When a poetry study focuses more on a theory and a concept, it becomes an irrelevant study because the poems are categorized by researchers’ intention and plan regardless of each poem s completeness. This study searches for how Park’s poems meet its poetic moment through his poetical convention: repeat and array.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at how the words and phrases used at the poetic moment are combined to create a symbolic world. In <13 days>, that contains all of the Park’s repeat and array poetic convention, Park symbolizes 13 days of moon to express an unfortunate life that cannot be lived in a bright joy regardless of effort by linking an owl’s weeping and foghorn. <A Halo Round the Moon>, also has same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and meets poetic moment of pure space at phrases such as ‘reveals the pitfall’. In poems that list objects without predicate or contain landscape imagery also reveals consciousness that aims at sorrow and purity of life same as the world in <13 days> and ‘reveals the pitfall’. Park ends his poem at the moment he arouse emotion by moving images through objects and meets poetic moment by arousing the essentials of object rather than insisting through predicate ellip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