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쯔(⿈⾃)의 예술가곡에 나타난 수용미학적 특징

        손수연 ( Sooyeoun So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이 연구는 중국 작곡가 황쯔(⿈⾃)의 예술가곡을 분석하고, 그를 통해 중국의 서양음악 수용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황쯔는 중국형 서양음악의 방향을 제시하고, 토대를 확립한 음악가로 평가된다. 이를 위해 중국 서양음악의 유입과 수용과정을 고찰한 뒤, 황쯔의 예술가곡을 문헌고찰, 조사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황쯔 예술가곡의 특징은 첫째 민족화 된 화성의 창작, 둘째 서양음악과 어울리는 중국의 문학적 소재 개발, 셋째 중국 시어에 알맞은 예술가곡의 작곡으로 나타난다. 이를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보면, 중국은 서양음악의 능동적인 수용자이며, 텍스트를 주관적인 시각으로 받아들이는 해석자인 것을 알 수 있다. 서양음악에 대한 당시 중국 음악인들의 수용미학과 창작이념은 ‘중국 전통문화예술과 서양음악의 효과적인 융합’으로 나타난다. 이를 구체화한 황쯔의 예술가곡을 외래문화를 능동적이고 주관적으로 수용한 결과물로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ese composer Huang Zi’s art songs and analyze China’s intention to accept Western music through them. Huang Zi is regarded as a musician who has laid out the direction of Chinese-style Western music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To this end, after considering the inflow and acceptance process of Chinese Western music, Huang Zi’s art work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vestigation, and ground theory research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Huang zi’s art songs are: first, the creation of nationalized harmony, seco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ry materials that match the music, and third, the composition of an artist song suitable for Chinese poetry. From a receptive aesthetic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China is an active receptive to Western music and an interpreter who accepts text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At that time, the receptive aesthetics and creative ideology of Chinese musicians were “an effective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art with Western music.” Huang Zi’s artistic songs, which embodied this, can be valued as the result of active and subjectiv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 KCI등재

        루이 14세의 알레고리: 샤를 르 브렁의 〈 사계절 〉 연작

        손수연 ( Soo Yun Soh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샤를 르 브렁의 태피스트리 밑그림 〈 사계절 〉 연작은 〈 사원소 〉와 함께 왕실공예품제작소인 고블랭 제작소에서 제작한 작품으로서 후원자인 루이 14세의 프로파간다 작업으로 간주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소홀히 여겨졌던 〈 사계절 〉연작의 양식적인 면모에 주목하여, ‘사계절’ 이미지의 각 계절마다의 양식적 특성과 각 패널의 도상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르 브렁의 〈 사계절 〉에서 〈 봄 〉은 전쟁과 풍요의 신 마르스와 사랑과 미의 여신 비너스가 베르사이유 궁전을 배경으로 등장하고, 〈 여름 〉에는 음악과 태양의 신 아폴로와 지혜와 의술, 예술, 과학의 여신인 미네르바가 루브르를 배경으로 앉아 있다. 〈 가을 〉에는 사냥의 여신 다이아나와 포도주의 신 바쿠스가 구름 위에 떠있고 〈 겨울 〉은 멀리 루브르 성이 보이는 황무지를 배경으로 날개를 단 새턴과 술잔을 든 유벤타스가 거대한 구름 위에 앉아 있다. 〈 사계절 〉 연작의 4점 모두 두 명의 신들이 구름 위에 떠 있고, 왕실의 건물이 후경에 보이며 각 계절을 상징하는 지물들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양식적인 기원으로 볼 때 〈 사계절 〉 연작은 이탈리아를 다녀온 북부의 매너리스트 판화가들의 조형 양식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문헌적으로는 오비드의 『변신』부터 리파의 『이코놀로지아』까지 다양하고 깊이 있는 문헌을 참고해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계절에 등장하는 신들은 모두 루이 14세의 능력과 덕성을 상징하며 각 계절의 화면 전경에 놓여 있는 모든 지물들도 왕이 통치하는 국가의 풍요와 번영을 상징한다. 뒤에 있는 풍경 또한 루이 14세가 속한 부르봉왕가를 상징하는 건축물들이다. 또한 르 브렁의 〈 사계절 〉 밑그림이 후에 판화로 제작되어왕실 선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이 작품의 인기와 디자인의 성공뿐 아니라, 왕의이미지를 프로파간다화하는 데 성공했음을 증명한다. Scholarship on Charles Le Brun’s 〈 Four Seasons 〉 has emphasized the propangadistic nature of Louis XiV’s tapestry which the Goblin manufactured. In this paper, I will focuses on questions about the stylistic origin and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history and examines the iconography and pictorial devices. In 〈 Four Seasons 〉, Spring presents the god of war and abundance, Mars and the god of love, Venus in front of the Chateau de the Versaille and Summer shows the god of music and the sun, Apollo and the god of wisdom, medicine, art and science, Minerva before the Chateau de Fontainebleau. Autumn depicts the god of hunting, Diana and the god of wine, Bacchus floating on a cloud in front of the Chateau de Saint-Germain-en-Laye and Winter reveals a barren landscape, above which a winged Sature, the god of agriculture and time, and Juventas the god of banquet near the Port de la Conferance. All of four tapestries present two deities floating on a cloud along with attributes and animals that relate to each season before royal residences. Regarding stylistic influence, the works of Northern print artists who were mannerists visiting Italy have influenced the design of the cartoons for 〈 Four Seasons 〉. Sources are from classical literature including Ovid’s Metamorphosis and Remedia amoris and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Antholiga Latina, Francesco Coronna’s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Ripa’s Iconologia. All deities in each season symbolize the virtues and abilities of Louis XIV and their attributes also refer to the wealth and abundance of his reign. The buildings on the background held special meaning for Luis XIV and the Bourbon dynasty. The Four Season served as a useful to communicate propangadistic themes and politicize the public appearances of the king. In the register of diplomatic gifts, prints of Le Brun’ 〈 Four Seasons 〉 were recorded as royal prints. This demonstrates its popularity and the success of Louis XIV’s propangada.

      • KCI등재

        한국 창작오페라 소재의 특징 분석과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손수연(Sohn, Soo Yeo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5

        한국의 창작오페라는 65년을 맞이하는 올해까지 110여 편이 넘는 작품이 공연되었다. 한국 창작 오페라가 65년 역사에 110여 편이 된다는 것은 적은 숫자가 아니나 이 작품들이 긴 생명력을 가지고 존재감 있는 문화콘텐츠로 공연예술계에 남았는가를 살펴보면 결과는 부정적이다. 대체로 재미없고 고루하다는 이미지를 지닌 우리 창작오페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작품의 기본 콘텐츠가 되는 소재에 대한 편견과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면 창작오페라의 대중화와 발전은 더욱 요원해 질 것이다. 한국 창작오페라에서 보이는 소재의 특징과 한계는 세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첫째, 전설, 민담과 같은 구비 문학이나 이것이 바탕이 된 고전 문학을 소재로 사용했다. 첫 오페라인 <춘향전>의 성공으로 창작오페라의 소재를 친숙한 우리 고전에서 찾았던 것은 고전문학이 오페라를 비롯한 콘텐츠 창작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화적 원천이 되기는 했지만 창작오페라는 곧 우리 고전이야기라는 도식을 낳았고 이는 관객들에게 진부하다는 선입견을 안겨줌과 동시에 창작자들에게는 고전적 소재와 어울리는 오페라 음악의 전통적 해석에 대한 강박을 낳았다. 둘째로 한국 창작오페라의 소재로 고전 문학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역사적 인물과 영웅 설화에 관련된 위인 중심이야기다. 영웅서사시를 오페라화해서 성공한 서구와는 달리 우리는 작품의 내용을 인물 중심의 기본적인 서사구조에만 의지하다 보니 오페라로서 반드시 갖춰야 할 드라마적인 요소는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관객과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실패했다. 세 번째로 종교적 인물이 등장하는 창작물이 많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소재의 오페라들이 종교적인 신념에 의해 만들어진 경우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종교관련 단체의 지원이나 후원 등 제작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도 종교적 내용의 창작오페라가 꾸준히 발표되는 이유 중 하나로 파악되는데 객관적인 평가나 반응 없이 그들만의 잔치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다양한 창작오페라의 소재가 등장하게 되면 음악과 극의 조화를 위해서 음악적인 부분이나 오케스트라의 악기 편성, 무대 등에서도 다채로운 시도가 뒤따르게 되고 그렇게 되면 분명 창작오페라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는 관객들이 생길 것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의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창작오페라가 등장한다면 이는 클래식 한류를 선도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Since the birth of Korean contemporary opera 65 years ago, more than 110 operas have been performed. These operas are written by Korean composers to reflect traditional stories and various aspects distinctive to Korean culture. Yet, it is uncertain whether these works can be deemed timeless classics and still remains relevant in the arena of the performing arts. Korean contemporary operas have a conventional and lackluster reputation which brings with it numerous obstacles. Amongst these is material which is subjective to prejudice, therefore, causing limitations. Due to these obstacles, it is inevitable that the development and potential growth in popularity of Korean opera will face challenges if it is to survive. Thes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Korean contemporary operas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oral literature, historical figures and fictional heroes or the great names of past ages, as well as religious characters. First, oral literature such as folk tales and legends shared throughout generations as well as classical written literature are often used as the subject for opera material. This repetitive storyline often leads to the perception that Korean contemporary operas are old-fashioned and mundane leading composers to also follow a similar linear mindset to coincide with classical materials. Second, historical figures and tales of heroes, great men, often are the subject in Korean operas due to the fact that these characters are easily identifiable and familiar to the audience and general population. Third, often religious characters appear in numerous Korean contemporary operas which reflect the composer’s religious convictions. These operas appeal to a niche group due to its religious content. To overcome thes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there must be a diversity of materials and a wider scope of creativity amongst composers. This also applies to musical parts, orchestral instrument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stage in order to reach harmony between music and drama. Like the Korean wave which has proliferated trendy Korean culture throughout the world, Korean contemporary opera has an opportunity to spearhead a new type of wave bringing it to the forefront of cultural content and performing arts.

      • KCI등재

        네덜란드 장르화와 엠블럼 판화의 융합

        손수연(Sohn, Sooy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17세기 엠블럼집 출판이 가장 융성하던 시기, 당대 가장 최신 경향인 장르화 양식을 엠블럼 판화가 수용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초기 정치선전이나 지식인들의 유희거리로 양식적인 면보다는 내용적인 가치가 더 주목받았던 엠블럼집 판화가 17세기에 들어와서 어떻게 회화적인 양식으로 변모하고, 엠블럼 판화로서 새로운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지 당대 다작 삽화가이자 판화가였던 얀 라이켄의 <교훈적인 가정용품들>의 재현된 장르화적 요소와 17세기말 고가로 판매되었던 고급 장르화(High Quality Genre Painting)의 조형요소와 기법을 분석하여 장르화와 엠블럼 판화의 융합현상을 살펴본다. <교훈적인 가정용품들>은 종교적인 명상을 담은 종교 엠블럼집이지만, 소재부터 가정용품을 선택하여 네덜란드인들의 관심덕목이자 네덜란드 장르화의 주요 주제와 연결시켰다. 가정용품은 장르화를 이용할 수 있는 좋은 주제이고 최신 경향을 소개 할 수 있는 소재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내용적인면에서도 ‘가정생활’은 당대 네덜란드인들의 가장 큰 관심거리 중에 하나였기 때문이다. 당대 가정생활교본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건전한 가정과 여성의 덕목, 청소, 실잣기, 자녀 양육등을 강조하던 장르화의 주제와 같은 구도와 형태등이 라이켄의 판화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라이켄이 쓴 화면구성법과 사물배치, 물건선택등도 당대 가장 인기있었던 장르화와 고급 장르화(High Quality Genre Painting)의 특성이 반영된다. 야외 풍경의 도입과 한 방에서 다른 방의 정경이 보이는 도어지엔 기법, 실내장면을 구성할 때 벽꾸밈 방법이나 가구의 배치, 등도 장르화에서 볼 수 있는 구성방법을 수용하고 있다. 기본적인 장르화의 구성 뿐 아니라 17세기 말기에 유행했던 고가의 고급 장르화의 양식도 적용하고 있다. 프랑스 취향을 반영한 고전 주두, 팀파늄등 고전 건축의 요소들이 화면 곳곳에 보이며, 인물들도 우아한 자세와 손동작, 평화롭고 고요한 표정, 콘트라포스토 등 이상화된 인물들의 전형적인 특징이 보이며, 등장인물의 의상은 드레이퍼리가 강조된 고전적인 의상과 엘리트계층에서 유행하던 타바드도 보인다. 또한 값비싼 물건들과 최신 유행의 가구, 소품 등이 포함되었다. 얀 라이켄의 자신의 판화에 당대 가장 인기있었던 미술의 장르인 장르화의 회화적 장치들을 적용했다는 것은 작품의 수용자, 엠블럼집의 고객을 의식한 판매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reference to Jan Luyken"s emblematic prints, this paper emphasizes Luyken’s treatment of pictorial space, his method of description, and his reference to contemporary art theory. Close examination of the pictorial similarity between images in Het Leerzaam Huisraad and contemporary genre painting and prints demonstrates that Luyken"s work accorded with major developments in seventeenth-century Dutch art. The subject matters in Het Leerzaam Huisraad are parallel with the topics of comtemporary genre painting emphasizing wholesome household and women’s virtue. Figures in many prints in Het Leerzaam Huisraad seem to be family members since Luyken’s scenes take place in a household setting. Pictorial compositions are also reminiscent of contemporary family portraits depicting family saying Grace. Cleaning, spinning, and childrearing were ongoing female subjects in Dutch genre painting. We find many exemplary diligent women dressed in aprons and white caps and entirely absorbed in their activities. Scrutiny of Jan Luyken’s prints in Het Leerzaam huisraad reveals Luyken’s direct engagement with the contemporary art world. The vocabularies Luyken employed in his prints, for instance, his choice of household articles for his subject matter, his high-quality genre painting style, and the inclusion of doorsien and night scenes are all examples of contemporary pictorial devices popular in Luyken’s time. The display of material goods, including furniture, so visibly in genre painting is linked with pride of possession and the consciousness of social status. Luyken also employs the style of late seventeenth-century High Quality Genre painting reflecting the French taste. The works of Frans van Mieris, Eglon van der Neer and Johannes Verkolje show many similarities and they seem to have offered the pictorial sources for Luyken’s choice of object and its display. Elements of classical architecture, idealization of figure and their pose, the mood of calm and refinement and expensively furnished interior could be the elements from the High Quality Genre painting. Luyken’s choice of topic and style in Het Leerzaam Huisraad demonstrates that he was very conscious of his purchasers. Luyken consciously included luxury items and fancy ornaments as a strategy to make his work more appealing to contemporary buyers. Moreover, luxury and extravagance were on-going moral issues for Dutch religious leaders. However, for readers conspicuous consumption of wealth was also an interesting and appealing topic that modern home magazines" fashionable representations could give readers visual pleasure. It could appeal to elites as well as to people of lower class who wanted to imitate their superior’s refined taste. In this sense, Luyken’s prints could have appealed to every class of buyers. I argue that the prints in Het Leerzaam Huisraad demonstrates the convergence of emblematical prints and genre painting.

      • KCI등재

        네덜란드 종교 엠블럼집에서 가정용품의 상징과 의미: 얀라이켄의 〈교훈적인 가정용품들〉(1711)

        손수연 ( Soo Yun Soh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2 No.-

        네덜란드의 시인이자 판화가였던 얀라이켄의 엠블럼집, 〈교훈적인 가정용품〉(1711)은 오십개의 가정용품에 대한 얀라이켄의 명상을 담은 종교엠블럼집이다. 이 작품은 당대 8쇄를 인쇄할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베스트셀러였으나 문학사적으로나 미술사에서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교훈적인 가정용품〉을 최초로 연구한 헬더 블롬 또한 ‘불’의 모티브에 초점을 맞추어 당대 독일사상가였던 야콥보메와 얀라이켄의 연관성에 집중하고 있어 네덜란드 역사에서 이 작품의 의미나 배경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네덜란드 문학과 미술에서의 가정용품의 상징과 의미를 살펴보며 얀라이켄이 기존의 엠블럼 전통에서 어떠한 모티브를 차용했고 그가 어떠한 모티브와 의미를 새로 창안했는지를 비교분석할 것이다. 또한 17세기말 18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가정용품이 엠블럼의 주제로 출현하게 된 배경을 당대문화와 사회의 성격 안에서 고찰한다.

      • KCI등재

        역할놀이 영역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손수연(Sohn, Soo Yeon),이영미(Lee, Youngm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역할놀이 영역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아, 역할놀이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교사 278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질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총 32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282부의 질문지를 수거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하고 278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역할놀이 영역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역할놀이 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역할놀이에 중요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역할놀이영역 운영에 대하여 교사들은 다른 영역과 유사하거나 조금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역할놀이 영역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역할놀이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쌓기놀이 영역과의 연계를 통하여 놀이의 통합과 확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역할놀이 영역의 평가에 대하여 대체로 다른 영역과 유사하거나 조금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끝으로 역할놀이 영역 운영을 위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역할놀이 관련 연수를 통해 역할놀이 지도방법을 연수받고 싶어 하였으며, 교재교구 개발 보급과 같은 지원이 이루어 지기를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역할놀이 영역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시 내용구성에 반영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activate role play, considering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operations for the role play area. The subjects were 27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status on the operation of a role play area. In the result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role play area is generally important and has important educational value. The teachers thought that operating the role play area is similar to or more difficult than other areas. They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guide participation in the role play regardless of gender. Also,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ole play area needs to be expanded and integrated with the block area. Teachers perceived that the assessment of the role play areas was generally similar or somewhat more important than other areas. Finally, the teachers wanted to learn role play instructions through related training. They also requested support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an be reflected in the content compositions when developing the role play area activation program for curriculum improvement.

      • KCI등재

        중국 신가극을 통해서 본 동아시아 오페라의 재창조

        손수연(Soo yeoun, Sohn),이병민(Byoung min, Lee)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4

        한국과 중국은 같은 한자문화권 아래서 천년 이상 비슷한 문화를 공유해왔다. 동아시아 한중일 삼국의 근대 음악역사를 비교해 볼 때 초기 서양음악의 전래는 대부분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오늘날까지 비슷한 발전 경로와 양식을 보이는 한국과 일본과는 달리 중국은 서양음악을 수용하는 방법과 소재나 양식에 있어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서양음악 수용 초기부터 중국은 서양의 음악과 공연양식을 바탕으로 민족음악화하는데 집중했다. 민족전통과 서양음악의 조화로운 결합을 고민하던 중국 음악인들은 서양 오페라양식을 활용하되 기존의 오페라와는 다르게 중국적인 민족특징을 담고 있는 중국형 오페라인 신가극을 탄생시켰다. 첫 출발점이자 대표적 신가극 ‘백모녀’는 민중 계몽과 사회주의 이념을 전파하기 위해 만든 작품으로 공산당과 사회주의 체제이념에 부합하는 가극을 창작하여 중국 인민들 사이로 파고든 마오쩌둥의 문예대중화 정책의 성공적인 사례로 볼 수 있으며 중국 오페라 발전의 기초를 견고히 하는데 기여했다. 창작오페라에 있어 아직 명확한 방향을 설정하지 못 한 우리나라도 중국의 사례와 같이 자국의 특성과 현황에 적합한 전략을 가지고 접근한다면 보다 구체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오페라를 자국 중심으로 수용하여 국가적 특성에 알맞은 형식으로 재창조한 중국의 작업은 동아시아 현대오페라의 새로운 유형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orea and China have been sharing a similar culture over a thousand years under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Unlike Korea and Japan, which have a similar development path and style to these days, China has a very different pattern in terms of accommodation, materials and style. From the beginning, Chinese musicians who considered harmonious combination of ethnic tradition and Western music created a new opera style, Chinese national opera, based on Western opera style but containing Chinese ethnic characteristics. The first representative work was "White haired girl" made to propagate the people"s enlightenment and socialism ideology. It is a successful example of Mao Zedong"s popularization policy for art and literature through the creation of a popular work that fits the ideology and the socialist system. We have not yet established a clear direction in contemporary opera, but could achieve more concrete results, if the strategy is appropriate to our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ituation like the case of China. The work of China, which recreated opera suitable for their characteristic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modern opera in East Asia.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오페라 수용과 발전과정에 대한 비교

        손수연(Soo yeoun Soh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밀접하고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해있다. 때문에 많은 유사점을 가진 가운데 나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이런 특징은 서양음악의 수용과 발전 과정에서도 관찰된다. 창작오페라에 있어서 양국은 토대가 되는 서양음악의 도입경로나 시기, 소재, 자생력이 없는 순수공연예술이라는 일반적인 유사성을 보이고 있지만 답보상태인 한국에 비해 일본 창작오페라는 ‘유즈루’라는 세계무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등 오페라를 통한 문화적 교류에 능동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부분에서 상이점이 존재한다. 오페라가 서양의 음악양식이라 할지라도 고급예술의 음악적 언어를 통해 자국의 문화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것은 문화강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오페라의 영역이 미디어엔터테인먼트로 확장되는 이때, 우리보다 앞서 창작오페라를 문화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했던 일본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창작오페라 발전과정을 비교 연구해 보는 것은 한국 창작오페라가 수준 높은 공연문화콘텐츠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South Korea and Japan are closely located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so we have developed our culture not only with many similarities but also with own distinct ways. These were also in adoption and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Unlike Korea, Japan is showing its potential through Opera ‘Yuzuru’. Even though opera is Western music style, communicating Asian culture through their own languag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o secure status as a cultural power in the world. As the field of opera is expanded to media entertainme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and Korean opera, which used contemporary opera as a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It will help to develop into performing arts contents.

      • KCI등재

        동서양 음악 융·복합 공연의 성공요인 분석 : 소프라노 박성희, 국창 임방울을 그리다 공연을 중심으로

        손수연(Sohn, Sooyeo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써, 최근 우리 공연예술시장에서 동서양 음악의 융. 복합 공연들이 많이 공연되는 가운데, 이 가운데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낸 공연의 사례를 분석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번 사례 연구의 대상인 <소프라노 박성희, 국창 임방울을 그리다> 음악회 결과를 고찰하고 다층적으로 분석하여 공연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과 특징을 찾아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수행하고자 문헌고찰과 면담조사, 기획과 실제 공연현장 참여 등을 통해 음악회와 관련된 배경과 실제를 다각도로 조사했으며 이를 비평적 관점에서 전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번 공연이 성공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던 요인을 두 가지로 파악하였다. 첫째, 서로 이질적인 요소가 많은 동. 서양 음악의 융. 복합 혹은 교차적 연주를 공연할 때는 두 장르와 공연자를 연결해줄 예술적 관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예술적 관계성을 토대로 공연자들은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공연의 완성도는 높아지고 관객의 만족도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두 번째, 공연 관계자들은 관객으로부터 공감적 감상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번 공연은 공연의 주체인 소프라노 박성희와 공연의 주제가 된 국창 임방울 사이에 특별하고 극적인 서사가 존재했다. 관객들은 이질적인 세계에서 상대를 타자화하며 살아온 두 예술가가 무대 위에서 이해하고 공감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감정이입을 통한 공감적인 감상을 할 수 있었다고 파악된다. 따라서 드라마를 기반으로 한 음악극 이외에, 연주회 형식의 공연에서도 공연 전반을 관통하고 지탱하는 스토리텔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분석되었다. 이번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결과가 한국 공연예술의 다원화와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cas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uccessful convergence and combined performances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in Korean performing arts. Its purpose is to examine the outcome of the concert “Soprano Park Sung-hee pines for Lim Bang-ul, the national singer” and to analyze its multiple layers,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that enabled its success and draw meaningful conclusions. The background and practice related to the concert were investigat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planning, and actual performance sites, and the concert was developed and analyz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s a result, two factors were identified that made this performance successful. First, in the fusion and combination or cross-play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which has many disparate elements, the art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enres and performers must be secured. Based on this artistic relationship, performers will form a consensus, and performances will reach a higher level of perfection and audience satisfaction. Second, performers should be able to draw sympathetic appreciation from the audience. The performance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a special and dramatic narrative between soprano Park Sung-hee, the main character of the performance, and Lim Bang-ul,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 Though two artists have otherized each other and lived in a different world but they came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on the stage. Through appreciation of this process, the audience was able to empathize with the two artists.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storytelling that penetrates and supports the entire performance should be preceded not only by drama-based musical plays but also by concert-style performances. We hope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cas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performing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