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핀란드 헌법개혁 모델의 특징과 함의: 의회-행정부 관계와 의회-시민 관계의 재구성

        서현수 ( Hyeon Su Se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8 韓國 政治 硏究 Vol.27 No.3

        이 논문은 의회-행정부 관계와 의회-시민 관계를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재정립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핀란드 헌법개혁 모델의 특징을 분석한다. 첫째, 핀란드는 지속적, 단계적 헌법개혁을 거쳐 1999년에 전면적 헌법개혁을 실현했다. 둘째, 2000년 신헌법은 대통령의 권한을 줄이고 의회와 총리의 권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의회주의(parliamentarism)적 전환을 실현했다. 셋째, 1995년 핀란드는 헌법의 기본권 장을 전면 개정해 보편적 인권 원칙과 국가의 ‘적극적’ 의무 개념에 기초한 현대적 입헌주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도모했다. 넷째, 핀란드는 시민발의제도(citizens’ initiatives)를 도입해 현대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열린, 포용적 의회-시민 관계의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 논문은 핀란드 헌법개혁 사례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제공하면서 한국의 개헌 논의에 관한 함의를 토론한다. This article analyzes key features of the Finnish model of constitutional reforms having successfully re-established the legislative-executive and parliament-citizens relationships. First, constitutional reforms have been done in Finland through continual, step-by-step processes over long-term periods. Based on accumulated changes, Finland instituted a total-scale constitutional reform in 1999-2000. Second, the 2000 Constitution has turned the political system into a standardmode parliamentarism by reducing the Presidential power while strengthening the Eduskunta (Parliament) and PM, simultaneously. Third, Finland rewrote the constitutional chapter of fundamental rights as a whole in 1995, indicating a transformation of the modern constitutionalism into a contemporary (post-modern) constitutionalism which emphasizes the universal principle of human rights and ‘active’ duties of the state. Fourth, Finland introduced a national-level citizens’ initiative system through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2012. A modest direct democratic mechanism has contributed to cultivating a more open and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citizens. Providing a systemic analysis of constitutional reforms in Finland, the study examines their extensive implications on South Korean debates.

      • KCI등재

        보편적 복지국가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핀란드 기본소득 정책 실험의 최종 결과와 함의

        서현수 ( Hyeon Su Seo ),최한수 ( Hansoo Choi )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20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국민국가 수준의 첫 기본소득 정책 실험으로 주목받은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2017-2018년)의 역사-정치적 맥락, 실험 디자인과 진행 과정의 특징, 주요 결과와 함의, 향후 전망 등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제공한다. 핀란드는 북유럽 복지국가들 중 기본소득에 관해 특별한 관심을 보여온 국가로 주요 정당들이 논쟁을 주도하는 특징을 보이며, 이번 실험은 보편적 복지국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탐색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사회혁신 실험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보편주의 원리의 확대와 시장친화적 고용(복지)개혁 요구가 혼재된 가운데 중도우파 정부의 이니셔티브로 전개된 이번 실험은 설계 디자인과 진행 과정에 일부 한계를 노정하였고, 특히 ‘고용활성화 모델’ 등 기본소득과 원리가 상충되는 제도가 갑자기 도입되면서 기본소득 실험 결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 점이 확인된다. 실험 결과 삶의 질과 복리 측면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주된 목표였던 고용률 증진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무엇보다 고용활성화 모델 도입으로 인해 고용률 지표 변화의 수준과 원인을 정확히 판별할 수 없다는 점은 중요한 한계이다. 모호한 결과와 더불어 향후 핀란드에서 기본소득의 제도화 전망은 불투명해진 상태이나 주요 정당의 노선과 현 정부 프로그램 등을 고려할 때 추가 기본소득 실험이나 유사한 형태로의 사회보장제도 개혁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ic analysis on the Finnish government’s basic income (BI) project (2017-2018), the first BI experiment at the nation-state level. To this end, it studies (1) its historical-political contexts, (2)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3) final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and (4) the future prospect of institutionalizing BI in Finland. The case is important in that Finland is the only Nordic welfare state having continuously debated the feasibility of BI ideas, with various policy proposals presented by different political parties; it was a government-driven social innovations experiment to explore a sustainable future of the universal welfare state. However, revealing contradicting elements such as expanding universalism while introducing new sanctions on the unemployed, the project initiated by the then-PM Juha Sipila (Centre Party) showed limitations in its design and implementing process. The Activation Model is particularly criticized to have affected the final results. Despite general improvements in economic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cators, impacts on employment rates remained lower than aimed. A significant problem is that it can hardly be discernable how two different mechanisms affected employment rates’ change. Along with obscure results, the future prospect of BI institutionalization in Finland seems to be uncertain. Simultaneously, there remains a possibility for the Finnish government to launch another experiment of basic income (NIT-format) in near future.

      • KCI등재

        핀란드 복지국가의 과거, 현재, 미래: 정치제도, 복지체제, 교육정책의 연계와 다이내믹을 중심으로

        서현수 ( Seo Hyeon Su )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21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8 No.-

        핀란드는 20세기 내전과 대소 전쟁 등의 위기를 딛고 합의적 민주주의와 사회적 코포라티즘에 기반한 보편적 복지국가를 성취한 북유럽 국가로서 최근 많은 정책적, 학술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핀란드 복지국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체계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그러한 학술적 공백을 메우기 위한 노력으로 현대복지국가 이론의 발전 동향 및 북유럽 모델에 관한 체계적 검토에 기반하여 핀란드 복지국가 사례에 대한 하나의 통합적, 입체적 분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 민주주의, 정치경제, 복지체제 간 연계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핀란드와 다른 북유럽 국가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둘째, 핀란드 복지국가의 형성, 발전, 재편 과정을 주요 시기별로 구분하여 역사적, 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셋째, 복지국가 정치와 개별 사회정책의 연계성을 탐색하기 위해 핀란드 복지국가 건설의 다이내믹과 1960년대 이후의 단계적, 지속적 교육개혁의 정치가 어떻게 맞물려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이 논문은 북유럽의 후발주자에서 선도적 혁신국가로 발돋움한 핀란드 사례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Despite increasing interest in the Nordic model of welfare states, few studies focusing on the Finnish case have been conducted. While Finland share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Nordic model such as consensual democracy, coordinated market economy and universal welfare states, it also demonstrates a number of distinctive features grown up from the unique path of its modern political history. Filling the gap in the literature, this article provides with a systemic analysis of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Finnish welfare state, focusing on the linkage and interaction among political institutions, welfare regime, and individual social policies such as education policy. First, it analyzes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Finland and the other Nordic countri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Second, the process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reform of the Finnish welfare state is analyzed from a historical-political perspective. Third, the linkag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politics of welfare state building and comprehensive educational reforms, implemented on a newly established political consensus since the 1960-70s, are examined. The conclusion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nish welfare state.

      • KCI등재

        현대패션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서현수(Seo Hyeon Su) 한국복식학회 2004 服飾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ypography, which has become apparent in many areas of modern society, is expressed, portrayed and how its value, furiction and significance in fashion can be understood. In order to undertake this study, the concept of typography was examined in detail, the verbal and formative function of typography carefully considered. and the different types of typography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 to the below areas: - Typography for the increasing of brand logo recognition - Typography as a social slogan - Typography for the increasing of collective belongingness - Typography as an image - Typography as a symbol. As a result, the typography plays an important role of a verbal tool in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typography, fashion was able to explain in much detail the overstatement of society criticizing character and functionality of information conveyance. However, the role of typography will continue to change and evolve according to the constant changes of fash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