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ulsed Power전원장치용 Gas Puffing INPIStron의 개발

        서길수,김영배,조국희,이형호,Seo, Kil-Soo,Kim, Young-Bae,Cho, Kuk-Hee,Lee, Hyeong-Ho 대한전기학회 2000 전기학회논문지C Vol.53 No.12

        Closing switch, key component of pulsed power system, is constructed simply and used frequently due to the easy control and manufacture of one. The kind of one are spark-gap, triggered vacuum switch, pseudo-spark switch and INPIStron. But the electrode of spark gap switch is damaged with the hot spot by Z-pinch and then the life of one become short. INPIStron with inverse pinch effect has long life but it is difficult trigger system to provide uniform discharge between cathode and anode.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INPIStron with gas puffing trigger method in order to supply uniform discharge inter-electrode and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INPIStron applied to 500[kA]-2[MJ] pulsed power system is presented.

      • KCI등재

        아프라시압 고구리[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고구리[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Ⅱ)

        서길수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8

        The present paper is the second counterargument against the argument that ‘a Koguri (高句麗, Koguryo is an erroneous pronunciation of Koguri) envoy has never been to Samarkand.’ 1. Three major points in the Denial argument that Kori (高麗, new name of Koguri after AD 413) has never dispatched an envoy to Samarkand (康國) are as following. ① The envoy dispatch was impossible because the Central Asian and the Mongolian steppe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Tang China. ② Kori has not sent an envoy – critical view on the alliance with Xueyantuo (薛延陀). ③ It was not made because Kori could not have received an assistance of the Sogdians. 2. B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the Kori and the Avars (柔然) were interacted closely, some Avars after they were destroyed by the Turk moved to the Kori which tells us that in Kori was the group residence of the Avars. These historical facts certainly support the argument that a Kori envoy could have reached to Samarkand. 3. Author accepts the fact that in the Western wall scene may be the portrait of the Qaghan of Western Turk, and thinks that he should be Ishbara Khagan (651~657). Because at that time Kori had long fought for Tang, which is why Kori could not send an envoy to Irbis Shegui Qaghan (641~651), who was supportive of Tang. But Kori had to connect with Ishbara Khagan (651~657), who fought against Tang as well as Kori.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hat Kori could have contacted the Western Turk depending on the needs. Thus, the envoy sent to the Western Turk was dispatched to alliance and gather information in Samarkand under the control of the Western Turk. In conclusion Kori sent an envoy to Samarkand ruled by Western Turk in the course of 651~656, most likely in AD 655. 이 논문은 ‘고리[高麗] 사신이 사마르칸드에 간 적이 없다’는 주장에 대한 두 번째 반론이다. 고리[高麗]가 사마르칸드에 사절을 파견할 수 없다는 주장은 크게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① 중앙아시아와 몽골초원이 당의 지배 아래 있어 사행(使行)이 불가능하였다. ② 고리[高麗]에서 사절을 파견하지 않았다. - 설연타(薛延陀)와의 연합에대한 비판③ 소그드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어 갈 수 없었다. 1. 위의 주장에 대한 반론과 서돌궐과의 연합 시도론 제기지배선은 바르후만이 강거도독으로 임명되기 이전, 곧 당의 영향력이 사마르칸드에 미치지 못했던 652년에 고리[高麗]가 당시 정세를 파악하기 위해 당나라에 사절을 파견했는데, 바로 그해 정월에 사마르칸드에도 사신을 보냈다고보았다. 한편 이재성은 660년 8월부터 철륵(鐵勒) 여러 부에서 당나라에 대한반란이 일어났고, 반란은 663년 정월까지 계속되어 2년 5개월간 당의 세력권을 벗어난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이 기간에 연개소문이 철륵과 연대를 꾀하였을 것이라고 보았다. 2. 고리[高麗]와 설연타(薛延陀)의 연합 시도에 대한 재평가사행부정론자들은 설연타와의 연합은 실제 성사되지도 않고 이득도 없었기때문에 연개소문이 다시 연합을 시도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반대 견해를 보였다. 이 문제를 깊이 있게 검토하여 645년 고리[高麗]와 설연타의 연합은 크게 성공하였다는 것을 밝혔고, 당 태종이 안시성에서 물러나게 된 것이 설연타의 북서전선 침입 때문이라는 것을 밝혔다. 3. 650년대 고리[高麗]의 사마르칸드 사행(使行) 가능성 검토일반적으로 고리[高麗]와 돌궐의 관계는 서로 적대관계로 이해할 수 있는 사실이 많았다. 돌궐이 고리[高麗]를 침략하고 당이 고리[高麗]를 칠 때 선봉에 선적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돌궐과 고리[高麗] 관계를 동태적으로 분석해보면 시대나 정황에 따라 늘 가변적이고, 필요에 따라 서로 연합을 시도하였다는것을 알 수 있다. 4. 고리[高麗]는 스스로 초원길을 왕래할 경험과 인적 자원 보유끝으로 소그드인의 안내가 없으면 고리[高麗] 사절이 초원길을 왕래할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이다. 사료 검토를 통해 고리[高麗]와 유연은 서로 이와잇몸처럼 가까이 왕래했고, 함께 연합하여 지두우를 경략하려 했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돌궐에게 망한 유연의 일부가 집단으로 고리[高麗]로 이주했다는 기록을 통해, 고리[高麗]에 유연의 집단거주지가 있었다는 것도 밝혔다. 유연은 5~7세기 동쪽 고리[高麗]에서 서쪽 알타이를 넘어 중가리아(準噶 爾, Dzungaria, Zhungaria)까지 자유롭게 넘나들었기 때문에 초원길을 훤히 알고 있었을 것이고, 따라서 고리[高麗]는 자체의 힘으로 초원길을 다닐 수 있는인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Shakespeare's View of Human Nature in The Tempest

        서길수 대한영어영문학회 2004 영어영문학연구 Vol.30 No.1

        In Shakespeare's tragedies the less worthy instincts in human beings create disorder in society. This is again the basic pattern in his romances. All four romances present a conflict between an idea of disorder and an idea of order. In all of them evil disrupts the life of a noble family. An idea of order is set against the disorder that can disrupt life. Unlike the major tragedies, however, in the romances the members of the family are reunited in acceptance and reconciliation.Prospero and Gonzalo, as we have seen, are the sympathetic figures of the play. They are not worldly human beings. They are universal lovers, not by principle but by nature. Gonzalo is the type of the good adviser to rulers. Prospero has rich cause for vengeance, but Prospero is reconciled with his old enemies.Shakespeare values the good and humane instincts in human beings, seeing what such feeling can contribute to the social order. It may be that Shakespeare is emphasizing the human quality of Prospero and Gonzalo. They, the good characters, have something positive to contribute in that forgiveness and love will enrich society. Their sympathetic characters are very important to this play, for it is through them that Shakespeare demonstrates humanity, the ultimate human quality, even though humanity has been destroyed.

      • KCI등재

        일본 법륭사(法隆寺) 불상 대좌에 그려진 고구리(高句麗) 인물상 연구

        서길수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7 No.-

        On August 24 of 1992, a human figure painting which is assumed to be a Koguri(高句麗) personal was discovered in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heritages within the Hōryū-ji temple (法隆寺). At the time of discovery, experts suggested that “In Japan, the extant 7th century human figure paintings are only ‘The Tenjukoku Shūchō Mandala (天寿国繍帳)’ (622) and wall paintings of The Takamatsuzuka Tomb (高松塚古墳, from the end of the 7th century to the early 8th century) As of an ink painting, ‘The Flying Immortal(飛仙圖)’(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has been discovered in the same temple in 1988. However, as a secular human figure painting done in ink wash painting, this is the oldest one, which brough a big sensation in the scholarly world. Two years later in 1994 when it was discovered in 1992, Machida Akira(町田 章), who was a director of the investigation team reported a short paper. After then, no specific research on the painting has been done since. This paper thus examined several points base don the 1994 report. Chapter II gathered the published research materials after the discovery of Koguri figure painting. Since no serious academic paper has been written yet, it collected available research sources as much as possible. In Chapter III, the date and the nationality of the figure was explored. It is already acknowledged by Japanese newspapers and scholarly world that the figure is a Koguri personal, the author strengthened the argument with the Koguri wall paintings. Machida Akira(町田 章),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port, argued that ① based on the Statue of Shakyamuni Buddha(釋迦三尊佛) made in 623, the earliest date of painting is 623 and ② the latest date is 650 due to the cloud pattern(雲氣紋) or cloud and Tang style floral pattern (雲氣紋唐草紋). The writer extends the date from 607~650 because of the record in 『The Private Writing of Prince Shōtoku(聖德太子傳私記)』 saying that “The Statue of Amita Buddha(阿彌陀三尊佛) was made with The Statue of Medicine Buddha(藥師如來三尊)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Horyuji, and The Statue of Shakyamuni Buddha was added after the death of Prince Shōtoku.” Chapter IV is the discussion about the painter of Koguri figure and the reason of the depiction of it. Yomiuri Newspapers assumed that it was probably done by a Koguri origin painter like Painter Kibumi(黃文畵師). In the first report, Majida Akira(町田 章) suggest that ① a Japanese painter might have drawn a Koguri personal who visited Japan ② a Koguri personal might have drawn own custom. The author noticed that Koguri artisans migrated to Japan in the east of Horyuji Temple since 493, and they lived in Takaichi District, Nara(高市郡) and Yamashiro Province(山背國) in 565. And in 605 the Wa court officially appointed Korean artisan Kuratsukurinotori as the sculptor of a Buddha statue, and he started making the Buddha statue in Horyuji ever since. Koguri figure painting depicted on the throne of the Amitabha in the Golden hall of Horyuji must have been drawn by a Koguri painter Kuratsukurinotori as a self portrait on the secretly hidden part before he painted the throne. It might be similar to the signature(autograph) of an artisan who left an unique symbolic sign on many potteries. 1992년 8월 24일 일본 법륭사(法隆寺)에서 경내 문화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고구리(高句麗) 사람으로 추정되는 인물상이 발견되었다. 당시 전문가들은 “일본에서 7세기 인물화는 ‘천수국수장(天壽國繡帳)’ (622년) 과 다까마쓰(高松) 고분의 벽화(7세기 말부터 8세기 초)밖에 없다. 또 먹으로 그린 그림으로는 1988년 같은 절에서 ‘비선도(飛仙圖)’(7세기 전반)가 발견되었지만, 먹으로 그린 세속의 인물화로는 이번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고 해서 학계에서 크게 반향을 일으켰다. 1992년 인물상이 발견되고 2년 뒤인 1994년 당시 조사위원장이었던 마찌다 아끼라(町田 章)가 간단한 조사보고서를 발표한다. 그 뒤 이 문제는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연구가 별로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1994년 조사보고서를 바탕으로 내용을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Ⅱ장에서는 1992년 고구리(高句麗) 인물화가 발견된 뒤 발표된 자료들을 모아보았다. 아직 본격적인 논문이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가능한 자료를 모두 모아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인물상의 국적과 그린 연대를 보았다. 인물상이 고구리(高句麗) 사람이라는 것은 이미 일본의신문과 학계에서 인정하였기 때문에 글쓴이는 고구리 벽화를 바탕으로 그 논리를 보충하였다. 마찌다 아끼라(町田 章)는 1차 조사보고서에서 ① 623년에 만들어진 석가삼존불을 기준으로 623년을 상한으로 보고 ② 운기무늬(雲氣紋)나 운기무늬당초무늬(雲氣紋唐草紋)를 근거로 650년이 하한이라고 주장하였다. 글쓴이는 『성덕태자전 사기(聖德太子傳私記)』에 “아미따삼존불은 법륭사를 지을 때 약사여래삼존과 함께 만들어지고, 석가삼존불은 성덕태자가 세상을 떠난 뒤 두 불상에 더하여 만들어졌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607~650년으로 범위를 확대하였다. Ⅳ장에서는 법륭사 고구리(高句麗) 인물상은 누가, 왜 그렸는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요미우리신문 기사에서 황문화사(黃文畵師) 같은 고구리(高句麗) 출신 화가가 그렸다고 했다. 마찌다 아끼라(町田 章)는 1차보고서에서 ① 사람은 일본 화가가 일본에 온 고구리(高句麗) 사람을 그렸을 것이다. ② 고구리(高句麗) 사람이 자기 나라 풍속을 그렸다고 했다. 글쓴이는 법륭사 금당 아미따여래 대좌에 그려진 고리(高句麗) 인물화는 국가에서 임명한 불상 장인인 고리(高麗) 안작 조(鞍作 鳥, 구라쯔꾸리노도리)가 만들었고, 도리가 자신을 그린 자화상을 마치 작품에 서명(sign)을 하는 것처럼 대좌 속에 그렸다고 보았다.

      • KCI등재

        반야심주(般若心呪)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

        서길수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6 No.-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 (『般若波羅蜜多心經』) is the chief sutra of Korean Buddhism. At the end of this sūtra the Prajñāpāramitā Mantra (般若心呪) is found. The Korean transliteration of this Mantra causes it to be recited in a way that is quite distinct from the original Sanskrit. Thus, this essay is an examination of the cause of the phonetic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nd Sanskrit versions of the Mantra. The Prajñapāramitā Mantra is transliterated into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Chapters of Siddam (「悉曇章」) found in The Collection of Mantras (『眞言集』). Tones (平聲) including both falling tones (去声), and rising tones (入聲), are almost the same when comparing the Chinese and Korean versions of the Mantra although tones which both fall and rise (上声) are different. In this essay, the transliteration of twenty-five syllables from various sutras including the Siddam-ziji (『悉曇字記』)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is it seems the sound of some Chinese characters from the 5th- 7th centuries have changed compared to corresponding sounds in the 8th century. Furthermore, when transliterated into Korean the Mantra is based on the phonetic sounds of the Dong-kuk-jong-um (『東國正音』), which reflect the 7th century interpretations. Currently in Korea the Prajñāpāramitā Mantra is recited based on the translation of Amoghavajra (不空, 705-774). Amoghavajra and other translaters in the 8th century utilized letters that were new at the time to more accurately convey certain nasal sounds, which are distinct from the work of such 7th century translaters as Xuanjiang (玄奘). For example, in the 7th century the ‘a’ (誐) sound became a ‘ga’ (誐) sound in the 8th century and the ‘mo’ (冒) sound became voiced as ‘bo’ (冒). However, the Dong-kuk-jong-um, which the Korean’s used did not reflect this change in sound. This paper concludes that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Mantra recited in Korean is so different from its Sanskrit counterpart. 반야심주(般若心呪)는 한국불교에서 가장 널리 지송되는 진언이지만 본래의 산스끄리뜨 음과는 다르게 읽힌다. 왜 이렇게 다른 소릿값으로 읽히게 되었을까?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반야심주의 원칙과 법칙성이 무엇이며, 또 무엇 때문에 원음과 상이한 음역으로 읽히게 되었는가를 구명하고자 함이다. 이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결론은 다양하다: ① 같은 조음기관이기 때문이다. ② 발음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머리소리가 탈락했다. ③ 정우영(1996): 진언이기 때문이다. ④ 범어음을 변별하여 적기 위한 것이다. ⑤ 소릿값이 예사소리로 바뀐 것이다. ⑥ 잘못 표기한 것이다. 필자는 번역사와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반야심주는 진언집에 실린 「실담장」의 원칙에 따라 음역했지만, 「실담장」의 평성(平聲)ㆍ거성(去聲)ㆍ입성(入聲)은 한어(漢語)의 음과 우리나라 한자음이 거의 비슷하지만, 유독 상성(上聲)만은 전혀 다름을 알 수 있다. 둘째, 각종 경전과 『실담자기』에서 25음을 분석한 결과, 당나라 초기 발행된 실담자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 5-7세기의 한자와 그 뒤 8세기 한자음이 크게 달라졌다. 또한 우리나라 진언집 모두 7세기 음을 반영한 『동국정운』의 우리 음으로 읽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불공(不空)을 비롯한 8세기 후반의 역경가들은 산스끄리뜨 콧소리를 제대로 옮기기 위해 7세기 이전의 현장(玄奘) 등과는 달리 8세기 한어(漢語) 가운데 새로운 글자를 골라서 번역하였다. 그런데 8세기에 들어 당나라 장안의 말이 크게 변화하면서, 7세기에는 ‘아(誐)’로 읽었던 것이 8세기에는 ‘가(誐)’로 읽고, 7세기에는 ‘모(冒)’라고 읽었던 것이 8세기에는 ‘보(冒)’라고 읽게 되었다. 『동국정운』에는 이런 소리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았기에 반야심주 한문 텍스트는 8세기 것을 쓰고, 음은 7세기 동국정운식으로 읽으면서 반야심주는 원음과는 다르게 독송하게 되었다는 결론에 이른다.

      • KCI등재

        寬淨의 淨土禪 수행법에 관한 연구

        서길수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淨土禪의 원리와 수행법을 연구한 논문이다. 淨土禪은 중국의 寬淨 법사(이후 관정으로 줄임)가 1987년 싱가포르에서 처음 펴낸 『淨土禪精義』에서 펼친 수행법으로, 그 뒤 미국, 대만, 한국에서 여러 차례 발행되어 보급되었다. 1. 정토교리사에서 정토선ㆍ염불선ㆍ선정쌍수가 모두 가까운 뜻으로 쓰였다. 그러나 정토선은 다른 염불선의 수행법과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禪淨雙修는 정토와 선 수행을 함께 닦지만 정토선은 먼저 칭명염불을 하고 자성염불이 되면 선으로 들어가는 선후 단계가 있다. 둘째, 염불선의 대표적 수행인 관념염불법은 부처님을 관하며 염불을 하는 것이지만 정토선은 칭명염불을 하면서 귀로 그 염불소리를 주의 깊게 듣는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셋째, 念佛公案法은 참선하는데 염불을 화두로 이용할 뿐이지만 정토선은 칭명염불로 시작하여 마지막까지 자성염불로 일관되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 난다. 2. 관정은 불교의 수행법을 크게 ① 생각을 쓸어 없애는 법(掃念法: 알아차리는 법) ② 내버려 두는 법(任由法) ③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占領法)으로 나누었는데, 정토선은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에 들어간다. ‘미리 차지해 버리는 법’에도 ① 觀想法 ② 參話頭法 ③ 念佛法 ④ 身性覺法 같은 4가지가 있는데 정토선은 ③, ④를 합친 수행법으로 염불법을 통해 신성각을 이루는 수행법을 말한다. 身性覺이란 몸으로 자성을 깨닫는 법을 말하는 것으로, 염불을 통해 몸속에서 염불소리가 나는 自性念佛을 이루고, 그 자성염불 소리를 통해서 一念에 이르고, 無念을 이룩하는 것을 말한다. 3. 정토선 수행은 3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① 염불에서 자성염불 단계, ② 자성염불에서 一念단계, ③ 일념에서 無念단계라는 3단계의 로드맵이 뚜렷하다. 둘째, 다른 수행법은 법력이 높은 스승이 있어 증득한 상황을 수시로 점검해 주지 않으면 위험한데 반해 정토선은 3단계가 모두 한마디 염불소리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스스로 확인할 수 있어 쉽고 안전하다. 셋째, 자성염불을 통해서 염불수행만 해야 수행자와 염불에 이어서 禪을 할 수 있는 근기를 분별할 수 있다. 바로 그 바로미터가 자성염불이다. 4. 이 염불법은 관세음보살이 일러주신 것으로 능엄경에서 말하는 관세음보살의 耳根圓通과 같은 원리이다. The Pureland Zen is a practice first revealed by the Chinese master Kuanjing in Singapore in 1987. After its revelation it has been discussed and practiced in USA, Taiwan and Korea. The thesis of Kuanjing and related literature are discussed in this study. Further the real practices of Pureland Zen and the community of Pureland Zen are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The key points of Pureland Ze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name of Pureland Zen appeared first in Chinese literature ≪淨土或問≫ in 1354, and the name was also used quite often in the periods of Ming and Ching Dynasties. According to the Pureland History Pureland Zen, Amitabha Recitation Zen, and Co-practice of Pureland and Zen referred to almost the same idea. According to the instructor of Pureland Zen, Master Kuanjing, Pureland Zen is simply a gathered chanting of Amitabha in two groups, while the members in one group are chanting the name of Amitabha, the members in the other group are listening and in meditative silence. They change their chanting and listening periods alternatively. Three stages in the practice of Purelad Zen can be expected, namely: 1. Self-chanting stage: If one practises Pureland Zen deeply and habitually, he chants Amidaba automatically, or his ears, his body are chanting Amidaba automatically. This is called the First stage self-drive chanting. 2. One-Desire Stage: By self-drive chanting one gradually reaches the second stage of one pure desire to be in Pureland. 3. No-Desire Stage: The second stage finally leads to a third stage of no desire, in this stage one even forget to chant Amidabaor desire to be in Pureland. The Pureland Zen differs from other known practices by: 1. The essential part of Pureland Zen is coupled chanting and listening; 2. The practice of Pureland Zen pays attention to both the mind and the body. In the practice the three interactions are kept aware: body-background, body-mind, mind-background. 3. The followers are aware of the limited power of human being, but they are anxious to apply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for creating Pureland for humanity. In other words, they don’t ignore their current existence.

      • KCI등재

        대용량 사이리스터 특성평가 장비의 설계 및 제작

        서길수,김형우,김기현,김남균,김은동 대한전기학회 2005 전기학회논문지C Vol.54 No.12-C

        Recently, application area of the thyristor is extends to power conversion systems, such as HVDC, BTB, SVC and FACTs. Therefore, reliability diagnostic technique on thyristor is needed to obtain stability and maintenance of power conversion systems.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yristor, test equipments which based on IEC 747-6 and KS C 7023 standard are needed. In this paper, we presents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test equipments for 6.5kV/4.2kA thyristor which used in thyristor valve of HVDC conversion systems by using test standard. Voltage, current, dv/dt and turn-off time test equipments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Each systems were made separately, but unity operation can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