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이 직무소진과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대한 차이 비교 연구

        이서빈,변상해,Lee, Seobin,Byun, Sanghea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8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firefighter's traumatic experiences and to examin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f how those factors contribute to firefighter's burnout,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erative for firefighters to have mindfulness, which brings mental and emotional healing, for their job-satisfaction.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refigh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wo weeks; from October 19thto November 3rd, 2017. Out of 180 questionnaires, 170were retrieved. Total number of 160 questionnaires are empirically examined this study, excluding10bad survey responses.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among traumatic experienced firefighters, and a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from perceived intrusiveness, a sub factor to traumatic experiences. Male firefighters showed higher mean than that of female firefighters in perceived angle, evasion and intrusiveness. Secon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in firefighter's burnout,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Female firefighters showed higher mean in emotional exhaustion, impersonalization and in decrease in self-achievements. Thir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in firefighter's depression and relationships,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 KCI등재

        공무원의 은퇴설계가 개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황은성 ( Eunseong Hwang ),변상해 ( Sanghea By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현대사회에서 노후생활이 길어지면서 개인 삶의 질에 대하여 고민을 해야 한다. 이에 정년을 앞둔 공무원을 대상으로 은퇴설계가 심리적 안녕감과 개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은퇴를 준비하는 공무원 510명을 대상으로 은퇴설계가 개인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4.0 통계프로그램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은퇴설계의 하위변인 중 여가활동설계는 개인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등, 경제생활설계는 개인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등, 건강관리설계는 개인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여가활동, 경제생활, 건강관리 등의 은퇴설계는 개인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심리적 안녕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어 개인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심리적 안녕감과 개인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은퇴설계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life in old age is long and we have to worry about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The impact of retirement desig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was identified for public officials nearing retirement ag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rement design and the personal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510 public officials preparing to retire.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test the hypothe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subvariants of retirement design, leisure activity design, economic life design, and health care design were identified to affect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above research, retirement designs such as leisure activities, economic life, and health management has been verified to improve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par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signing retirement plan is desirable.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면회가 금지된 노인요양시설입소자에게 영상통화가 시설만족에 미치는 효과

        이민자 ( Minja Lee ),변상해 ( Sanghea By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면회가 금지된 노인요양시설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가족 및 지인과의 영상통화가 입소 노인들의 시설생활만족도, 자기통합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시 J요양원에 입소중인 노인들에게 2020년 5월에서 7월까지 영상통화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24.0 윌콕슨 순위부호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통화가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만족도와 자기통합감 증진, 그리고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상황이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노인요양시설의 외부접촉은 제한이 되리라 예측되는 현 상황에서 입소 노인의 신체, 정서, 정신, 사회적 안정을 위한 중재방법을 모색했다는 것에 연구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video calls with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on the satisfaction of living in facilities,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who are prohibited from visiting due to coronavirus infection-19. For this study, video calls were made to elderly people admitted to OO City’s J Nursing Home from May to July 2020.This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Wilcoxon ranking code tes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as follows. It was concluded that the video call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living in a facility, improving self-integration, and redu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ven if the situation of Corona 19 is ended, external contact at elderly nursing facilities is expected to be limited,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sought intervention methods for physical, emotional, mental, and social stability of the elderly in the hospital.

      • KCI등재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삶의 질, 스트레스,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영욱 ( Youngwook Kim ),변상해 ( Sanghea By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감이 삶의 질, 스트레스,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고찰하고, 치매노인들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 및 사회복지상담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연구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일반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양부담의 결과는 첫째, 부양부담감은 삶의 질에 .446만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627, P=.001). 둘째, 부양부담감은 스트레스에 .837만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11.130, P=.000). 셋째, 부양부담감은 우울증에 .631만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5.919, P=.000).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고통을 인식하여 치매가족 부양부담감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family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apply policy measures and solutions to alleviate the burden of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a social welfare counseling perspective. To verify the research empirically, a general survey of families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s much as .446. Second,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ress as much as .837. Third,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s much as .631. As shown in this study, it is urgent to recognize the pain of families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alleviate their bu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