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기반 유지와 정비를 위한 지역맞춤형 도시관리 제도 효과 연구 :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공장부지를 중심으로

        백세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기술발달과 산업구조 및 생활양식 변화 등 여건 변화에 부응하여 중앙정부를 비롯한 서울시 차원에서도 도시계획(용도지역제)의 혁신을 추진함에 따라 서울 시 준공업지역 도시관리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여건 변화에 대응한 방 안을 모색하기에 앞서, 산업기반을 관리하기 위하여 20년 이상 고수해 온 서울 시 준공업지역 도시관리 제도의 특성과 산업기반 유지 효과에 대한 분석이 선행 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첫째,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용도지역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시계획조례로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정립된 서울시 준공업지역 도시관리 제도 의 특성을 용도와 밀도 관리측면에서 규명하였다. 둘째, 산업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공장부지의 공동주택 불허 제도 시행에 따른 공장부지의 산업기반 확보 효 과를 확인하고 공장부지의 개발용도에 대하여 대지면적별 차이, 시간흐름에 따 른 변화,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여, 준공업지역 지정 취지가 실현되는 지를 실증 하였다. 먼저, 서울시 준공업지역 도시관리 제도의 특성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공업지역으로서 산업기능을 지원하고 산업기반을 유지하는 목적과 함께 주거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특성이 반영되 어, 건축제한에서는 특정용도(공장)부지에 한정하여 정비 시 공동주택을 제한함 으로써 산업시설 개발을 유도한다. 대규모 공장부지를 개발할 때는 산업시설을 확보하며 공동주택을 건립하는 산업복합개발이 가능하도록 공동주택 및 산업시 설 확보 기준과 상세한 지구단위계획 수립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도시계획조례 상 준공업지역의 용적률은 우리나라 용도지역제상 용적률의 단선적 체계를 극복 하기 위하여 다른 용도지역과 달리 주거시설과 비주거시설의 용적률이 차등화된 이원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공장부지의 공동주택 불허 및 허용기준(이하 공장부지의 관리제도)은 3 단계의 개정 과정을 거쳐 현재의 제도로 정립했으며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특 성을 보인다. 먼저, 공장비율 및 공장범위, 산업부지·공공시설 확보비율 등 산업 기반 유지에 관한 큰 틀의 기준 요소는 유지되고, 제도 변화에 따른 세부기준이 추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준공업지역 내 산업기반 유지·확보 정책에 대한 당위 성과 공동주택 개발압력 사이에서 공장부지 관리제도가 마련되고 조정됨에 따 라, 제도 변화 과정은 도입 이후 강화와 절충의 양상을 보인다. 제도 변화 과정 중에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제도의 성숙이 동반되어, 준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 수립 지침 마련의 제도적 기반을 정립하였다. 민간 사업시행을 지원하기 위한 정비유형·재생유형(사업유형)을 도입하면서 특정지역계획인 준공업지역 종합발전 계획 수립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특정지역계획을 도시계획조례에 반영하는 순환 구조를 이루었다. 공장부지 관리제도 시행에 따른 산업기반 유지 효과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준공업지역 내 신규 개발은 용적률의 높은 증가를 동반하기 때 문에, 공장부지가 모두 산업시설로 개발되지 않아도 기존 공장연면적 이상은 공 급되어 공장부지 정비 시 산업기반 유지가 실현되었다. 공동주택이 제한되지 않 는 일반부지(동일 기간 신축이 일어난 공장부지 이외의 부지)의 개발용도 양상 과 비교했을 때 산업시설 비율 차이가 확연하다. 둘째, 공장부지 개발용도는 대지면적 구간별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전체 적으로 산업시설 비율이 가장 높지만 500㎡ 미만에서는 근린생활시설 비율이 가장 높고, 500㎡ 이상 대지면적구간에서 산업시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기타주거시설 비율이 그 다음으로 높다. 준공업지역에서는 근린생활시설도 산업 시설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대지면적 전 구간에서 산업시설 개발 비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대지면적 구간별로 공장부지와 일반부지의 개발용도 비율을 비교했 을 때, 공장부지는 일반부지에 비해 대지면적 전 구간에서 산업시설과 기타주거 시설 비율이 현저히 높다. 다만 규모 1만㎡ 이상에서는 공장부지와 일반부지 사 이의 공동주택, 산업시설, 근린생활시설 비율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즉 1만㎡ 이상 공장부지에서는 일반부지와 유사하게 공동주택 개발이 일어나고 있다. 셋째, 공장부지 개발용도별 비율 변화는 20년 동안 10년 전후로 공동주택, 기타주거시설 등 주거시설은 증가하고 산업시설, 근린생활시설 등 비주거시설은 감소하였다. 최근 10년 중 5년 전후 변화를 비교 시 기타주거시설 비율만 증가 하고 다른 용도의 비율은 모두 감소하였는데, 산업시설 비율의 감소폭이 가장 크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최근 10년 동안에는 기타주거시설 비율이 계속 증가 하고 있다. 넷째, 지역별 공장부지 개발용도는 산업시설 비율이 월등히 높은 지역, 개발 용도 비율 간 편차가 크지 않은 지역, 기타주거시설 비율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유형이 구분되고 있다. 유형별 사례 지역 분석 및 지역 간 비교 결과, 산업규모 와 산업구조, 토지이용 등 지역 특성이 상이한 지역 간 공장부지의 개발용도 양 상이 다르다. 대지면적별 개발용도, 개발용도의 변화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주거기능이 우세한 산업혼재지역을 중심으로 공장부지 개발에서 공동주택 을 대체하는 기타주거시설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최근 5년간 개발용도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산업기반 유지를 위한 공장부지 관리제도, 즉 공장부지에 대한 공동주택 불허는 준공업지역 전체적으로 20년간 전반적인 상황에서 효과적이라 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용도별 개발 양상이 달라져 기타주거시설 개발 이 산업시설보다 활발해지고 있으며, 지역별로도 산업시설 확보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준공업지역의 법정용적률이 고정되어 있는 한 서울시 준공업지역에서 용적률 증가를 동반하며 개발할 수 있는 공장부지는 한정되어 있고, 따라서 공장부지 공동주택 불허는 시효가 정해진 제도이다. 향후에도 산업기반 유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최근 10년간 주거기능을 하는 오피스텔 개발이 활성화되는 것을 고려 하여 공장부지 관리제도의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만 지역별로 산업기능 을 상실했거나 공장부지 개발용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절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준공업지역은 용도지역제상 폭넓은 허용용도와 양호한 입지여건으로 인하여 주거기능 도입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지 않더라도 쉽게 산업주거복합지역 으로 조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주거복합지역 육성을 목적으로 하여 공장부지 에 대한 공동주택 불허를 완화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중심지 또는 중심지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는 준공업지역에 대하여 중심지 기능 을 고도화하거나 중심지로 육성할 수 있도록, 주거시설에 대한 용적률 차등 적 용을 중심지에 대해서는 완화 및 차등화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공업지역 지정 제한이라는 제도적 한계와 산업구조의 변화 및 산업시설의 형 태변화, 공간의 복합화 및 이용의 다각화 등으로 인해, 현재 서울시에서 용도지 역제로서 준공업지역은 신규 산업단지 조성을 대비할 도시계획 수단이라는 것 이외에는 산업기반 마련과 육성을 위한 다른 용도지역과 차별화된 기능이 실질 적으로 미미하다. 미래도시공간을 대비하여 용도지역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려 는 움직임이 활발한 현 시점에서, 서울시에서는 다른 용도지역으로 관리되고 있 는 산업거점과 준공업지역을 아우르는 산업복합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 도록, 새로운 도시관리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re pushing for reform in urban planning to cope with changes in conditions, includ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industrial structure and lifestyle changes. Changes in urban management planning of the quasi-industrial area in Seoul are also required. Before seeking a new directi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quasi-industrial area’s urban management system for securing the industrial space should be analyzed first.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asi-industrial area management system of Seoul Ordinance on Urban Planning, which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use and floor area ratio.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securing the industrial space in the factory sites within quasi-industrial areas after the start of the system for disallowing multi-family housing at the factory sites to maintain the industrial space. And,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land area, changes over time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uses of buildings developed at the factory sites and confirmed whether the purpose of designating a quasi-industrial area came tru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management planning system in the quasi-industrial area of Seoul are as follows: First, Seoul Ordinance on Urban Planning does not permit the constructions of multi-family housing in a factory site within quasi-industrial areas, reflecting the purpose of designating the quasi-industrial area for supporting industrial fun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quasi-industrial areas with various functions. Standards for securing industrial space and detailed guidelines for formulation of district unit plans were prepared also. In order to overcome the one-line system of the floor area ratio of our zoning system, the regulation on floor area ratio in the quasi-industrial area has a dual system that in the floor area ratio of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facilities, which differs from other special-purpose areas under Seoul ordinance on urban planning. Second,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factory site was established in three stages through a revision process, which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Key elements such as factory ratio, the scope of the factory, and the ratio of industrial sites to be secured are being maintained. Detailed standards are being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system. Next, the system is adjusted between demands for the secure of an industrial space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partment, resulting in changes in intensity and compromise. Finally, during the changes in the system, the guideline for the district unit plan of the quasi-industrial area was formed. It also was a good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quasi-industrial areas, a plan for specific regio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aintenance effect of industrial space by the factory site management system in the quasi-industrial areas is as follows: First, the total floor area of industrial space was maintained when factory sites were developed, even though all the factory sites were not developed to industrial facilities. This is because new buildings are constructed with a higher floor area ratio in the quasi-industrial areas of Seoul. In addition, the ratio of industrial facilities to the development of the factory sites is considerably larg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ites. Second, the variance of percentage by use of buildings developed at the factory sites appear differently for each land area sec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industrial facilities is high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land area. The ratio of industrial facilities and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in all sections of the factory sit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ites.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y sites and the ordinary sites in over 10,000㎡. Thirdly, the ratio of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has only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 on the uses of buildings developed at the factory site, and the ratio of other uses has decreased all. The drop in the ratio of industrial facilities is the largest. In particular, the ratio of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continues to rise. Fourth, the types will be classified into three areas by the ratio of the uses developed at the factory sites: (1) the area where the ratio of industrial facilities is substantially higher, (2) the area where the ratio difference of uses is not large, (3) the area where the ratio of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is very high. In conclusion, the regulation of the factory sites, which prohibitsconstructing multi-family housing for the maintenance of the industrial space, has been effective overall for 20 years. The construction of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however, is more active than that of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effect of securing industrial space varies by region. The number of the factory sites that can be developed in the quasi-industrial areas is limited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factory sites has limitation of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andards for the management of factory sites in order to maintain the industrial space of the quasi-industrial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active construction of officetels. Due to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restricting the designation of industrial areas in Seoul,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in the form of industrial facilities, complexity of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use, the quasi-industrial area as a zoning system have little differentiated function from other use areas in preparing and fostering industrial foundations. At a time when the movement to come up with alternatives to the use area system in preparation for future urban spaces is activ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needs to find new urban management systems to efficiently manage industrial complexes that cover all industrial hubs designated for other special-purpose areas and quasi-industrial areas. Key Words: Quasi-industrial Area, Urban Management Planning System, Industrial Spac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 Factory Sites

      • Carbon Nanotube의 코팅이 PDP 유전체와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백세경 (白世卿)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각되는 FPD(Flat Display Panel) 가운데 Digital TV 및 산업용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PDP(Plasma Display Panel)는 최근 LCD, Projection Display 등의 비약적인 기술발전으로 인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지속적인 기술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PDP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로서 CRT에 버금가는 밝기, 선명성, 넓은 시야각, 색재현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낮은 효율과 높은 구동전압, 높은 생산가에 따른 PDP panel의 높은 가격이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저가격화, 고효율화 PDP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PDP는 자발광 소자로 방전에서 발생된 진공자외선을 이용하여 셀 내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을 얻어내는 원리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입력 전력으로부터 최종 가시광을 얻기까지는 여러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 각각의 과정에서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좋지 않아 결과적으로 현재의 full color PDP가 보여주는 효율은 1 ~ 2 lm/W수준이다. 이는 CRT의 3~5 lm/Wdp 비해 낮은 수치로 이로 인해 소비전력이 과다하고, 부가적으로 발열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계에서 방전가스와 구조, 구동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구동전압에서 높은 효율을 갖는 PDP를 구현하기 위해 FED(Field emission display)의 전계 방출용 tip을 적용한 Hybrid PDP를 제안하였다. 전계 방출용 tip으로 aspect ratio가 1000이상인 Carbon Nanotube를 사용하여 전계 전자 방출을 통해 방전전압을 낮추고 발광 휘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Hybrid PDP의 nano tip재료인 CNT를 sol-gel method를 이용해 내산화성을 확보하였다. As the high definition television sets of large screen such as cathode ray tubes are too bulky and occupies large spaces, flat panel display like plasma display panel is increasing in demand. But the development of PDPs have been limitted by problems such as low luminance efficiency, high cost, poor picture quality. in order to solve some of those problems, Hybrid PDP was attempted in this study. Carbon nanotubes (CNTs) as electron sources find diverse applications in nanoelectronics and election emitters . Promising results have been reported as an electron emitter for field emission display. Additionally, yield of secondary electron emission from CNTs coated with MgO was measured to be ~104 , demonstrating possibility as a potential secondary electron source. Here, we use carbon nanotubes (CNTs) as electron sources for plasma discharge of plasma display panel (PDP). The plasma discharge occurs under an average electric field of approximately 2 ~ 4 volt/mm and is sustained with secondary electrons generated from collision of ions with MgO film. The field strength also may be sufficiently large enough to induce field emission from CNTs if placed under the electric field. We planted CNTs on the surface of dielectric layer covering coplanar sustaining electrodes to induce electron emissions during plasma discharge of PDP. On the basis of our results, we expect that the use of CNTs will lea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PDP.

      • 사고완화설비의 동적고장수목분석 적용 사례 연구 및 도구 개발

        백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원자력발전소에서의 리스크 평가 범위가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확장되면서 정적고장수목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표현을 하더라도 보수성이 지나친 경우에 일부 경에 대해서는 최적 평가를 수행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사고 발생시 사용되는 사고완화설비를 기존의 정적고장수목과 동적고장수목으로 구현하여 시스템 신뢰도를 평가함으로써, 실제 동적특성을 반영했을 때 시스템의 신뢰도의 최적 평가를 수행해 보고, 이 과정에서 동적고장수목을 정량화할 수 있는데 필요한 알고리즘과 수정된 동적 게이트를 개발하였다. 사고완화설비의 분석 대상은 고압안전주입계통(HPSIS, High Pressure Safety Injection System)과 전력계통으로 선정하였으며, 가상의 원자력발전소를 대상으로 단순화된 배관 및 계기도면(SP&ID, Simplified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을 구성하고, 이를 정적고장수목과 동적고장수목을 형태로 나타내어 평가하였다. 동적특성에 대한 모델링이 특히 필요한 경우로서 공유설비와 우선 순위에 따른 사고완화설비 배분 특성을 보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초기사건들 중에서도 전력계통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소외전원상실사고(LOOP, Loss of Offsite Power)를 반영하였고, 호기 간 공유설비이나 비상 시 하나의 호기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대체교류디젤발전기(AAC DG, Alternate AC Diesel Generator)를 가정하여 모델링함으로써, 동시사고 발생 시 우선순위의 영향도 제시하였다. Since the scope of risk assessments at nuclear power plant (NPP) is being extended both spatially and timely, conventional or static fault trees may not be able to express failure mechanism or be likely to be too conservative even if it is expressed in some cases. Therefore, the need to perform optimal assessment is obviously increasing such that accident scenarios can be captured in the best estimating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static fault trees (SFTs) and dynamic fault trees (DFTs) and to compare their results for system’s reliability of accident mitigation facilities in NPPs. Furthermore, the method how to implemen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from SFTs and DFTs was introduced, and algorithms and modified dynamic gates were also developed to quantify the given DFTs. Monte Carlo simulation was adopted to quantify the DFT models. As a case study of accident mitigation facilities, High Pressure Safety Injection System (HPSIS) and Electric Power System (EPS) were selected, and their Simplified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s (SP&IDs) were constructed to build SFTs and DFTs for a virtual NPP. In order to identif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shared facilities, Loss of Offsite Power (LOOP), which causes the power system to lose its function at NPP, was assumed especially with an inter-unit shared facility, AAC DG (Alternate AC Diesel Generator). The numerical result was not apparently distinguished, bu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failure timing and sequence were successfully confirmed by DFTs.

      • 예술적 접근에 따른 국내 다문화 가정 문화 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백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21C 현재는 세계 인구의 디아스포라 현상으로 인하여 다인종 다민족 국가가 되어가고 있다. 이런 시대적 변화와 흐름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2009년 6월30일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의 발표에 의하면 국내 체류 외국인수가 116만 여명이다. 이 통계는 한국인 총 인구의 2%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써 한국 사회가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렇듯 국내 외국인 체류자수가 증가하면서 외국의 낯선 땅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 갈등과 충돌은 이주민들에게는 견디기 힘든 고통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고통을 줄이고 서로 다른 문화 간에 상호 이해와 친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주민들은 한국 땅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자국의 문화적 향수를 맛볼 수 있어야 하고, 한국 사람들도 이주민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계기가 더 많아져야 할 것이다. 다문화 사회화에 따라 야기되는 문화적 충돌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문화상호간 인식과 차이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과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적 전통과 관습의 차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화적 갈등의 스트레스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서로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또 그런 가운데서 문화적인 공통점을 찾아내어 서로를 이해하는데 더욱더 가깝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쟁점에 따른 연구물에는 외국인 노동자와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실태, 인권침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양육 및 교육문제, 다문화사회에 대응하는 정책의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통한 쟁점으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는 이주민에 대한 그들의 문화에 대한이해 및 문화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교육프로그램 제공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다민족 구성원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 및 가치관의 변화를 도움으로서 다문화간 소통과 교류를 통한 평화 공존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의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사설기관 등의 다문화가정 문화교육의 실태와 해외의 다문화관련 문화교육의 사례를 살펴 앞으로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의 대대적인 변화에 있어서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적응 점을 모색해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제, 인권, 복지 등 모든 발생 가능한 사회 및 정체성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 다문화가정의 문화예술교육은 그들의 사회적응성향상을 위한 언어, 관습, 생활, 진로 등에 관한 교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그들이 겪게 되는 문화충돌의 스트레스를 우리와 그들이 느끼는 문화 상호간의 문화적 감수성(Cultural sensitivity)과 문화적 인식(Cultural awareness)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문화교육을 예술적 접근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이 공존하는 다문화가정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제안 하며, 사회갈등 통합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다문화간 상호이해와 문화적 다양성 공존 모색의 길을 제안하였다. The word now about multiculturalism in our country stranges representation or an alien and distant to many people will not. Entered the ranks of aging on the low fertility of the reality we hit the next one in 2050 newborns 3 people the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through the statistical capacity of the national cultural and historical flow must follow the general trend is implies. However, the current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at foreign workers,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or the subsequent path of coexistence and harmony, the reality is that I'm fascinated with the flow. Government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policies and alternatives to my place, but long ago, the Cambodian government is married Koreans to ban the contents one step by the government cultural convergence policy is contrary to the road is going that badly is showing escape. (Dong-A Daily Newspaper, Sat 20/3/2010 local news page showing: the Cambodian government, "while married to a Korean ban" against local women groups 'human trafficking' deemed seems) Meanwhile, an influx of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in South Korea by the settlement of immigrant wome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at the forward had been earnest. Thus,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to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for fusing multiple alternatives and put my business, but now the reality of our multicultural success to hard work than it is true that a lot. The spirit of capitalism, based on materials, performance, and effective approach with caution because sighted. As mentioned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convergence between our country and the history of Koguryo from the tribes had to go the way of coexistence. But the oppressive colonial rule of Korea's modern history and the history of oppressive education and awareness due to limited bonds, as we've been ruled a single national ideology in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launch of entanglements. Consists of more than 10 years old have been forced to study but I know Korea only if culture, and now we like the spirit of their culture and art to understand and to share ideas and such units will possess. Culture and art, rather than learning it, understanding and harmony only when you can feel the will. Meanwhile, the government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that have been driven culture, cultural policy and education, arts program, now's not realistic and to the development and future-oriented approaches. It neglects the past, the arts and culture, and only one way of performance- oriented administrative style-oriented style, we announce them due to cultural policy was at fault again, we should acknowledge and reflect. Currently living in Korea nearly 1.1 million foreign residents about international marriages of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he family policy of multiculturalism is only about 20% of subjects, and the rest foreign workers and refugees, students, etc. Foreign workers, especially about 50% of the total foreign population was reached, despite the numerical advantage in cultural policy, it is always being neglected is now a reality. For only 20% of these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future between the government gotten larger in any policy is effective and shall not reap to judge. Then, in the alternative, where we will be able to find about the need to discuss together how. In this study of the country as an alternative to the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pres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f the 00 national agencies and local govern ments, through international case of our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ealities of culture and art for re-education, and proposes a way forward. The history of past and present, a lot of resemblance. With the influx of migrants from the past history of Koguryo period of national prosperity does, consider another 500 years of the dynasty is because of the history of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tribes, as evidenced by a century ago, and now we have been deployed in East Asian countries and world powers of the forces 42 happen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dynamics is pluralistic. Just as we suggested in the history of harmony and fusion of tribes nationally the rise was made, and also the reigning giant of the east never has been, we know better. Based on the historical forces that coalesced only with other tribes rather than as a fusion of art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nations has had a deep understanding of occasions should be. The age of mirror that reflects the culture and art, to find that national identity would be like with a light to guide the right path. Between the national culture and art because only when we understand each other on the road can be a symbiotic. Culture, we and other nations with the fastest time in the unity and power to be assimilated, and the role art plays the same role in the lubricant. Trial and error that took us past the earl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now recognizes the reality failed to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and now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combines arts and culture. The alternative is to erase. Meanwhile, over 10 years led the government announce a policy only indicative of culture, apart from Korea, we've progressed a multicultural family with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and sharing, and also so that they understand our culture and natur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ensure arts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in developing content that we wanted to put the arts and culture with a mix of culture and art of living well and thriving country hastens Global Korea will be realized.

      •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활용한 교통사고 심각도에 관한 연구 : 고속도로 확장공사 구간을 대상으로

        백세 계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기존 차로에 연접하여 장기간 진행하게 되는 고속도로 확장공사는 일상적인 유지보수 위주의 단기 공사보다 더욱 위험성이 높아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공사구간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장공사구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분석하고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확장공사로 인한 교통사고 심각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서해안선 안산-일직 구간과 경부선 언양-영천 구간을 대상으로 공사 시행 전과 시행 후에 대한 순서형 프로빗 모델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구간 모두 확장공사를 시행하기 전에는 환경적인 요소로 인하여 사고 심각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띈 반면 확장공사 시작 후에는 기하구조와 방책시설로 인하여 사고 심각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확장공사로 인하여 열악해지는 기하구조를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동일 기간, 동일 구간에서 확장공사 시행 유무에 따른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인을 비교·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고속도로 공사구간에서 효과적인 안전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highway widening project which is bordering the existing lane for a longer period is more dangerous than the short-term construction which mainly focuses on the maintenance. Therefore,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ccurring in the widening construction area using the traffic accident data that occurred on the Korean expressway from 2007 to 2016 and to suggest a safety improvement pla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road widening work, we constructed an ordered probit models for the Ansan - Iljik section in the Seohaean line and Eonyang - Yeongcheon section in the Gyeongbu line before and during the construc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analyzed that the accident severity is increased due to the environmental factor before the widening work is performed in both sections. However, during the construction, the accident severity is increased due to the geometry and the barrier facility.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caused by an accident that occurs because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the geometry which is deteriorated due to the widening work.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oad widening work was carried out in the same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plan in the highway construction area.

      • 저압 유도결합 플라즈마에서의 리모트 플라즈마 소스 특성

        백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리모트 플라즈마 소스를 장착한 평판형 유도 결합 플라즈마 챔버에서 랑뮤어 프로브를 사용하여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를 측정하였다. 유도결합 플라즈마와 리모트 플라즈마 소스의 구동 주파수는 각각 13.56MHz, 2MHz 이다. 압력 및 알곤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킬 때 플라즈마 밀도는 리모트 플라즈마 소스 유무에 대해서는는 증가하는 수준이 크지 않고 압력, 유량 증가에 대해서는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명확하였다. 반면에 전자 온도에 대하여서는 리모트 플라즈마 소스가 고 에너지 영역의 밀도를 증가시키며 전자 온도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현상은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