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킨타이어 "서사적 자아"(narrative self) 개념의 교육적 의미 탐색

        방진하 ( Jin A B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본 논문은 알레스데어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의 ‘서사적 자아’(narrative self) 개념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기존 교육철학 연구에서 맥킨타이어의 덕 논의는 주로 교육과정 편성의 문제나 교과의 성격에 초점이 맞추어져 논의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덕 논의가 덕 개념의 논리적 발달 세 단계-즉, ‘행위전통들’(practices), 맥킨타이어가 말하는 ‘practices’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practices는 사회적으로 성립된 협동적 인간 활동의 모든 정합적, 복합적 형식으로서, 그것을 통하여 활동의 형식에 내재적 선들은 이 활동의 형식에 적합하고 부분적으로는 이 활동의 형식을 통해 정의된 탁월성의 기준들을 성취하고자 하는 시도의 과정에서 실현되며, 그 탁월성을 성취할 수 있는 인간의 힘이나, 관련된 목표와 선들에 관한 인간의 관념들은 체계적으로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AV:187). 그가 이러한 ‘practices’의 예로 들고 있는 것은 건축, 예술, 과학, 역사, 정치, 농사, 가정생활의 운영과 유지, 체스 등으로 상당히 광범위하다. 그간 우리말에서 ‘practice’의 번역어로 사용되어왔던 ‘실제’는 흔히 ‘이론’이나 ‘이상’과 대비되는 ‘사실의 경우나 형편’을 뜻하는 말로서 맥킨타이어의 원의미와는 다른 의미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자들은 각자의 관심사에 비추어 ‘practices’를 ‘사회적 실제’, ‘실천’, ‘사회적 실천’, ‘실천전통’, ‘행위전통’ 등으로 번역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행위전통(들)’로 번역하도록 한다. 이는 우리말에서 ‘실천’이라는 말 역시 ‘이론’이나 ‘이상’과 대비되는 의미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본문에서 ‘행위전통(들)’이 그보다 더 넓은 의미의 ‘전통(들)’과 구분되면서도 여전히 전통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인간 삶의 서사적 통일성’(a narrative unity of the human life), ‘전통들’(traditions)-로부터 도출된다는 전제하에, 그의 덕 논의와 아리스토텔레스 덕 논의가 서로 어떻게 구분되거나 관련되는지를 먼저 밝혀보려 한다. 또한 맥킨타이어가 말하는 서사적 자아의 두 가지 측면을 밝히고, 이를 그가 비판하는 정서주의적 자아(emotivist self)와 대비시켜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서사적 자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교육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서사적 자아 개념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한계에 관하여 논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narrative self” appeared in Alasdair MacIntyre`s After Virtue. The previous educational-philosophical discussions on MacIntyre`s virtue ethics have mostly focused on the problem of curriculum organization or the nature of subject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practices.” It will be analysed that the ideas in the concepts of “practices”, “a narrative unity of the human life” and “traditions” might be interpreted as the features of thinking process of the narrative self in contrast to the emotivist self. I attempt to explain the influence of education in developing the narrative self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Korean education today.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 Jin A Bha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이상이나 목적이 인간의 자유에 있다는 생각은 교육의 역사만큼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교육론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정당화하는 논의로 간주될 뿐, 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자유의 의미에 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오우크쇼트 후기 저술의 `대화` 개념은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교육내용의 선험적 가치에 의존하여 얻어지는 추상적 결과가 아닌, 교육활동이라는 `실제`에 구현되어 있는 조건적 특성으로 해석할 단서를 제공해 준다. 전통적 자유교육론자들이 인간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실재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자기이해`라는 지식의 본질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한다. 그가 말하는 `자기이해`로서의 지식이란,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만나는 `대화`를 통하여 자신이 명확하게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을 `가능성`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다. 근래의 자유교육론자들이 공적 개념 체계 아래에서 구조화된 경험을 갖는 것으로서 마음의 발달을 설명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실제적 필요나 과학적 권위라는 목적으로부터 해방된 인간이 관조의 어법으로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것에서 학습의 의미를 찾는다. 교육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이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에 대하여 계속해서 질문하는 자유, 아무런 부담 없이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자유를 누리게 해 주는 `놀이의 장`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Freedom is usually regarded as an `ideal` or `purpose` of education. But nowadays there are few people who ask what a freedom means as a principl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s regarded not as results of educational management, but as conditions of educational `Practice`. This interpretation depends on the concept of `conversation` in his later works. By Oakeshott, education is an initiation into the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The classical type of justification of liberal education consists of a number of mutually-related philosophical doctrines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the mind, the realit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But the freedom of education in view of conversation is relate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In conversation, one who seeks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In conversation, the `facts` appear only to be resolved into the possibilities from which they were made. The modern type of argument for liberal education finds its ground on the nature of knowledge itself. To acquire knowledge is to become aware of experience as structured, organized and made meaningful by means of symbolic systems that have publically shared among human beings. But Oakeshott`s freedom of education comes from the idiom of contemplation which belongs to `voice of poetry`. Poetic imagination is not a preliminary to doing something, it is an end in itself. In poetic conversatio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make their own images of human inheritances. Education is a place for `play`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amining one`s own voice and of enjoying images of human inheritance and of making images of one`s own.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 신적조명론의 교육학적 시사

        방진하(Bhang, Jin-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1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적조명론이 교수-학습 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교사론 본문의 내용 및 그 논의를 구성하는 대화의 성격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신적조명론에서 학습은 두 가지 의미에서의 자기지식으로 나타난다. 먼저, 학습이 일어났다는 것은 학습자의 마음에 있는 신적 속성이 경험적 사례에 적용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때 자기지식은 대상지식에 의미와 타당성을 부여해주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지식 획득이 학습자의 내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 곧 지식이 학습자 스스로의 힘으로 성립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신적 조명은 바로 지식 획득 사태에서 인간 마음이 나타내는 결함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또한, 교사론 에서 이러한 논의는 교사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아들 아데오다투스와 나누는 대화의 시범을 통하여 도출되며, 그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내용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검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또 다른 의미의 자기지식을 낳는다. 전자의 자기지식이 진정한 학습은 인식 주체에게 주관적으로 경험된다는 측면을 부각시켜준다면, 후자의 자기지식은 학습의 목적과 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중요한 시사를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ugustine’s divine illumination theor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especially through analyzing a conversation of De Magistro( On The Teacher). In the illumination theory, learning is represented by two kinds of self-knowledge. Firstly, self-knowledge means that divine attributes in the learner are applied to the empirical examples. In this case, self-knowledge becomes a standard which gives a meaning and validity to the knowledge of the object. But the fact that learning happens ‘in’ the learn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knowledge comes into existence ‘by’ himself. Therefore, the concept of illumination is required to explain the defects of individual human mind in the course of learning. Another meaning of self-knowledge is made by the demonstration of questioning of teacher which examines understanding of the learner ceaselessly. In the context of De Magistro, the meaning of knowing something as a concept appears in the middle of discussion which Augustine as a teacher converses with his son as a learner. The former meaning of self-knowledge emphasizes that the genuine learning is experienced by the learner himself. Further, another meaning of self-knowledge gives a significant implication to the object of learning and the role of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