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기독교형제단 출현의 역사적·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방기만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기독교형제단 출현의 배경을 고찰하여 어떤 인과관계 가운데 형제단이 출현하게 되었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형제단의 역사적 정체성과 신학적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전 세계에 분포된 기독교형제단은 매우 다양한 반면 한국의 형제단은 다양성이 적다. 따라서 형제단의 정체성 규명이 필요하다. 본연구에서 행한 형제단의 신학적 뿌리에 대한 고찰은 형제단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데 일조함으로써 한국의 형제단이 고수해야 할 것과 배제할 것을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형제단의 신학적 정체성은 신자의 침례와 신자의 모임으로서의 교회로 대변할 수 있는 자유교회 전통과 그 맥을 같이한다. 자유교회 전통의 한 그룹인 형제단에 대한 학문적 성찰은 한국 교회에 교회 본질에 대한 제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형제단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관련 자료가 많지 않은 점이 가장 큰 어려움이다. 형제단 역사신학자인 로이 코드(Roy Coad)와 해롤드 로우던(Harold Rawdon)의 연구는 형제단 출현에 대한 좋은 학문적 접근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한국 형제단 목회자인 정인택의 박사학위 논문은 영국에서 시작된 형제운동이 한국으로까지 전개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다. 형제단 역사에 대한 1차 자료는 초기 형제단 지도자들의 활동 내역과 당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귀한 바탕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습득하고 사용한 1차 자료는 조지 뮐러(George Müller)의 일기(A Narrative of the Lord’s Dealing with George Muller, The Life of Trust, Boston: Gould and Lincolon, 1861, & London: James Nisbet & Co., 1895), 그로브스의 글(Journal of Mr. Anthoy N. Groves, during a Journey from London to Bagdad, 1831), 앤드류 밀러의 글(「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진리를 교회론으로 삼았던 플리머스 형제단 이야기」)가 있다. 형제단이 속한 자유교회 전통의 무리 중 가장 먼저 출현한 이들은 종교개혁기의 아나뱁티스트들이었다. 그들은 주류 종교개혁자들이 국가교회 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개혁을 진행하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신약성서에 나타난 신자들의 교회를 이루고자 하였다. 종교개혁의 세기 직후인 17세기 초 영국에서 출현한 자유교회 전통의 무리들은 침례교회와 퀘이커였다. 침례교회와 퀘이커는 자유교회 전통의 무리이기도 하지만, 형제단 출현에 있어서 주요한 배경이 되는 그룹들이었다. 19세기 영국국교회와 비국교도의 신학과 당시 유럽과 영국의 사회 문화적 배경은 형제단 출현의 직접 배경이 되었다. 초기 지도자들은 영국국교회, 침례교회, 퀘이커의 세 부류에서 기인하였으며 그들은 당시의 유럽인들이자 영국인들이었기 때문이다. 형제단이 출현한 후 20년이 채 되지 않아 형제단은 개방과 비개방형제단으로 분열하여 발전하였다. 형제단 분열에 있어서는 교회론에 대한 이견이 있었고, 인간적 연약과 갈등이 그 분열에 촉매가 되었다. 개방형제단은 다른 입장을 가진 그리스도인들과도 복음 안에서 연합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했으며, 지역교회의 독립성을 신약성서적 교회의 본질 중 하나로 믿었고, 그렇게 실천하고자 하였다. 비개방형제단은 자신들이 성경에서 발견한 진리를 따르지 않는 이들과 분리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으로 여겼고, 한 몸으로서의 교회를 지켜가야 하기 때문에 지역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것은 몸을 나누는 시도라고 비판하며 하나로 통합된 교회를 지향하였다. 형제단의 기원에 대해서 다양한 주장이 있다. 형제단의 기원론은 크게 세 가지인데, ‘초대교회 계승설’(The Succession of the Primitive Church), ‘신약성경적 교회들의 영적 계승설’(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New Testament Church), ‘19세기 형제운동 기원설’(The Origin of the 19th-century Brethren Movement)이다. 앞의 두 기원론은 역사적·학문적으로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 ‘19세기 형제운동 기원설’이 역사적·학문적으로 타당한 기원론이라 할 수 있다. 형제단이 당시 이미 존재하던 침례교회와 같은 교회론를 가지고 있음에도 그들은 별도로 분립하여 다른 교단을 이루게 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초기 침례교회 행습에 대한 향수와 맞물려 침례교회의 본질을 추구하는 욕구가 가시화된 것으로 보인다. 조지 뮐러(George Müller)나 헨리 크레이크(Henry Craik), 그리고 로버트 채프먼(Rboert C. Chapman)과 같은 이들은 침례교회 목사들로서 이미 형제운동이 지향하는 가치와 행습을 실행하고 있었고 그러한 것들은 초기 침례교회의 행습과 유사한 것들이었다. 그런 그들이 형제운동을 접하게 되자 자연스럽게 그 운동에 합류하게 되었다. 형제단은 자유교회 전통을 추구하는 무리로서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을 양산하는 체제나 방식에 경종 울리고 대안 제시하였다. 형제단의 추구와 실행을 오늘날의 교회에서 적용한다면, 교회에 나오는 사람들에게 분명히 회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그들의 신앙을 확인하고 교회 일원으로 영접함으로써 교회 본질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교회 본질 회복은 자연스럽게 세속주의 문제에 대한 대안이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이신칭의 복음이 지적 동의에 머물지 않고 삶을 변화시키는 회심으로 이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형제단은 매우 선교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 그 실례가 허드슨 테일러(James Hudson Taylor)이다. 테일러는 개신교 선교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인물이다. 그간 테일러에 대한 연구들은 그의 영성이나 선교 업적에 대해서 밝혀냈으나 그의 출신에 대해서 관심을 두거나 제대로 밝혀내지 않았다. 테일러는 형제단 교회인 앤드류 쥭스의 헐교회에서 침례 받고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따라서 테일러는 형제단의 일원이었으며, 그의 믿음 선교 개념의 근원이 조지 뮐러로 대표되는 형제단의 사역방식에 있었다. 초기 형제단은 신약성서적 교회 가치, 즉 신자들의 교회라는 기준으로 연합하고 복음을 위하여 형제단 외부의 다양한 그리스도인들이나 그룹들과 협력하고자 하였다. 한국 형제단은 그들의 역사적·신학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정체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해 형제단 자체의 체계적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형제단은 복음 안에서 타 교단에 대한 열린 자세를 유지한 가운데 기독교계에 대안 제시하는 교단으로 자기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Christian Brethren and tried to reveal which causal relationship led to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and through this, this researcher confirmed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identities of the Brethren. The Christian Brethren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is very diverse, while the Korean Brethren has little diversity, 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Brethren. The review of the theological roots of the Brethren conduc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Brethren, helping to distinguish between what the Korean Brethren should adhere to and what to exclude.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Brethren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which can represent believers' baptism and the church as a gathering of believers. Academic reflection on the Brethren, a group in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can serve as a suggestion for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Korea. The biggest difficulty in researching the origins of the Brethren is that there are not many related materials. The study of Brethren historical theologians Roy Coad and Harold Rawdon is valuable as a good academic approach to the emergence of Brethren, and Jeong In-taek's doctoral thesis, a Korean Brethren pastor, is a useful material to confirm the process of the Brethren movement that began in England to Korea. The primary data on the history of the Brethren is a valuabl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activities of the early Brethren leaders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e primary data acquired and used for this study include George Müller's diary(A Narrative of the Lord’s Dealing with George Muller, The Life of Trust, Boston: Gould and Lincolon, 1861, & London: James Nisbet & Co., 1895), Grove's article(Journal of Mr. Anthoy N. Groves, during a Journey from London to Bagdad, 1831), and Andrew Miller's article(The Brethren: Their Origin, Progress and Testimony). Among the groups of free church traditions to which the Brethren belongs, the first to appear were Anabaptists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ainstream religious reformers carrying out reform while maintaining the state church system, and tried to form a church of believers in the New Testament. The groups of Free Church traditions that emerged in England in the early 17th century, right after the Reformation century, were Baptists and Quakers. Baptists and Quakers are also a group of Free Church traditions, but they were the main background groups in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The theology of Anglicans and Dissenters in the 19th century 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Europe and England at the time were the direct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Not only did the early leaders come from three categories: the Church of England, the Baptist Church, and the Quaker, but they were also Europeans and British at the time. Less than 20 years after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the Brethren split into open and exclusive Brethrens and developed. In the division of the Brethren, there was a difference of opinion on ecclesiology, and human weakness and conflicts were the catalyst for the division. The open Brethren took the position that Christians with other positions could unite in the gospel, believed in the independence of the local church as one of the essence of the New Testament church, and tried to practice it. The exclusive Brethren saw it as God's will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ose who did not follow the truths they found in the Bible. Also, they considered that asserting the independence of local churches was an attempt to divide the body because they had to keep the church as one body of Christ. So they aimed for a unified church. There are various arguments about the origin of the Brethren. There are three main origins of the Brethren: ‘The Succession of the Primate Church,’ ‘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New Testament Church,’ and ‘The Origin of the 19th-central movement.’ The previous two origin theories can not guarantee objectivity historically and academically. ‘The Origin of the 19th-central movement’ can be said to be a historically and academically valid origin theory. Even though the Brethren had the same ecclesiology as the Baptist Church that already existed at the time, they separated and formed another denomination. It seems that the desire to pursue the essence of the Baptist Church became visible, perhaps in line with the nostalgia for the practice of the early Baptist Church. As Baptist ministers, such as George Müller, Henry Craig, and Robert Chapman, they were already practicing the values and practices of the Brethren movement,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early Baptist churches. When they came into contact with the Brethren movement, they naturally joined the movement. The Brethren, as a group pursuing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sounded an alarm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the system or method of mass-producing nominal Christians. If we apply their pursuit and practice to the churches today, we will be able to greatly contribute to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by guiding people who come to church to be truly converted, confirming their faith, and accepting them as members of the church.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will naturally be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secularism. The reason is tha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by faith does not remain in intellectual assent, but leads to life-changing conversion. The Brethren has formed a very missionary community. An example of this is James Hudson Taylor. Taylor is a remarkable figure in Protestant missions. In the meantime, in the research on Taylor, people have revealed his spirituality and missionary achievements, but they have not paid attention to or properly revealed his origin. Taylor was baptized and sent as a missionary at Hull Church, where Andrew Jukes was pastoring, a Brethren church. Therefore, Taylor was a member of the Brethren, and the source of his concept of missionary faith was in the ministry method of the Brethren, represented by George Müller. The early Brethren united on the basis of New Testament church values, the church of believers, and sought to cooperate with various Christians and groups outside the Brethren for the sake of the gospel. The Korean Brethren should confirm their historical and theological identity and prepare systematic educational plans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at identity. In addition, the Brethren should be faithful to its role as a denomination that presents an alternative to the Christian world while maintaining an open attitude toward other denominations within the gospel.

      • 기독교형제단의 회중 주체적 주의 만찬의 기원과 현황

        방기만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presents the ecclesiological view of congregation- independent church with investigating the origin and the current figure of Lord’s supper of Christian Brethren. Thereby, it is desired that the restoration of Lord’s suppe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elievers’ Church” and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n New Testament will suggest the true solution for numerous issues such as the congregation's audience, apostatism, and the slowing of church growth and evangelism as the result. In 1827, Anthony N. Groves (1795-1853) and few people in Church of England suggested the breaking bread meeting without man-made church system, from which Christian Brethren was initiated in Dublin. This meeting gained the name of ‘Plymouth Brethren’ because it had been developed as a form of an ecclesiastical institute with over 1,000 people in Plymouth. George Muller (1805-1898) of Particular Baptist, Henry Craik(1805-1866), and Robert C. Chapman(1803-1902) were moved by ‘Brethren Movement’ through Anthony N. Groves and they also established the churches with the identical purpose and the form that the churches in Durblin and Plymouth had. In 1835, Evangelicalists separated by Quakers joined in Christian Brethren. In the same period, lots of Anti-clericalists shared and participated in the spirit of Brethren. Since the commencement of the Brethren Movement, Christian Brethren enthusiastically dispatched a number of missionaries all around the world. However after 1848, Brethren movement went through a serious division between Exclusive Brethren led by John Nelson Darby and Open Brethren led by Muller, Craik, and Chapman. This chasm was originated by a distinctly different view regarding a church. Exclusive Brethren argued the centralized church authority without approving independence of local churches. On the other hands, Open Brethren stressed a self-ruling characteristic of local churches and sought to have a fellowship and association of independent churches. Brethren churches in Korea starting in the early 1960s was explored by missionaries from Open Brethren in America and England. Therefore the belief of Open Brethren permeated Korean Brethren. At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the Christian Brethren there were already many non-believers on the islands of the British Empire, and German pietism was introduced into British Christianity through various channels. In this situation, there was a tendency toward the free church tradition and the non - formal and anti - institutional church administration and worship. At that time a group of people together with a simple form of the Lord's Supper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Early Church in the New Testament, formed the Christian Brethren and later developed into a church form. Believers in the early church which was began through the Pentecost event in Acts 2 were mostly Jews. They offered the Word-centered worship service when they gathered together in Solomon’s Colonnade and practiced the Lord’s supper while they were meeting at home(Acts 2:46, 3:11, 5:12, 42, Luke 24:53). Thus the worship of the early church was naturally composed of both rituals of the Word and the Lord’s supper. The church was changed in a variety aspects after the christianity became the one and only religion in Rome, one of which was alteration of the worship. In the early church, no distinction between a clergy and a layman existed. The Word and the Lord’s supper were the two main elements of the worship. The agreement to treat christianity as an official religion of Roman Empire generated the division between the clergy and the layman. The worship gradually had transformed into sacrament. As overemphasizing the sacredness of the ritual including its bread and cup, it repelled believers from the Lord’s supper. Finally, Roman Catholic church adopted the clergy-centered church and the clergy-centered worship. This history tells that distortion of the essence of ‘Believers’ Church’ and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s linked to the corruption of the ritual. Protestant reformers pursued to reform the biblical gospel as well as the church. Their method of reforming the worship of the church was to lay emphasis on the ritual of the Word. Meanwhile, they did not cease to reform the Lord’s supper which already was altered to Oblation and Offering sacrifices but proceed to minimize it. Consequently, the Word’s centered ritual in the worship featured in Protestant Church which was descended from Protestant Reformation but the Lord’s supper lost its importance in terms of the number and the portion of practices. Moreover, believers in Protestant Church still remained as an observer not an active participant. As a result, the Protestant church, the church of the Reformers, has a structure that is incapable of realizing from the liturgical ceremony. In this sense, Christian Brethren’s practice of Lord’s supper can be an example to actualize the essence of ‘Believers’ Church’ and ‘priesthood of all believers’ which was sought by the churches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Christian Brethren do not need a consecrated presider but any believers (they are required to be a man and a born-again believer) among congregation can be a presider for the Lord’s supper. The presider is merely a helper to assist distributing bread and a cup among congregation. Besides, believers do not just share bread and a cup but actively engage themselves in the ritual by selecting hymns, offering thanksgivings, and praising God. The Lord’s supper of Christian Brethren is the congregation-propelled worship, through which all believers can fulfil their roles of priesthood. In order to realize the declaration in New Testament that all believers are the priests in the church, all believers should be given a right and an opportunity to conduct their priesthood works. At the same time, the church should sense the responsibility to guide their believers to carry out the priestly job in their everyday lives. Also, the Lord’s supper needs to return its origin where both ritual of the Word and the Lord’s supper were practiced every week with enthusiastical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In this respect, I believe that the congregation-propelled Lord’s supper of Christian Brethren is meaningful. 본 연구는 기독교형제단의 회중 주체적 주의 만찬의 기원과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회중 주체적 교회관의 실행 적 측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약 성서에 나타난 신자들의 교회를 반영하며, 또한 전 신자 제사장의 원리를 실행하는 주의 만찬 회복을 통하여 현시대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 즉 회중의 관객(觀客)화, 교회 체제의 교권주의(敎權主義)화, 그 결과인 복음과 교회성장의 둔화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독교형제단은 1827년 더블린에서 그로브스(Anthony N. Groves, 1795-1853)를 중심으로 한 영국 국교회 출신의 사람들이 인위적 교회 제도의 틀을 벗어나 주의 만찬의 떡을 떼는 모임을 시작함으로써 출현하게 되었다. 이 모임은 플리머스에서 1,000명이 넘는 교회형태로 발전하게 됨으로써 플리머스 형제단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특수침례교회(Particular Baptists) 출신의 뮐러(George Muller, 1805-1898)와 크레익(Henry Craik, 1805-1866), 그리고 채프먼(Robert C. Chapman, 1803-1902)은 각각 그로브스를 통하여 형제운동에 감동을 받았고, 더블린과 플리머스에서 시작된 것과 동일한 취지와 형태의 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1835년에는 퀘이커에서 분리된 복음주의자들이 기독교형제단과 합류하였고, 같은 시기에 여러 비국교도들도 형제단의 이상에 동감하여 동참하였다. 기독교형제단은 특유의 선교 열정으로 초기부터 선교사들이 세계 곳곳으로 선교를 떠났다. 그러나 1848년 이후 다비(John Nelson Darby, 1800-1882)를 중심으로 한 비개방적 형제단(Exclusive Brethren)과 그로브스, 뮐러, 채프먼을 중심으로 한 개방적 형제단(Open Brethren)으로 분리되었다. 이 두 그룹의 현격한 차이는 그들의 교회관에 있었는데, 비개방적 형제단은 지역교회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는 중앙집권적 교회형태를 취한 반면, 개방적 형제단은 지역교회의 독립을 중요하게 여기는 가운데 연합과 교제를 추구하였다. 한국의 기독교형제단은 1960년대 초 주로 영국과 미국의 개방적 형제단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기독교형제단은 개방적 형제단의 신앙을 전수받았다. 기독교형제단의 출현 당시에 영국제도에는 이미 비국교도들이 다수 존재하였고, 독일 발 경건주의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영국의 기독교계에 유입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교회전통을 지향하는 이들과 비형식적, 반제도적 교회 운영과 예배를 지향하는 흐름이 있었다. 이런 배경 가운데서 일단의 사람들이 신약 성서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모본을 따르는 단순한 형태의 주의 만찬을 함께 함으로써 기독교형제단은 형성되었고, 이후 교회형태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 사건을 통해 시작된 교회의 초기 구성원들은 유대인들로서 주로 예루살렘 성전의 솔로몬 행각에 모였을 때는 말씀 중심의 예배를 드렸고, 가정에 모일 때는 주의 만찬을 행하였을 것이다(행2:46, 3:11, 5:12, 42, 20:7, 눅24:53). 조동호, 「성만찬 예배」, 66. 따라서 초대 교회의 예배는 자연스럽게 말씀의 예전과 주의 만찬 예전의 두 가지가 함께 있는 형태였다. 기독교가 로마의 유일한 종교가 되면서 교회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예배 또한 변화되었다. 초대교회는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없었으며, 예배도 말씀과 주의 만찬이 함께 있는 형태였으나, 기독교가 국교화 되면서 교회 내에는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예배도 성례전화 되었다. 또한 주의 만찬에서 사용하는 떡과 잔을 신성시하면서 교인들이 주의 만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였다. 결국 가톨릭교회는 성직자 중심의 교회, 성직자 중심의 예배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신자들의 교회, 전신자 제사장이라는 원래 교회의 본질에 대한 왜곡은 예전의 변형과 맞물려있음을 알 수 있다. 종교개혁자들은 성서적 복음의 회복과 함께 교회 또한 개혁하기를 원했다. 그들은 교회의 예배를 개혁함에 있어서 하나님 말씀을 선포하는 말씀의 예전을 중시하고 봉헌과 희생제사 개념으로 변질된 주의 만찬을 개혁함에서 머물지 않고 축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결과적으로 종교개혁자들의 후예인 개신교회의 예배는 말씀의 예전 위주로 형성되었으며, 주의 만찬은 그 시행 회수나 비중에 있어서 소홀히 다루어졌다. 그리고 개신교회에서도 회중은 여전히 주체적 역할이 아니라 참관자의 역할에 머물게 되었다. 결국 종교개혁자들의 교회인 개신교회에서도 전신자 제사장의 진리는 그 예전에서부터 실제화 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기독교형제단의 주의 만찬은 자유교회전통의 교회들이 추구하는 신자들의 교회, 전신자 제사장의 진리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모본이 된다. 기독교형제단의 주의 만찬에서는 특별히 구별된 집례자가 있는 것이 아니라 회중 가운데 누구나(물론 거듭난 그리스도인이며 남자라는 전제가 있다) 주의 만찬의 집례자가 될 수 있다. 집례자는 단순히 떡과 잔을 회중이 나눌 수 있도록 돕는 도움이일 뿐이다. 또한 주의 만찬에서 회중은 단순히 떡과 잔을 나누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회중 가운데 누구나 회중 찬양으로 부를 찬송가를 선택하거나 하나님께 경배를 올리거나 감사드리는 기도에 참여할 수 있다. 이처럼 기독교형제단의 주의 만찬은 회중이 주체가 되는 예배이다. 회중이 주체가 됨으로써 전신자가 제사장의 역할을 공적 예배를 통하여 실제화 할 수 있다. 교회의 제사장은 모든 믿는 자들이라는 신약성서의 선언을 실제화하려면 먼저 교회의 예배에서 모든 신자들이 제사장의 역할을 실제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실제 삶에서도 제사장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교회의 책임이다. 그렇다면 예배에서 주의 만찬이 제자리를 찾아가도록 해야 한다. 곧 말씀의 예전뿐만 아니라 주의 만찬의 예전이 매주일 시행되어야 하며, 그 실행에 있어서도 회중이 주체가 되어 제사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점에 있어서 기독교 형제단의 회중 주체적 주의 만찬은 유의미하다.

      • 국내 군견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와 E. faecium 의 항생제 내성양상 및 유전적 연관성

        방기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Enterococcus spp. are normally pres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animals and humans, but can cause opportunistic infections that can be transmitted to other animals or humans while harboring antibiotic resistance genes. To investigate whether this is a potential risk for handlers of military working dogs (MWDs), we analyze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and genetic relatedness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fecal samples of MWDs of various ages (n = 65). The isolation rate of Enterococcus spp., and specifically of E. faecalis and E. faecium, was 87.7% (57/65), 59.6% (34/57), and 56.1% (32/57), respectively, as determined by bacterial culture and multiplex PCR. The isolation rate of E. faecalis gradually decreased with age. Rates of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ciprofloxacin, gentamycin, streptomycin,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imipenem, and kanamycin among Enterococcus spp. increased in adolescents and adults and decreased in senior dogs, with some isolates showing three different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We also confirmed transmission of antibiotic resistant strain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biotic resistance genes are transmitted among MWDs and that surveillance studies should be periodically carried out to monitor changes in antibiotic resistance that may necessitate modification of antibiotic regimens to manage antibiotic resistance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