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견관절 수술 시 국소신경 차단술을 이용한 통증 관리 -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 -

        오주한,이예현,박해봉,Oh, Joo Han,Lee, Ye Hyun,Park, Hae Bo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1

        견관절 수술을 위한 마취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국소 신경 차단술에는 사각근간 신경 차단술, 상견갑 신경 차단술, 5번 경추 신경근 차단술 및 액와 신경 차단술 등이 있을 수 있다. 국소 신경 차단술은 통증 조절 효과는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횡격 신경 마비, 기흉, 신경 손상 등의 부작용이 다수 보고되며 그 실패율도 상당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이와 관련된 해부학적 기초와 초음파를 이용한 국소 신경 차단 술기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There are several kinds of regional nerve blockades, such as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C5 root block, suprascapular nerve block, and axillary nerve block, which can be applied for anesthesia and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shoulder surgeries. These regional nerve blockades have shown good results, but high failure rate and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phrenic nerve palsy, pneumothorax, and nerve injury, still remain.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 can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nerve blockades and reduce complications. We described the method of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 for the regional nerve blockades around shoulder.

      • KCI등재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시 시행하는 골 처치

        오주한(Joo Han Oh),박해봉(Hae Bong Park),이예현(Ye Hyun L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6 No.2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 시에 시행하게 되는 골 처치에는 견봉 성형술, 원위 쇄골 절제술, 건 부착부(대결절 부위) 처치 및 오구 성형술 등이 있다. 각각의 골 처치는 여러 이론적 근거에 의해 적응증을 가지며, 수술방법 또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에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 시에 사용되는 여러 골 처치의 적응증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The arthroscopic bony procedures during rotator cuff repair include acromioplasty, distal clavicle resection, footprint preparation and coracoplasty. The indication of each bony procedure is based on the theoretical reasons, and various types of surgical techniques are available. The purpose of this review article is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 indication and surgical techniques in the arthroscopic bony procedures during rotator cuff repair.

      • 자가 슬개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비교

        최성욱,오인석,김려섭,김명구,배주한,박해봉,Choi, Sung-Wook,Oh, In-Suk,Kim, Ryuh-Sup,Kim, Myung-Ku,Bae, Joo-Han,Park, Hae-Bong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120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60 cases) and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BPTB)(60 cases). The mean followed up period of hamstring tendon group was 42 months(range $24{\sim}69$ months) and patellar tendon group was 52 months(range $24{\sim}84$ months).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 up, sixty patients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activity level, patients' satisfaction, functional status, and objective anteriror stability using KT-2000 arthrometer. Results: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 up we compared the two groups who had ACL reconstruction using either autologous hamstring tendon or BPTB, and the final results of the Lachman test showed negative, or mildly positive in 85%(51 cases) of the hamstring tendon group and 90%(54 cases) of the BPTB group. Pivot shift test indicated positive in both groups, 8%(5 cases) and 5%(3 cases) respectively a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evaluation of the anterior laxity using the KT-2000 arthrometer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mstring and BPTB groups: differences less than 3 mm compared to the healthy side were 85%(51 cases) and 90%(54 cases)(p>0.05).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score of 51 to a postoperative score of 79.1 in the hamstring groups and from 52 to 82.2 in the BPTB groups. According to the IKDC rating system, 87%(52 cases) were normal or near normal in the hamstring group. In the BPTB group, 83%(50 cases) were normal or near normal. The Tegner score for the hamstring groups was 4.8 preoperatively and 7.1 at the final follow up, and the Tegner score for the BPTB groups was 4.5 preoperatively and 7.3 after the last follow-up. The anterior knee pain was found in 7%(4 cases) in the hamstring tendon group and 10%(6 cases) in the patellar tendon group. Conclusion: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both the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the patellar tendon during their mid term follow up period demonstrated excellent results. However, the final results during their last follow 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목적: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각각 60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슬건 군은 평균 42개월(범위$24{\sim}69$개월)이였으며 슬개건 군은 평균 51개월(범위 $24{\sim}84$개월)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에 이학적 검사로 수술 전 후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활동도와 만족도, 기능적 상태는 전방 슬관절 통증 여부, Lysholm 점수, IKDC 활동도 등급,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전방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슬괵건과 슬개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군들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51예(85%)와 54예(90%)였으며, Pivot shift 검사에서는 각각 5예(8%)와 3예(5%)에서 양성으로 양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시 KT-2000 검사에서 건측과 비교한 최대 도수 전방 전위차는 3 mm미만이 각각 51예(85%), 54예(90%)였다. Lysholm 점수는 슬괵건군은 평균 51.0점에서 평균 79.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52점에서 평균 82.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IKDC 활동도 등급은 술후 각각 52예(87%)와 50예(83%)에서 정상 또는 거의 정상 소견을 보였다. Tegner 활동도 검사도 슬괵건 군에서 평균 4.8점에서 평균 7.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4.5점에서 평균 7.3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전방 슬관절 동통은 슬괵건군 4예(7%), 슬개건군 6예(10%)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 결과, 두 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두 군 간에 최종 추시시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대퇴 골두 골 괴사에서 자가 장골 해면골 및 자가 골수 단핵 세포 이식술의 치료 결과

        강준순(Joon Soon Kang),문경호(Kyong Ho Moon),박승림(Seung Rim Park),강석(Seok Bong Kang),박해봉(Hae Bong Park),이상협(Sang Hyup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1

        목적: 대퇴 골두 골 괴사에서 자가 장골 해면골 및 자가 골수 단핵 세포 이식술 시행 후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가 장골 해면골 및 자가 골수 단핵 세포 이식술을 시행한 37명 환자 45예를 대상으로 평균 32개월간 전향적 추시하였다. 수술 방법은 대퇴 골두의 중심 감압 후 골두 괴사 부분을 최대한 제거 후 자가 장골에서 취한 해면골을 이식하였다. 세포 치료로 장골에서 골수를 흡입하여 단핵구 세포만을 분리 후 골두에 주입하였다. 결과: 평균 Merle d’Aubigne and Postel score는 수술 전 11.6점에서 수술 후 15.5로 호전되었다. 추시관찰 중 대퇴 골두 붕괴는 13예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12예가 수술 전 괴사 크기가 severe lesion이었다. 9예에서 인공 관절 치환술로 전환하였고 이중 8예는 골두 붕괴 및 동반된 임상 증상 악화로 인한 것이며, 1예는 수술 직후 세균 감염이 발생하여 염증 조절 후 인공 관절 치환술로 전환하였다. 골두 붕괴에 의한 인공 관절 수술 8예의 수술 전 병기는 stage II가 1예, III 4예, IV 3예이었다. 수술 전 병기별 골두 보존율은 II 94.4%, III 77.8%, IV 66.7%이었다. 결론: 초기 대퇴 골두 골 괴사에서 자가 장골 해면골 및 골수 단핵 세포 이식술은 단기 추시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p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auto-iliac cancellous bone graft with autologous bone marrow mononucleated cell implantation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Materials and Methods: In a prospective evaluation, 45 hips in 37 patients with osteonecrosis of the hip were treated with auto-iliac cancellous bone graft after core decompression combined with implantation of autologous bone marrow cells. The average duration of clinical follow up of the patients was 32 months. Core decompression of the femoral head was performed and most of the necrotic part of the head was removed. Auto-iliac cancellous bone grafting was then done to fill up the defect, and this was followed by cell therapy with implantation of autologous monocytes isolated from the iliac bone marrow. Results: The mean Merle d' Aubigne and Postel score improved from 11.6 points preoperatively to 15.5 points. Collapse of the femoral head developed in 13 hips, of which 12 hips showed an extensive lesion on the preoperative radiogram.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was performed in 9 hips: 8 hips were due to progressive collapse of the femoral head with clinical deterioration, and 1 hip was due to postoperative bacterial infection. The preoperative stages of the 8 hips that were converted to THRA were stage Ⅱ in 1 hip, stage Ⅲ in 4 hips and stage Ⅳ in 3 hips. The head preserva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stage was 94.4% in stage Ⅱ, 77.8% in stage Ⅲ and 66.7% in stage Ⅳ. Conclusion: Auto-iliac cancellous bone grafting combined with implantation of autologous bone marrow cells after core decompression showed a good clinical results on the short term follow-up. Long term follow-up studies are still necessary to validate this point.

      • KCI등재

        항법장치를 이용한 골종양 수술

        조환성(Hwan Seong Cho),양석훈(Seok Hoon Yang),박해봉(Hae Bong Park),한일규(Ilkyu Han),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정형외과 영역에서 수술용 항법장치는 인공관절 치환술, 척추경 나사 삽입술, 십자인대 재건술 등에서 그 효용성이 인정되어 왔으나 최근 골종양의 절제와 종양 절제 후 발생한 골결손 재건술에 대해 적용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점차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다. 특히 악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에서 종양의 경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양의 안전한 절제를 돕고 정상조직의 불필요한 절제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수술 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고 종양 절제 후 결손 부위와 모양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사전 주문형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골격재건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항법장치를 골종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방법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정확성 뒤에 숨어 있는 오차에 대하여 숙지해야 한다. The usefulness and accuracy of computer-assisted surgery have been evaluated clinically in many orthopedic fields, including joint replacement arthroplasty, pedicle screw placement, and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f the knee joint. Since several preliminary reports on application of navigation to bone tumor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surgery have recently been issued, navigation-assisted surgery for bone tumors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with regard to its usefulness. In particular, navigation can be helpful during surgery for musculoskeletal tumors, because it can maximize the accuracy of resection and minimize the unnecessary sacrifice of normal tissue by providing precise intraoperative three-dimensional radiologic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helpful in prosthetic reconstruction, because preoperative virtual simulation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size and location of bone defect to be left after tumor resection. Surgeons should recognize that use of navigation systems in bone tumor surgery has some hidden pitfalls. Here, based on our clinical results, we describe the surgical techniques that we have used and include some cautionary notes.

      • KCI등재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및 편측 후측방 유합술의 결과

        윤영현(Young-Hyun Yoon),조규정(Kyu-Jung Cho),박승림(Seung-Rim Park),문경호(Kyung-Ho Moon),이동주(Tong-Ju Lee),박해봉(Hae-Bo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및 편측성 후측방 유합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자가 장골을 이용한 후측방 유합술과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분절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척추경 나사못 기기 고정술을 시행한 50명의 환자 중 자가 장골을 채취하지 않고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26명은 cage군으로, 자가 장골을 사용하여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한 24명은 PLF군으로 하였다. 방사선 사진에서 골유합, 요추 전만도, 분절간각 및 추간판 간격을 비교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Oswestry Disability Index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T-test 및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골유합률은 cage군이 80.8%, PLE군이 83.3%로 나타났다. 추간판 간격은 cage군에서 더 많이 회복되었으나 PLF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10). 수술 실혈량은 cage군이 평균 565 ㎖, PLF군이 567㎖로 차이가 없었고, 수술 시간은 PLF군이 길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146.7분 vs 134분)(p=0.16). 이식골 공여부 통증이 PLF군에서 술후 초기 22예에서 나타났고, 그 중 5예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었다. 결론: 국소골과 단일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자가 장골을 이용한 후측방 유합술과 비교하여 유사한 골유합율을 보였다. 가장 큰 장점은 이식골 공여 부위의 합병증이 없다는 점이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using a single cage and unilateral posterolateral fusion (PLF) with local bone, an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ith those of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PLF) with autologous iliac bone. Materials and Methods: Fifty patients with single segment degenerative lumbar disease were treated with spinal fusion. Twenty six patients, who underwent PLIF with single cage and local bone without autologous iliac bone, were classfied as the "cage group". The other 24 patients, who underwent PLF using autologous iliac bone, were classified as the "PLF group". The fusion rate, lumbar lordortic angle, segmental angle, and intervertebral disc height were compared in the radiograph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 bony fusion rate was 80.8% in the cage group and 83.3% in the PLF group. The intervertebral disc height was restored better in the cag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10). Average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565 ㎖ in the cage group vs 567 ㎖ in the PLF group).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longer in the cag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146.7 min vs 134 min). In the PLF group, 22 patients experienced pain at the iliac graft donor site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that persisted for more than 6 months in 5 patients. Conclusion: PLIF using a single cage and local bone for single segment degenerative lumbar disease produced satisfactory bony fusion with none of the donor site morbidity at the iliac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