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톨로지 저작도구를 이용한 OWL과 토픽맵의 비교

        박수민(Soomin Park),김훈민(Hoonmin Kim),양정진(Jungjin Yang)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시맨틱 웹과 에이전트 시스템을 위한 지식 기반(Knowledge Base)을 구축하기 위해 W3C의 RDF와 ISO의 토픽맵(Topic Maps)이 사용되고 있다. 이 두 표준은 표현력 상에서 중복 되는 부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방면을 추구하였지만, 최근 W3C에서는 Task Force 팀을 구성하여 둘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자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구축하는 RDF에 semantic을 부여하는 RDF Vocabulary인 OWL과 토픽맵간의 상호운용도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OWL과 토픽맵의 상호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표준을 지원하는 각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 표현력과 기능적 비교를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둘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와 기능적인 극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문학교육과 타자 표상 - ‘단원 준비 학습’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박수민 ( Park Soom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6 한국어문교육 Vol.20 No.-

        논문은 ‘문학’ 과목의 ‘자아 성찰’에 관한 성취기준 내용에서 ‘타자’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탐구한다. 아울러 ‘단원 준비 학습’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해당 성취기준을 구현한 단원에 나타나는 타자 표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2011개정 교육과정 이후 ‘문학’ 과목의 ‘자아 성찰’에 관한 성취기준에는 ‘타자’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것은 타자를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타자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자와 주체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2000년대 문학의 타자 담론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문학 교육과정 내용의 변화와는 달리, 교육과정 내용을 실제로 구현한 『문학』 교과서에서는 자아를 성찰하는 것과 관련하여 ‘타자’의 문제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해당 단원의 ‘준비 학습’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러 교과서의 해당 단원 ‘준비 학습’은 영웅적 타자 혹은 민족 개념에 의거하여 편협하게 규정된 인종적 타자의 표상을 보여준다. 전자의 타자 표상은 도덕주의 경향이 강하고 후자의 타자 표상은 동일자 중심주의 경향이 남아 있다. 따라서 타자를 이해하기 위한 적절한 타자 표상으로 보기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평범한 타자와 민족 개념을 넘어선 인종적 타자에 대한 표상들을 적극적으로 고려가 필요하다. This paper studies how to understand words ``the other`` included achievement standards about ``self-reflection``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Notes aspects of the other represented in pre-reading activities in self-reflection sec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 In relation to achievement standards about ``self-reflection``, The concepts of ``the other`` showed up for the first time in 2011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It is the result of receiving a literary discourse about ‘the Otherness’ in the 2000s. The study of ‘the Otherness’ affects understand in terms of Subject, the Other. However, Unlike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content, the literature textbook are not considering theses changes. Analysis of the other represented in pre-reading activities about self-reflection section demonstrates this problem. These pre-reading activities does not consider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flection and the other. therefore it requires fundamental consideration and reconstruction about the other represented in pre-reading activities in self-reflection section.

      • KCI등재

        ‘내면화’의 개념과 사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박수민 ( Park Soomin ),이남호 ( Lee Namh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4 No.-

        최근 문학교육에서 내면화라는 말이 자주 사용된다. 이것은 내면화에 관한 문학교육적 관심을 보여준다. 하지만 해당 표현이 남용되면서 의미역이 너무 넓어지고 그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용어가 기술되고 사용되는 방식을 검토하고 정리하는 일이 필요하다. 문학교육 담론에서 내면화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국어 사전과 다른 학문 용어사전에서 내면화를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문학교육 자체적인 내면화 논의에 기반하여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두 경우를 검토하면 서로 무관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조작적, 단기적/장기적, 긍정적/부정적, 공학적/비공학적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큰 내면화 용례들이 확인된다. 이러한 용례들이 오늘날 문학교육 담론에서 분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내면화라는 말 자체는 계속 강조되지만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아직 내면화라는 말이 문학교육학 전문 용어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것을 인정하고, 국어과 교육과정 같은 공식 문서에 한하여 일반적인 의미로만 사용하고 이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후 장기적으로 내면화의 의미와 함의를 학문적으로 토의하고 합의하여 용어 사용의 혼란을 줄여나가야 한다. Recently, the term “internalization” is often used in literary education, which shows educational interest in the term. However, as the term is being overused, its meaning is becoming unclear.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way the terms is described and used. The review was carried out in two ways. First, the study reviewed cases where the term is us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internalization”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or in other academic terminology dictionaries. Next, the cases of using terms based on the discourse of literary education itself were reviewed. The Review revealed the meanings of “internalization” that are not irrelevant but different in the following aspects: general/operational, short/long, positive/negative, engineering/non-engineering. These various meanings are being used in a disorderly manner. As a result, while the importance of internalization is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understanding it properly is getting rather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as a short-term solution, a method of admitting that “internalization” is not yet a terminology for literary education, and use it only for its general meaning in official documents can be considered. Afterwards, researchers engaged in literary education should discuss and make agreements, try to reduce confusion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term.

      • KCI등재

        황순원 단편 「너와 나만의 시간」 내면화 교육 연구

        박수민 ( Park Soom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7 No.-

        본 논문은 황순원 단편 「너와 나만의 시간」을 자세히 해석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작품을 내면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너와 나만의 시간」에서 핵심 문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자기 목숨을 걸고 다른 사람 목숨을 구하는 문제이다. 둘째, 어떠한 일이든 당사자가 아니면 결코 알 수 없는 부분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이다. 셋째, 인간이 종종 자기도 모르게 옳거나 그른 혹은 옳다고도 그르다고도 할 수 없는 행동을 하고 그 결과를 고스란히 감당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작품은 이 같은 인간성, 당사자성, 예측 불가능성을 탐구하여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 준다. 기존 문학 교과서는 이중 인간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해석하고 교육하여 불충분하고 일면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너와 나만의 시간」을 충실하게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이입, 유보, 전유’ 3단계로 구성하여 새롭게 제안한다. This paper interprets the novel Time for You and Me in detail, and devises an educational method to help students internalizes the work. There are three main themes in the work. First, the works looks at the question of whether one can save somebody else’s life while risking his or her own life. Second, it discusses the question regarding the fact that there is always something that you would not be able to understand unless you are directly related to it. The last is regarding the question of human beings often doing something that cannot be said to be right or wrong without even realizing it and having no choice but to bear the consequences. The work deals with such humanity, the nature of those directly involved, and unpredictability, and shows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s and life. Current literature textbooks are one-sided and insufficient as it focuses only on humani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work in three stages: the empathy stage, the suspension stage and the appropriation stage.

      • KCI등재

        국내 초⋅중등 수학교육에서 협력학습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박수민(Soomin Park) 한국학교수학회 202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초⋅중등 수학교육에서 협력학습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관련 연구의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개선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의 연구 방법론에 따라 수학교육에서 협동 및 협력을 키워드로 하는 연구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최종 선별된 연구를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도출된 주제별 특성을 분석한다.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검색 키워드, 소집단 구성 방법, 표본의 추출 방법, 표본의 크기, 분석 방법, 분석틀, 교육목표 영역, 협력학습에서의 수학 교과 역량의 총 8가지 주제를 범주화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협력학습에 관한 연구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상 학교급 또는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 고르게 수행되어, 협력학습을 구현하는 다양한 수업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 연구들이 많았다. 둘째, 표본의 추출 방법이나 표본의 크기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적 특성이 많이 반영되었다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협력학습의 인지적 영역은 주로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 점수를 통해 그 변화를 결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협력학습을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즉 학업성취도 점수에 초점을 두고 유사한 결과를 산출하는 연구가 많았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ollaborative learning research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explore variou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iscuss areas for improve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presents a protocol for analyzing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with a focus on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follow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en analyze the selected studies based on the themes derived from the protocol.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earch characteristics on collaborative learning were categorized into eight main themes: keywords, small group composition methods, sampling methods, sample size, analysis methods, analytical frameworks, domains of educational goal, and collaborative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several key points: First, many studies conducted at the various school grades and methodologies, help to understand various classroom environments that implement collaborative learn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er's subjective characteristics were largely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the sample extraction method and sample size. Third, as the cognitive domain of collaborative learning mainly presents changes as results through pre- and post-academic achievement, in relation to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have derived results in relation to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효율적인 클러스터 헤드 선출기법

        박수민(Soomin Park),남춘성(Choonsung Nam),김경민(Kyeongmin Kim),신용태(Yongtae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수많은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노드의 제한된 에너지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 사용이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하여 많은 알고리즘이 연구되고 있다. 이들 알고리즘들 중 클러스터링 기법은 센서 노드가 싱크와 직접 통신하는 방법이 아닌 클러스터 헤드로 선출된 노드와 통신하여 클러스터 헤드가 센싱된 정보를 모아 싱크에 보냄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이게 된다. 이 기법은 클러스터 헤드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잔존 에너지의 양과 노드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클러스터 헤드를 선출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