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속담 해석하기와 속담 이해하기 능력 비교

        박세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성인들이 비유문장을 사용하는 이유는 상대방의 이해를 돕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대화상황 및 문맥이 없다면, 비유표현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는 불투명 속담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해석하기 능력과 문맥제시 상황에서의 속담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친숙도에 따른 해석하기와 이해하기의 차이를 분석하고 오류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만 18세에서 25세의 대학생으로 각각 22문항으로 구성됨 속담해석하기와 속담 이해하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속담해석하기에서는 정답은 2점, 의미가 포괄적인 경우는 1점, 나머지 오답 및 무응답은 0점으로 처리하였고, 문맥을 제시한 4지선다형 속담이해하기 과제에서는 정답은 1점, 틀린 것은 0점으로 채점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속담해석하기와 속담 이해하기의 점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속담 이해하기 점수가 속담 해석하기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속담해석하기에서 무응답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문맥이나 상황 없이 속담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속담해석하기 검사에서 친숙한 속담의 해석점수가 비친숙한 속담의 해석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숙한 속담은 평소 많이 사용하는 속담으로 채점기준 2점의 정답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 비친숙은 오답 및 무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속담 이해하기 검사에서 친숙한 속담의 이해하기 점수가 비친숙한 속담의 이해하기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맥을 제시하였음에도 비친숙한 속담은 이해하기 어렵고 유추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았을 때, 대학생은 일상생활 속에서 비유적인 표현들을 문맥 및 대화상황에서 이해하고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추후에 친숙도가 높은 문제들을 활용하여 화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 발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중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reason many adults use figurative sentences is to help counterparts understand and to express one’s own opinion clearly. But without a conversation situation and context, it will be difficult to understand figurative sentenc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college students’ interpretation ability and ability to understand proverbs when a context is presented,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terpreting and comprehend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miliarity, and look into error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university students between the age of 18 and 25, and they took tests on proverb meaning interpretation and proverb comprehending, each consisting of 22 questions. In the proverb meaning interpretation, a correct answer got 2 points, comprehensive meaning got 1 point, and other wrong answers or no answer got 0 point. In the four-choice proverb meaning comprehending assignment with context provided, a correct answer got 1 point, and wrong answer got 0 poin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of dependent sample t-test to verify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proverb meaning interpretation and the proverb comprehend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the score of proverb comprehending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overb interpretation. The rate of no answer came out high, indicating that without a context or situation, there seems a difficulty in interpreting proverb meaning. Second, in the proverb meaning interpretation test, a familiar proverb’s interpretation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 unfamiliar proverb. A familiar proverb is a proverb used often in daily lives and had a high correct answer rate. On the other hand, an unfamiliar proverb had a high no answer rate. Third, in the proverb comprehending test, the score of comprehending a familiar proverb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 unfamiliar proverb. Even though a context was given, an unfamiliar proverb was shown to b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nfer.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n daily lives, college students can be said to understand and use figurative expressions in a context and conversation situation. Hence, in the future, highly familiar questions can be utiliz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ies in pragmatics.

      • 출산여성의 태교인식과 실천 태교효과에 관한 연구

        박세빈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교의 인식과 태교에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출산여성이 임신중 실천했던 태교 내용을 신체건강 · 인성 · 교감 · 인지 발달 영역별로 조사하고, 태교실천 후 느겼던 태교 효과는 어느 정도 인지 파악하기 위함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태교의 중요성을 알리고, 태교 실천을 도와 임신부의 태교실천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들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검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사후검증으로 던컨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태교와 관련된 특성을 분석한 결과 태교는 반드시 필요하며, 임신된 것을 알고부터 태교가 시작되어야 하고, 태교의 목적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기를 출산하기 위함이며, 태교의 실천자는 부부, 가족, 사회라고 응답하였다. 태교에 관한 정보는 책이나 잡지, 매스미디어를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교인식, 태교실천, 태교효과의 일반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태교의 인식은 높은데 비해 태교실천은 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교의 효과는 신체건강발달과 인성발달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태교인식, 태교실천과 태교의 효과의 차이에 대한 조사 결과는 태교인식과 태교실천의 하위영역별 관계를 비교한 결과 학력에 따라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신체건강발달 · 인성발달 · 교감발달 · 지성발달 태교실천과 태교효과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태교인식, 태교실천, 태교효과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조사결과 태교인식수준이 높을수록 태교실천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태교인식은 신체건강발달을 위한 태교실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태교실천과 태교효과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태교실천과 태교 효과는 교감발달을 위한 태교실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태교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출산 후 태교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 및 진료수행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세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구명을 위해 인천, 경기, 전북, 충북에 소재한 4개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28일부터 9월 22일까지였다. 답변이 누락되거나 성실하지 못한 답변을 한 질문지 12부를 제외한 378부의 질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은 계열, 학년, 성별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학습결과관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은 계열, 학년에 따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학습환경조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학습결과관리와 학습환경조성이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각각 중요한 하위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학습결과관리와 학습환경조성 요인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dical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roblem solving skills and self-efficacy in clinical performance.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 medical school students influence problem solving skills? Second, how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 medical school student influence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To inquire into the research problem, 390 offline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to and then collected from students attending 4 different medical graduate schools in Incheon, Gyeonggi, Jeonbuk, and Choongbuk for the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The period for distribution was between August 28th and September 22nd of 2017, and excluding incomplete 12 copies, a total of 37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the follow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dical school students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ffiliation, year, and gender.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study result managemen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skills. Fourth,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affiliation and year, but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ifth,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Sixth, he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study result managemen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In conclus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Especially the study result management and the study environment cre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proven to be important sub factors in enhancing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linical perfomance self-efficacy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graduate school students,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tudy result management and the study environment cre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be vitalized, and attention and efforts must be put into achieving this.

      •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사용실태 및 전자상거래 구매행동

        박세빈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commerce cosmetics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of women in their 20s, and to investigate cosmetic use and satisfaction, e-commerce behaviors, and cosmetics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of women in their 20s, the period was from August 17 to September 17, 2020, and 280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27 questions on lifestyle, 8 questions on the actual condition of use of cosmetics and satisfaction, and 15 questions on the purchase behavior of cosmetics e-commerce. Data analysis was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ata analysis was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ifestyl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20s, differences in fashion aesthetics according to monthly income were significant. And in terms of monthly income, '1,500,000 won or more' showed high emphasis on fashion aesthetics, and the difference in social activity centered by monthly income was significant, and monthly income of 'less than 300,000-500,000 won' was the highest.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using cosmetic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women in their 20s, 'basic make-up'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economy pursuing type in the normal makeup degree, 'foundation+base+point makeup' was the highest in the social activity pursuit type and the fashion pursuit type. As an item that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cosmetic water such as skin and toner' was the highest in economic pursuit. And, in the social activity pursuit type and the fashion pursuit type, 'colored cosmetics' was the highest. Third,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e-commerce purchase behavior of cosmetics of women in their 20s, as the average monthly e-commerce purchase cost of cosmetics, 'less than 50,000 won to 100,000 won' was the highest in the economic pursuit type. And, 'less than 100,000 won to 200,000 won' was the highest in the social activity pursuit type and the fashion pursuit type. As for cosmetics purchased through e-commerce, 'basic cosmetics' was the highest in the economic pursuit type, 'basic cosmetics' was the highest in the social activity pursuing type, and the 'colored cosmetics' was the highest in the fashion pursuing type. In summary, the above results were able to grasp the cosmetic use status and e-commerce cosmetic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s of women in their 20s,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 industry.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전자상거래 화장품 구매 행동을 알아보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사용실태 및 만족도, 전자상거래 행동 및 화장품 구매 행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대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17일∼9월 17일까지 실시하여, 28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4문항, 라이프스타일의 관한 27문항, 화장품 사용실태 및 만족도 8문항과 화장품 전자상거래 구매 행동 15문항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 군집분석, 기술통계, t-test와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검정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차이에서는 월수입에 따른 유행미적중시의 차이는 유의미하였고, 월수입은 ‘150만 원 이상’이 유행미적중시가 높았고, 월수입에 따른 사교활동중심의 차이는 유의미하고, 월수입 ‘30-50만 원 미만’이 가장 높았다. 둘째,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사용실태 및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평상시 화장 정도는 라이프스타일이 경제추구형의 경우 ‘기초화장이’, 사교활동추구형과 유행추구형은 ‘기초+베이스+포인트 메이크업’이 가장 높았다. 화장품 구매비용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품목으로 경제추구형은 ‘스킨, 토너 등 화장수’가, 사교활동추구형과 유행추구형은 ‘색조화장품’이 가장 높았다. 셋째, 20대 여성의 화장품 전자상거래 구매 행동의 차이에서는 월평균 전자상거래상 화장품 구매비용으로 경제추구형은 ‘5-10만 원 미만’이 가장 높았고, 사교활동추구형과 유행추구형은 ‘10-20만 원 미만’이 가장 높았다. 전자상거래로 구입하는 화장품으로 경제추구형은 ‘기초화장품’이 가장 높았고, 사교활동추구형은 ‘기초화장품’이 가장 높았으며, 유행추구형은 ‘색조화장품’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사용실태 및 전자상거래 화장품 구매행동과 파악할 수 있었고, 화장품 업계의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관광자의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박세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방문지에 대한 관광자의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는 선행연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지만,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통해 거리지각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방문의도간의 구조관계를 규명한 국내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국내관광지에 대한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는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지만, 국외관광지에 대한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거리지각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해 미국 괌에 대한 거리지각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그리고 방문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따른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출된 측정변수의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변수에 대한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 분석에서 신뢰성 또한 검증되었다. 둘째, 거리지각은 괌 방문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방문의도 모두 유의한 수준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자가 괌에 대해 거리지각의 수준이 낮으면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거리지각의 수준이 높으면 방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온라인 설문조사의 표본 대표성 문제와 불성실 응답으로 인한 신뢰도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한 채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미국 괌의 방문형태에 따라 구분하지 못하였다는 점도 한계점으로 파악된다. 즉 미국 괌에 대한 과거 방문경험의 유무만 나누었을 뿐, 방문경험자들에 대한 방문형태, 방문동기, 방문 인원수 등에 대한 구분을 나누지 못하였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연구 한계점에 따른 향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후속연구에는 온라인 설문조사가 아닌 다른 방식의 설문조사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괌을 실제로 방문한 관광자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거리지각의 인식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규명된 것을 감안해, 방문경험에서 그치지 않고 방문목적, 방문인원수 등과 같은 방문형태와 같은 요인이 거리지각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괌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대한민국과 가까이 위치한 일본, 중국, 러시아, 그리고 동남아 등의 국외방문지에 대한 거리지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ist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Although the impact of Cognitive Distance on Behavioral Intention has been studied before, a deep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istanc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s rarely been studied in the tourism field. Thus, this study attempts to researc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ist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is research, a total of 305 peopl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survey related to questions about traveling to Guam.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Cognitive distance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high levels of cognitive distance about a certain destination could prevent tourists from building behavioral intentions.

      • 들라크루아 회화의 예술적 모더니티 연구

        박세빈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Ferdinand Victor Eugène Delacroix, 1798-1863)의 회화세계에서 나타나는 예술적 모더니티(Modernité)에 관한 연구이다. 들라크루아는 회화표현에서 색채와 감정표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이로써 전통적으로 서양미술의 흐름을 주도했던 소묘 중심의 아카데미 미술과는 전혀 다른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다양한 문학적 요소를 회화적 주제로 수용하고 자신의 예술적 상상력과 결합함으로써 전통적인 예술의 표현적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이러한 회화적 특징들은 들라크루아가 모더니즘 미술의 예술적 토대를 제공한 현대적인 화가라는 평가를 받는 데에 있어서 결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이 연구는 ‘모더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시작한다. 모더니티의 의미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보들레르, 칼리니스쿠의 모더니티 이론을 바탕으로 모더니티의 의미를 예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추출되는 예술적 모더니티를 통해서 들라크루아 회화의 특징들을 분석한다. 나아가 들라크루아의 예술성에 대한 이해와 해석 지평의 확장을 시도한다. 들라크루아의 회화에 나타나는 예술적 모더니티의 다층적인 연구를 위해 들라크루아의 회화적 특징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첫 번째로 들라크루아 회화의 표현적 특징인 색채사용과 감정표현의 상호성을 분석한다. 이 작업에서는 작품 <키오스 섬의 학살>,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 등을 통해서 들라크루아가 어떻게 회화적 전통의 한계를 넘어서고 예술적 모더니티를 획득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두 번째로 들라크루아가 근대적 개인성을 회화적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대표작품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과 파우스트의 삽화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당대의 사회적 요구에 맞는 근대적 개인성의 의미를 들라크루아는 어떻게 규정하는가를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회화 모티브로서 들라크루아가 중시하였던 예술적 상상력과 오리엔탈리즘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들라크루아 회화에서 나타나는 문학적 요소를 분석하고 모로코 여행 전후에 그린 작품들을 상호비교한다. 이 과정에서 들라크루아의 회화에 나타나는 예술적 모더니티의 체계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이로써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들라크루아 예술세계의 독창성과 유의미함을 재해석하고 그 미술사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research on the artistic modernity in the paintings of the French romantic artist Ferdinand Victor Eugene Delacroix (1798-1863). Delacroix highlighted the interactions between colors and emotions in his artworks, introducing a new world of art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drawing-focused academic art that had led the traditional Western art. He incorporated literary elements into his paintings and combined those with his artistic imagination to transcend the boundaries of expression in traditional art. Thes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played a decisive role in Delacroix being praised as the modern artist who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ism. This paper begins with theoretical studies on ‘modernity’ which varies in definition depending on perspectives. The meanings of modernity will be revisited with artistic approaches based on the theories of modernity of Charles Baudelaire and Matei Călinescu. The artistic modernity captured under this perspective will be us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Delacroix’s artworks and to deep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his artistry which holds significance to this day. The research is organized into three parts for multi-phased studies on artistic modernity demonstrated in the paintings of Delacroix. The first part dwells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colors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which are prominent in his works. This part focuses on how Delacroix went beyond the limit of traditional paintings and added the value of artistic modernity across his canvases by examining “The Massacre at Chios” and “The Death of Sardanapalu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provides the process of Delacroix’s modern individuality taking shape into his paintings by exploring his best-known masterpiece, “Liberty Leading the People” and Faust illustrations. The study also touches upon how Delacroix defines modern individuality that conforms to society’s expectations at the time. The last part deals with artistic imagination and Orientalism that Delacroix had put emphasis on as artistic motives with a holistic approach. The study delves into literary elements that appear in the art of Delacroix and compares his paintings drawn before and after the trip to Morocco, with an aim to offer a more structured understanding of artistic modernity observed in his artworks. This three-phased analysis will enable a reinterpretation of the uniqueness and value of the artistic world of Delacroix that are still relevant to today’s art, and shed light on the artistic value of his work.

      • 효율적인 칼만 필터링을 위한 측정 노이즈 추천

        박세빈 강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 등의 확산으로 대용량 센서 데이터를 다루는 연구가 활발하다. 빠른 속도로 생성되는 대량의 센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활용하기 위해서는 원본 데이터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정제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데이터 정제 기술 중 칼만 필터링에 대해 측정 노이즈를 추천하는 방법을 다룬다. 칼만 필터링은 입력 데이터의 부정확한 값을 보정하는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필터링 알고리즘으로, 입력되는 노이즈 파라미터에 의해 필터링 성능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칼만 필터링의 노이즈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그 값이 결정된다. 그러나, 사용자 경험이 부족할 경우 잘못된 노이즈 파라미터를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터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칼만 필터링의 주요 노이즈 파라미터인 측정 노이즈를 찾아내고, 이를 칼만 필터링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센서 데이터는 실제 값과 이를 측정한 기계의 노이즈 값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때 측정 과정에서 포함된 기계의 노이즈가 측정 노이즈이다. 따라서, 칼만 필터링에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측정 노이즈를 추정하고, 이를 필터링에 사용한다면 좀 더 정확한 필터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데이터의 측정 노이즈 분석 방법으로 비학습 기반과 학습 기반 방법을 사용한다. 비학습 기반 방법으로는 이동평균(moving average) 변환과 웨이블릿(Wavelet) 변환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며, 학습 기반으로는 잡음제거 오토인코더(denoising autoencoder)를 사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제안한 측정 노이즈 계산 방법이 경험적 방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노이즈 추정과 필터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Due to the advent of smart factories and smart citie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have actively studied to use large sensor data more effectively. In order to effectively analyze and utilize the large sensor data generated at high speed, an accurate purifying technology that well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data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 analytical methods to recommend the measurement noise of the Kalman filtering, which is a representative technique of data purification. The Kalman filtering is a typical filtering algorithm used to correct inaccurate values of original sensor data, and its filtering performance depends on the noise parameters given to the Kalman filter. In general, noise parameters of the Kalman filter ar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However, if the wrong noise parameters are used due to a lack of user experience, it may degrade the filter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novel methods to analyze the input data and find the measurement noise which is the main noise parameter, and apply it to the Kalman filter. The sensor data includes the actual and noise values of the measuring machine. At this time, the noise of the machine included in the measurement process is the measurement noise. Therefore, we can estimate the measurement noise by analyzing the sensor data given to the Kalman filtering, and to use the measurement noise for filtering, we can perform the more accurate filtering. In this paper, we use analytical methods of noise estimation of sensor data: unsupervised learning and supervised learning. We first use moving average and Wavelet transformation as unsupervised learning-based methods, and we then use a denoising autoencoder as a supervised learning-based method.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we show that our analytical methods are more accurate both in measurement noise estimation and filtering the sensor data than the experience-based method.

      • 3-메톡시페놀과 3,5-다이메톡시페놀로부터 3-메톡시플라본 및 플라보놀의 합성

        박세빈 德成女子大學敎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3-methoxyflavones have attracted a lot of attentions because they possess the antioxidative effect of radical scavenging and suppress superoxide generation in human neutrophils. Also, they have antibacterial, antiviral,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3-Methoxyflavones were efficiently synthesized in four steps from 3-methoxyphenol and 3,5-dimethoxyphenol. The reaction of 3-methoxyphenol and 3,5-dimethoxyphenol with 1 equiv of methoxyacethyl chloride and aluminum chloride in 1,1,2,2- tetrachloroethane afforded 2'-hydroxy-2,4'-dimethoxyacetophenone and 2'-hydroxy-2,4',6'-trimethoxyacetophenone in 86% and 82% yield, respectively. 2'-Hydroxy-2-methoxyacetophenones were benzoylated with benzoyl chlorides in the presence of triethylamine in dichloromethane for 3~4 h between 0 ℃ and room temperature to give 2'-benzoyloxy-2- methoxyacetophenones in 86-99% yields. The resulting 2'-benzoyloxy- 2-methoxyacetophenones were smoothly rearranged with 2 equiv of LDA in THF to afford 1-(2-hydroxyphenyl)-2-methoxy-3-phenyl-1,3- propanediones for 0.5 h between -15 ℃ and 0 ℃ in 78-98% yields. The synthesis of 3-methoxyflavones could be accomplished by the cyclodehydration of 1,3-propanediones with 1 equiv of sulfuric acid in acetic acid for 0.5 h at 80℃ in 76-98% yields. The 3-methoxyflavones were further selectively demethylated with boron tribromide in dichloromethane to afford 5-hydroxyflavones and flavonols in 76-81% yields.

      • 저속파 도체막대 배열구조를 이용한 고지향성의 프린트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ighly Directive Printed Cross-Dipole Antenna using Slow-Wave Metallic Rod Array Structure

        박세빈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학위논문에서는 장거리 통신을 주로 사용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을 위한 고지향성 안테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안테나는 저속파 도체막대 배열구조와 여기소자로 구성되며, 각각은 지향성을 증가시키는 역할과 신호의 방사 및 저속파 구조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선 여기소자는 목표 주파수 대역인 Wi-Fi 대역(5.15 GHz - 5.85 GHz)에 대해 동작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소자로 광대역 프린트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한다. 이것의 방사소자 및 급전소자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시뮬레이션을 사용해 통합된 안테나의 성능을 확인 및 검증한다. 저속파 도체막대 배열구조는 각각의 도체막대가 전력전달 및 위상지연의 역할을 함에 따라 일종의 지향소자로 분류된다. 이것의 원리를 해석하고자 구성 변수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며, 최종적으로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안테나의 이득증가 및 방사패턴의 최적화 방안을 알아본다. 관찰되는 설계변수는 유전체 기판의 특성과 도체막대 배열의 구성 변수, 그리고 저속파 구조의 길이로 선정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역할 및 기능을 해석한다. 그에 따라 저속파 구조의 설계 변수 값을 선정했으며 그 값을 바탕으로 고지향성의 교차 프린트 다이폴 안테나를 제작한다. 이 안테나는 두 유전체 기판이 서로 직교하여 교차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기판에는 10Ⲗo 길이의 저속파 도체막대 배열구조와 광대역 프린트 다이폴 안테나 패턴이 함께 구현된다. 그리고 각각은 독립적 입력 단자를 갖는 특성을 이용해 이중 직교편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작된 안테나의 측정 결과 안테나는 40 %의 넓은 동작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17.8 dBi의 고 이득, 16.2 dBc의 낮은 부엽 레벨, 76 %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 부산지역 업무시설에서의 집광채광루버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박세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에너지의 절감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건물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예상에너지사용량의 일정비율을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적용을 위해서는 건물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신․재생에너지원의 검토가 필요하다. 집광채광루버는 2018년 새롭게 추가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적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냉방에너지의 비중이 높은 오피스 건물을 대상으로 집광채광루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집광채광루버의 적용에 따른 실내조도와 일사량을 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살펴본 결과 집광채광루버를 적용 하였을 경우, 겨울철을 제외한 기간에는 빛을 깊게 유입시켜 균제도를 향상시켰으며, 창의 개방면적을 줄여 일사량을 감소시켰다. 연간 에너지 소요량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 에너지 절감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겨울철에는 가장 낮게 나타나 연간 에너지 소요량이 16.28% 감소하였다. 집광채광루버의 활용은 냉방에너지의 비중이 높은 건물에서의 적용은 적합하며, 집광채광루버의 기초 연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