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나는 반복 양상의 분석을 통한 담화 적절성 연구 :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비교를 통해

        박상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ourse appropriateness required for writing academic texts and to find out the way of producing appropriate discourse the learners need to aim at ㅡ by analyzing academic texts between academic-oriented advanced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act that advanced learners are in need of discourse-level writing education beyond the education of accuracy of vocabulary, grammar, and sentence production. Without learning the form and conventions of academic discourse communities, the learners end up producing texts that are grammatically correct but not relevant for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discourse. By analyzing the academic texts where ‘repetition’ appears, this paper noted that the learners fail to meet the conventions of the discourse community and reduce the quality of academic texts when they repeat the same expressions. In total, 80 texts of native Koreans and Korean learners, 40 respectively, were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 patterns of repetitive expression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Chapter 1, this paper discussed the need for th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demands of the learners with an academic-purpose and the importance of discourse appropriateness, presenting research problems and research methods. Chapter 2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 introducing the theory and relevant literatures. In Chapter 3, this research conducted a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of texts of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ㅡ 10 texts for each group, confirming that the repetition patterns of connective endings and expression of sentence-ending appear more frequently in the learner’s text than in native speaker’s texts. Based on the survey outcome, this paper analyzed the repetitive patterns in the learner’s texts and inferred the reason. Chapter 4 contains the analysis of the repetitive patterns in the native speakers’ texts and their comparison with the learners’. At this point, the way native speakers repeat expression of sentence-ending and the way they avoid repetition are examined. The strategy of avoiding repetition by the native speakers are particularly analyzed and sorted by types. Aft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xts of learners and the native speakers, implications of analysis are suggested.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ased on which the strategy for academic-oriented advanced learners is suggested in order for them to write advanced academic texts with appropriateness of discourse in relation to repetition of expression of sentence-ending. In addition, the need of discourse education for the learners of Korean is emphasiz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room for improvement is described. 본 연구는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학술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학술 텍스트 쓰기에 필요한 담화 적절성에 대해 고찰하여 학습자가 지향해야 할 적절한 담화 산출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에게 정확한 어휘 및 문법, 문장의 산출을 넘어 담화 차원의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학습자들이 학문적 담화공동체의 형식과 관습을 익히지 못하면 문법적으로는 정확하더라도 담화 상황과 맥락에 적절하지 못한 텍스트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학술 텍스트에 나타나는 ‘반복’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가 동일한 표현을 반복함으로써 담화공동체의 관습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학술 텍스트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텍스트를 각 40편씩 총 80편을 분석하여 표현 반복의 양상을 비교하고 차이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구 및 담화 적절성의 중요성을 근거로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고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해당하는 제2장에서는 연구의 바탕이 된 이론 및 관련 선행연구를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텍스트 각각 10부를 대상으로 예비 분석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텍스트에서 연결어미와 종결 표현의 반복 양상이 모어 화자보다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텍스트에 나타난 반복 양상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추론하였다. 제4장에서는 모어 화자의 텍스트에 나타난 반복 양상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텍스트와 비교하였다. 이 때 모어 화자가 종결 표현을 반복하는 양상과 반복을 회피하는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특히 모어 화자가 반복을 회피하는 전략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텍스트를 비교하고 분석의 함의를 기술하였다. 제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가 종결 표현 반복과 관련하여 담화 적절성을 갖춘 학술 텍스트를 쓰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담화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보완해야 할 부분을 기술하였다.

      • 갈래 간의 입체성을 고려한 문학사교육 방안 연구 : 속악가사를 중심으로

        박상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Based on Sog-ak-ga-sa, this study aims at preparing a measure for education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le considering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The literature education puts emphasis on accepting an individual work in an in-depth manner through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However, as for the education of the literary history, it is accustomed to rote learning of periods and works. Accordingly, there has always been concern that learners have difficulty in fully enjoying a work. Hence, this research tries to set up criteria, centered on Sog-ak-ga-sa containing various genres. In a curriculum, terms like Go-ryeo-ga-yo and Go-ryeo-sok-yo are mainly being used. However, compared to its contemporary categories, Sog-ak-ga-sa is a category covering the most various genres including Go-ryeo-ga-yo and Go-ryeo-sok-yo, Ak-jang and Sino-Korean poetry. Through a category of Sog-ak-ga-sa, the study pursues solving a problem that Ak-jang and Gyeong-gi-che-ga are dealt with separately in an educational field though they are genres belonging to the same period and category. Therefore, it aimed to make a flexible measure beyond the times in the literary history by applying aspects of Sog-ak-ga-sa to other genres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achieving the multipleness under the category of Sog-ak-ga-sa. Chapter Ⅱ examined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bout education of the literary history and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It investigated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unit of the literary history which is a little fragmentary in a textbook and identified that such a problem of flatness may be solved when examined with an approach of the literary history and a novel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by extending such dimensionality of Sog-ak-ga-sa to other genres. Thus, it allows us to comprehensively think about the literary works of different genres, escaping from the periodic division.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the multipleness through individual genres while preserving genres' systematic properties and uniqueness. This paper intended to use the‘multipleness among genres’which can be applied to every genre and work transcending the literary genres as its main concept. Consideration about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will be able to provide an active view and thinking about the history of literature. Chapter Ⅲ provided criteria for building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of Sog-ak-ga-sa, They were set up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of the Korean language and values of literature including self-reflection,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olidarity of community. It shows that literary works can trigger self-expression. Various feelings, voices and viewpoints shown in the work may be considered under the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self-expression. Therefore, criteria were set up as an active self-expression of love, self-expression through introspection and that of pursuit for community values. In addition to heterosexual love, there also exists love for family members, friends and seasons. Various aspects of active self-expression for love can be found out from Sog-ak-ga-sa and other genres. Criteria are easy to access so there is no difficulty in implementing the multipleness in other genres. They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y should be helpful for easy access to the areas of the literary history. Self-expression through introspection was presented based on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Introspection can be identified from Sog-ak-ga-sa and other genres' works and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self may be expanded into those of others. Since self-expression beyond introspection may satisfy the affective aspects needed for learners, it comes to be a criterion which is worth considering. In addition, an aspect of self-expression of pursuit for community values can be seen in the literary works from various manners, such as praying to God for mercy. A sense of community is not the thing which can be forced. However, it becomes value which is well worth considering in the world where we are living with our families or others. In a world or a society to which people belong, they can think about life they have lived or should live hereafter. The pursuit for community values which appear in various genres including Sog-ak-ga-sa comes to be a basis for seeing the literary history synchronically. Chapter Ⅳ classified Sog-ak-ga-sa works based on the criteria set in the Chapter Ⅲ and presented educational contents with a variety of genres. Three criteria mentioned above form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self-understanding through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reflection, respect for community diversity and understanding of mutual cooperation. The study presented works of various genres based on thre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nect them beyond the times. Aspects of self-expression lead to values of self-expression, achieving self-understanding. It is through the work that self-understanding by a narrator and a writer of the work and by its audience occurs. Learners learn such a process and can actively enjoy literature through awareness of various self-expression aspect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seeing a variety of genres or various genres' works by a single writer, which contemporary people enjoyed, gives us an opportunity to look into genres not from two-dimensional but from multipleness perspective. That is, it allows us to recognize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leading to in-depth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individual genres and works. A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was to construct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through Sog-ak-ga-sa which is unknown despite its diverse genres. Based on above, it is possible to classify a lot of works under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paper and accomplish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This study considered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and provided a multipleness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Hence, learners can think about them with the connection to their lives and it can lead to active thinking and enjoyment of literature. Awareness of the multipleness among genres allows them to feel living literature and gives them a chance to actively underst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is expected for methodologies from this paper to increase psychological accessibility to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lead to profoun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본 연구는 속악가사를 중심으로 갈래 간의 입체성을 고려하여 문학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교육에서는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개별 작품을 심도 있게 수용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두고 있다. 하지만 문학사교육은 시대와 작품에 대한 암기의 학습 방법에 익숙해져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작품에 대한 온전한 감상을 하기 어렵다는 고민이 늘 함께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갈래를 포함하고 있는 속악가사를 중심으로 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에서는 고려가요, 고려속요의 명칭이 주로 쓰인다. 하지만 고려가요 및 고려속요를 포함하고 악장 및 한시 등의 동시대 속에서 가장 다양한 갈래를 포함하고 있는 범주는 속악가사이다. 같은 시대 및 같은 범주에 속하는 갈래임에도 교육 현장에서는 악장, 경기체가 등을 따로 다루고 있다는 문제의 해결을 속악가사라는 범주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속악가사라는 범주 안에서 기준에 따른 속악가사의 양상이 다른 갈래에도 적용되어 갈래 간의 입체성을 이루고, 문학사적으로 시대를 뛰어넘는 유동적인 방안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Ⅱ장에서는 문학사교육 및 갈래 간의 입체성에 대한 이론적 전제를 검토하였다. 교과서에서 다소 단편적으로 제시가 되어 있는 문학사 단원의 현황을 파악하며 문학사적 접근으로 관점을 달리하여 보았을 때 그러한 평면적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속악가사 내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갈래 간의 입체성을 다른 갈래로 확장 시킴으로 갈래 간의 입체성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시대의 구분에 머무르지 않고 서로 다른 갈래의 문학 작품들을 총체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갈래 간의 체계성과 고유성을 유지하며 개별 갈래를 통해 입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문학의 갈래를 넘나들며 모든 갈래 및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갈래 간의 입체성’을 본고의 주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갈래 간의 입체성을 고려함을 통해 문학사를 능동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사고할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속악가사의 갈래 간 입체성 구축을 위한 기준을 마련해보았다. 국어과 교과 역량 및 자아 성찰, 타자 이해, 공동체적 연대감이라는 문학의 가치를 바탕으로 하여 설정했다. 문학 작품을 통해 자기표현의 양상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여러 감정 및 목소리, 그리고 시선은 자기표현이라는 개념으로 연결 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랑에 대한 적극적 자기표현, 내면 성찰을 통한 자기표현, 그리고 공동체적 가치 추구에 대한 자기표현으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사랑에는 남녀 간의 사랑 외에도 가족에 대한 사랑, 벗에 대한 사랑, 계절에 대한 사랑 등이 있다. 다양한 사랑에 대한 적극적 자기표현의 양상은 속악가사 및 다른 갈래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접근성이 용이한 기준이기에 다른 갈래의 작품과의 입체성을 구축하기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문학사의 영역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 전제되어 있다. 내면 성찰을 통한 자기표현의 양상은 자아 성찰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내면 성찰에 대한 모습을 속악가사 및 타갈래의 작품을 통해 볼 수 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및 이해는 타자에 대한 이해로도 확장될 수 있다. 내면을 성찰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자기표현을 통해 드러냄은 학습자들에게도 필요한 정의적 측면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부분이기에 논의해볼 법한 기준이 된다. 더불어 공동체적 가치 추구에 대한 자기표현 양상은 공동체의 복을 비는 형태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문학 작품에서 볼 수 있다. 공동체 의식은 강요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하지만 가족, 혹은 다른 존재와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 충분히 고려해볼 법한 가치가 된다. 본인이 속한 세계 혹은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그리고 어떻게 살아왔는지 생각해볼 수 있다. 속악가사 및 다양한 갈래에서 등장하는 공동체적 가치 추구는 공시적으로 문학사를 조망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세운 기준을 바탕으로 속악가사의 작품 분류를 이루고, 더욱 다양한 갈래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 내용을 제시해보았다. 앞서 언급했던 세 가지의 기준은 감정표현을 통한 자기이해, 자아 성찰을 통한 자기이해, 그리고 공동체의 다양성 존중과 상호 협력의 이해로 교육 내용의 방안이 된다. 세 가지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갈래의 작품들을 제시하고, 시대를 넘나들어 충분히 연결 지어 생각해볼 수 있음에 대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기표현의 양상이 자기표현의 가치로 이어지며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의 화자 및 작가, 그리고 향유자의 자기이해는 작품을 통해 일어난다. 학습자들은 이에 대해 배우며 다양한 자기표현 양상의 인지를 통해 문학을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것이다. 동시대에 향유된 다양한 갈래들, 한 작가가 지은 다양한 갈래의 작품들 등의 관점을 달리하여 바라보는 것은 갈래를 평면적으로 바라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갈래 간의 입체성을 인지하며 개별 갈래 및 작품에 대한 파악, 그리고 심도 있는 수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양한 갈래를 지니고 있지만, 알지 못했던 속악가사를 통해 갈래 간의 입체성을 구축한 것부터 시작을 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작품에 대한 갈래 간의 입체성을 이루고, 본고에서 제시한 기준을 통해 구분해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갈래 간의 입체성에 대한 고려를 제시하여 문학사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본인의 삶과도 연관 지어 생각해볼 수 있고, 이는 문학에 대한 능동적 사고 및 향유로 이어질 수 있다. 갈래 간의 입체성에 대한 인지는 살아 있는 문학을 느낄 수 있게 해주며, 문학사를 활발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고의 방안이 문학사교육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높여 문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미용산업의 인적자원관리 연구

        박상경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경제발전의 새로운 산업구조와 경영모델을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미용산업의 숨은 고부가가치성은 사회경제 발전에 적지 않게 그 역할을 다 하고 있다. 그러나 미용전문인력의 관리는 그동안 분산화 되어온 것으로 그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관리 전문가의 관심이 집중되어야한다. 우리나라 미용산업의 발전을 이끌어온 선구자들은 외국의 신기술 도입에서 외국 미용업계와의 계약으로 미용정보를 국내에 도입하여 미용발전에 이바지해왔다. 또한 국내의 기술을 국외로 선보이는 것으로 사절단의 역할을 하였으며 외국에 미용업을 창업하는 것으로 외화획득에 한 몫을 해왔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인력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경영자들은 인력을 채용 하는 것에 더 많은 정보를 원하고 있으나 그것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미용전문 인력이 근무환경과 외부의 교육을 받을 곳을 우선시 하는 것은 열악한 환경에서의 장시간 근무가 개인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인식되어 젊은 미용전문가들은 복리후생을 살펴본 후 사업장을 선택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행을 창조하고 유행을 보급시키는 곳에서 직무를 행하는 것인 만큼 최신정보에 민감함을 보이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미용전문가들이 흐름에 맞게 교육을 받기에는 경영자의 허락이 요구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보니 상, 하위간의 갈등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미용전문 인력은 계속되는 미(美)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야 하는 기술전문직으로 이를 보충할 수 있는 교육 지원 등이 요구된다. 이들이 추구하는 기술은 고객이 원하는 것으로 사업장의 수익을 증가시키는 것에 크게 이바지하는 중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미용산업의 인력관리를 위한 실태 및 그 문제점을 직무의 일반적 특성, 직무환경별 특성, 복리후생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아직까지 미용인력의 임금에 관한 사항으로 연봉제 도입 및 다양한 보상체제가 미비한 것으로 미용은 젊은 인력들에게 직무에 있어서 기피현상까지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젊은 인력들이 영화사 및 각 방송사 등으로 몰리는 사회적 현상으로 미용인력의 편협 된 시각을 보여주기도 한다. 실력보다는 경력만을 중시하는 일부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미용은 98%이상이 노동조합이 설립되어 있지 않은 데서도 나타나듯이 사실상 노사관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영자들이 인력관리를 위하여 적절한 예산집행 및 계획을 하는 것에 있어서 새롭게 인력관리에 관한 인식을 도입하는 것으로 경영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은 물론 미용인력의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연구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미용산업의 인력자원은 여러 자원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미용산업의 전통적 관습에 의하여 인력을 위한 여러 문제점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발전해 가는 것을 보기에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진다. 미용인력을 기술에 대한 교육 및 경영과 서비스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시키는 것으로 한층 더 발전되는 인력구성으로서 인력관리의 새로운 모습을 보이는 것 또한 산업화시대에 앞서가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인력시장조사는 기업화의 대규모 미용시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인력전문가를 채용하고 있다. 경영능률만을 위하여 인력을 관리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미용인력 관리의 필요성을 상호간에 충분히 인식하고 외부 전문가 집단의 모임으로 인력관리의 새로운 측정방법을 적용시키는 것을 연구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추구해 나아가야겠다.

      • 노후화된 공장 및 주택공간의 상업시설로의 재생건축 계획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매력적이고 독특하게 연출된 공간으로 이용자에게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정서적 충만함을 안겨주어 이용자를 장기적인 체류로 이끌어내는 체험마케팅이 확산되면서 도심내의 노후화된 건축물을 재생하여 기존의 건축물이 가지고 있던 공간요소와 시간적인 가치를 활용해 이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공간계획은 기존 건축물에 쌓인 시간과 공간요소를 건축물에 부여되는 새로운 성격과 하나로 묶어내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공간을 계획하는 것보다 더욱 철저한 사전조사와 상상력을 요구한다. 대형 유휴시설이나 산업시설의 재활용에서도 재생건축의 방법론과 관련 정책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중·소규모 공간의 면적, 구조, 설비 등의 적용에서 차이가 있고 추구하는 재생의 목적과 가치가 달라 그대로 대입하기에는 맞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교무의 노후화된 공장 및 주택공간을 상업시설로의 재생한 사례를 분석하여 재생건축의 계획특성과 디자인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중소규모의 노후화된 공간 재생건축계획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공기업의 지역특화형 ESG경영에 관한 연구: 새만금사업을 중심으로

        박상경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 들어 지구촌 자연환경 파괴 심화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다양하고 복잡한 경제위기 요인에 따른 국제경제의 불확실성 높아지면서 기업을 비롯한 국가의 중장기적 생존 및 영위를 위한 경영전략이 지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는 친환경 경영을 비롯하여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 이행 등 장기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사업 개발 과제에 공공기관의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ESG 추진 및 활성화를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공공기관을 위한 다양한 ESG경영 전략 및 그에 따른 효과성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며 공공기관의 운영은 산업유형 및 목적에 따라 달라지기에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기관 ESG경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중 공기업의 지역특화형 ESG경영 사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기관의 특화된 사업에 대한 ESG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사업을 대상으로 경영전략 및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민간기업 대비 공공기관 ESG 측정 항목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 한국수자원공사(이하, K-water), 한국농어촌공사(이하, KRC),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SLC), 경기주택도시공사(이하, GH)의 지역 연계형 ESG경영 실태 및 새만금개발공사(이하 SC)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공공기관 ESG 측정 항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도출된 ESG 측정 항목에 기초하여, 지역특화형 ESG경영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차원에서 도출된 새만금사업 ESG경영 활성화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활동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하게 탄소중립 도시조성, 환경친화적 건설환경 마련, 수변도시 친수기능 강화 매립공사 시행, 스마트 그린산단 RE100 사업 등 친환경 경영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친환경 관용차 확대, 환경교육 시행, 전기·용수 등의 절약강화 등 녹색경영을 제시하였다. 둘째,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관리체계 고도화, 안전관리등급 평가, 참여형 안전 활동 등의 안전경영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부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공공구매 확대, 공정거래 관련 제도개선, 약소기업 판로지원 등 동반성장 및 중소기업 상생제도 도입, 협력업체 대출제도 시행 등 상생 경영을 제시하였다. 셋째, 지배구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인권경영시스템 인증, 공익신고자 보호체계 강화, 전직원 참여 청렴활동 추진, 공정 계약시스템 구축 등 윤리경영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건설현장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이사회 전문성 강화, 고객 중시 경영 체계화, 기관 경영 효율화 및 재무건전성 제고, 조직 효율화 및 혁신문화 구축 등 거버넌스 혁신을 제시하였다. As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orsens worldwide, and global economic uncertainties increase due to various and complex crises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a management strategy for the mid-long-term survival and operation of companies and countries. The importance of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s emphasized as a practical activ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includ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t governance. In particular, as government agencie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business development projects to build an industrial ecosystem, ESG promotion and activation are required.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n various ESG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ir effectiveness for public enterprises is still insufficient. As the operation of public enterprises varies depending on the industry type and purpose, there is a need for ESG management reflecting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regional specialized ESG management cases of public enterprises and, based on it, discussed ESG development plans for projects specialized for public enterprise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plans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and activation of the Saemangeum Project. To this end, it first analyzes the difference in ESG metrics between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the regional specialized ESG management status of Korean & Housing Corporation(LH), K-water, Korean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SLC), Gyeonggi Housing &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GH) and Saemangeum Development Corporation (SC). Moreover, the derived ESG metrics from such analysis were used to draw information on regional specialized ESG management, and the following is the Saemangeum project ESG management promotion plan in terms of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First, in the environmental aspect, this study mainly suggested carbon-neutral city development, eco-friendly construction, reclamation construction to strengthen the hydrophilic activity of waterfront cities, and RE100, which emphasizes eco-friendly management. Furthermore, it also suggested green management, such as the use of eco-friendly official vehicles, environmental training, and strengthening energy and water efficiency. Second, in social responsibility, it proposed safety management, such as an advanced safety management system, assessment of safety management rating, and participation in safety activities. Moreover, it suggested win-win management, such as mutual growth and the implementation of win-win polic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partnership loans, including gathering opinions of external stakeholders, public purchase promotion, improving policies on fair trade, and support programs for small businesses. Third, in governance, it suggested ethical management, such as the human rights management system, strengthening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promoting integrity activity with all employees, and a fair contract system. Furthermore, it also proposed governance innovation, such as gathering opinions from stakeholders in the construction site,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the board of directors, systemizing management focusing on customers, enhanc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financial soundness,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creating innovatio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