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麗 무늬박이(入絲) 특성 연구

        박민선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8671

        Metal has been applied for its beauty and utility early and has promoted the expansion of the culture of man. The Iron culture in China during the Chin Dynasty has created the inlay. The inlay of metal was transmitted to our country during the Han Dynasty of China. It was particularly popular being called "Ip-sa"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was described the necessaries of life during the Yi Dynasty. Inlay was succeed "Ip-sa-Jang" as ma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78. Koryo Art has been advanced for aristocracy and Buddhism and pattern of the inlay of metal was showen well aristocratism. In the period of Koryo, Inlay of metal was prevalent woodcraft, ceramic craft, textile craft and the paint of Buddhism as well as metal craft and then originated Koryo inlaid celadon. The expansion of Koryo Inlay dated from Buddhism that it was majestic Buddhistic wares by filling the surface of it with patterns gorgeously. The incense burner and ritual ewer are famous for Koryo inlaid remains. Inlay of metal of the incense burner if formative and showen the harmony of colors by using thick and thin silver lines, bronze and black bronze especially pychung-sa's incense burner proportion and shape harmonize with silver inlay. Dragon pattern and grass pattern of Tang wasn't coarse but enough. And scene of waterside pattern's incense burner is beautiful for willow, wild goose, cloud patterns. Therefore incense burner's gravity, generosity and free silver inlay make ourself found that Koryo Art isn't weak and frail. In the period of Koryo, dragon pattern, Chinese phoenix pattern and scene of waterside pattern which is shown lyric Koryo culture are used mainly and yoheedo pattern, various grass patterns and lightning pattern are used as subsidiary patterns. These patterns are mainly Buddhistic patterns because Koryo Dynas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the remains of the inlaid wares are Buddhistic ones. Inlay by beautiful lines is one of the best Koryo Art and show its characteristic clearly. However a study on Koryo Art has been insufficient for its remains which persist in Korea Today are something that is in Koryo's later ye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recognize Korean crafts of the past and transmit our traditional arts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of the Koryo Art. 금속은 일찍부터 그 아름다움과 실용성으로 인하여 인류에게 응용되어 왔으며 인류문화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철기문화의 발달은 금속의 표면을 장식하는 무늬박이{{) 본 연구자가 쓰는 무늬박이란 용어는 입사방법을 뜻하는 말로 한자어 "입사"를 한글용어로 나타낸 말이다. 따라서 입사무늬의 뜻은 "박이무늬" 또는 "실박이무늬"로 쓰고자 하며, 한글풀이용어는 강순형(미술사학, 금속공예)의 도움을 받았다.(入絲)의 창출을 가져왔으며 한반도에는 낙랑군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이후 무늬박이는 고려시대에 "입사"라는 명칭으로 가장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다양한 기법으로 생활용품에 나타났다. 오늘날은 중요무형문화재 제78호 입사장이 지정되어 전통공예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무늬박이가 가장 성행하였던 고려의 예술은 호화로운 귀족 생활과 불교신앙에서 촉진되었으며 무늬박이로 표현된 무늬는 고려시대 상류층을 이룬 문벌귀족이나 승려들의 취향과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고려시대 무늬박이는 금속에서뿐만 아니라 목공예와 도자공예를 비롯한 직물과 불화 등에서도 성행하여 고려의 대표적인 무늬박이청자(象嵌靑磁)의 탄생을 보기도 하였다. 이러한 당시의 전반적인 박이법의 성행은 불교용품의 표면을 공간 없이 화려하게 채움으로써 불구를 장엄한다는 불교신앙에서 발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의 대표적인 무늬박이 유물로는 향완과 정병을 들 수 있다. 향완에 표현된 무늬박이는 굵고 가는 은실을 적절히 혼용하여 조형미를 살리고 있으며, 바탕금속으로 청동과 오동(烏銅) 등을 사용하여 은실과의 색채적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표충사 향완의 완벽한 비례와 무게 있고 든든한 형태는 은실무늬박이의 가냘픈 율동과 극적인 대비를 이루어 독특한 조형미를 창출하고 있다. 표면에 간략화된 미르무늬와 덩굴무늬는 조밀하지 않고 넉넉한 맛이 있다. 또한 물가무늬 향완은 몸에 버드나무와 기러기, 구름 등을 회화적으로 새겨 넣어 향완의 또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향완의 무게있고 기품있는 형태나 여유 있는 은실무늬박이는, 고려미술이 결코 섬약(纖弱)하거나 가녀리다라는 통념을 깨고도 남음이 있다고 하겠다. 무늬에 있어서는 미르와 봉황 등의 권위적 상징성을 지닌 무늬를 비롯하여 고려인의 서정적 분위기를 엿 볼 수 있는 물가무늬가 즐겨 사용되었다. 기타 보조 장식무늬로 여의머리무늬, 각종 덩굴무늬, 번개무늬 등이 장식되었음을 볼 수 있는데 전반적으로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사회가 불교사회인 까닭도 있지만 무늬박이 유물자체가 불교용품이므로 불교적인 무늬들이 새겨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름다운 선에 의한 무늬박이는 고려미술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것으로, 고려적인 특색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예로서 섬세하고 화려한 고려문화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 미술은 지금까지 한국에 남아 있는 것이 고려말에 치우쳐 있어 그 연구가 미흡하였다. 그러므로 좀더 고려미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여 우수한 우리민족의 예술성을 재인식하고 전통공예에 대한 주체를 회복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라고 하겠다.

      • 문화선교로서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박민선 백석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문화선교로서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로 교회음악사역에 대한 역할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교회음악사역을 하는 10개 교회를 사례로 선정하여 문화선교로서의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문헌 연구와 각 교회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의 개인면담과 각 교회 소장 자료 및 신문기사, 잡지 등의 각종 매체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 질문지는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여 연구 주제의 전문가들 세 분을 통해 감수를 받았다. 면담은 2017년 3월 말에서 5월 중순까지 대면 면담과 서면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각 교회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와의 면담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회음악사역의 결과에 대해 유형화하였다. 이것은 교회음악사역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총 59개의 의미 있는 진술에서 14개의 부주제와 9개의 주제로 모아 그것을 3개로 범주화 하였다. 문화선교로서 교회음악사역은 창조질서 회복 및 복음사역으로 음악을 통한 소통의 방식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기독교 문화의 가치를 보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교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교회 내·외적으로 선교와 문화 실천의 장이 되고 있다. 교회음악사역의 질적 사례연구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교회음악사역은 음악선교, 음악교육, 치유와 회복 등의 역할을 하며, 지역적 특성과 교회의 형편에 따라 다양한 사역을 이루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선교로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양적인 부흥을 가져왔다. 현재 군부대 사역, 음반 제작 및 카페를 통한 매체 활용, 국외 음악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선교사역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재정적인 지원을 받고 후원함으로 선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음악교육으로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음악사역의 발전을 가져왔다. 음악교육기관 설립을 통한 음악 및 타분야 전문인, 그리고 음악봉사자 등의 인재 양성과 청소년들이 음악교육을 통해 음악분야에 진학하고 있다. 또한 교회 내 음악전공자와 외부 연주자들에게 무대를 제공해 주고 있다. 참여교회는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 중심으로 음악을 기획하고 있으며, 음악학습을 통해 조화로움과 창조적인 교육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치유와 회복으로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개인뿐만 아니라 교회와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인 및 가정을 회복시키고 교인들의 신앙성장과 단합을 통한 교회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하였다. 또한 참여교회는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통해 관계가 회복되며,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지역문화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세 가지 영역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로 복음을 문화, 즉 음악을 통한 소통의 방식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기독교 문화의 가치를 보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회음악사역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 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선교적인 면에서 교회는 신앙적인 경험이 융합된 음악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음악을 비롯한 종합예술 활동을 하는 문화사역 단체들이 선교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음악교육면에서 교회는 음악관련 기관 및 음악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교회음악사역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또한 교회는 세대별, 상황별로 세분화하여 맞춤식 음악프로그램을 구상해야 한다.셋째, 치유와 회복 면에서 교회는 교회 간 협력 및 지역사회와 해외 공연예술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문화 수준 향상 및 기독교 문화 형성에 일조해야 한다. 이 세 가지 제안을 이루기 위해서는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 그리고 기독음악인과 교회 교인들의 인식 및 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포럼이나 연구 모임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대한 후속제언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음악사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본 연구를 기초로 교회음악사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해 나간다면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발전가능성과 개선점들을 발견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홍보 망을 통해 각 교회의 양질의 음악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church music ministry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To achieve this purpose, 10 churches were selected for researching the documents related to church music ministry as cultural mission, personal interviews of each churches’ senior pastor and church music director, and for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materials in the churches such as articles and journals in papers and magazines. The questionnaires for the interview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supervised by three other experts in this subject.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the end of March, 2017 to around the middle of May, 2017, both face to face and written. Based on the interviews of the churches’ senior pastor and church music director, the results of church music ministry were categorized to see the roles and implications of church music ministry. Among 59 meaningful statements, 14 sub-topics and 9 main topics were stated and categorized into 3 different categories. With communication through music, church music ministry as cultural mission is propagating the values of Christian culture in communities through restoring the order of creation and gospel ministry. Along with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churches, it has become a field of mission and cultural practice within and outside churches. By the result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of church music ministry, it plays the role of music mission, music education, healing and restoration, forming a varitey of ministry in accordance with local attributes and conditions of the chu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music mission, the participating church brought quantitative revival through the church music ministry. Currently, the ministry is carrying out various missions such as military service, music production and media utilization through cafes, and supporting foreign music programs. The church also plays a missionary role by receiving financial support and sponsoring through the church's music ministry. Secondly, as a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ting church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ministry through the church music ministr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usic education institution, music and other field experts and volunteers are cultivating people of talents, and teenagers are entering the music field through music education. It is also providing the stage for music majors in the church and outside musicians. The participating church plans music for the pastor and the music staff and experiences harmony and creative education through music learning. Thirdly, as a healing and restoration, the participating chur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as well as on individuals through the church's music ministry. It restored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formed a sense of community as a church through the growth of faith and unity of the congregation. Also, the participating churches have restor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are helping them form a local culture through their church music ministry. These three areas serve as organic relationships to spread the value of the Christian culture to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gospel as a culture, a way of communicating through mus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activation of church music ministry. First, in terms of musical ministry, the church should develop a music program united with faith experiences. It should also support cultural organizations that perform comprehensive artistic activities, including music, to play a missionary role. Second, in terms of music education, the church should activate its music service through cooperation with music related organizations and colleges of music. In addition, churches should devise customized music programs that are subdivided into categories of generations and situations. Third, in terms of healing and restoration, the church should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ultural standards and formation of a Christian culture through inter-churches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To accomplish these three proposals, forums or research groups should be activated with the need for awareness and education of the pastor and music staff in charge, and Christian musicians and church members. As a follow-up proposal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 First, for systematic study of church music ministry, if we collect material about church music ministry based on this study, we will find possibilities and improvements in church music service. Second, it should provide space to introduce and promote the quality music programs of each church through various public relations networks.

      • 국민건강영양조사(2009-2011) 자료를 이용한 50세 이상 성인의 비타민 D와 골근감소증과의 관련성

        박민선 조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09-2011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성인들의 비타민 D와 골근감소증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50세 이상 성인 6,63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에 의한 X선 골밀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요추와 좌측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근감소증은 DXA로 측정된 값 중 사지의 뼈와 지방의 무게를 제외한 값을 사지근육량(Appendicular skeletal muscle, ASM)이라고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나이, 가구소득,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 신체 체질량지수(BMI), 현재흡연, 최근 1개월 내 음주 여부, 신체활동, 1주일 내 근력운동, 동반질환 개수, PTH를 보정한 후(Model 3) 비타민 D 수준이 감소함에 따라 골감소증, 근감소증과 골근감소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OR; 1.68, 95% CI; 1.02-2.77 for <10.0 vs.≥30.0, OR; 1.45, 95% CI; 1.02-2.06 for 10.0-19.9 vs.≥30.0; OR, 1.92, 95% CI; 1.11-3.34 for <10.0 vs.≥30.0; OR, 2.28, 95% CI; 1.06-4.90 for <10.0 vs.≥30.0). 이러한 비타민 D 감소에 따른 골근감소증의 증가는 연령대를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모든 연령층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2009-2011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에서 비타민 D가 감소함에 따라 골감소증, 근감소증과 골근감소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osteo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2011).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2011), and participants numbered 10,533 in 2009 and 8,958 in 2010 and 8,518 in 2011 and 27,999 people participated. among them 10,372 people were adults over 50 ages. A total of 6,635 were analyzed, excluding 3,296 people who did not examined bone density and 441 people who did not perform blood tests. Result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such as the sex,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sidence, smoking, physical activity, muscular strength exercise(per week) and number of morbidity, the decreased level of vitamin D was associated with osteosarcopenia in femur neck, sarcopenia and osteosarcopenia in Korean adults 50 years old and over. Conclusion: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201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osteosarcopenia as vitamin D decrease in Korean adults 50 years old and over. Keyword: Osteoporosis, Sarcopenia, Osteosarcopenia, Vitamin D, 25(OH)D

      • 혈액투석 대상자의 직장생활 경험

        박민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은 사구체 여과율이 5% 이하로 떨어진 상태(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ASN], 2007)로 비가역적으로 신장기능이 감소하여 결국은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해야 하는 질환이다(이범경, 2007). 혈액투석은 말기 신질환 대상자의 치료와 생명연장에 도움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치유법이 아니라 신장기능 대치방안으로 1주일에 3 ̴4회씩 평생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므로 투석치료를 하면서 직업을 유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인 혈액투석 대상자가 느끼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투석치료와 직장생활의 적응과 병행를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말기 신질환 진단을 받고 경기도의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개인병원에서 혈액투석 치료와 직장생활을 병행하며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8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11월 18일부터 2009년 5월 20일까지었으며, 자료수집방법은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최소 40분에서 최대 1시간 10분이었다. 녹음된 자료는 면담자가 듣고 직접 필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보충 질문이나 보완을 위하여 모든 참여자에게 2차 면담을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Colaizzi(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혈액투석 대상자들이 투석치료와 직장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본질적 의미는 ‘직장생활은 생계유지의 수단임’, ‘직장생활을 통해 위축된 자존감을 회복함’, ‘일보다 건강이 우선’, ‘직장생활 유지에 감사함’, ‘대인관계의 폭이 좁아짐’, ‘직장 업무의 효율성이 저하됨’, ‘시간 관리의 어려움’ 이라는 7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혈액투석 대상자들은 투석치료로 인해 대인관계의 폭이 좁아지고, 정기적인 투석치료에 따른 시간관리의 어려움으로 시간의 제약을 받고 있었다. 이로 인해 업무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건강관리에 소홀해지며, 여가생활을 제대로 못하는 등의 사회생활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였지만 직장생활을 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심리적 안정을 찾고, 투석치료로 인해 낮아졌던 자존감을 회복하고, 가족에게 떳떳한 가장으로의 책임감과 가족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직장생활 유지에 감사하면서도 일보다는 건강이 우선이어서 여건이 되면 지금처럼 일과 투석치료를 병행하기 보다는 투석치료만 하고 싶다는 양가감정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혈액투석 대상자들이 직장생활을 갖는 것에 양가감정을 가졌지만 직업은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 아니라 자아 존중감을 회복시켜 주고 나아가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를 회복시켜 주는 역할을 가졌기에 직업은 무엇보다 큰 의미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혈액투석 대상자들이 직업을 갖고 혈액투석을 잘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간호사들은 직장생활을 하는 혈액투석 대상자에 대한 어려움과 고충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혈액투석 대상자들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o help both the treatment of hemodialysis and life at workplace at the same time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u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t workplace of the patients of hemodialysis. The participants of research were 8 male patients of hemodialysis who were treated by hemodialysis in the university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local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for diagnosis of end stage renal disease and having workpla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 with unstructured and open questions from November 18, 2008 to May 20, 2009. The interview was made for 40 minutes ∼ 70 minutes. The recorded materials were directly transcribed by interviewer and the 2nd interview was performed to all participants. The material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presented by Colaizzi(1978) as soon as they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ssential meaning of experience of the patients of hemodialysis in the life at workplace were shown in 7 categories, 14 them cluster and 44 themes. The 7 categories are ‘Life at workplace is the means of living’, ‘To recovering the shrunk self-dignity through life at workplace’, ‘Higher priority than work’, ‘Appreciating the maintenance of life at workplace’, ‘Narrowing width of interpersonal relation’, ‘Inefficient job in the workplace’, ‘Difficulty in time management.' Most patients of hemodialysis think that getting employment solves economic problem and recovers self-dignity and family, social relation as positive role and expresses gratitude in the maintenance of life at workplace. Meanwhile, they conceal the fact that they are treated by hemoialysis to their acquaintances. worrying about the prejudice of patients of hemodialysis, cannot associate with others and thus considerably reduces the width of interpersonal relation for they are not confident of themselves. The job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y suffer difficulty in the time management. Especially, they are react sensitively to health management and show the emotion that higher priority than work and if possible, they wish to dedicate to hemodialysis treatment only. Based on the above result of research, this research suggests as follows. 1. Although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ould understand and search the experience of patients of hemodialysis as company employees, the researcher expects that structured researches are to be done so as to specifically study the method to solve the difficulty of patients of hemodialysis as company employees on the basis of meaningful phenomenon or concept found in this research. 2. The researcher suggests studying how to overcome the aspect of conflict that the patients of hemodialysis undergo in the life at workplace. 3.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provide stress management program and ducational program for health management for the patients of hemodialysis so that they can well maintain treatment of hemodialysis and life at workplace.

      • 漢文散文의 敎材化 方案 : ‘說’을 中心으로

        박민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한문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說’ 교재를 구성함으로써 한문산문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있다. 현행 한문 교과서 산문 단원은 해당 제재에서 무엇을 중점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나 장치들을 제시하지 못하고 오로지 문장의 풀이에만 치중했으며, 문장 풀이나 주제에 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해당 제재를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산문 제재를 자기주도적으로 풀이하고, 주제를 도출하며, 감상할 수 있는 교재화 방안을 ‘說’을 중심으로 마련하였다. 한문산문 문체의 하나인‘說’은‘說理’를 목적으로 하는 글이며, 작자가 본디 말하려는 바(正意)를 부각시키기 위해 다른 사물이나 사건(喩意)을 동원하기도 한다. ‘喩意’를 활용한 ‘說’의 설득 전략은 학습자의 흥미를 끌고 추상적인 이치를 이해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說’은 비교적 편폭이 짧아 全文을 거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문교과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재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고등학교 ‘漢文’ 교육용 ‘說’ 제재를 선정하기 위해 ‘說’의 두 가지 구성 요소인 喩意와 正意에 따라 ‘說’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위계를 설정했다. 이 중 가장 낮은 단계인‘正意와 喩意가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된 경우’를 중심으로 正意와 喩意의 친숙도, 제재의 분량 등을 고려하여 제재 선정의 기준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韓國文集所載 說 作品集』 7권에 수록된 ‘說’을 검토하여 총 8편의 제재를 선정했으며, 각 제재에 사용된 설득 전략과 주제, 한문교육용 제재로서의 가치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比喩, 對比, 主客對話法과 같은 설득 전략이 학습자에게 다소 낯설고 어려울 수 있는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임으로써 한문교육용 제재로서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제재의 구체적인 학습내용 및 절차는 학습과제 분석을 통해 마련했다. ‘說’제재 학습을 통해 반드시 달성해야 할 목표를 ‘說의 주제와 설득 전략을 파악할 수 있다’까지로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 단계를 ‘說의 문체적 특징 이해하기’, ‘제재 읽기’, ‘설득 전략 및 주제 파악하기’로 설정했다. ‘심미적 향유’를 장려하기 위해 ‘감상글 쓰기’도 학습과제에 추가했으며, 각 단계에 필요한 하위학습과제들은 ‘說의 학습과제 분석표’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각 학습과제를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문제 상황 해결해 보기’, ‘예측하기’, ‘앙케이트/질문표’, ‘비계설정’, ‘구조 분석법’, ‘그래픽 조직자’, ‘비교 학습법’,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학습활동을 구안했다. 각 제재는 하나의 소단원으로 구성하되, 1·2차시로 나누고 각 차시의 교수·학습의 과정에 맞게 학습목표, 작자 및 출전 소개, 학습과제별 학습활동, 평가문항을 배열했다. 또한 학습에 대한 책임을 학습자에게 점진적으로 이양시키기 위해 설득 전략 및 주제를 파악하는 학습활동의 비계 제공 수준에 따라 6개 소단원의 위계를 설정하고, 여기에 대단원 도입부와 정리부를 첨가하여 대단원을 구성했다. 이 중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대단원 구성의 실제를 살펴보았으며, 대단원 전체와 나머지 소단원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說’ 제재 선정의 기준과 설득 전략 및 주제 파악 과정, 감상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했으며, 다른 제재와의 연계학습을 통해 주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교수·학습 과정에 따른 학습활동 중심의 교재를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철저히 배려한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說’ 교재가 고등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한문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합병시 소멸법인 개인주주의 조세회피방지에 관한 연구

        박민선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urrent personal income tax system is a tax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elements of taxation as a general taxation system based on the progressive tax rate. Age-related dividend income is taxable for comprehensive income and capital gains for stocks are subject to separate taxation. The tax neutrality of the two incomes is quite lacking. In addition, the current merger tax system has the exception of ex post taxation for the deferred agenda dividend income of the shareholders who have died after the merger and acquisition, and is subject to taxation as agenda dividend income only if the surviving corporation transfers capital to some merger gains after the merger. In other cases, there is no provision in place, and post-taxation is not justified for deferred income of shareholders who are extinct after the merger. However, after the merger, the shareholders of the extinction corporation are taxed as the capital gains of the shares at the time of disposal, and the deferred agenda dividend income part of the qualifications is taxed as the income classification of the stocks is changed to the capital gain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large-scale stockholder's entrance to the extinction corporation, the tax dividends of the agenda dividend income deferred through the eligible merger under the current tax law can be greatly reduced by dividing the income classification into stock transfer income when disposing of the stock, or if the stock is retained without disposing of the stock If so, a tax plan that can permanently avoid the details of the unrealized gains from the merger i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centives of tax evasion and specific tax evasion tax plans in the merger under the current taxation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largest shareholder of the extinction corporation (succession), while actually appearing as a tax evasion tax plan. By analyzing the cases, the tax evasion tax plan is still in effect, and legislative supplementation is urgent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The tax avoidance by changing the first individual shareholder's income classification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tax evasion of individual shareholders during the merger,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taxation method of taxing all unrealized profits of individual shareholders of the extinction corporation due to the merger as dividend income As a fundamental solution, the tax system is designed to increase tax neutrality between the two incomes. Secon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dividendable income under the tax law, the structure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agenda-based dividend income based on shareholders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is changed based on the taxable dividend income of a corporation (extinction corporation). Third, with regard to the taxation deferral requirements of the merger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the preliminary project objectives deliberation system is introduced and additional requirements for changes in equity relationships between shareholders are additionally prescribed. Fourth, with regard to the post-taxation of shareholders of the extinction corporation after the eligible merger, the surviving corporation is obliged to succeed and follow up the capital composition of the extinction corporation. 주식의 배당·양도소득은 주주의 의도대로 소득 구분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두 소득간 가역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가역성이 존재하는 두 소득간에는 세제중립성이 유지되어야 소득 구분의 변경에 따른 조세회피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개인소득세제는 누진세율에 의한 종합과세를 원칙으로 분류과세의 요소를 반영시키고 있는 과세체계로서 의제배당소득은 종합소득과세대상이고 주식양도소득은 분류과세대상으로 과세방법과 적용세율의 차이로 인하여 두 소득간 세제중립성이 상당히 결여되어 있다. 또한 현행 합병세제는 적격합병이후 소멸법인 주주의 이연된 의제배당소득에 대한 사후과세가 존속법인의 일부 합병차익을 자본전입 하는 경우에만 의제배당소득으로 과세하도록 예외규정을 두고 있을 뿐이고 그 이외의 경우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적격합병이후 소멸법인 주주의 이연된 소득에 대해서는 정당하게 사후과세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다만 적격합병이후 소멸법인 주주가 주식처분시 주식양도소득으로 과세하고 있어 적격합병시 이연된 의제배당소득부분이 주식양도소득으로 소득 구분이 변경되어 과세되고 있다. 결국 현행 주식의 두 소득세제의 차이와 현행 합병세제상 적격합병이후 소멸법인 주주의 사후과세를 위한 규정의 미비를 동시에 고려하면 합병의 적격 여부에 따라 소멸법인 개인주주간 조세형평성이 상당히 훼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주를 중심으로 현행 세제하에서 합병시 소멸법인 개인주주의 조세회피유인과 세무계획유형을 우선 살펴보았고 특히 소멸법인의 대주주입장에서는 적격합병을 통해 이연된 의제배당소득부분을 주식처분시 주식양도소득으로 소득 구분을 변경시켜 자신의 세부담을 크게 줄일 수도 있고 만일 주식을 처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한다면 합병으로 인한 미실현이득의 세부담을 영구히 회피할 수도 있는 세무계획이 충분히 가능하다. 지배주주(소멸법인 최대주주)입장에서 경영권의 강화(승계)목적을 달성하면서 자신의 세부담을 최소화하려고 적격합병을 이용한 세무계획으로 보이는 실제 합병사례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해당 합병의 적격여부에 따른 소멸법인 지배주주의 세금을 추정한 선행연구의 결과치를 비교하여 적격합병을 통한 조세회피의 유인이 상당히 있음을 확인했다. 시급한 문제는 현행 세법의 해석상 합병당시 과세이연요건을 충족하기만 하면 별도의 조세회피의도에 대한 검토 없이 적격합병으로서 과세특례를 적용하는 점과 적격합병이후 소멸법인 주주의 이연된 소득에 대한 사후과세규정의 미비로 인하여 합병시 소멸법인 개인주주의 이러한 세무계획은 여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합병으로 인한 소멸법인 개인주주의 미실현이익을 전부 배당소득으로 과세하는 현행 과세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합병시 소멸법인 개인주주의 조세회피를 방지하고 조세형평성에 부합하는 개괄적인 개선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식의 두 소득간 가역성이 존재함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두 소득간 세제중립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세제를 설계하는 것이 소득 구분의 변경을 통한 개인주주의 조세회피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둘째 미국의 입법례인 누적배당가능이익과 같은 세법상 배당가능이익의 개념을 도입하여 합병이나 주식소각으로 인한 주주의 의제배당소득금액의 계산구조를 현행 소득세법상 주주기준이 아닌 법인(소멸법인)의 세무상 배당가능이익을 기준으로 변경하여 배당의 개념에 부합하는 개인주주의 의제배당소득금액이 결정되도록 한다. 셋째 과세관청은 기업들이 합병을 실행하기 전에 합병시 사업목적요건에 대한 심의제도를 두어야 한다. 특히 세무행정관점에서 합병으로 인한 세금효과 등을 고려하여 심의대상 합병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합병당사법인에게도 사전 심의제도를 신청하여 기업입장에서 합병시 과세를 예측가능하도록 하여 추후 조세분쟁으로 인한 불필요한 기업자원의 낭비를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현행 합병시 소멸법인 주주의 과세이연요건은 간접적으로 규정되어 과세이연 여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합병시 소멸법인 주주의 과세이연요건을 세법에 명확하게 규정한다. 또한 합병시 과세이연요건이 경제적 실질의 변화가 없음을 제대로 판단할 수 있도록 지분의 연속성 요건에 주주간 지분의 변동에 대한 기준을 추가로 마련하여 경제적 실질에 따라 과세특례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소멸법인 법인주주의 개인주주에 대한 지분의 변동에 대해서도 고려하여 판단하도록 규정한다. 넷째 적격합병이후 소멸법인 주주과세가 이연된 경우에는 세법상으로 마치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취급하여 소멸법인 주주가 자본을 돌려받자마자 그것을 다시 존속법인에 납입하고 신주식을 받은 것으로 취급하여야 나중에 이연된 소득금액을 재계산해서 정당하게 사후과세할 수 있다. 따라서 적격합병시 장부상의 금액과는 별개로 세법상 소멸법인의 납입자본을 그대로 존속법인에게 승계시키고 소멸법인 주주의 미실현이익의 과세계기가 발생하는 경우 존속법인에게 사후관리의무를 부여하여야 한다. 만일 소멸법인 소액주주들까지 사후과세를 위한 사후관리의무를 규정하면 세무행정상 어려움이 상당히 예상되기 때문에 주식비율이나 주식금액기준 등으로 적격합병의 경우 존속법인의 사후관리대상을 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 글로벌 해운물류에서 공간연산을 이용한 GPS 기반 컨테이너 위치 추적

        박민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해운을 통해서 원자재와 제품의 운송, 배송, 보관에 관련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해운물류 주체는 화물의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물류계획 수립, 화물의 관리, 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한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서 물류활동을 통제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끈김없는(seamless) 물류 가시성이 필요하다.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GPS 관련 무선통신 기술은 전 세계로 위치 가시성과 추적성, 이동성을 확장하고 끈김없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기존의 해운물류 위치추적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시 수많은 물류거점을 기반으로 동적인 위치 정보를 잘 표현해 주지 못하고 있다. 해운물류에서의 주요 물류거점 공간은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컨테이너 터미널, 항만, ICD 같은 경우에는 화물이 특정 Gate를 통과해야 공간 안에 들어가는 위상 관계가 성립한다. 이와는 달리 해역, 도로와 같은 위치타입은 Gate가 없고 공간의 임의의 선분을 통과함에 따라 화물과 물류거점 사이에 'IN', 'OUT'의 관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운물류에서 물류거점의 두 가지 타입의 Gate가 있는 경우, Gate가 없는 경우를 고려한 공간연산을 이용하여 글로벌한 수많은 물류거점 이동을 추적하는 GPS 기반의 동적인 위치추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해운물류의 경우 화물 컨테이너 운송에 대한 전체 일정이 약 수일에서 길게는 3개월 이상 소요된다. 그리고 화물이 이동하는 글로벌 물류거점의 수는 수백에서 수만 개가 될 수 있다. 장기간 수많은 물류거점에 대하여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간연산을 할 경우 통신비용 및 위치 측정 연산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여 위치추적을 실행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기 위한 위치추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육상 운송, 육상에서 항만 터미널로의 진출입, 항만에서 해상으로의 진출입에 대한 다양한 위치추적 상황을 제시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결과를 통해 입증하였다.

      • 청년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이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세대갈등인식의 매개효과

        박민선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과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의 관계에서 세대갈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차별을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2018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의 조사도구와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20-39세의 청년층 346명, 만 40-64세 중장년층 487명으로 총 833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청년집단과 중장년집단에서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차별인식 수준 모두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고, 연령집단별로 살펴봤을 때 노인차별행동은 중장년층이 더 높고 노인차별인식은 청년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집단과 중장년집단 모두 사회적고립은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차별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타인과의 상호 간 관계가 약화되고 정서적 친밀감을 느끼지 못할수록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과 차별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고립과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및 인식의 관계에서 세대갈등인식이 사회적고립과 차별행동 및 인식 간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에 비해 중장년층의 차별행동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고려하여 연령집단의 특성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집단, 중장년집단에서 사회적고립과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사회적고립을 해소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세대갈등인식은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자 사회적고립과 노인차별행동 및 인식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세대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세대 간 협력과 상호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세대 집단 간 수용적이고 포용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회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isolation of young and middle-aged generation affects perception and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whether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ct 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found, the study suggests ways to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promote social integration. For the study, research tools and results of the “2018 Ages Integration Survey”conduc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SSK) under the fund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used.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346 young adults aged 20 to 39, and 487 middle-aged adults of 40 to 64 living in 15 regions of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egree of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against the elderly of both young and middle-aged i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By age group, discriminatory acts against the elderly is found to be higher among the middle-aged adults. On the contrary, discriminatory perception on elderly is higher among the young. Secondly, a posi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perception and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is found in bo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aker one’s social ties and intimacy are, the higher his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are.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against the elderly, was partly examin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o begin with, considering the result that the level of discriminatory behavior among middle-aged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 people, support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age groups needs to be made. In addition, a positive relation of social isolation and perception and act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was found in the study. Thus, an intervention to ameliorate social isolation is in need. Furthermore, a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a factor effecting discriminatory perception and acts on the elderly, as well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Therefore,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must be implemented. Finally, social effort to increase intergenerational harmony as well as social trust will be necessary.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유형별 학습동기 특성과 동기유발소재

        박민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하위유형인 혼합형과 부주의우세형 아동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특성 그리고 학습동기를 살펴보고 동기유발소재(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ADHD 집단과 비교집단인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DHD 집단은 다시 혼합형과 부주의우세형으로 분류하였다. ADHD 집단(N=42)은 소아정신과 전문의의 소견에 의해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을 어머니와 교사가 작성한 한국판 ADHD 평가척도(K-ARS)를 통해 ADHD 하위유형(혼합형과 부주의우세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비교집단인 일반아동 집단(N=22)은 눈덩이 표집방식으로 선정하여 부모, 교사용 K-ARS 점수에서 모두 정상범위에 속한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집단선별을 위한 기초검사를 위해서 DuPaul(1991)의 ADHD 평가척도(ADHD Rating Scale)를 김영신, 소유경, 노주선, 최낙경, 김세주 그리고 고윤주(2003)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ADHD의 원인 중 정신지체에 의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전체 아동에게 지능검사(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Ⅲ)를 실시하였고, 그 중 전체지능이 75이하인 아동은 제외하였다. 그리고 ADHD 이외의 다른 행동, 정서적 문제의 공존여부는 Achenbach와 Edelbock(1983)의 아동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를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그리고 하은혜(1997)가 표준화한 척도의 어머니 보고를 통해 파악하였다. 한편, 집단 간 학습동기 측정을 위해 Stinnett와 Oehler-Stineet(1992)의 부모, 교사용 학습동기 검사(Teacher/ Parent Rating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를 남궁선(200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동기유발소재는 Harter(1980)의 교사가 평가하는 내재적, 외재적 성향 척도(Intrinsic vs Extrinsic Orientation in the Classroom)를 백영실(1992)이 번안하고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산출하기 위해 빈도분포 및 백분율과 χ² 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아동선별을 위한 기초평가로는 평균, 표준편차와 일변량 분산분석(ANOVA) 및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t검증을 수행하였다. 일반아동과 ADHD 하위유형 간 학습동기와 동기유발소재를 비교하기 위해 지능과 학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사후검증으로 판별분석(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모든 분석과정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이하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선별을 위해 시행한 한국판 ADHD 평가척도의 어머니와 교사 보고 모두에서 ADHD 혼합형에 속하는 아동은 과잉행동-충동성 요인과 부주의 요인 모두에서 K-ARS 기준점 이상의 어려움을 보였으며, 부주의우세형 아동은 부주의와 관련된 행동특성에서만 일반아동과 구분되는 행동문제를 나타냈다. 이는 집단분류를 위한 가정과 일치하는 결과로, 본 연구에서의 집단분류가 타당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지능검사에서는 ADHD 하위유형 간 차이가 없었고, 문제행동 중 내재화 문제행동에서는 집단 차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외현화 문제와 총 문제행동 점수에서는 ADHD 혼합형 아동들이 일반아동이나 ADHD 부주의우세형 아동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각 집단 아동의 지능과 학년을 통제한 상태에서 집단별 학습동기 특성을 살펴본 결과, ADHD 아동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습동기가 낮았으나 ADHD 하위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사후검증 결과 학습동기의 하위요인 중 일반아동 집단과 ADHD 집단을 구분하는 판별력은 학업관련 인지기술, 숙달감, 학업과제완성, 경쟁과 협동기술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수행결함 뿐 아니라 인지기술의 결함이 ADHD 아동의 낮은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셋째, ADHD 각 하위유형별 동기유발소재는 지능과 학년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일반아동집단은 내재적 요인에 의해, ADHD 집단은 외재적 요인에 의해 동기화되었다. 또한 ADHD 하위유형에 따라 학습동기유발소재의 하위요인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ADHD 혼합형 아동들은 부주의우세형 아동보다 어려운 과제를 회피하고 쉬운 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고, 학습상황에서 자신이 얼마나 잘하고 못했는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스스로의 판단보다는 교사의 피드백이나 성적표 등의 외재적 준거에 의존하려고 하였다. 반면, ADHD 부주의우세형 아동들은 과제 자체에 대한 흥미보다는 교사의 칭찬을 받거나 좋은 점수를 획득하고자 학습에 임했으며, 과제 선택 시 독자적인 판단보다는 교사나 부모에게 의존하려는 성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ADHD를 하위유형으로 나눠 혼합형과 부주의우세형 집단 각각의 학습동기와 동기유발소재를 밝힘으로써 ADHD 아동을 위한 개별 중재 프로그램 수립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academic motivation and motivational styles(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among children with ADHD 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ADHD-PI), ADHD combined type(ADHD-C) and comparison controls. Participants who had previously received a clinician's diagnosis of ADHD were also required to meet diagnostic criteria on K-ARS(Korean ADHD Rating Scale) by mother and teacher's reports. And comparison controls were not exhibiting atten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Participants were 64 children with age of 8~13, including 22 non-diagnosed comparison controls, 23 who met criteria for the ADHD-C, and 19 who met criteria for the ADHD-PI. All participants scored 75 or above on the K-WISC Ⅲ(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Ⅲ) IQ estimate. K-ARS, K-WISC Ⅲ and K-CBCL(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were used as screening tests. To assess the academic motivation and motivational styles, mother and teacher completed the T(P)RAAM(Teacher/Parent Rating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eacher reported Intrinsic versus Extrinsic Orientation in the Classroom scale. For statistical analysis, multivariate analyses of covariance(MANCOVA) were conducted using IQ and sex as a covariat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 the core deficits(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impulsivity) of the ADHD, the ADHD-C group had significant higher rates of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scores. However the ADHD-PI group obtained higher attention deficit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both ADHD-C and ADHD-PI subtypes had significantly lower IQ scores than comparison controls. K-CBCL results revealed that ADHD-C groups had significant higher rates of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Second, both types of ADHD children showed lower than control group on every aspects of academic motivation. ADHD groups were less motivated than controls as reflected by their having lower self-expectation, being less persistent and more easily discouraged, showing a preference for easy work. Especially, academic-cognitive skills were the lowest. Third, the ADHD-C and ADHD-PI children were rather motivated by the extrinsic style. Some motivational style differences between ADHD subtypes were found; the ADHD-C group more motivated by easy work and a greater reliance on external than internal standards to judge their performance. However, ADHD-PI group was more passive in their learning styles and less likely to complete assignments independently. The contributing role of motivational deficit to the generally poor academic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ADHD is discussed, along with potential intervention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