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문선경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 개인의 실천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관여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이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석사 과정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 176부, 온라인 119부 총 295부를 회수하였고 이들 중 불성실한 자료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우연기술의 5가지 하위변인(호기심, 유연성, 인내심, 낙관성, 위험감수)은 모두 진로관여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하위요인 중 ‘호기심’이 종속변인인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문제해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은 모두 진로관여행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과 ‘직업정보’가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업환경을 고려하여 상담전공대학원생의 현재와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적응력이 중요시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미래의 상담전문가가 될 전공생들의 진로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인지와 동기 및 행동적 차원의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연구한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이 초심상담자인 상담전공생에게 자신과 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행동적 변인인 진로관여행동을 높이기 위해 상담전략 및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 분기별 교우관계 유형 및 형성요인 분석을 위한 웹기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문선경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 시간을 학교라는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래서 학교를 제2의 가정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학생들이 교육의 장인 학교에서 교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사회관계적 기술을 배우고,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급’이라는 소단위를 기준으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생활지도와 교우관계를 통한 학생 개인에 대한 이해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교우관계 조사가 보다 세부적·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조회시간 또는 종례시간과 같은 짧은 시간에 단편적으로 수행될 수밖에 없는 교육 현실 때문이다. 또한 시간적인 제약과 보안문제에 따른 학생들에 대한 정보수집방법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담임교사의 교육지도와 행정업무의 병행으로 인한 업무 부담 때문에 실질적인 교우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우도를 작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학교의 실정에 맞고 교사의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여 사회성 측정법에 기반한 온라인 교우관계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분기별로 학생들의 교우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교우관계유형과 교우관계형성요인에 영향을 주는 교우선택요인과 교우배척요인을 분기별로 분석함으로서 담임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개발한 온라인 교우관계 분석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을 위해서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2학년 1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우관계유형과 형성요인을 분기별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웹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도입으로 교우도 자료조사의 시간적제약과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교우관계 유형별 분석으로 인기형, 배척형, 고립형, 일방형, 상호선택형, 상호배척형으로 분류함으로서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 예방 등의 교우관계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영향을 주는 교우선택요인과 교우배척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학생들의 교우관계 문제요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분기별로 교우관계요인을 분석함으로서 교우관계의 변화상황에 따라 학급 구성원들의 내부구조와 학생 상호작용과 학생 개개인의 적응도를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업무부담으로 인한 자료처리 부담을 줄이고 교우관계지도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조사한 결과 90%이상의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연구 기법과 관련해 향후 교우관계분석시스템의 다양한 분석방법의 연구와 제안한 시스템을 학부모와의 연결시스템으로 활용하는 등의 다양한 적용 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할 경우 보다 유용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udents spend most of time in school, and that's why school is called a second family. They interact with classmates in school, a place of education, to acquire interpersonal skills and build their ego-identity as a member of society. So it's crucial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udents by providing counseling and guidance and by looking into their peer relationship in a small space called 'classroom,' However, the peer relationship of students hasn't yet been investigated in an accurate or efficient manner. As a matter of fact, there's no way to do that other than merely observing them during just a short period of time in morning or evening classroom meeting. Another cause is time constraints, and it's not easy to collect information on students for security reasons. Furthermore, homeroom teachers are subjected to handling heavy work including academic guidance and administrative job, and that hardly allows them to grasp the peer relationship of students and to make a peer-relationship dia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peer-relationship analysis program tailored to fit into school circumstances and teachers' needs by applying sociometry. It's additionally meant to examine the peer relationship of students four times during a semester, to check into the type of their peer relationship and what made them choose or reject particular peers in each period, and to provide homeroom teachers with informative inform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juniors in class 1 of Cheonan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The kind of their peer relationship and what affected their peer relationship in each period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an online peer-relationship analysis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web-based system made it possible to draw up a peer-relationship diagram without being pressed for time and without being concerned about security problems. Second, there appeared several types of peer relationship: popular, isolated, general, mutual choice and mutual rejection types. The categorization of peer relationship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and to offering better guidance about peer relations. Third, what caused them to choose or reject specific peers was analyzed, which had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 That could serve to find out about what interpersonal problems students are faced with. Fourth, the quarterly analysis of peer relationship would make it possible to keep track of possible changes in students' peer relations, and their adjustability and mutual interaction could be grasped. Finally, whether the system contributed to scaling down the workload of the teacher and to enhancing his guidance about peer relations was checked, and the teacher favorably responded for the most part. If future research efforts are directed into developing a wide variety of peer-relationship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and applying them in diverse ways like seeking cooperation from parents, better results will be produced.

      • 루이스 체스 말로 중세 유럽 알아보기

        문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급변하는 시대에 발맞춰 교육의 내용 및 학습 방법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는 가운데, 역사교육에서는 학습자를 적극적인 참여자로 이끌 수 있는 수업의 개발과 다양한 교재 활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단순히 역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이를 토대로 현대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유물 활용 수업을 제안할 수 있다. 유물은 과거와 현재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효과적인 역사 교재이다. 유물을 활용한 역사 수업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지식 전달식 수업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교과 진도상의 문제 등으로 정규 교과 과정에서는 활용의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속 역사 동아리에 주목하여 유물을 활용한 역사 수업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유물은 12~13세기경의 중세 유럽 사회를 대표하는 루이스 체스 말이다. 체스는 발명된 이래 끊임없이 사회를 반영한 거울의 역할을 하였다. 루이스 체스 말을 통해서는 중세 유럽의 신분제 사회, 기독교 사회 그리고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상류층 여성의 정치 참여 등을 살필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체스의 기본적인 ‘규칙과 특징’을 정리하고, 루이스 체스 말의 ‘유물적 특성’ 및 ‘중세 유럽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학계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토대로 루이스 체스 말을 활용해 중세 유럽 사회를 파악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에서는 학생 스스로 우리 사회를 반영한 체스 말을 제작해보는 활동을 통해 현대 사회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후에는 학생들의 정리 노트와 활동 결과물을 분석하고 학습 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하여 수업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루이스 체스 말을 활용해 중세 유럽 사회의 신분제 사회, 기독교 사회, 상류층 여성의 정치 참여 등을 이해함으로써 학습자가 흥미롭게 중세 유럽에 대한 배경지식을 학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 내용을 실제 우리 사회에 적용해보는 활동을 통해 역사 교육의 적용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eping up with rapidly changing era, various approaches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s are required. In the history education,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essons that can lead learner as active participants and use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is required. Therefore, beyond the acquisition of historical knowledge by the learner, move to understand the modern society and to predict the future based on this are important. As an effective way to achieve this, a lesson to utilize relics can be suggested. Relics are effective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narrow the distance between past and present. Historical lessons using relics have already been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knowledge transfer class through a lot of research. However, due to problems in the progress of the curriculum, it is a reality that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curriculum. Thu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develop the history lesson using relics by paying attention to history clubs in high school creative activities. The relics used in the research were the Lewis chessmen which represent the medieval European society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Since the invention of the chess, it has always played a role in reflecting the society. Through the Lewis chessmen, the hierarchical society of medieval European, Christian socie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upper class women who were relatively active compared to other regions can be examined. To this end, first, the researcher summarize the basic 'rules and features' of chess, and examine the scholarly research on the ‘materialistic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with medieval European society' of the Lewis chessmen. Based on the research, developing a lesson plan to understand the medieval European society using Lewis chessmen and the lessons were held. In the class, through the activities of making chess pieces that reflect our society by students themselves, and they tried to understand and analyze modern society. After then, by analyzing the students' notes and activity results and confirming the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s,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verifie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background knowledge about medieval Europe, through the learning the hierarchical society of medieval Europe, the Christian society an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upper class women by using Lewis chessme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s able to achieve the application goal of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activities that apply contents of learning to our society.

      • 망막앞막 박피 시 제거된 조직의 내경계막 유무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문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Epiretinal membrane (ERM) is an avascular cellular membrane over the macular area occasionally causes metamorphopsia or visual disturbance. Since the 1970s, pars plana vitrectomy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membranes and good visual outcome can be achieved in many case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after ERM peeling. The surgical specimens following ERM surgery were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were classified only ERM (ERM group) and ERM contained ILM (internal limiting membrane) fragments (ERM+ILM group). Change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welve of the 22 specimens had only ERM (ERM group) and ten of the 22 specimens had the proportion of ILM within ERM (ERM+ILM group). In both group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improved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decreased postopera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s of preoperative and las26t follow-up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in group A. Recurrent ERM developed in each one case of both groups. In conclusion, ERM peeling without a damaged ILM appears to have favorable visual and anatomic outcomes. 망막앞막은 망막 뒤틀림으로 인하여 변형시와 시력 저하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망막의 여러 층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앞막제거술 시 박피된 조직의 내경계막 유무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박피한 생검조직을 투사전자현미경 검사를 통하여 망막앞막만 제거된 군과 망막앞막과 함께 동시에 내경계막도 일부 제거된 군으로 분류한 후,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변화 및 중심황반두께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망막앞막만 제거된 군은, 술 전 최대교정시력 logMAR 0.454±0.28에서 술 후 1개월째 logMAR 0.354±0.15, 3개월째 logMAR 0.264±0.17, 마지막 내원 시 logMAR 0.246±0.15로 술 전과 비교하여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5). 중심황반두께도 술 전 359.64±97.96 ㎛에서 술 후 1개월, 3개월, 마지막 내원 시 각각 292.17±72.71 ㎛, 269.75±46.79 ㎛, 272.57±53.80 ㎛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망막앞막과 함께 내경계막의 일부가 동시에 제거된 군에서는 술 전과 비교하여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호전과 중심황반두께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망막앞막이 재발한 경우는 각각 1명씩으로 재발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내경계막의 손상 없이 망막앞막만 제거된 것이 술 후 예후가 좋다.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물리적 공간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문선경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 국문초록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물리적 공간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 IT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확산은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인간생활의 다양한 변화와 함께 개개인의 새로운 생활양식을 창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생활양식의 변화는 개개인의 생활을 담는 공간에 대한 변화를 야기 시켰다. 그 변화는 기존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유동적 공간으로 인간이 어떠한 곳에 위치하더라도 필요에 의해 사용공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그에 따른 공간제어가 가능한 환경에 대한 필요성으로 이어졌다. 사용자에 의해 언제, 어디서나 제어 가능한 물리적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 컴퓨터, 물리적 공간 간의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인간과 기계간 상호소통만(communication)을 고려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언제, 어디서나 제어 가능한 물리적 공간구현을 위한 공간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쉽게 공간정보를 검색,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공간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과 전자공간의 개념 및 특성을 사용자가 자신이 속한 물리적 사용공간을 제어하기 위한 두 가지 요소로 해석하고, 사용자, 물리적 공간, 전자공간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지닌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통한 공간 인터페이스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사용자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물리적 공간제어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물리적 공간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공간을 초월해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한 모습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에 도달하기 위한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 물리적공간은 공간구성요소의 탈 고정화와 공간구성요소 및 사물의 지능화가 필요하고, 전자공간은 물리적 공간과 공간 내 위치하는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공간인식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물리적 공간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에서는 대상 간(사용자, 물리적 공간, 컴퓨터) 발생하는 공간정보의 입․출력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언제, 어디서나 제어 가능한 공간을 위해 인터페이스 대상인 컴퓨터를 같은 전자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목적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안한다. 셋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물리적 공간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달과정과 사양에 의해 표현되어 질 수 있는 공간정보표현 GUI를 디스플레이 방식 및 정보입력방식, 입력도구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제시한다. 넷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공간정보표현 GUI는 1차원적인 문자와 음성사용의 Text 기반방식과 2. 3원차적 방식인 2D, 3D기반 방식으로 분류한다.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 인터페이스 방식은 1차원적 방식인 Text기반과 2차적 방식인 2D(평면적 그래픽)중심으로 발달되어 왔다. 이와 같은 발달과정을 통한 앞으로의 유비쿼터스 환경은 1. 2차원적 방식을 기반으로 실제의 사용공간과 가장 흡사한 모습을 구현하는 3차원적 3D기반 GUI방식의 사용으로 사용자에게 직감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이다.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인간의 요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맞아 그 범위가 시공간을 초월한 공간사용으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 인간과 컴퓨터, 뮬리적 공간 간 상호 소통하는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 제공으로 앞으로 구현될 유비쿼터스 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방향성 제공을 바탕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리적 공간정보를 습득, 제어하는 방법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안한다.

      • 백병동 해금작품 분석연구

        문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methods of Paik Byung-dong's haegeum compositions. The musical characteristics—both those shared by all his works and those of each work—are considered. The performance methods examined in this dissertation focus on the ways of fingering and bowing.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 of Paik Byung-dong’s works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those from the period before haegeum compositions appeared are based on 'eum saengmyeongnon' (living sound theory) that considers sound as a living being and the exploration of the resonance of sound. From 1998, when haegeum works appeared, to the present, they are expanded as various instrumentations and free forms based on the 'eum saengmyeongnon' have been pursued. Seco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commonly shared by all the haegeum work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structure, rhythm, melody, and traditional elements. Structural commonalities include a single movement form, atonal music, and an arrangement of haegeum solo section, cadence, and ad-lib for a performer's autonomous interpretation. Rhythm is characterized by the pattern of breaking away from being on beats by the shift of accent and the use of ties and tuplets. Commas, as silence, signifies 'soundless sound' and those placed before and after the phrase create a space. Furthermore, they play various roles including rhythmic functi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development patterns are ‘the use of identical and adjacent tones’, ‘the use of the various ways of making a sound from a single note’, ‘the contrast pattern’, and ‘the counterpoint pattern.' In addition, traditional elements are used in various ways in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Sigimsae (ornamental expressions) such as chuseong, toeseong, and yoseong are expressed using the main western technique, or glissando. A 2nd and a 4th, the intervals of traditional music including breaking tones and ornamental tones, have been reinterpreted as a minor 2nd and an augmented 4th in a modern way. Through these, the aesthetic elements of traditional music are embodied. Thir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instrumen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ing notes, the use of a tonic and primary tones, and the ways to make a sound from a single note. His haegeum works are characterized by his attempts to encounter various instruments. Various instruments such as yanggeum (hammered dulcimer), jwago (drum), bell, guitar, percussion ensemble, and piano are used along with haegeum depending on the piec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ing note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unison, augmented intervals, and free endings independent of the starting note. The patterns of using a tonic and primary tones are also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using a tonic, using primary tones, and not using both. While “Today, September 1998--From Twisting to Nirvana of Detachment” (1998) and “Empty, Go” (2010), a remake of “Heohaengcho” (1999), use a tonic, “Myeong (冥-Dark) II” (2004), “Un (韻-Rhyme) VII” (2011), and “Whereabouts of Sound” (2016) use primary tones. “Reminiscence of Poor Orfeo” (2016) and “At the Crematorium” (2016), which are rewritten works from the 1960s, do not have a clear tonic nor primary tones. The ways to make a sound from a single note, based on the philosophy of 'eum saengmyeongnon', emphasize the variability of sound. They appear centered on the tonic and the primary tones while they are realized through techniques such as intervals, changes of rhythm and dynamics, glissando, and ornamental tones. They are used in a variety of forms in five works except for “Reminiscence of Poor Orfeo” and “At the Crematorium.” Fourth, fingering and bowing techniques consider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are suggested for effective performance. As for the fingering, it is effective to use the technique of pulling a string to maintain the same timbre when progressing chromatic notes. In the case of a special technique using the fingerings such as glissando and trill, the combination of the fingering methods of lightly pressing a string and pulling a string can realize various feelings of traditional sigimsae and modern expressions. In the case of special playing methods using the bowing techniques such as tremolo and staccato, it is effective to organically combine the elements such as length, speed, pressure, angle, and position of the bow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of the bow.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such organic combinations can realize musical expression suitable for the composer's intention as well as various timbres.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s that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not only utilize the unique timbre and various creative techniques of haegeum, but embody his own philosophy based on the 'eum saengmyeongnon'. Therefore, his works have the mus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have opened up infinite possibilities for haegeum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 It is my expectation that this study could help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and thus perform in a practical way. 본 연구는 백병동 해금창작곡의 음악적 특징과 연주법을 고찰한 것이다. 해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공통적 특징과 작품별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연주법은 운지법과 운궁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병동의 국악작품을 중심으로 작품경향을 살핀 결과 해금 작품출현 이전 시기의 작품은 ‘음 생명론’과 소리의 울림에 대한 탐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해금작품이 출현한 1998년부터 현재까지는 이러한 ‘음 생명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악기편성과 자유로운 형식이 추구되는 경향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해금작품에서 공통적인 음악적 특징은 구조, 리듬, 선율, 전통요소로 설명할 수 있다. 구조적 공통점은 단악장 형식, 무조(無調), 연주자의 자율적 해석을 위한 해금 솔로 구간 및 카덴차, 애드리브 배치가 있다. 리듬은 연음리듬 및 분할리듬의 활용이 특징이며, 붙임줄의 사용을 통해 정박을 벗어나는 양상이 공통적으로 보인다. 특히 쉼표의 의미와 역할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길이의 쉼표를 활용하여 리듬적 요소 외 ‘무음(無音)’, 즉 ‘소리 없는 소리’를 의미하기도 하며, 여백을 창출하는 음악적 효과를 주기도 한다. 선율전개 양상의 공통점은 ‘동일음 및 근접음 활용’, ‘음형의 가변성 활용’, ‘대비 양상’, ‘대위 양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백병동의 해금작품에는 전통요소가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추성·퇴성·요성 등의 시김새는 서양음악 주법인 글리산도를 활용하여 표현되며, 꺾는음과 꾸밈음을 포함한 전통음악의 4도·2도 음정 관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증4도 단2도로 등장시켰다. 이를 통해 작품에서 전통음악의 색채가 드러나도록 하였다. 셋째, 백병동 해금작품의 작품별 음악적 특징을 악기편성, 시작음과 종지음의 관계, 중심음 및 주요음의 활용, 음 구현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백병동의 해금작품은 다양한 악기와의 조우를 시도한 것이 특징이다. 악곡에 따라 해금과 함께 양금, 좌고, 종, 기타, 타악기 앙상블,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었다. 시작음과 종지음의 관계는 동일음, 증음정 관계, 시작음과 무관한 자유로운 종지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음 및 주요음 활용양상 또한 중심음 활용, 주요음 활용, 중심음 및 주요음 미출현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오늘, 1998년 9월-‘뒤틀림에서 超然의 彼岸으로’>(1998)와 <허행초>(1999)의 개작작품인 <비우고, 가고>(2010)는 중심음을 활용한 작품이고, <명(冥)Ⅱ>(2004), <운(韻)-Ⅶ>(2011), <소리의 행방>(2016)은 주요음을 활용한 작품이다. 1960년대의 작품을 개작(改作)한 <빈약한 올페의 회상>(2016)과 <화장장에서>(2016)는 명확한 중심음 및 주요음이 나타나지 않았다. 음 구현 양상은 ‘음 생명론’ 철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음의 변화성을 강조하는 기법을 말한다. 중심음과 주요음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음정 간격, 리듬 및 셈여림 변화, 글리산도, 꾸밈음 등의 기법을 통해 구현된다. <빈약한 올페의 회상>, <화장장에서>를 제외한 다섯 작품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넷째, 백병동 해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연주를 위한 운지법과 운궁법을 제시하였다. 운지법으로는 반음계 진행 시 역안법을 활용하여 동일한 음색이 유지되도록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글리산도와 트릴 등 운지법을 활용한 특수주법의 경우 역안법과 경안법의 운지법을 병행하면 전통적 시김새와 현대적 표현법의 다양한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트레몰로, 스타카토 등 운궁법을 활용한 특수주법의 경우 활의 방향 외 활의 길이, 속력, 압력, 각도, 위치 등의 활의 요소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유기적 결합을 통한 운궁법으로 다양한 음색을 구현할 뿐 아니라 작곡가의 의도에 적합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다. 백병동의 해금작품은 해금의 독특한 음색과 다양한 창작기법을 활용하였음은 물론, ‘음 생명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악기의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해금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그 음악적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백병동의 해금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제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川端康成에 對한 考察 : 「千羽鶴」와 「山の音」 中心으로

        문선경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One of the distinctive fetures of Kawabata's work is the expression of death in his sense of beauty. The human's senses depend on five sensory organs, and he was used to express his feeilng by seeing and hearing among them The color expression was used for visual effect. He made exquisite images with white and black, or with white and red. Through them, he expressed the beauty of purity and the world of illusion. Having read Japanese classics in chidhood, he had learned renunciation and vanity. His character was affected by the sense of beauty of dynastic literature. His lylicism was based on the sense of beauty concerned with Japanese tradition. So, I studied expression of death about renunciation, illusion, feminine beaty, death and nature. KonaKo's beauty on purity in snow country was emphasized by comparision with white and red that he described white snow reflected by mirror in the morning and her rosy cheek, white and red are interesting colors that mean Kawabata' s everlasting love. Death expression about feminine beauty in the snow may be extreme beauty that he want to describe. White black as a result of this study on sense of beauty and color expression. It can be said that, hiis works are "Water-color paintings with Japanese colors" or "old faded color photogra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