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관제도 효율성 제고에 따른 통관 활성화방안 연구 : -주요국 통관제도를 중심으로-

        류승범 조선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rade safety and facilitation is one of the trends and issues in international trade to achieve active flow of products through reasonable and efficient improvement of trade procedure. Each country in the world has automated and simplified customs formalities for trade facilitation and enlargement as it was pointed out that complicated and unnecessary customs formalities disturbed active flow in trade. As trade facilit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of reduced cost in trade both for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most of the countries have joined in the negotiation about it. With 9.11 Terror in 2011 as its starting point, as more emphasis has been put on security in export and import freight for trade facilitation and border protection, much effort and attention have been paid on international logistics security system, and Manifest submission system is recommended for SAFE Framework. According to this trend, as a means of trade facilitation,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program for only companies which are recognized as good companies in faster customs clearance and reduced lead time was introduced and administered. Korea introduced AEO program in 2009 and has improved it to alleviate post-management of authorized companies. Although our trade volume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due to FTA expanding tendency, inefficient and excessiv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have been recognized as a trade barrier. Difference in customs clearance processe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can be recognized as a non-tariff barrier which disturbs trade. Information acquisition in our customs clearance system is easy, but information on the customs clearance system of trading partner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ustoms clearance system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China, Japan, Canada and Australia and compared them to analyse problems of the systems and presented strategies to enhance them according to trade flows as follows: First, global trade volume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expanded FTA, but inefficient and excessiv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are recognized as a barrier which interrupts trade. Therefore,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have made efforts for trade facilitation by minimizing burden and transaction cost caused by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As World Customs Organization(WCO) ratified Revised Kyoto Convention on simplification and balance of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and introduced WCO SAFE Framework as a supply chain security protocol, our country introduced AEO in 2009 to join in the framework according to change in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The AEO system was designed to minimize non-tariff barrier such as unnecessary control and investigation for export-import companies which were authorized as safe and earnest. Therefore, the screening system should be recognized as a means of trade facilitation to achieve fast, transparent and standardized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Second, our country only inspect export goods at the place of loading and the rest of the inspection countries inspect goods at the place of report. Our country alone has an export control system and the U.S. inspects high-risk goods using EIS and ATS-AT programs. Thus, in terms of institutions, our countr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ort-import customs clearance system. Third, the law source of customs offence is customs laws is prescribed in the Customs Laws in Korea, Japan and Canada, and that of the U.S. is prescribed in the Criminal Law. In case when an offence is regarded as grave, our country applies the Law on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for the case which is regarded as grave, but major inspection countries do not have any the law on aggravated punishment although Japan alone has articles on aggravated punishment. Therefore, it should be institutionally improved. Fourth, as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standard values of tax exemption on small sum according to institutions of each country,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m. In our case, simple customs clearance and manifest customs clearance systems are managed for express cargo and simple report and the system of tax exemption on the spot are managed for mails. Major countries have a legal basis in the Customs Law or related acts on express cargo, mails and electronic commerce import. They apply tax exemption standard on small sum regardless of import, express cargo, and mails, but it is suggested that our country should simplify different standards of simple report and small sum range. Fifth, in terms of the law on punishment of customs offence, the punishment standard of Canada and Australia relies on prosecution of law courts, and the rest of countries consider smuggling as a serious violation and impose harsh punishment. However, our country does not impose severe punishment on the customs offence though the Law on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is applied for it. In terms of institutions, our country imposes more limit to export inspection than major inspection countries, but the punishment level of smuggling is the lowest in all the inspection countries. Our country punishes false report relatively slightly and imposes only fines while the U.S. Japan and Canada punish it in imprisonment. For export and import of prohibited goods, as Japan and our country impose imprisonment while the U.S. and Canada break down punishment according to related individual acts rather than the Customs Law it is impossible to compare intensities of punishment. Most of the major inspection countries including the U.S., Japan and Canada are different . Sixth, the present AEO program of our country was designed to enhance control of all the risks that may occur in customs administration including inspection, investigation and customs clearance and facilitate rule observation based on voluntary partnership with all the suppliers. However, as major inspection countries manages the program for security of logistics, it is somewhat different in management and political direction. Our country judges whether customs clearance and cargo safety supervision is legitimate in authorizing AEO program and judging renewal to cut down specified administration expenses and to efficiently utilize the personnel. Major inspection countries have different systems from the AEO program. Seventh, each country except Australia institutionalizes the screening system in the Customs Law, and specifically regulates the origin, the taxable amount, and classification. Specific procedures including expiration period and processing period are somewhat different, but the big framework is similar according to the APEC guideline. The customs clearance system of our country has made considerable political efforts for trade safety, but illegal export is not remarkably decreasing. To compare punishment acts on customs offence between major countries and our country, our illegal export punishment level is relatively low, but the legal and cultural system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country. As reinforcing punishment against illegal export contradicts our export facilitation policy, reinforcing supervision and inspection on the spot is desirable rather than manipulation of punishment level. Therefore, our present act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are well develop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major inspection countries should be maintained and information related to types of illegal export should be collected to control illegal export through enhanced effectiveness, risk contr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on the spot. To enhance customs clearance system, it is divided into customs system and customs related systems. The customs clearance system should develop electronic commerce facilitation arrangements to institutionalize cooperation between national related ministries and international governments, institutions and laws enactment, readjustment of the Customs Law and other measures. The customs related systems are divided into AEO program and the screening system. The AEO system gives benefits to companies authorized, but for companies which do not know the AEO system and are not authorized because of strict authorization standards and cost burden,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necessary: First, trade-related companies should understand the AEO program to receive national and international benefits and efforts to receive AEO authorization are necessary. Second, to receive the AEO authorization, the government support is needed in institutions and expenses. The screening system is almost similar to recommendations of the major countries and APEC guidelines, but there are a few things to be reformed and reviewed: First, a rejudgement system on the taxable amount and classific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ings decided through screening should be declared. Third, it should be examined that there is not expiration period in the screening. Key words: trade facilitation, Customs Clearance System, AEO program, AEO authorization, screening system 국제무역의 흐름 및 이슈는 거래절차를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상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무역의 안전 및 원활화’이다. 세계 각국은 국제적인 상품이동과 관련하여 복잡하거나 불필요한 통관절차가 무역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한다는 지적에 따라 통관절차를 자동화하고 간소화함으로써 무역원활화 실현 및 교역 확대를 위한 노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무역원활화는 개도국, 선진국 모두에게 무역 거래비용의 경감이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상당수의 나라가 협상에 참여하고 있다. 2001년 미국의 9.11 테러를 기점으로 국제적으로 무역원활화의 촉진 및 국경안전을 위한 수출입화물의 보안확보가 강화됨에 따라 국제적 물류보안체제 구축에 대하여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SAFE Framework'를 채택하여 적하목록 사전제출제도를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의 흐름에 따라 무역원활화를 위한 방법으로 신속한 통관과 리드타임의 단축 등에 대하여 우수업체로 인증 받은 기업만이 향유할 수 있는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종합인증 우수업체) 제도가 도입 및 활용되었다. 우리나라는 2009년 AEO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공인기업들의 사후관리를 경감하기 위해 내실화해 가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는 FTA의 확대로 인하여 무역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통관과 관련하여 비효율적이고 과도한 절차가 원활한 무역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인식 되고 있다. 통관과정에 있어서 나라별 차이는 실제로 무역을 방해하는 비관세장벽으로 여겨질 수 있다. 우리나라 통관제도에 대한 정보 취득은 용이하지만 수출 상대국가의 통관제도에 대한 정보는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통관제도 현황과 해외 선진통관 국가들인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호주 등 주요 국가의 통관제도 현황을 조사 및 비교하여 통관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통해 무역 흐름에 맞춰 통관제도 선진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세계 무역 규모는 FTA의 확대로 인하여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통관과 관련하여 비효율적이고 과도한 절차가 원활한 무역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인식이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국제기구 및 기관들은 통관절차에 따른 부담 및 무역에 의한 거래비용을 최소화시켜 무역 원활화를 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세계관세기구(WCO)는 세관 절차의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개정교토협약을 비준하고, WCO SAFE Framework라는 화물보안 의정서를 도입함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국제무역환경의 변화에 따라 WCO SAFE Framework에 동참하기 위하여 2009년 AEO제도를 도입하였다. AEO 제도는 안전하고 성실한 수출입기업으로 인증된 기업은 세관당국에서 인증을 받을 때 불필요한 통제 및 검사 등의 비관세장벽을 최소화 하자는 제도이다. 그러므로 사전심사제도는 최근 국제 무역사회에서 통관절차의 신속, 투명성, 표준화의 강화를 위하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무역원활화의 이행수단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둘째, 주요 조사국 가운데 우리나라만이 수출단계 중 적재지에서 수출검사를 이행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나머지 다른 국가들은 모두 물품검사를 신고지에서 실시하고 있다. 수출통제제도를 마련하여 관리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이며 단지 미국만이 EIS 및 ATS-AT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위험 물품을 파악 및 감시하고 있다. 이렇듯 제도적인 모습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수출통관제도에 있어서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관세범 처벌의 주요 근거 법령은 우리나라, 일본, 캐나다의 경우 관세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미국의 경우 형법에 규정되어 있고, 죄가 중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우리나라는 특가법 규정을 적용하여 가중처벌하고 있지만 주요 조사국의 경우 일본만 처벌 조항에 가중처벌 내용이 함께 존재할 뿐 특가법에 해당하는 가중처벌 법령은 따로 없다. 그러므로 제도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넷째, 소액 면세에 대한 기준금액은 각 국가의 제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므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고특례제도로서 특송 물품의 경우 간이 통관 및 목록통관 제도를 운영하며, 우편물인 경우 간이신고 및 현장면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국가에서는 대부분 특송물품, 우편물, 전자상거래 수입에 대하여 관세법이나 관련규정에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주요 국가들의 경우 대부분 소액면세기준을 일반수입, 특송물품, 우편물에 관계없이 적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관세법 외에 하위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간이신고와 소액범위의 기준이 상이하므로 그 기준을 일원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관세범 처벌 규정은 캐나다 및 호주의 처벌 수위의 기준은 법원 기소 여부이며, 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는 밀수출의 행위를 중대한 위반으로 간주하여 보다 강도 높은 처벌을 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특가법의 적용을 받는다 하더라도 처벌 수위가 낮다. 제도적으로 우리나라는 수출시 물품 검사 등에 제한을 주요 조사국보다 많이 두는 편이지만 밀수출의 제재 수위는 조사국 중 가장 낮다. 허위신고죄는 미국, 일본, 캐나다의 경우 징역이 부과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단지 벌금으로 그쳐 비교적 경미하게 처벌하고 있다. 금지품 수출입의 경우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 징역이 부과되는데 반해 미국 및 캐나다의 처벌 규정은 관세법상 조항보다는 관련 개별법에 산재되어 세분화시켜 처벌하므로 처벌에 따른 강도 비교는 힘들다. 여섯째, 관세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AEO 제도는 모든 공급자들과의 자발적 파트너십을 기본으로 하여 조사, 심사, 통관 등 관세행정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관리하는 체계 및 법규준수도 제고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반면 주요 조사국에서는 물류의 안전을 위한 제도로 운영하고 있어 운영 및 정책방향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는 AEO 공인 후 갱신 심사 때 통관 적법성 및 화물안전 관리기준 적법성을 심사함으로써 행정비용 감축 및 정해진 행정인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요 조사국의 경우 AEO 제도와 별도로 운영된다. 일곱째, 사전심사제도는 호주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관세법에 제도화 되어 있으며, 대부분 원산지, 과세가격, 품목분류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유효기간 및 처리기간 등의 세부적인 절차는 다소 상이하지만 큰 틀은 APEC 가이드라인에 따라 대부분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통관제도는 다른 주요 조사국보다 교역안전에 관한 문제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상당히 기울이고 있지만 불법수출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지 않다. 주요국과 우리나라의 관세범 처벌 규정을 비교하면 주요국에 비해 불법수출 행위 처벌 수위가 비교적 낮으나 국가별로 법적, 문화적 체계가 다르다. 불법수출에 대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수출진흥정책과 상충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처벌 수위의 조정보다는 현장의 감독 및 감시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주요 조사국들에 비하여 잘 정립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현행 규정 및 제도적 장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불법수출 유형에 관한 관련 정보를 구축하여 제도의 실효성 강화, 위험관리 강화, 현장의 감독 및 감시 강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불법수출행위를 통제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여야 한다. 통관제도의 개선 및 선진화 방안으로는 통관제도와 통관관련제도로 구분되어 지는데, 통관제도에서는 전자상거래 활성화 장치를 마련, 국내 관계부처 및 국외 정부간의 제휴, 제도와 법률 제정, 관세법의 재조정 외 다수의 방안들을 제도화 하여야 한다. 통관관련제도에서는 AEO 제도와 사전심사제도로 구분하고 있는데, AEO 제도는 인증을 받은 업체들에는 혜택을 부여하지만 AEO 제도에 대해 모르거나 공인기준이 까다롭고, 비용이 부담스러워 공인을 받지 못한 업체들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무역에 관련된 업체들이 국내·외에서 혜택을 받기 위하여 AEO 제도를 이해하고, AEO 인증을 받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AEO 공인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사전심사제도는 주요국 및 APEC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몇 가지 개선 및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첫째, 과세가격 및 품목분류에 대한 재심사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사전심사 결정내용을 수입신고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전심사의 유효기간이 없다는 점은 검토되어야 한다. 키워드: 무역원활화, 통관제도, AEO 제도, AEO 공인 인증, 사전심사제도

      • 서간(書簡)을 활용한 아날로그 편지쓰기 학습과 생활화 방안

        류승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우리 주변에서 아날로그 편지가 사라져 가고 있다. 친분이 있는 사람에게 전해지는 편지의 형식이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쉽게 전달되고 쉽게 전달 받는 상황이 된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학습자들은 아날로그 편지에 대한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메신저와 인터넷 게시판, 채팅, 미니홈피, 이메일로 아날로그 편지를 대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학습자들의 언어 파괴는 이미 심각한 실정이며 사람과 사람사이의 살뜰한 정(情)도 예전만 못하게 되었다. 세월이 지날수록 빛을 발하는 아날로그 편지의 감성을 우리 학습자들에게 가르쳐 주고, 쉽게 쓰도록 할 수는 없을까? 본고에서는 고전문학인 서간(書簡)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아날로그 편지에 대한 기본적이지만 필수적인 학습과 더불어 아날로그 편지 쓰기 생활화에 대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서간(書簡)은 아날로그 편지와 같은 갈래이기 때문에 편지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서간(書簡)속에 나타난 송신자와 수신자의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작가나 작품 속 말하는 이, 그리고 학습자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담은 아날로그 편지를 쓰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즉 서간(書簡)을 활용하여 편지글에 대한 기본적이지만 필수적인 학습과 능동적인 의사소통 후 학습자 스스로 아날로그 편지를 쓰도록 유도하여 생활화하자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말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하여 본론에서는 서간(書簡)의 간략한 정의와 관중서(棺中書) 두 편, 현풍곽씨의 언간, 추사 김정희의 언간을 통해서 송신자와 수신자의 입장을 살펴보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능동적인 의사소통을 유도하였고, 현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가지고 현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 편지를 가지고 학습자들이 어떻게 교육을 받고 있으며 단원의 목적에 맞게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는지 살펴 볼 것이다. 교육의 실제에서는 위에서 살펴 본 서간 네 편과 정약용의 편지글을 가지고 편지글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은 물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유도한 후에 학습자 스스로 아날로그 편지를 쓰도록 유도하는 교수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육 후에는 학습자들이 쉽고 편하게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교내 우체국 활용도 살펴 볼 것이다. Analogue letters are disappearing due to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etters between people close to one another are now sent and received easily through digital media. Living in a digital age, we do not receive proper education on analogue letters, but substitute analogue letters with messengers, Internet boards chatting, mini homepages, and e-mail. As a result, language destruction amongst children is already a serious problem, and true friendship that used to exist between people is not as it used to be. Is there a way to teach our children the emotions of analogue letters, which become more valuable as time passes, and help them to write them easily? This study aims to use the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n letters to teach children the basics and necessities of analogue letters, and look for educational methods to make analogue letter-writing a part of everyday life. Since Korean letters are a part of analogue letters, it is sufficient for basic education on letters. Ba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sender and receiver in Korean letters, it will not be difficult to write analogue letters that express personal emotions to the character or writer of a work, or people surrounding the learner. Thus, the purpose is to use Korean letters to educate the learner on the basics and necessities of letter-writing and active communication, and lure the learner to write analogue letter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fulfill this purpose, the main body of the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Korean letters, and the positions of sender and receiver of two Korean letters of the tomb, HyungPoong Kwak and Chusa Kim Jung-hee, and used the contents as educational material to stimulate active communication, and examined the situation of current education using the letter sent from the place of exile of Chung Yak-yong, published in the Korean high school textbook. The study examined how students are educated using this letter, and whether or not smooth communication is being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hapter. Fo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presented, using the four Korean letters above and the letter of Chung Yak-yong for systematic learning and stimulation of smooth communication and making students write analogue letters. Lastly, it also examined the use of a school post office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easily send and receive letters after analogue letter-writing education.

      • 한국과 중국의 농산물 무역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류승범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Ways for Increasing Agricultur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Seung Beom Ryu Advisor : Prof. Yunah Song Ph.D. Department of Trad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Globally, agriculture has continuously chang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Rapid changes in agricultural and related economic phenomena have also been seen. In particular, along with such global phenomena in agricultur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gricultural and rural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ing. As China borders Korea geographically, and the population there has a similar food culture and consumption tendencies as Koreans, their agricultural production compliments ours. China is the largest trading partner for Korea. With the entry of China into the WTO, trade in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both countries has been expanded further, and their agricultural produc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our society and economy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incomes of farmers. This study derived problems in the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nalysed data on strategies for trade in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present alternatives for an increase in trade in agricultural products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joint prosperity of both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atus of agriculture in both countries, the trade status and policies were examined, and through survey data on the competitive power in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RCA), and the Trade Intensity Index(TII) were analysed. Problems in trade between both countries and strategies to further trade were suggested. As a result, through TSI, it was discovered that the competitive power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in trade was much higher than for Korea. As for the RCA, a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was higher than Korea. When the TSI was analysed, it was discovered that complementation in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global level, and it was very strong in the trade structure. Like this, to consider the rapid development in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conditions in China are closely related to Korean.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rich resources of China, hugh investment markets and cheap labor will contribute to higher efficiency i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agricultural and the rural environment, higher productivity and the use of resources, and furthermore, the two countries economic interdependence will be more intense. Both countries should supplement each other in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for economic growth rather than being fiercely competition, in order to reduce trouble and disputes in trade for mutual profit through further cooperation.

      • Effects of anaerobic sealing agents on preload of implant abutment screw

        류승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 적 : 본 논문의 목적은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에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도포하여 체결한 후 풀 때 풀림토크 값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으로, 시간에 따른 풀림토크 값의 차이와 지대주의 형태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 법 : 외부 육각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Osstem, Seoul, Korea)를 사용하였고, 동일한 제조사의 티타늄 재질의 지대주와 지대주 나사가 사용되었다. 지대주는 내부 구조가 비육각([NH];non-hex)과 육각([H];hex)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었다. 점성과 활성화 시 강도가 다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 2종류([MS]:중강도, Loctite 242; [HS]:고강도, Loctite 243, Henkel, Düsseldorf, Germany)가 사용되었다. 대조군(CG)은 나사고정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로 비육각과 육각 지대주로 나누어 육각 지대주군(H-CG), 비육각 지대주군(NH-CG)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 외에 4가지의 군으로 구성하여 지대주의 형태와 혐기성 나사고정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구성하였다. 4가지의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중강도의 혐기성 나사고정제와 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군(H-MS); 중강도의 혐기성 나사고정제와 비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군(NH-MS); 고강도의 혐기성 나사고정제와 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군(H-HS); 고강도의 혐기성 나사고정제와 비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군(NH-HS). 모든 경우에 대해서 30 N·cm로 체결하였으며, 각 군마다 10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혐기성 나사 고정제 도포 및 체결 후 즉시 그리고 시간에 따라서 24, 48, 72, 96시간 후에 디지털 토크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풀림 토크 값을 측정하였다. 나사고정제 제조사에서는 24시간후에 제품이 경화된다고 하여, 24시간 후의 각 군의 변화량 비교 시 Welch의 ANOVA 검정 시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는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Tukey’s HSD 검정을 통해 사후 검정 시행하였다. 지대주 나사 체결 후 즉시 풀림토크 값을 측정한 결과는 one-way ANOVA 검정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 과 : 24,48,72,96시간 후의 각 군에서 평균 풀림토크 값은 다음과 같다. H-CG: 20.3 ± 1.60, 20.1 ± 1.84, 20.0 ± 1.15, 19.8 ± 1.21; NH-CG: 20.2 ± 1.40, 20.0 ± 1.09, 20.1 ± 0.762, 19.8± 1.51; H-MS: 25.0 ± 2.86, 25.1 ± 4.18, 27.1 ± 5.19, 27.3 ± 2.52; NH-MS: 23.5 ± 2.35, 25.9 ± 3.06, 29.2 ± 2.65, 29.6 ± 2.47; H-HS: 32.4 ± 6.75, 32.6 ± 4.34, 31.8 ± 5.26, 31.9 ± 3.76; NH-HS: 19.1 ± 1.05, 28.8 ± 6.06, 31.4 ± 3.63, 33.9 ± 5.37, 35.0 ± 4.50 N·cm. 24시의 각 군 간 비교를 하였을 때 지대주 종류에 관계없이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사용한 군이 대조군보다 풀림토크 값이 컸다. 24시부터 96시까지 측정한 결과, 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군은 시간에 따른 풀림토크 값의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비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군은 시간에 따라 풀림토크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군에서 체결 후 바로 풀림토크 값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CG: 20.1 ± 0.843; NH-CG: 20.1 ± 0.599; H-MS: 19.6 ± 1.78; NH-MS: 19.7 ± 1.33; H-HS: 19.1 ± 1.07; NH-HS: 19.1 ± 1.05 N·cm. 체결 후 즉시 풀림토크 값을 측정한 결과는 각 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번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4시의 결과에서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사용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풀림 토크 값이 높게 나타났고, 육각과 비육각 지대주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24시부터 96시까지의 결과에서 고강도 혐기성 나사고정제는 중강도 혐기성 나사고정제 보다 높은 풀림 토크 값을 보였다. 3. 24시부터 96시까지의 결과에서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사용한 군에서 비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 시간에 따라 풀림 토크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24시부터 96시까지의 결과에서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사용한 군에서 육각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 시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도포하고 체결한 후 즉시 풀림 토크를 측정한 결과 모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load of the abutment screw when using anaerobic sealing agents in implants and abutment screws.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naerobic sealing agents on different types of abutments and over time. Materials and Methods: External hexagon implants(Osstem, Seoul, Korea) made of titanium and hex or non-hex abutments were used. Titanium abutment screws from the same manufacturer were used. Medium-strength ([MS], Loctite 242, Henkel, Düsseldorf, Germany) and high-strength ([HS], Loctite 243, Henkel, Düsseldorf, Germany) anaerobic sealing agents were applied to the implant/abutment screw interfaces. The implant-abutment assemblie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 = 10 in each). In the control group (CG), no sealing agent was used at the implant/abutment screw interfaces. The control groups were composed of hex (H-CG) and non-hex (NH-CG) abutments. The other four groups consisted of a combination of abutment structures and sealing agents: hex abutment and medium-strength anaerobic sealing agents (H-MS); non-hex abutment and medium-strength anaerobic sealing agent (NH-MS); hex abutment and high-strength anaerobic sealing agent (H-HS); non-hex abutment and high-strength anaerobic sealing agent (NH-HS). All abutment screws were tightened to 30 N·cm,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ended instructions. After applying the sealing agent, the removal torque (i.e., detorque) value of each screw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torque gauge device at 0h(immediately) and 24, 48, 72, 96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Welch’s ANOVA, two-way repeated-measures ANOVA,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s, according to normality distribution satisfaction. Results: For 24, 48, 72 and 96h in each group, the mean detorque values are in the following order: H-CG: 20.3 ± 1.60, 20.1 ± 1.84, 20.0 ± 1.15, 19.8 ± 1.21; NH-CG: 20.2 ± 1.40, 20.0 ± 1.09, 20.1 ± 0.762, 19.8± 1.51; H-MS: 25.0 ± 2.86, 25.1 ± 4.18, 27.1 ± 5.19, 27.3 ± 2.52; NH-MS: 23.5 ± 2.35, 25.9 ± 3.06, 29.2 ± 2.65, 29.6 ± 2.47; H-HS: 32.4 ± 6.75, 32.6 ± 4.34, 31.8 ± 5.26, 31.9 ± 3.76; NH-HS: 19.1 ± 1.05, 28.8 ± 6.06, 31.4 ± 3.63, 33.9 ± 5.37, 35.0 ± 4.50 N·cm. Comparison at 24h showed that the groups using anaerobic sealing agents had higher detorque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P < .05). From 24 to 96h, the HS groups had a higher detorque values than the MS groups. The results were measured immediately after applying sealing agents and tightening: H-CG: 20.1 ± 0.843; NH-CG: 20.1 ± 0.599; H-MS: 19.6 ± 1.78; NH-MS: 19.7 ± 1.33; H-HS: 19.1 ± 1.07; NH-HS: 19.1 ± 1.05 N·c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mong all groups (P > .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1. At 24h, the removal torque values were higher in the groups that used anaerobic sealing ag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x abutment and non-hex abutment groups. 2. From 24 to 96h, the HS groups had higher removal torque values than the MS groups. 3. From 24 to 96h, the removal torque values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in the groups using anaerobic sealing agents and non-hex abutments. 4. From 24 to 96h, the removal torque valu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using anaerobic sealing agents and hex abutments. 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mediate measurement of the removal torque values in all groups.

      • 인천 북항 잡화부두 운영사 통합 고려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류승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inflation has continued amid slowing consumption and unstable international conditions at home and abroad. Additionally, domestic production activities and consumption markets have also frozen due to liquidity deterrence policies, indicating no signs of reviving the economy. Among these, it seems unlikely that the bulk volume of Incheon Por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activity, will increase or recover. In particular, most of the port operators at Incheon North Port have been faced chronic deficit structures and management difficulties as the utilization rate of Incheon North Port has not improved and has faced a decline in cargo volume without meeting its annual stevedoring capacity since 2012. In addition,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predict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goods at Incheon North Port. Also, a decrease in the port utilization rate is expected, and there are no further expansion or development plans for pier facilities in the future. In the end, discussions on the integration of the six operators of the North Port began in earnes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pier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However,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viewpoints due to different interests in the view of the integration of Incheon North Port, where private and rental docks coexist.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ncheon North Port operators and existing port integration cases, and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when integrating Incheon North Port operators through AHP empirical analysis for port stakeholders. After reviewing existing studies and discussions with experts, three major criteria were selected as the final evaluation factors: "improving profit structure," "improving productivity," and "increasing volume of goods." Based on this, four sub-criteria were selected to construct a hierarchy, then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urvey an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consideration factors in the major criteri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improving profit structure', 'increasing volume of goods', and 'improving productivity'. Secondly,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iorities of all sub-criteria using composite weights, the importance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stabilizing the stevedoring rate," "strengthening the negotiating power against the shipping and lines company," and "optimizing the number of people and facilitie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ies reflecting the composite weight for each integrated scenario using the Likert scale (5 points), the complete integration form of the six operators at Incheon North Port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scenario, and the rest of the scenarios were evaluated to be important in the order of the larger units of integration.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profit structure by suppressing waste factors through negotiations with shipping companies based on strengthened bargaining power when integrating bulk ports at Incheon North port. With references to the integration problem of Incheon North Bulk, the port authority has limitations in conducting intervention and arbitration due to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port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can be achieved if appropriate incentive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it structure are presented by referring to existing port integration cases so that the opportunities of the integration period are not missed.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need for and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incentives for port integration, and to expand further research on market concentration, shifting effect of cargo, and port efficiency compared with other adjacent bulk ports as expected effects of integration. Lastly, it is hoped that Incheon North Port will be reborn as a competitive port enable to attract bulk cargo throughout establishing specialized strategies after the integration process. 최근 국내·외 소비 둔화와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 물가 상승이 지속 되고 유동성 억제 정책 등으로 말미암아 국내 생산활동과 소비시장이 얼어붙어 좀처럼 경기가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경제활동과 밀접한 인천항의 벌크 물동량이 증가 되거나 회복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특히, 2012년도 이후 현재까지 인천 북항의 가동률이 제고되지 않고 연간 하역능력을 충족하지 못한 채 물동량 감소세를 직면하게 되면서 인천 북항의 부두 운영사들은 만성적인 적자구조 및 경영난에 봉착하게 되었다.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인천 북항의 물동량 증가를 예측하기 어렵고 항만의 가동률 저하와 채산성 악화가 예상될 뿐 아니라 장래 부두시설의 추가 확장이나 개발계획도 부재한 상태이다. 결국, 부두 효율성 제고와 항만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북항 6개 운영사에 대한 통합 논의가 본격 착수 되었다. 하지만 민자부두와 임대부두가 공존하는 인천 북항의 통합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당사자간 이해관계가 상이하여 다소의 온도차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 북항의 운영사들에 대한 현황, 기존 항만 통합 사례 등을 살펴보고, 항만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AHP 실증분석을 통해 인천 북항의 운영사 통합 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통합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최종 평가요소로 ‘수익구조 개선’, ‘생산성 향상’, ‘물동량 증대’ 3가지 대분류 항목을 선정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가지의 소분류를 선정하여 계층화를 구성 후 중요도를 조사 하였다. 설문을 통한 AHP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분류 항목에서 통합 고려요인에 대한 중요도는 ‘수익구조 개선’, ‘물동량 증대’, ‘생산성 향상’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 되었다. 둘째, 복합 가중치를 활용한 전체 소분류 항목의 우선순위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하역요율 안정화’, ‘선사 협상력 강화’, ‘인원 및 설비보유 최적화’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 되었다. 셋째, Likert 척도 (5점)를 사용하여 통합 시나리오별 복합 가중치를 반영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인천 북항 6개 운영사의 완전 통합형태가 가장 중요하다고 조사 되었고 나머지 통합 시나리오들도 통합의 단위가 큰 순서로 평가 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인천 북항의 벌크 항만 통합시 강화된 교섭력을 바탕으로 선사와의 협상을 통해 하역요율의 안정화가 요구되고 최적화된 인원 및 설비보유를 통해 비용 낭비 요인을 억제시켜 수익구조가 개선되도록 함이 통합의 고려요인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천 북항 부두의 통합 문제는 상이한 항만 관리체계로 인해 항만당국의 개입과 중재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인천 북항의 통합시기를 실기 (失期)하지 않도록 타 항만통합 사례를 참고하여 수익구조 관점에서의 적절한 인센티브 정책이 제시된다면 통합의 실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항만 통합의 유인 요인과 관련하여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과 영향력에 관한 관계 규명과 인천 북항의 통합시 기대효과로서 인접한 벌크화물 취급 항만과의 시장의 집중도와 물량의 전이 정도, 항만의 효율성 등의 추가적인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통합 이후의 벌크화물 유치를 위한 특성화 전략 수립을 통해 항만 경쟁력을 갖춘 인천 북항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접촉점 소실에 관한 임상적 연구

        류승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한 자연치 사이의 상호 접촉점 소실에 관해 조사해보는 것이다. 방법: 2015년 8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를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이후 보철치료를 진행하여 임플란트 보철물과 자연치 사이의 접촉점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임플란트와 자연치 사이의 불편감 유무, 불편감의 정도, 동통의 유무, 음식물이 끼기 시작한 시점, 음식물이 끼는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총 30명의 대상자 중 18명이 임플란트와 자연치 사이에 불편감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불편감의 정도는 5단계 중 가장 높은 지수인 매우심함이 가장 많았다. 불편감이 있는 18명 중 3명만이 동통이 있다고 응답 하였으며, 음식물이 끼기 시작한 시점으로는 보철물 장착 직후가 가장 많았으며, 음식물이 끼는 빈도는 하루에 한 번 정도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임플란트 보철물과 자연치 사이의 접촉점은 82곳 이었으며 이 중에서 접촉점 소실이 일어난 부분은 14곳 이었다. 9곳에서는 느슨한 접촉을 보였으며, 59곳에서는 정상 관계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를 식립하는데 있어서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한 자연치와의 접촉점 관계를 치료계획 단계에서 고려하여야 하며, 주관적인 불편감과 접촉점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에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아가 긴밀한 접촉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