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노인들의 소외의식과 사회복지적 접근모색

        도광조 安東大學校 安東地域社會開發硏究所 1999 安東開發硏究 Vol.10 No.1

        본 연구는 안동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해서 농촌노인들의 소외감 정도와 소외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을 유추해보고 사회복지적 차원의 접근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안동지역노인들의 소외수준은 5점척도에서 평균 3.11정도를 나타내어 다른 도시노인들의 소외감정도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소외감의 하위유형 중 문화적 유리감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부분으로 본다. 성별, 교육정도, 가족수, 직업유무, 한달용돈정도, 한달 용돈규모에 대한 만족도, 노인대학 경험여부, 주간에 일이나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지 여부, 가족으로부터의 충분한 대우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들이 안동지역 노인들의 소외정도에 유의미한 인과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중 가족으로부터 충분한 대우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노인들의 소외를 결정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노인들의 소외감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기존의 노인정이나 마을회관 등을 간이사회복지시설화하고 사회복지사를 채용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농촌노인들의 소외에 접근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시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자원봉사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건강도 도모하고, 사회활동의 욕구나 사회관계의 욕구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농촌노인들에게는 경제적인 욕구도 충족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마을단위의 공동작업장을 운영하여 용돈확보도 용이하게 하고, 공동작업을 통해 소외감 극복도 가능케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농촌노인들에게 있어 가족으로부터 충분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여부가 소외감정도의 차이를 가져오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가족복지적 차원의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과 그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많도록 해야 한다.

      • 농촌노인복지의 방향

        도광조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지금까지 농촌노인들에 대한 복지대책의 차별화 필요성이라는 문제를 제기하여 현실제도적 측면과 농촌노인들 자체내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노인복지대책의 방향과 각종 시책을 경상북도와 안동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농촌노인들에 대한 적극적이면서도 고유한 배려가 없다는 면을 지적했다. 그리고 구별되는 농촌노인복지대책을 구상하기 위한 몇 가지 유의사항 및 고려사항들을 짚어보았다. 농촌노인들에게만 고유하게 적용되는 복지대책은 전무하다는 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현실을 가져오게 된 것은 국가적 책임도 있지만, 농촌노인들의 자체적인 변화적응력 부족 때문일 수도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보았다. 현재의 농촌노인들은 우리 사회의 근대화과정의 초석을 다진 사람들로 열심히 일만하면 노후는 자녀들에게 대접받으면서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에서 노후의 생활을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자녀양육에 모든 경제적 자원을 투입해 왔다. 그리고 이들 노인들은 아직도 상당수준 유교적 전통을 가지고 있어 사회전체의 윤리와 다른 면을 보유하고 있다. 덧붙여 농촌노인들은 교육수준도 상대적으로 낮아 사회적 적응력 뿐 아니라 사회적 지도력에 있어서도 미흡하여 자신들의 부양문제를 사회에 호소하는 것보다는 스스로 자녀에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사실은 농촌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더할 가능성을 가진다. 현재와 노인복지의 방향을 전체적으로 이원화할 필요가 있고, 농촌노인복지는 현재의 도시형 종합복지관과 구분되는 농촌형종합복지관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농촌형종합복지관 체계내에서 재가복지를 확충하고, 보건의료의 연계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많은 노인들이 이용하는 경로당을 사회복지사가 전담하여 준(준)사회복지관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것 역시 필요할 것 같고, 이러한 체계위에서 가정봉사원파견 등의 재가복지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경로당은 도시보다 농촌에 더 많고, 농촌노인들이 더 많이 이용한다. 덧붙여 가장 중요한 점은 농촌노인들의 의식전환일 것이다. 노인복지의 궁극적인 부담자는 국가이고 사회라는 점을 노인들은 인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농촌 노인들에 대한 교육적인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농촌노인들의 지적인 수준을 제고해야 할 것이며 분명한 자기주장과 사회적 책임을 근간으로 하는 민주주의적 원리를 빨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노인과 교육의 연결가능성은 어느 정도 입증되고 있으므로 노인들끼리의 변화를 모색 할 수 있는 장(場)과 프로그램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농촌노인들에게 고유한 복지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농촌노인들이 어떠한 문제로 어느정도로 고통받고 있는지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이전에 농촌노인들이 처하고 있는 현실과 의식적 측면에서 농촌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제를 살펴보았고. 이러한 분석에 더하여 농촌노인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차후 농촌노인들이 가지고 문제와 그 심각성을 확인한 후 농촌노인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방향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소속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도광조,김금자,조희원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7 법무보호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한국법무복지보호공단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 한 요인을 분석하여 공단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연구결과 봉사활동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받고, 이타적인 성향이 많을수록, 담당자 의 지도관리, 동료봉사자와의 관계, 대상자와의 관계가 좋거나 피드백이나 보상으로 인정받는 경우, 격려와 칭찬을 받을수록 자원봉사자 활용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원봉사의 기본원칙인 무보수성을 저해하지 않고도 자원봉사 자의 활동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공 단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들을 위하여 지속적인 교육과 더불어 평소 자원봉사자를 관리하는 입장에서 예산을 들이지 않고 자원봉사자에게 감사적 언어표현과 칭찬 및 격려 또는 봉사자의 자조모임을 통해서도 충분히 자원봉사 활동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을 기초로 자원봉사활동의 유효성을 유지하기 위한 실천적 제 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 및 피드백 등을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실 및 수요를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봉사자 및 보호대상자가 관계형성을 위한 장을 자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담당자의 전문성 함양 및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단의 법무보호사업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충분히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공단의 자원봉사자 모집 및 선발하는 과정에서 법무보호대상자에 대 한 관심이 충분하며 순수한 목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자를 선별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공단의 사업수행과정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활동하는 동안 보람을 찾을 수 있도록 「모집-선발-활동관리-지속적 인활동-공단의 이미지 개선-자원봉사 활동인원 증가」와 같이 선순환이 되도록 해 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activities by analyzing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volunteer activities of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 the case of being provided with the necessary educ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supervision of the person in charge, relationship with fellow volunteers, good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s, or being recognized with good feedback and/or compensation, the more encouraging and praising of the volunteers ma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activities of volunteers. This would be a result that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activities without hindering the basic principle of volunteerism, nonpayment. For volunteers working in the Agency, in addition to continuing education and managing volunteers as usual, without budgeting, volunteers are also encouraged to express their gratitude through language, praise and encouragement,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ully on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se studies, practical suggestions for maintaining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pecify compensation and feedback for volunteer activities. Second,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structed considering reality and demand. Third, volunteers and protected people should often provide a place for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Fourth,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and change recognition of volunteer staff. Fifth, it is necessary to have the public fully informed about the Agency's legal affairs protection project. As a result, in the Agency's process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volunteer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candidates who are interested in target people of legal affairs protection and who can participate in service activities for pure purpose. In addition, volunteers play a pivotal role in the Agency's project performances, and it should be a virtuous circle such as "Recruitment ‐ Selection ‐ Activity management ‐ Continuous activity Improvement of the image of the agency ‐ Increase in the number of volunteers" to find reward during the activity.

      • 범죄자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교육원 운영 실태와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도광조,김금자,조희원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8 법무보호연구 Vol.4 No.1

        일반인들에게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범죄전력자의 직업훈련을 통한 취업능력 향 상은 향후 구직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본인이 희망하는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 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술교육원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기술교육원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범죄전력자들을 위한 직업훈련은 취업과 안정적인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 요한 서비스이다. 직업훈련의 이러한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직업 훈련의 환경이 구성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관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운영한 기술교육원의 교육생들이 어떠한 도움을 받았으 며, 그들이 어떠한 마음으로 교육에 참여하였으며 기술교육원 운영 실태와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무보호대상자 기술교육서비스의 수요자 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통 해 수요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적극적인 직업훈련서비 스 개선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산하 기술교 육원에서 교육 중에 있는 법무보호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기술교육원을 선택하는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 참여자의 자발적 의지와 동기는 물론 교육과정 특성, 학습역량, 강사의 수 업방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참가하려는 의지와 동 기는 물론 교육과정과 강사의 수업방식도 고려할 때 만족을 하게 되고 교육기간 만 족도가 높을수록 타인에게도 추천한다는 의미이다. 결과적으로 기술교육원 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교육생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 역량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강사들은 교육생 들에게 적합한 수업방식을 바탕으로 양질의 수업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노 력이 바탕이 되었을 때 교육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만족스러운 기술 교육을 받은 범죄전력자들은 양질의 일자리를 찾고 다시 범죄에 빠지지 않고 사회에 정착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기술교육원 운영의 진 정한 목적일 것이다. It's all the same for the public, but especially, improvement of job ability through vocational training of crime offenders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in the job market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a shortcut to get a job in good quality job that they want. Thu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operated by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and to make a practical suggestio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in the future. Vocational training for crime offenders is an important service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nd stable social participation. To properly carry out this role of vocational training, a quality vo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tructed and systematic management should be accompani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helped the students of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operated by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how the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and how the operation of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and learner's satisfaction were achie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rvice demanded by the consumer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the technical education service for those subject to legal protection, and based on that, to find ways to improve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of legal protection subjects who are in training at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under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As a research resul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learning ability, and instructor's teaching style affect not only voluntary will and motivation of the participants. Therefore, it is satisfied when considering the will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well as the curriculum and instructor's teaching method,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more recommendable to others.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it is important to motivate the participants and to organize a variety of curriculums that take into account learning capabilities. And the instructors should provide quality teaching services based on suitable teaching methods for the participants. When these efforts are based, it will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Crime offenders who have received satisfactory technical training will be able to find good jobs and settled in society without falling into crime again. This will be the true purpose of operating the Technical Education Center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통합사례관리실천 기반의 현실과 과제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도광조 한국사례관리학회 2011 사례관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사례관리의 기반을 얼마나 마련․구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례관리업무의 성격과 국내․외적으로 연구된 사례관리수행의 기반적 요소에 기초하여 보완 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고, 지역사회복지관이 통합사례관리센터로서의 기 능 수행의 충분성과 적절성을 담보하고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 의를 두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회복지관(노인종합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 포함) 사례관 리자 211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의 방법으로 조사했고, 160부의 설문지를 분석대상에 포함했 다. 사례관리의 기반을 사례관리자 개인특성, 사례관리 업무특성, 사례관리기관 조직특성, 사 례관리서비스 시스템 특성으로 구분해서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복지관들의 사례관리 기반 구축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사례관리자들의 전문적 자질 및 능력 강화, 둘째, 사례관리업무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셋째, 사례관리에 대한 행정적․교육적 지원강화 및 네트워크수 준 확대, 넷째, 사례관리전담자 배치 및 팀제 운영, 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등이다.

      • KCI등재

        교정복지학 교육실태 연구

        도광조(Do Gwang jo),김금자(Kim Geum ja),임서현(Lim Seoh hyeon),전명주(Jeon Myeong ju),유영희(Yoo Yeong hee),조희원(Cho Hee w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3

        Correction welfare is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 by Korean universities or social welfare education institutions, but its education is not so active yet in this country. Correction welfare for pre-service correction welfare workers is considered a complex science, comprehending law, correction, criminal justice, and social welfare.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acquire correct knowledge and skill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they need to have practice-oriented education. Thus, analyzing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which provide guidelines for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the effectiveness of its classes. Thus,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s of what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through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college education in Korea and what outcomes should be pursued through the courses. As an effor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syllabuses through a total survey of univers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offered in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part based on the basic form, and the part reflecting the teacher s purposes (intentions). The contents of the part reflecting the teacher s intentions are summarized into five components. This study compared the syllabuses focusing on the five components of cont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mad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present the teacher s beliefs clearly. In particular, the course outline should express the teacher s basic purposes of the course definitely. Second, the syllabu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reflect the teacher s specific goals of instruction throughout the course. Third, the content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ourth,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should allow the students to see the big picture of correction welfare. Fifth, information on the prerequisite course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nduce the students to take interest in various areas related to correction welfare. Lastly, detailed regulations should be specified in syllabuses. At present, places executing correction welfare education are not diverse in Korea, and some schools opened courses but had to cancel them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as too small. These may represent the current state of correction welfare education in Korea. Nevertheless, the demand for correction welfare specialists is increasing gradually. Therefore,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need to spotlight the prospect and visions of this area.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survey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out the country, bu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ne calls to relevant school employees or professors rather than through in-person visits. Accordingly,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uperficial meanings expressed in the syllabuses, not fully reflect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ing the correction welfare courses. 교정복지학은 국내 대학이나 사회복지교육 기관에서 선택교과목으로 개설을 하고 있지만 아직은 활발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비 교정복지 실천가를 위한 교정복지 학문은 법학과 교정학, 그리고 사회복지학의 복합학문으로 볼 수 있다. 교정복지분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기술습득을 위해 실천중심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런 교육의 길잡이가 되는 교정복지학 수업계획서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교정복지 교과과정을 보다 체계화하고, 수업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교육에서 교정복지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어떤 교육의 결과를 지향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그런 고민의 과정에서 전국 대학을 전수조사하여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으며 현재 교정복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의 현황기초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교정복지학 교과목 강의계획서 작성과정에는 기본적인 양식에 의하여 작성하는 부분과 교수자의 의지(의도)가 반영된 부분으로 구분이 되었다. 그중에서 교수자의 의도가 반영된 부분을 5가지 구성요소로 축약할 수 있었다. 5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학 수업내용에서는 교수자의 신념에 대한 부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강좌의 개요에서는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는 기본적인 의중을 표현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표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계획서에는 교수자의 수업진행 全(전)과정에 있어서 구체적인 수업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수업의 내용은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기준으로 작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정복지 수업계획서를 통하여 교정복지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눈 을 키울 수 있다는 기대를 주어야 한다. 다섯째, 선수교과목에 대한 부분을 알려주어서 교정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학생들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의계획서에 세부적인 규정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교정복지학을 교육하는 곳이 다양하지 않고 일부 학교의 경우 강의 개설을 하였으나 수강생이 적어 강의 개설이 무산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현실이 아마도 한국의 교정복지 교육의 실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정복지분야에서 전문인력 수요는 점자 증가추세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계획서를 세우는 과정에서 전망과 비전에 대한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전국 대학교를 전수 조사하였지만, 조사과정에서 직접 찾아 가서 한 조사가 아니었으며 전화통화를 통하여 학교관계자 및 담당교수진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강의계획서에 표현된 표면적 의미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담당교수와 교정복지학 교과목을 개설한 학교의 교육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에 따른 교정복지 교재분석

        도광조(Do, Gwang‐,jo),김금자(Kim, Geum ja),임서현(Lim, Seoh‐,hyeon),전명주(Jeon, Myeong‐,ju),유영희(Yoo, Yeong‐,hee),조희원(Cho, Hee‐,w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8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in Korea including 29 general textbooks and 11 advanced ones, focusing o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and courses. First, most of th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covered the concept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theories, special areas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etc. Studie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during the last five years tended to converge on six semantic categories: ① restorative justice; ② classification of criminals; ③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④ social welfare approaches; ⑤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and ⑥ correctional social workers. In addition, most of current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reflected the authors’ intention of writing rather tha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urthermore, none of the textbooks included all of the 6 categories found in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acquire ‘an eye to see the large framework of correction’ throug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meanings and necessities of correction welfare clearly. For this, field‐oriented contents should be supplemented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in‐depth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s in charge of treatment in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specific groups of subjects for clearer understanding of correction welfare subjects. Fourth, contents need to be reinforced about the introduction and necessities of the correctional ocial worker system. Fifth, textbooks should reflect recent issues of research such as treatment in community, restorative justice, social rehabilitation, school violence, juvenile crimes, and rehabilitation protection. Sixth, the prospect and vision of correction welfare science need to be supplemented. Seventh, sciences in the area of correction involve various disciplin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tudy of criminal law and the study of correction that are learnable together wit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contents should be added about the necessities and effectiveness of synthetic thinking in the practice of correction welfar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ggest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to be completed in each year to students interested in correction welfare by presenting a roadmap for taking courses related to basic subjects in each semest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정복지 전체교재 29권, 중점교재 11권, 최근 5년간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정복지 교재 및 교정복지교과목 지침내용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정복지 교재 전체를 살펴보 면 대부분의 교재들은 교정복지의 개념 이해, 교정복지이론, 교정복지의 특별영역, 교정복지와 사회적 처우, 교정복지 실천 및 기술론 등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의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6개의 의미범주단위로 수렴되는 경향이었다. ① 회복적 사법 ② 범죄인의 분류 ③ 교정복지와 사회처우 ④ 사회복지적 접근 ⑤ 교정복지실천 및 기술 ⑥ 교정사회복지사 등이었다. 또한 현재 교정복지 교재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의 기준보다는 저자의 집필의도를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아울러 최근연구동향에서 나타난 6개의 범주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발간될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에서 교정복지 교과목의 내용과 방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 교과목을 통해 ‘교정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정복지의 의미와 필요성을 명확히 제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교정기관에 대한 이해, 사회 내 처우를 담당하는 기관에 대한 심층 이해를 돕기 위한 현장중심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정복지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상자의 특징과 범위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정사회복지사 제도의 도입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의 강화이다. 다섯째, 최근 연구동향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사회 내 처우, 회복적 사법, 사회복귀, 학교폭력, 소년범죄, 갱생보호 등 변화를 고려한 집필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정복지학의 전망과 비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矯正(교정)분야 학문은 다양한 학문들이 연동된 종합학문분야이다. 따라서 교정복지 교과목과 함께 학습 할 수 있는 형법학, 교정학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고 교정복지분야 실천에 있어서 종합적사고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다른 기초과목과 연관된 과목을 학기별로 이수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제시하여 교정복지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학년별로 이수해야 할 필수・선택과목의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만성질환을 가진 여성노인의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

        김난영,도광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Integrated Healing Care Program for Integrated CaseManagement of Elderly Women with Chronic DiseasesNanyoung Kim & Kwangjo D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the plan of integrated healing care program as micro practice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It is intended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integrated healing care program by reporting the examples of positive effects by implementing aroma-ear reflex (integrated healing care program using ear reflex therapy, essential oil, and Five Elements theory) for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of the elderly women with chronic diseases.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practice method to promote individual social function and welfare by providing care-oriented customized integrated services through integrated healing care program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basic data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hope that various integrated healing care program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Key Words: Community Social Welfare, Integrated Case Management, Integrated Healing Care, Community Welfare Center, Program 만성질환을 가진 여성노인의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김 난 영*ㆍ도 광 조**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실천 관점에서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미시적 실천으로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만성질환을 가진 여성노인의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귀반사요법, 에센셜 오일, 오행이론을 활용한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 아로마귀반사를 시행하여 긍정적 효과를 도출한 일례를 보고하여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부각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로서 중요한 역할수행을 하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을 통해 케어중심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여 개인의 사회적 기능과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통합적 실천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통합사례관리의 효과적인 통합서비스 제공과 돌봄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향후 다양한 통합힐링케어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지역사회복지, 통합사례관리, 통합힐링케어, 지역사회복지관, 프로그램 □ 접수일: 2022년 9월 3일, 수정일: 2022년 10월 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Dongyang Univ., Email: siwoo7272@naver.com)** 교신저자, 동양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yang Univ., Email: kwangjo@dyu.ac.kr)

      • KCI등재후보

        범죄예방교육 사업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조희원,도광조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2 법무보호연구 Vol.8 No.2

        Looking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the legal protection welfare project of Korea Legal Protection Welfare Project Corpo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n “education‐based prison aid‐caring (tentative name)” model that provides the released convicts (planned) with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out the social adaptation stage from before release from prison to after release from prison.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practical proposal to introduce a crime prevention education project to the released convicts who have relatively few educational opportun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conducted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at of the law education for diverse people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Education conducted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cannot reflect social reality and has limitations in that continuity can be lost as soon as convicts are released from prison. Of course, the original purpose of a correctional institution is to have the convicts be isolated from society first. However, a realistic educational linkage plan is needed from the perspective of supporting the stable return to society of released convic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o far, the plan for the “education‐based prison aid‐caring (tentative name)” model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n a curriculum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for social service jobs. Second, through operating a cyber university dedicated to correc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open courses that identify the demands of prisoners and provide education by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 dedicated to crime prevention education through linking or merging with general universities with the Korea Legal Protection Welfare Project as the center. Fourth,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function of the Legal Protection Education Center of the Korea Legal Protection Welfare Project Corpor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crime prevention education project through the Borami broadcasting station operated by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link with community resources so that the mobile phone for education can be supplied to the released convicts in connection with th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Crime prevention education can be seen as a new system that goes beyond the simple function of education, which helps them to break free from the vicious cycle of re‐committing crimes for released convicts with criminal history. As a measure to create a cooperative system for social rehabilitation of released convict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Korea Legal Protection Welfare Project Corporation is a publicly reliable institution tha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prison education as a crime prevention point of view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Based on this, the Korea Legal Protection Welfare Project Corporation should seek a mid‐ to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that can encompass the area of ​the crime prevention education project, focusing on the aforementioned measures. 본 연구는 평생교육관점에서 교정기관을 바라보며,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법무보호복지사업이 중심이 되어 출소(예정)자들이 출소전부터 출소이후 사회적응단계 전체적으로 다양한 교육기회를 부여하는『교육기반 바라지(가칭)』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교육기회가 부족한 출소자들에게범죄예방 교육 사업을 도입하는 실천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기관에서 진행하는 교육과 일반인을 포함 한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법교육을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교정기관에서 이루어지는교육은 사회적 현실을 반영할 수 없고, 출소와 동시에 연속성이 떨어 질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물론 교정기관의 본연의 목적은 사회와의 격리가 우선일 것이다. 하지만 출소자의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관점으로 현실성 있는 교육연계방안이 필요한 것이다. 지금까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기반 바라지(가칭)』모형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일자리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교정기관 전용 사이버 대학교를 운영하여 수용자들의 수요를 파악한 교과목 개설 및 수준별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이 중심이 되어 일반대학교 연계 또는 병합을 통한 범죄예방교육 전담 기관설립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법무보호교육원의 기능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정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보라미방송국을 통한 범죄예방교육 사업수행이 필요하다. 아울러 통신사와 연계해서 출소자에게 교육용 핸드폰 공급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는 것도 필요 할 것이다. 범죄예방 교육은 단순히 교육의 기능을 벗어나서 범죄경력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다시 범죄를 저지르는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새로운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론적 배경에 있는 출소자의 사회복귀 협력체계를 만들기위한 방안으로 범죄예방관점의 교정교육,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교도소의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기관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일 것이다. 이를기반으로 하여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은 앞서 언급한 방안을 중심으로 범죄예방교육사업의 영역을 포괄 할 수 있는 중장기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금자,도광조 한국교정복지학회 2019 교정복지연구 Vol.0 No.61

        본 연구에서는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실태와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의 실태를 살펴보면 감정표현의 빈도 3.49, 감정표현의 다양성 3.18, 감정적 부조화 3.12로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수준은 3.27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연령과 직무관련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감정노동의 세 가지 요소, 즉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다양성, 감정적 부조화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몰입에는 감정표현의 다양성과 감정적 부조화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영향을 미치는 방향에 있어서 세 가지 요소 간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감정표현의 빈도가 높을수록, 감정적 부조화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감정표현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ve all,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emotional labor of correctional officers, it was found that frequency of emotion expression was 3.49, diversity of emotion expression 3.18, and emotional dissonance 3.12.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correctional officers was found to be 3.27.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dents' age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Next, looking at the influenc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ree factors of emotional labor, such as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ly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However, in the direction of influen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factors, demonstrating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eve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turned out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