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개발 조직의 창의적 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노풍두(Poong-Du Roh),한인수(In-Soo Han)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6 경영경제연구 Vol.38 No.2

        연구개발 조직에서의 기술혁신 과정에 창의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창의적 역량의 조직 내 확보를 위해 먼저, 창의성관련 분야의 기존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조직의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동 영향요인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개발조직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위계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검증결과, 조직의 창의적 역량은 다 수준(개인, 집단, 조직)이며, 위계적인 모형(개인수준: 3요인, 14개 항목, 집단수준: 4요인, 17개 항목, 조직수준: 4요인, 2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요인을 토대로 조직의 창의적 인재상과 역량모델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개발 조직의 창의적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reativity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the innovation process in a R&D organization. In order to secure creative capabilities with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has taken the following methods. First, it has proposed an organized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in an organization after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s and advanced researches in such field. Seco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bove factors, it has carried out a survey where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researchers of a R&D organization and it has also done a hierarchic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nder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method. The end results of this verification process have confirmed that the creative capabilities of an organization are multi-level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level), and, therefore, they are constructed by different hierarchical models (individual-level : 3 factors, 14 items, group-level : 4 factors, 17 items and organization-level : 4 factors, 21 items) corresponding to each level. Finally, it has suggested a possible concept of creative talents in an organization as well as a structure of competency models on the basis of competency factors drawn from the previous empirical analysis.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creative capabilities in an R&D organization that attempts to implement change and innovation.

      • KCI등재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팀의 창의성 제고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노풍두(Poong-Du Roh),한인수(In-Soo H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팀 창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집단창의성에 대한 기존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팀의 특성, 팀 효능 감의 팀 창의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둘째, 팀 특성과 팀 창의성간에 있어 팀 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실증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102개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 창의성 측정에 있어서는 부서장에 의한 평가와 구성원 자체 평가를 병행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는 평가의 정확성을 높임과 동시에 두 주체의 관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분석결과 팀 특성 중 응집성이 팀 창의성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고, 팀 효능감은 팀 다양성, 팀 자율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여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s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R & D team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rough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on group creativity and verified through empirical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at team diversity, team cohesion, team autonomy and team efficacy have on team creativity. Second, it intend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between team characteristics and team creativit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102 R & D team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team creativity measurement, the evaluation by the leaders and the self evaluation of the members were performed in parallel. This 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viewpoints of the two subjec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eam cohesion among the ot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creativity, and that team efficacy possessed certain positive qualities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diversity, team autonomy, and team crea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ts academic implications as well as its practical limitations, and mad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tasks that remain.

      • KCI등재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 모델 개발

        노풍두(Poong-Du Roh),조용곤(Yong-Gon Cho),조근태(Keun-Tae C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1

        최근 급속한 기술 환경의 변화와 글로벌 경쟁 하에서 조직의 핵심역량으로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창의성은 기술혁신의 시작이며 성공으로 이끄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다. 복잡한 창의성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는 창의성에 대한 한두 가지 요인들의 관련성만 다루고 있어 전체적인 관련성을 파악하기가 힘들었으며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도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을 각 수준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창의성을 구성하는 3가지 수준을 제시한다. 둘째, 각 수준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모델은 현재 수준에서 조직의 창의적 역량과 잠재력을 평가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Recently, the rapid change in the technical environment and under global competi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ttention to the creativity among core competency of organization. Particularly, creativity is an initiative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a primary key factor to the success. Systematic understanding towards creativity is required to derive sophisticated creativity. However, previous researches involved in only one or two elements of creativity made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olistic relations. Furthermore, the objective measurement tool of creativity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creativity from each level and clarifies the elements that can coordinately measure that. First, the study suggests three levels that compose creativity. Second, the study not only clar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from each level but also develops the evaluation index. The creativity level assessment model proposed in the study is capable of providing a guide-line that evaluates, and therefore enhance, the organization's competencies and potentials of creativity.

      • KCI등재

        팀 창의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국내 ICT 연구개발 조직을 중심으로

        한인수(In-Soo Han),노풍두(Poong-Du Roh)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연구개발조직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을 위한 팀 창의성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구성원 개인 창의성, 팀 다양성, 팀 자율성 등의 선행요인들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이들 선행요인들과 팀 창의성의 관계에서 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이러한 팀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개 R&D조직에 종사하는 연구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21명의 자료가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되었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구성원 개인 창의성은 팀 창의성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분석에서 팀 효능감이 팀 다양성 및 팀 자율성과 팀 창의성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 팀 자율성이 팀 효능감을 통해 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 때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외의 다른 변인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관리적 시사점 도출 및 연구의 한계 와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at a variety of antecedents, including creativity of individual team members, team diversity and team autonomy have on team creativity for the creative and innovative output in the R&D organizations. Second, it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team 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established between the antecedents and team creativity. Third, it aim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that occu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s, team efficacy and team creativity. In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arried out on researchers working in five R&D organizations where 521 individuals of 102 teams have been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eativity of individual team members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creativity. Second,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demonstrated that team efficacy possesses certain positive qualities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of team members, team diversity and team autonomy on team creativity. Finally, i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 indirect effect where team autonomy influences team creativity through team efficacy was more positive when the empowering leadership was high. However, in the rest of the variables, no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 theoretical and managerial perspectives, as well as possible limitations that it may bear, according to which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in regards to the potential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