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주의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김환희 인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주의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과의 효과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인지훈련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quasi-experimental designs 중에서 multigroup designs에 포함되는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을 사용하였다. 부산광역시 D의료원에서 2008년 4월 1일부터 동년 9월 12일까지 연구하였고, 훈련기간은 6주간 주 3회씩 총 18회기를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에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총 3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12명, 실험군Ⅰ(전산화 신경인지 훈련프로그램) 12명, 실험군Ⅱ(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 12명으로 나누었다. MMSE-K를 통하여 대상자를 선별하는 선별검사를 하였으며, 전산화 신경인지검사(CNT)를 이용하여 중재 전․후의 주의력과 기억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군Ⅰ은 전산화 신경인지 훈련프로그램(COMCOG)을 사용하여 중재하였고, 실험군Ⅱ는 연구자가 구성한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그룹별로 중재 전․후의 주의력과 기억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중재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군Ⅱ를 대상으로 대응표본 t-test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36명 중 성별은 남자가 20명(55.60%), 여자가 16명(44.40%)이고, 발병원인으로는 뇌출혈 25명(69.40%), 뇌경색 11명(30.60%), 평균연령은 44.69±11.49세, 평균발병일은 144.03±59.00일, MMSE-K 평균점수는 21.72±2.12점이었다. 실험군Ⅱ를 대상으로한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시각적 주의력 평가(정반응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25), 그 외 모든 항목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주의력과 기억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주의력은 청각적 주의력에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훈련프로그램을 사용한 그룹과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한 그룹이 대조군 보다 주의력이 증가하였고(p<0.05), 시각적 주의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주의력 증진의 긍정적인 변화량이 나타났다. 기억력은 언어성 기억력의 언어학습 검사(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12), 그 외 모든 항목에서 언어성과 시공간 기억력은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훈련프로그램을 사용한 그룹과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한 그룹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산화 신경인지 훈련프로그램과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주의력과 기억력에 명백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미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전산화 신경인지 훈련프로그램과 본 연구자가 구성한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주의력과 기억력에 명백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현재 부록에 제시되어 있는 근거중심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임상에서 사용해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더 많은 수의 대상자에게 대상자의 특성별로 치료방법을 나누어 다양하게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음악전공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김환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resilience and adaptation-to-school-life of a music major college student an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m. For this research, 113 music majo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is analyzed through the SPSS statistics program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alysis, post-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conducted to derive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silience of a music major is lower than that of an average college student. This means that music majors are less capable of recovering from stress situations than ordinary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self-resilience of music majors is found to have the highest interpersonal ability among sub-domain areas, the next highest positivity, and the lowest self-regulating abil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lack of self-control ability to control one's emotions compared to the high interpersonal skills of a music majo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or curricula for improving self-resilience of music majors at the school level. 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se self-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s or curricula, the emphasis on improving self-regulation skills, which have been shown to be the lowest in the sub-area of self-elasticity, will improve the self-resilience of music majors more effectively. Second, in this study, the level of adaption-to-school-life i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ordinary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 sub domains of adaption-to-school-life, social adapta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university environment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and personal sentiment adaptation,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social adaptation and the lowest level of individual-psychological adaptation can be interpreted by most music majors as experiencing individual-psychological problems more seriously than social adaptation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adaption-to-school life of music majors, they should focus on individual-preciprocal adaptation among the sub domains of adaption to school life, Music majors, who are haracterized by having to express their music with a lot of emotional sensitivity, need to make personal efforts to improve their personal-mental adaptation, and universities needs to come up with counseling and curricula to alleviate the individual problems of music majors. Thir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self-resilience and adaption-to-school-life of music majors is observ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elf-resilience is found that the positivity of the sub-regions of self-resilience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higher graders) tha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lower grades). This is a very interesting result: the higher the grade of a music major, the higher the subjective positivity to his or her life. In order to properly analyze these findings, we need to study specifically what influences the positive aspects of music majors in the future.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elf elasticity according to the major, significant rences in interpersonal skills among sub-area areas of self-elasticity are found that the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of Korean music majors is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of orchestral music majors is the lowest, an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especially at the school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daptation-to-school-life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 (higher grader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lower school grader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life adaptation. Also,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adaptation-to-school-life according to majors,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only in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among sub-domains of adaptation-to-school-life, the highest level of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keyboard and instrument, and the lowest level of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orchestral music and Korean music. Korean music departments and orchestral music departments, which show low levels of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combine more than other music majors.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is should be done to further study the school life adaptations of music major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problems of the joint program at the school level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music major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improve it. Fourt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domains of self-resilience and the sub-area of adaptation-to-school-life show a high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academic adapt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social adaptations, self-control abilities and academic adaptations, positive and social adaptability and university environment adaptat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tailed factors of self elasticity and the sub-domain of school life adaptation, it is found that among the detailed factors of self elasticity, living satisfaction, gratitude, self-optimism, emotional conditioning, and impulse control are highly related to the academic adaptation, which is a sub-domain of adaptation-to-school-life. This means that self-resilience is highly related to academic adaptation, among the sub-criteria of school life adaptation. It also h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extension and social adaptation, which means that the stronger one feels connected to other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There is also a high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ontrol and individual-mental adaptation, which ensures that the better one can control one's emotions, the less one experiences personal-mental problems. In conclusion, the self-resilience of music majors and the adaptation-to-school-life of college students can b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the results provide a clear basis fo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s to enhance students' self-resilience at the school level to enhance the adaptation-to-school-life of music majors. Even though music majors have invested a lot of time and money in their majors, they experience high stress during their college years, and if they fail to adapt to school life and fail to perform their best skills, this will cause huge losses not only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music industry. Therefore,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colleges, be used as a basis for research on mental health or school life adaptation of music majors in the future, and be beneficial to the active music activities of music majors and even professional musicians. 본 연구는 음악전공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두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음악전공생 11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설정된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 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사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전공생의 자아탄력성은 일반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비해 낮은 수준 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전공생이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일반 대학생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음악전공생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긍정성이 다음으로 높았으며, 자기조절능력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전공생의 대인관계능력이 높은 것에 비해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은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 차원에서 음악전 공생들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커리큘럼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또는 커리큘럼을 제공할 때 자아 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음악전공생에게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중점을 둔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음악전공생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음악전공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일반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응이 가장 높았고, 대학환경적응, 학업적응, 개인정서적응 순으 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사회 적응 수준이 가장 높고 개인-정서 적응 수준이 가장 낮은 것은 대부분의 음악전공생들이 사회적응 문제보다는 개인-정서 문제를 더 심각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전공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개인-정서적응에 집중하는 것 이 효과적일 것이다. 풍부한 감수성을 가지고 음악을 표현해야하는 특징이 있는 음악전공생들은 자신의 개인-정서적응 향상을 위해 개인적 차원의 노력을 해야 하며 학교 차원에서도 음악전공생들의 개인-정서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상담 및 커리큘럼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음악전공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학년에 따른 자아탄력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긍정성이 1, 2학년보다 3, 4학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인데, 음악전공생의 학년이 높을수록 자신의 삶에 대한 주관적 긍정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음악전공생의 긍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 해 구체적으로 연구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공에 따른 자아탄력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 영역 중 대인관계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한국음악전공의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가장 높았고 관현악 전공의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가장 낮았는데,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학교차원에서는 특히 관현악 전공 학생들을 위한 대인관계 향상 방안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살펴본 결과, 3, 4학년의 학교생활적 응이 1, 2학년의 학교생활적응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전공에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대학환경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건반악기 전공 학생들의 대학환경 적응 수준이 가장 높았고, 관현악 전공과 한국음악 전공 학생들의 대학환경적응 수준이 가장 낮았다. 대학환경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난 한국음악과와 관현악과는 타 음악전공에 비해 합주를 많이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음악전공생의 전공별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보다 깊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차원에서는 합주 프로그램의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 및 실행을 통해 음악전공생들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 노력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긍정성과 학업적응, 대인관계능력과 사회적응,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적응, 긍정성과 사회적응, 긍정성과 대학환경적응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의 세부요인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의 세부요인 중 생활만족도, 감사하기, 자아낙관성, 감정조절력, 충동조절력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업적응과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이는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에서도 학업적응과 높은 연관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자아확장력과 사회적응이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데 이 는 타인과 자신이 연결되어있다는 생각이 강할수록 사회적응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정조절력과 개인-정서적응 또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잘 조절할수록 개인-정서적 문제를 덜 겪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음악전공생의 자아탄력성과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음악대학 차원의 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마련이 음악전공생들의 학 교생활적응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음악전공생이 자신의 전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대 학 생활을 하는 동안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학교생활적응에 실패하여 본인이 가진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이는 개인 뿐 아니라 우리나 라 음악계의 발전에 있어서도 큰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음악대학의 발전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미래에 이루어질 음악전공생들 의 정신건강 또는 학교생활적응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바라며, 음악전공자, 나아가 전문 음악가들의 활발한 음악 활동에 유익한 자료가 되길 소망한다.

      • 발달장애 청소년의 전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개인의 역량 및 학교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김환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및 전공과에서 졸업을 앞둔 발달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졸업 직후 전환성과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전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으로, 발달장애청소년의 전환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재학 중 학교로부터 제공되는 고용으로의 전환교육 경험 및 전환목표를 포함한 개별화교육계획 요인, 그리고 장애청소년 개인의 전환에 대한 역량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및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소재의 특수학교 및 전공과, 그리고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졸업을 앞둔 발달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과를 포함한 특수학교 3곳, 인문계 고등학교 5곳, 전문계 고등학교 4곳, 특성화 고등학교 1곳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 2학년 학생 총 180명을 정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참여 학교의 담임교사 및 직업교과 담당교사가 학생들의 전환성과, 전환관련 교육 및 경험, 전환역량 등에 대해 묻는 설문문항에 답변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종 회수된 설문지는 151부로, 회수율은 83.9%였다. 회수된 설문지 151부 중 응답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4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각 문항에 대해 점수처리 한 후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백분율, 산술평균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수들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및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서 학교로부터 제공되는 고용으로의 전환교육 경험 및 전환목표를 포함한 개별화교육계획, 그리고 발달장애 학생의 전환역량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발달장애학생 중 30.2%만이 졸업 직후 고용으로 연결된 반면, 졸업 후 교육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55.0%로 절반을 약간 넘은 수준이었다. 또한 독립생활 성과에서는 무려 98.0%가 독립적/상호독립적 주거생활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관련 교육 및 서비스 실행에 따른 전환성과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네 가지 유형에 관계없이 어떠한 전환관련 교육이라도 실시한 적이 있는 학생은 모두 고용성과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성과를 나타내었고, 전환교육①의 경험여부에 따라서 여가생활 성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다른 전환성과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화전환계획 실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개별화전환계획을 작성하고 그에 대한 회의를 실시할수록 고용성과와 졸업 후 교육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개별화전환계획 작성 시 구체적인 고용목표를 포함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에는 전환성과에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졸업 후 교육목표를 포함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고용성과와 졸업 후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의 전환역량에 있어서 각각의 역량수준에 따라, 고용영역에서의 전환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이 고용성과뿐만 아니라, 졸업 후 교육성과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영역에서의 전환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은 고용성과와 여가성과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활영역에서의 전환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고용성과와 여가성과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각 전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먼저 고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환교육 경험 여부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화전환계획을 작성하였거나, 개별화전환계획 안에 주거 및 여가목표를 포함한 학생의 경우에는 고용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별화전환계획에 고용목표를 포함한 학생은 오히려 고용성과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졸업 후 교육성과에서는, 개별화전환계획에 구체적인 졸업 이후 교육목표를 포함하고 있을수록 실제로 졸업 후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전환성과 중에서 독립생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로는 모든 독립변수가 독립생활 성과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성과 중 여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별화전환계획을 작성하는지의 여부와 구체적인 고용목표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포함되었는데, 개별화전환계획을 작성하고 그에 따른 회의를 실시할수록, 장애학생의 여가성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개별화전환계획에 구체적인 고용목표를 포함할수록 오히려 여가성과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서비스스케이프를 적용한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이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환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libraries today are going through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roles and appearance due to the changes in our knowledge and life styles. If the key purpose of the library services in the past was to accumulate and distribute knowledge and information, now it is more about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and the librarians, information exchange and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sers, and harmonizing the analog and digital sources of information. As such, the space we call the library provides a glimpse into the form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our life as they are now, and the space of the library itself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However, as the studies of the library spaces are conducted in the discipline of architecture, we face an issue that is the lack of service perspectives in these studies, as they are solely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Therefore,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ere we study how a library should be operated and how we can make them better, there is a need to conduct more studies related to the physical spaces of the librarie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Servicescape,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spatial services in marketing, to the studies on university libra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spaces and facilities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the users of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consists of questionnaires in 10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long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tors of the Servicescape of a university library were examined,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that can be considered when the spatial services for the users of a university library is provided.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es of Servicescape factors of libraries showed that cleanliness, comfort, aesthetics, and conveni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se, convenienc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influence upon satisfaction, followed by cleanliness, aesthetics, and comfort. Second, this study perform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show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The major of the students caus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hile the number of visit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ontinuance intention, functioning as a moderating variable. Thir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o show the Servicescape factors as recognized by the users, the satisfaction points of the Servicescape of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points of dissatisfaction, while the details that could support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as a whole, showed that the convenience had the highest level of influence on the user satisfaction of a university libr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aces for resting and co-working, as well as multipurpose spaces. Also, rather than simply acquiring new space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roles of the libraries as the center for academic researches and combined learning by combining the new spaces and other physical services. Also, the libraries as they are now is the kind of library which combine printed media and electronic med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gular maintenance work for the electronic devices available in the library. In addition, cleanliness, comfort, and aesthetic values are the fundamental factors to maintain a library and, at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Servicescape factors of a library.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maintain these factors at the highest level.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spaces that can accommodate the various functions of a university library; seek advancement of the services; and develop the spaces of a library in consideration of cleanliness, comfort, aesthetic values, and convenience.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vicescape, which has never been studied in the disciplin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order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the users of the university library spac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attempted to assist a more in-depth analysis in assessing the place of library of LibQUAL+ with these findings; and a new guideline was provided to the work-level officers who design the spaces of a library. 최근의 도서관은 지식과 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그 모습과 역할이 변하고 있다. 기존 도서관 서비스의 주된 목적이 지식정보의 축적과 배포였다면, 최근의 도서관은 사서와 이용자의 직접적인 소통, 이용자들의 협업을 통한 정보교류 및 창의적 활동, 아날로그 정보원과 디지털 정보원의 조화가 이루어 지는 공간으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서관의 공간은 현재의 지식정보 형태를 보여주며 이용자의 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는 건축학 분야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건축학적인 관점에 국한되어 서비스적 관점의 부재라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도서관의 운영방식과 발전을 연구하는 문헌정보학 영역에서 도서관 공간과 관련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공간 서비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비스스케이프를 대학도서관에 도입함으로써 도서관 공간 및 시설이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한 4년제 종합사립대학교 10곳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공간 서비스 제공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을 확인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결성, 쾌적성, 심미성, 편의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편의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청결성, 심미성, 쾌적성 순으로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도서관의 표본의 특성을 통한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속은 만족도와 지속의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공은 만족도에, 방문횟수는 지속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면담내용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인, 대학도서관 서비스스케이프의 만족스러운 점, 불만족스러운 점을 확인하고 통계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했을 때, 대학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 중 편의성은 이용자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휴식공간을 비롯한 협동공간, 복합공간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공간 확보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공간과 오프라인 서비스가 적절히 연계되어 학문의 중심, 복합학습의 중심으로 도서관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도서관에 인쇄매체와 전자매체가 공존하는 만큼, 도서관에 갖춰져 있는 전자기기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그 밖에 청결함, 쾌적함, 가시적인 아름다움은 도서관을 유지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도서관의 전통적인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는 늘 최상으로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이 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선진 정보 기술 활용 등을 통한 서비스의 고도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며 청결성, 쾌적성, 심미성, 편의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도서관 공간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연구된 적 없는 서비스스케이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지속의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LibQUAL+의 장소로서의 도서관을 측정하는데 있어 보다 세밀한 분석을 돕고자 하였고 공간을 기획하는 실무자에게 새로운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둔다.

      • 노인 손상 환자의 재원기간 관련 요인 분석

        김환희 영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analyzes old people's present condition and actual state, investigates problems, and provides policy establishment through the security increase and basic data of the arbitration plan to present old people's safety accident and injury that is on the rise as the important social problem according to the aging. We use 20,750 old people's leaving the hospital data who's elderly patient over the age of 65 and whose major wound and disease in injury among 834,603 deep survey of leaving the hospital damage of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ince 2009 by the year 2012. We executed t-test and χ2-test to compare the old injured inpatient's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 clinical characteristic, and the other hospital-related characteristic with odd group's, and multinormal logistic regress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odd group. The result says the organization of elderly injured patient over the age of 65 of upper odd group is 3.5%, whose average days of hospital treatment is 119.5 days and the organization of elderly injured patient over the age of 65 of normal group is 94.9%, whose average days of hospital treatment is 15.8 days, which is 103.7 days shorter than upper odd group's. To find out the effect that old injured patient's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 have on days of hospital treatment, the result says when we pay medical treatment charg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0.40 times as much as by the other type and when we pay medical treatment charge by medical care,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0.28 times as much as by the other type, and if old injured patient's place of residence was city,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2.71 times as much as their place of residence was capital region. To find out the effect that old injured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 have on days of hospital treatment, the result says when the number of old injured patient's comorbidity is 0,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0.08 times and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lower odd group is 12.20 times as much as it is over 5,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0.15 times and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lower odd group is 6.80 times as much as it is over 5. When the patient got emergency operation,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6.24 times and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lower odd group is 0.09 times as much as when the patient didn't, and when the patient got non-emergency operation, the possibility that to be categorized in lower odd group is 0.28 times as much as when the patient didn't. After getting the treatment, alive patient has possibility to be categorized in lower odd group 0.17 times as much as dead patient has. To find out the effect that old injured patient's injury-related characteristic have on days of hospital treatment, the result says when the patient get injured during routine, the possibility to be categorized in upper odd group is 1.50 times and the possibility to be categorized in lower odd group is 1.92 times as much as the other case. The result says we need construction of systematically connected system with local medical institution, considering convenience of utilization, and as expected the rate of old inpatient increasing continuously because of aging society, we should develop the program to prevent injury, considering old people's damageable risk factor and reduce the occurrence of old injured patients through the preventative education notifying the danger of injury to them.

      • Interval Type-2 퍼지 접근방법을 이용한 Gradient Based FCM 클러스터링

        김환희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Gradient Based Fuzzy C-Means (GBFCM) 알고리즘은 FCM의 학습시간과 정확성에서 더욱 효율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제안 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초기 클러스터 prototype의 값에 민감하고, 상대적으로 가까이에 위치한 prototype들을 형성하는 패턴들의 경우에는 최종 prototype의 위치가 겹치는 결과가 나올 수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정된fuzziness parameter m=2 값만 사용하여 데이터에 따라 유동적으로 fuzziness parameter 를 적용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Intervaltype-2 membership set 의 특징을 이용하여 m값 에 따른 퍼지 지역을 설정, 2개의 m 값을 이용하여 uncertainty 의 줌으로써 클러스터 부피에 맞는 적당한 퍼지 지역을 형성할 수있다. 본 논문에서는 Interval Type-2 퍼지접근 방법을 적용한 GBFCM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GBFCM보다 나은 성능을 보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가까이에 위치한 클러스터들을 클러스터링 할 때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The Gradient Based Fuzzy C-means (GBFCM) algorithm is very competitive in terms of speed and stability of convergence for large number of data than FCM. However, it is sensitive to initial cluster prototypes and to patterns that have relatively short distances between the prototypes.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interval type-2 fuzzy approach to gradient based fuzzy C-means (GBFCM) by considering uncertainty in the fuzzifier parameter m in the GBFCM algorith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almost the same as GBFCM in processing speed and shows improved clustering results.

      •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비스품질이 호텔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환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온라인 상거래 시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모바일은 풍부한 수요를 주고 소비자에게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주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온라인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오늘날의 소비자들이 호텔을 방문하기 이전에 다양한 할인정보나 방문자들의 후기 등을 통하여 미리 호텔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 후 구매 행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비스 품질이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호텔의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서비스품질과 사용자 만족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사용자 만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여서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고, 사용자 만족이 구매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국내 호텔의 오프라인·온라인 양쪽을 경험을 해본 20대에서 40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과학통계패키지인 SPSS을 사용하여 인구학적 정보에 대한 빈도분석, 서비스 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만족도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단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사연구에서 나온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호텔의 온라인 서비스품질 중에서 응답성, 공감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호텔의 오프라인 서비스의 품질 중에서 확신성, 신뢰성 차원의 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호텔의 온라인 서비스 품질과 오프라인 서비스 품질에 대한 사용자 만족의 수준이 높을수록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설문 응답은 비확률 추출방법인 편의 추출을 시행한 점과 오프라인 서비스와 온라인 서비스를 동시에 경험한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지만, 그들의 응답 중 사용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응답한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을 온라인상의 서비스 이용자나 오프라인상의 서비스 이용자에게만 한정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였으며 서비스 품질에 관한 많은 이론을 정비하여 기존 서비스 품질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확인하는 기여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국내 온라인과 오프라인 호텔 서비스 품질인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중 모든 품질간 차이를 밝혔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자 양쪽 매체 모두 사용자 만족의 수준이 높을수록 구매행동의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호텔들은 신규고객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기존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서 꾸준히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 소설, 육체 향유하기

        김환희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신과 육체, 세계와 개인, 타자와 나, 신과 인간 등의 소설적 테마는 소설이 분리의 상태에 머무름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리 상태에 대한 정보가 소설이라고 했을 때 소설에서의 인물의 육체는 이 분리의 표면에 있는 공간이 된다. 육체를 갖춰야만 공고한 인간인 것처럼, 소설에서의 인물도 육체를 지녀야 한다. 대부분의 소설은 의도치 않아도 허구의 인물에게 생명, 인간됨의 의미를 불어넣는 과정으로서 정신과 육체의 관계를 다채롭게 조명한다. 이 글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무엇인지 인식하는 소설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육체가 새롭게 의미를 부여받고 소설적으로 향유되는 소설들을 통해 나의 소설의 허점을 짚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쓰였다. 서론에서는 사실주의 소설에서는 정신을, 상징주의 소설에서는 영혼을, 실존주의 소설에서는 육체를 주된 가치로 하여, 인간의 운명에 대해 탐구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또한 인간이라는 존재가 무엇인지 인식하는 소설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육체가 새롭게 의미를 부여받고 소설적으로 향유되는 소설들을 살펴보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론은 육체에 대한 관점을 명확히 해보려는 시도로부터 출발했다. 육체에 대한 논의는 매우 유서 깊으나 육체의 물질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프로이트부터였고, 프로이트는 물질적 육체를 문화와 언어에 앞서 인간을 조건 짓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 후 현상학은 육체를 세계를 인식하는 그 자체, 즉 육체의 감각을 통한 반응이 인간이 세계를 인식할 수 있게끔 해준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육체의 감각과 반응을 실존에 대입한 사르트르로 인해 더 이상 인간의 육체와 정신은 분리된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나의 소설은 증상으로 육체를 말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육체의 메타포를 훌륭하게 그려놓은 소설들에서는 육체를 자신만의 것으로 축소하지 않고, 육체가 지닌 의미의 영역을 타자에까지 확장시킨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육체적 존재인 인간의 육체가 결코 주체의 것만이 아니다. 육체는 정신에 앞서 세계와 대면하며 인간은 육체의 시선을 통해 타자와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카프카와 피란델로의 소설들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반면 나의 소설에서는 인물이 개인적으로 느끼는 감정과 육체적 증상에 따른 심리 상태의 변화에 고착되는 바람에 소설적인 의미 확장을 하지 못했다는 점을 반성했다.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소설이 육체를 향유한다는 것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설에서 육체는 실존 확인의 표지이다. 육체의 감각, 살과 세계의 맞닿음이 실존을 확신시켜 주는 것이다. 그래서 증상에 고립된 육체는 제대로 된 의미의 문학적인 육체가 아니다. 인물의 육체는 세계와의 관계를 최초로, 또 최후로 하는 유일한 매체임과 동시에 인물의 육체는 내적 풍경을 반영하여야만 한다. 결론에서는 나의 소설은 증상적인 육체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그 증상이 어디서부터 왔는지, 그리고 너머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그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는 배제된 채 증상에만 멈춰 있는 것에 대한 반성을 한다. 그리고 소설을 생생한 육체처럼 다루기로 다짐하는 것으로 이 글은 끝난다. Fictitious theme such as mental and physical, the world and an individual, others and me, and God and human means that a novel stays on a condition of separation. If the information of the separation is fiction, the character’s body is the space on this separation. As human completes with body, a character in a novel should have body. Most of novels show up a number of relationship between spirit and body as a course giving the meaning of being human and life to a fictional character, it doesn’t mean it though. This document is written to have a time to find a blind point of my novels through novels recognizing what is the human being, and novels meaning body newly and being enjoyed as fiction. In an introduction, I mentioned that I studied about humans’ destiny as spirit for realism novels, soul for symbolism novels, and body for existentialism novels as the main value. And I mentioned that this document assumed that I examined novels understanding what is human being and novels which the body is given the meaning newly in the process of and enjoys that fictitiously. The main subject started from an attempt to clear up the view point of body. A discussion about human body has a history. But it started from Freud that materiality of body rose as important. And Freud understood that physical human body settle human itself before culture and language. After then, phenomenology understood that human body is the one recognizing the world, it means that the reaction by body’s sense let human recognize the world. By Sartre who substituted body’s sense and the reaction for the real based on this recognition, it was hard to think anymore that human body and spirit can’t separate. In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my novels tell body by symptom.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main subject, I found that the novels which wrote metaphors of the body excellently, don’t reduce the body as their own, and extend the meaning of the body to other people. Human is physical presence, though. The human body is not owned only to the subject. I could know it through Pirandello’s novels that the body meets the world before the spirit and human relates with others through the body’s viewpoint. Yet in my novels, I reflected on my novels that I was fixed on the change of a mental state according to physical symptom and the feeling the character feels personally, so I couldn’t extend fictitious meaning. In the last chapter of the main subject, I examined about the meaning and the way of that a novel enjoys human body. In a novel, the human body is a mark to confirm the existence. Sense of the body, contact with skin and the world, it assure the real. So the body been isolated in the symptom is not complete fictitious body. Human body is the only medium being the first and the last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should reflect internal view. In the conclusion, I reflected on that I’ve talk about body symptom in my novels and stayed on the symptom excluding where the symptom came from or what is over there or about what did I want to speak through him/her. And this document is finished with my promise that I will treat my novels as a real body.

      • 텔레비전 드라마에 재현되는 젠더 이데올로기의 균열 가능성 : 이혼녀 • 싱글맘 드라마의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김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 사회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시대의 가치와 변화하는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유동적인 텍스트로서, 단순히 즐거움을 전달하는 대중매체의 의미를 넘어 적극적인 의미 생산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드라마는 현 사회의 지배 질서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변화 양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담론의 장(場)이자, 서사구조 상의 시도를 통해 저항의 힘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우리는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드라마 속 여성 재현에 주목함으로서, 다양한 담론의 충돌 양상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균열 지점 및 전복적인 균형 생성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드라마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른 이혼녀·싱글맘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네 편의 드라마, <아이두 아이두>, <백년의 유산>, <무자식 상팔자> 그리고 <우리가 사랑할 수 있을까>의 서사구조 분석을 진행했다. 이들은 지금까지 드라마에서 배제되거나, 피해자 혹은 탈성화의 대상으로서 부수적으로 등장할 뿐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혼녀·싱글맘의 등장은 일차적으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저항할 수 있는 긍정적인 원동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현대적으로 변이된 가부장제가 제시하는 타협 지점의 의미도 지니고 있는 바, 양가적인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디어와 페미니즘, 그리고 여성 재현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미디어와 페미니즘의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미디어 텍스트의 여성주의적 읽기가 시도된 배경, 페미니즘 유형에 따른 여성 이미지 연구 및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2000년대 중반 이전의 한국 드라마 속 여성 재현에 대한 성역할 및 재현 체계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성역할에 있어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기 위한 새로운 여성 캐릭터들이 등장하지만, 이들은 드라마 상의 구색 맞추기를 위한 인위적인 설정에 불과하며, 남성에 비해 직업적 전문성이 두드러지지 않는 등 폄하되어 묘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들을 유사한 서사구조 안에 배치시킴으로서 궁극적으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세 번째 선행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드라마 속 여성주의적 힘과 가부장적 질서의 전면적인 충돌 양상에 대해 논의한 논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여성 인물 유형 및 이들의 관계에서는 지배 질서에 유의미한 균열을 일으킬 수 있는 여성주의적 힘이 발견됐지만, 이들은 다시 가부장적 서사구조 안에 포섭됨으로서 일종의 타협지점을 생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서사구조 분석은 크게 이야기 분석과 담화 분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야기 분석은 다시 계열체와 통합체 분석, 담화 분석은 언어와 영상 표현방식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한 이데올로기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등장인물의 캐릭터 및 이들의 관계 맺기 방식에 주목한 계열체 분석에서는 지배 질서의 균열을 만들어 낸 유의미한 변화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네 편의 드라마에 등장한 이혼녀·싱글맘들은 직업적 전문성이 강조된 진취적이며 적극적인 알파걸이자, 자발적으로 가부장제에서 이탈한 탈 가부장적·제도적 인물들로 묘사되고 있다. 이때 드라마는 주인공들이 문제 해결자로서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삽입하고, 이들의 이탈을 긍정적으로 묘사함으로서 이혼녀·싱글맘에게 균열의 힘을 생산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더불어 드라마는 이들 주변에 전형적인 악녀 이미지를 탈피한 20대 여성들과 조력자로서의 30대 여성들을 배치하고, 이들 간의 유대 관계를 강조함으로서 가부장제 질서에 저항할 수 있는 생산적인 여성 연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탈권위적이며 배려가 돋보이는 30대 남성과 여성보다 계층적 지위가 낮은 매력적인 20대 연하 남성의 등장 그리고 이들과의 사적·공적 영역에서의 수평적 혹은 여성 주도적 관계 형성은 여성의 실질적 사회 지위 향상 및 남성 중심질서의 전복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때 드라마의 내부 설정 및 카메라 앵글구도와 같은 담화 장치는 계열체 상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서 단순 소재로서의 이혼녀·싱글맘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계열체 상에서 발견되는 ‘여성주의적 힘’은 현대적으로 변이된 가부장적 서사구조 안에 포섭됨으로서, 결국 드라마 상 담론간의 충돌은 위태로운 균형을 회복하게 된다. 통합체 분석 결과, 네 편의 드라마들은 동일한 불균형의 원인 및 균형의 지향이라는 유사한 서사구조를 공유하고 있다. 즉, 이들 드라마는 이혼과 싱글맘 선택을 불균형의 원인으로, 남성과의 결합 및 여성의 사회적 성공을 이상적인 균형 상태로 제시함으로서 계열체 상에서 발견된 저항의 가능성을 퇴색시키고, 가부장제 질서를 효과적으로 복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드라마의 결말부에 제시된 여성의 사회적 성공 역시 가부장제 질서의 재생산을 위해 제시된 타협지점에 불과하다. 이때 변형된 서사구조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균열된 담론을 봉합하기 위해 여성 캐릭터들의 내레이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전형성을 탈피한 등장인물들과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하고 있는 이들의 유대 관계는 지배 담론으로부터의 이탈을 시도하기에 충분하지만, 이들은 현대적으로 변형된 서사구조 안에 효율적으로 배치됨으로서 균열된 담론은 다시 유연해진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로 회귀하게 된다. 그러나 가부장제 질서에 의구심을 가지는 여성 캐릭터와 전복적인 남녀 관계의 등장, 이혼녀·싱글맘 문제의 사회적 차원으로의 확장 시도는 완벽하게 포섭할 수 없는 저항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가부장제의 자발적 변이 역시 역설적으로 가부장제 내부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반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앞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속 균열과 모순은 더욱 분명해 질 것이며, 충돌하는 담론 속 이탈의 힘은 드라마를 가부장적 서사구조를 넘어 새로운 균형의 상태로 추동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힘은 드라마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바, 이는 가능성의 텍스트로서 텔레비전 드라마를 풍부하게 향유하는 적극적인 자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서사구조 분석의 특성상, 드라마의 외적 변수를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각각 상이한 분량의 드라마를 선정함으로서 연구 대상의 통일성을 고려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는 이혼녀·싱글맘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드라마의 편수 부족에서 오는 필연적 한계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해 드라마 제작 과정 및 정책 요인을 고려한 분석이나 수용자 연구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사회적 지위가 낮은 이혼녀·싱글맘을 등장시킨 드라마를 비교 분석 하거나 드라마 이외의 텔레비전 장르를 선정하는 등 연구 대상을 보다 다변화함으로서 다양한 담론의 충돌 지점이 지닌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n society, TV dramas are floating texts that reflect the values of the age and changeable ideologies. Soap operas are not just the mass media that simply convey pleasure, but they play a role as principal agents producing active meaning. In this context, TV dramas are not only the field of discourse that can catch the transitional aspects of a patriarchal ideology in a most effective way but also the field of possibility that can produce the power of resistance through attempts in the narrative structure.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V dramas from a feministic point of view, we can estimate both the rupture point of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subversive equilibrium. Therefore, this study progressed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four TV dramas: ‘I Do I Do,’ ‘A Hundred Year’s Inheritance,’ ‘Childless Comfort,’ ‘Can We Love.’ These four TV dramas have divorced women or single moms as main characters rising as a new trend of the recent TV dramas. First of all, an advanced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hree key words like the media, femin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women. The research shows tha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transitions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V dramas starting in the mid 2000s. Considering the aspects of conflict among discourses in TV dramas since the mid 2000s, the feministic power that might cause a significant rupture in the dominant order has appeared in types of women and their relations. However, the power has been generating a kind of compromise point by being embraced into the patriarchal narrative structure once agai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four TV dramas,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that cause a crack in the dominant order in the analysis of paradigm which has focused on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their ways of building a relationship. Divorced women and single moms in the four soap dramas are all progressive and active alpha girls with professional expertise. Also, they are described as figures who have escaped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ir own free will. Those four dramas “authorize” them to play a role to produce a rupture by portraying their escape in a positive light. Furthermore, the dramas deploy women in their 20s and 30s around their heroines. The former breaks away from their typical image as wicked women while the latter serves as helpers for the heroines. In addition, by emphasizing the ties among them, the four TV dramas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productive female solidarity,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sist the patriarchal order. Meanwhile, the appearance of younger men in their 20s with lower hierarchical status than men and women in their 30s as well as the formation of horizontal or female-dominated relations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re operated as a mechanism to show the material improvement of women’s social status and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the male-oriented order. The discourse devices such as inner setting in dramas and the composition of camera angles convey the possibility of paradigm in an effective way so that those devices are extending the issues of divorced women or single moms as simple material into the ones in the social dimension. The “feministic power” in paradigm, however, is embraced into the patriarchal narrative structure which has been transformed contemporarily, thereby helping the conflict among discourses in dramas recover its unstable equilibrium. As a result of the syntagmatic analysis, the four TV dramas regard the selection of divorced women and single moms as a reason for imbalance, and they also consider the women’s combination with men or their social success as an ideal equilibrium. In this respect, the dramas fade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in paradigm and restore the patriarchal order. In the same vein, women’s social success in the end of the dramas is also nothing more than a compromise point that is suggested to reproduce the patriarchal order in an effective way. TV dramas make good use of narrations of female characters as discourse devices in order to justify the transformed narrative structure and heal the cracked discourses. To conclude, the ties between characters escaped from typicality and those based on the identity of “woman” are enough to strive to break away from dominant discourses. However, those characters are deployed effectively in the transformed narrative structure, thereby going back to the “flexible” patriarchal ideology. But the TV dramas also show the power of resistance such as female characters who doubt the patriarchal order, the appearance of subversive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attempts to expand the issues of divorced women and single moms into the social dimension. All those factors cannot be perfectly embraced in the patriarchal ideology. Additionally, the spontaneous transition of patriarchal system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disproof that paradoxically expose the internal issues of it. The point to make is that the crack and contradiction in TV dramas will be more evident from now on and the power of breakaway in conflicting discourses will drive dramas into a new equilibrium beyond the patriarchal narrative structure. Such an impetus begins with keeping a scathing view on TV dramas, and this is likely to be the positive attitudes to fully enjoy dramas as texts of possibility. This study was not able to reflect external variables in dramas due to the nature of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o consider the unity of research objects by selecting different episodes of dramas. In follow-up studies, therefore, these defects will be compensated, conducting audience studies or an analysis that takes account of the filming process or policy factors. Furthermore, the meaning of the conflicting points in diverse discourses can be discussed by diversifying research objects. For example, a comparative analysis can be carried out about dramas featuring divorced women and single moms with lower social status, or other TV genres excepting dramas can be chosen as research o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