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제내경』에 나타난 정지학설 소고

        김종두 ( Kim Jong D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정지학설(情志學說)은 동양의학 체계의 기초이론을 구성하는 중요한 이론으로서, 중국 고대의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 사상을 기초로 질병의 전변(轉變) 과정에 대해 이론에서 임상(臨床), 병증(病症)에서 정지요법(情志療法)에 이르는 내용을 포괄하는 동양심리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문헌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오지(五志)와 칠정(七情) 이론을 근간으로 한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정지학설(情志學說)의 기본 개념과 정지의 병인(病因), 병증, 치유방법, 예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류의 건강과 질병 문제에 대해 서양 심리학적 관점과는 상이한 태도를 취하는 동양심리학의 기초적인 이론 정립과 극변하는 오늘날의 심리학 패턴에 심신통합(心身統合)적 사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ory of emotion(情志學說) in Huangdineijing, one of the key theories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oriental medicine, is also the core of the oriental psychology that covers not only the theories as to the changing process of diseases based on the theory of unification of physique and spirit(心身一元論) in ancient China but also clinical test, symptoms and the emotional therapy as well. This study will examine the basic concept of the theory of emotion in “Huangdineijing” based on the theories of five emotions(五志) and seven emotions(七情) as well as emotional etiology, symptoms, curing methods and prevention through philological research and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theoretical foundation for oriental psychology that take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health and diseases of human beings and special values in today`s psychology patterns featuring radical changes.

      • KCI등재

        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지역별 차이와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김종두(Jong Doo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제조업에 속한 기업 8073개를 사용하여 5대 광역 경제권의 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기업의 평균 연구개발 투자는 수도권 1,367(백만원), 경남권 1,377(백만원), 경북권 1,273(백만원), 충청권 1,257(백만원), 호남권 719(백만원)이고, 매출액 기준 연구개발 집중도는 수도권 2.78%, 경북권 2.14%, 충청권 2.07%, 경남권 2.14%, 호남권 1.69%로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ANOVA분석에서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 불균형한 연구개발 집중도의 결정요인을 STEPWISE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로 선택된 변수는 IND(산업)이며, 두 번째는 SIZE(기업규모), 세 번째는 GRW(성장성), 네 번째는 LVR(레버리지)변수가 유의한 변수로 선택되었다. 각 변수의 회귀계수는 IND와 GRW는 정(+)의 방향으로, SIZE와 LVR은 부(-)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 특성변수로 RIND(지역 특화 산업의 연구개발비)와 RRD(정부 연구개발비의 지역 배분)를 추가한 결과 5번째 변수로 RIND가 선택되었으며, 6번째 변수로 RRD가 유의한 변수로 선택되었다. 두 변수 공히 연구개발 집중도와 정(+)의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RIND의 계수는 1% 수준에서, RRD는 10%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특화 산업의 연구개발 집중도는 지역 연구개발에 정(+)의 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지역의 연구개발 투자를 높이기 위해서는 타 지역에 비해 비교 우위에 있는 산업에 집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는 기업의 연구개발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셋째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의 배분에서 수도권과 충청권에 비해 경북권과 경남권, 호남권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고 있다. 호남권의 경우 집중도에서도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정부 연구개발 배분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D determinants of Korean manufacture firms. Financial data of 8211 firms was us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such as firm size(SIZE), leverage(LVR), growth rate(GRW), profit ratio(PRF), cash inflow(CASH) and industry(IND). And additional variables were included. The regional variables included were industrial characteristics measured by location quotient(RIND), and R&D given by nation(RRD). There were five large regions which are Sudo, Chungcheong, Honam, Kyungbuk, Kyungnam. We tested the data by STEPWISE method of regression model. We find the evidence that the determinants of R&D of five regions are IND variable, SIZE variable, GRW variable, LVR variable. IND variable and GRW variabl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ional R&D, but SIZE variable, LVR variable has negative. The regional variable RIND and RRD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ional R&D investments.

      • KCI등재

        사종삼매의 종합적 고찰

        김종두(Kim Jong-Doo)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8 No.-

        Sa Jong Sam Mae is the organized summary of the contents regarding the asceticism practice that was being carried out and plays the role of the lighthouse for all those who are engaged in it. That is why it is deemed as the purification of the Chinese Buddhism. In actuality, it is like the integrated instruction for all the asceticism practice, encompassing Zen Buddhism, Pure Land Buddhism, and Vajrayana Buddhism altogether. In particular, it is linked with the figure of sitting in Zen meditation and the hours of tranquil life in a direct and indirect manner, has theoretically supported the completion of Pure Land Buddhism in a Chinese fashion, manifests the generosity of General Sects that introduced the Holy Words Vajrayana Buddhism, and finds the connection to the section where all the forms are transcended to analyze the mind and to the ways to practice asceticism of Ganhwa meditation. In other words, Sa Jong Sam Mae includes four methods to practice asceticism of sitting in Zen meditation, a Buddhist invocation, Vajrayana Buddhism, and the daily asceticism free from the strict types or disciplines. These diverse practices, I find, are like the refrigerant to many numbers of people who practice austerities and are concerned about the uniformity of asceticism. Every person has a different level of perseverance, perspectives and receptiveness. While one person likes a certain type of asceticism practice, another may prefer the other. In that note, the inclination of the person who practices the asceticism is considerably important. In this day and age, I believe we have become dull in this area. While emphasizing only one aspect, I think we are losing grip of such perseverance on the other side. It is thus inevitable that we often fail to obtain the intended results. Simply put, it is difficult just like the one tries to dig a well on the rock, not on the soft soil, after hearing that you will find a well when you go after only one place. Sa Jong Sam Mae, integrated by Buddhist Priest Jieui, has thus important implication in the current trends despite the complexity of its contents. If one prefers Theravada Samadhi, then he should seek it. On the other hand, if one prefers Sanghaeng Samadhi (stand-up asceticism), Banhaeng Banjwa Samadhi (walking and sitting asceticism), and Bihaeng Bijwa Samadhi (other types of asceticism besides the above), then he should seek it as well. I find it truly efficient. It is even better since the uniformity is abbreviated and the diversity is included. I believe this is what Buddhist Priest Jieui desired to convey.

      • KCI등재

        간화선(看話禪)과 천태지관(天台止觀)

        김종두(혜명)(Kim, Jong-D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7

        인간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아프고 병이 들며 고생하면서 살아간다. 흔히들 몸병은 마음병이고 마음병은 몸병이라고 한다. 마음이 아프고 괴롭고 스트레스가 많으면 그것이 고스란히 몸으로 와서 각종 질환이 생기며 암으로 발전한다. 또한 몸의 어느 한부분에 이상이 생기면 그것이 그대로 마음으로 전달되서 정신질환이나 각종 장애가 된다. 그래서 몸과 마음의 조화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진정한 깨달음도 몸과 마음의 조화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된다. 마음을 지나치게 집중하여 몸의 균형을 잃어버리면 병이 생기고, 너무 느슨하여 적절한 긴장감이 떨어지면 그 또한 몸과 정신의 이상으로 발전되기 쉽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대비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진정한 의미의 깨달음은 잠깐의 화두(話頭)를 들거나 수행을 해서 이루어 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긴 시간의 여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간화선 수행자도 화두를 참구할 때 선병(禪病)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선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 없다면 올바른 수행과 증득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혼침(昏沈)으로 이어지는 우울증과 도거(掉擧)로 이어지는 불안 등은 반드시 경계해야 된다. 이것은 천태지관(天台止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정신적인 번뇌인 마사(魔事)로 인하여 오는 사대(四大)의 부조화와 파괴 그리고 우울증과 조증(躁症)은 모든 수행자에게 큰 방해가 된다. 또한 사대의 조화와 섭생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화선과 천태지관은 화두를 참구하는 것과 공(空), 가(假), 중(中)을 일심삼관(一心三觀)하여 일념삼천(一念三千)의 실상을 증득하는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수행의 도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병(病)에 대해서는 간화선은 선병으로, 천태는 『마하지관』의 병환경 등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그런데 간화선은 십종선병을 내용에 따라 지해(知解), 안주(安住), 인증(引證), 대오(待悟)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 열 가지 중에 7가지가 지해(知解)로 분류하고, 나머지 안주는 아무 일 없는 곳에 빠져있어서는 안 된다.(不得坐在無事甲裡)와 인증은 문자로 증거를 삼아서는 안 된다(不得向文字中引證)와, 대오는 깨닫기를 기다리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不得將心待悟)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안주를 혼침으로, 도거를 대오로 분류하면서 혼침을 우울증, 도거를 불안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천태는 사대와 조화와 마사의 일을 통해서 우울증과 조증등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처로 철저하게 공관(空觀)을 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간화선과 천태지관은 방법론적인 차이는 있지만, 수행의 길에서 만나는 병에 대해서, 혼침과 도거라는 관점에서 공통점과 유사점을 찾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천태는 보다 세밀하게 분류하면서 우리 몸의 조화와 섭생을 강조하였고, 간화선은 알음알이와 사량분별을 없애면서 선병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현대의 수행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며 효과가 있는 병의 치료라고 할 수 있지만, 아직은 간화선을 통한 심리치료와 정신치료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Without exception, human life invariably has to go through sickness and suffering. The quantum of life becomes quite small when we consider the time we spend sleeping or being sick. We all aim to be free of diseases, but in reality that is not quite possible. It is often said that a physical ailment is a mental ailment and vice versa. Mental agony or stress can manifest in the body and result in various diseases, even cancer. Conversely, a dysfunction in any part of the body manifests in the mind, resulting in mental illness or other disorders. Therefore, harmony of body and mind is important. I believe that enlightenment is also possible only by bringing about harmony between the body and mind. Concentrating solely on the mind and creating an imbalance in the body can make us prone to sickness. On the contrary, if the mind is too complacent and without a care or a certain requisite amount of tension, it may lead to disorders in the body and mind. Therefore, we need t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how to achieve a psychosomatic balance because, for most practitioners, enlightenment in its true sense is achieved only after a long journey, although some practitioners do believe that it is also attainable through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investigation of a hwadu or of other practices. GanhwaSeon practitioners may develop Seon diseases during their hwadu investigation. Without proper diagnosis and cur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proper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erefore, one should definitely guard against depression, which can lead to torpor, and against anxiety, which can lead to restlessness. The same is true of the Tiantai School’s samatha-vipassanā. Imbalance and disruption of the four great elements, which may be due to mental afflictions, depression, or manic disorders, prove to be a great challenge for practitioners. Harmony among the four great elements and a proper diet are deemed important. GanhwaSeon practitioners investigate a hwadu, and practitioners of the Tiantai School’s samatha-vipassanā aim to attain their true nature by embracing the 3,000 worlds in one thought based on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from having “three viewpoints on a single thought”: empty, provisional, and the mean.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practice techniques, both deal with abnormality or sickness arising from practice: GanhwaSeon warns of Seon diseases, and the Tiantai School speaks of “disease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in 『MoheZhiguan』. GanhwaSeon divides the ten diseases into four groups: intellectual understanding, complacency, verification through letters, and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Of the ten diseases, seven fall und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Complacency” refers to being overly complacent and feeling that one is free of all troubles. “Verification through letters” means that one should not view the written word as proof, and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means that one should not wait for enlightenment. Of these four groups, I connect complacency to torpor and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to restlessness. I also equate torpor to depression and restlessness to anxiety. About these matters, the Tiantai School explains that imbalance of the four great elements and mental afflictions bring about depression and manic disorders, and it advises that one should thoroughly contemplate emptiness to prevent or cope with these. Although GanhwaSeon and samatha-vipassanā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 method they adopt, they share similarities in dealing with diseases that the practitioners may encounter on the path and in including torpor and restlessness as two of these diseases. The Tiantai School has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for such diseases and emphasizes maintaining a proper balance of the human body and diet, while GanhwaSeon emphasizes remov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discriminative thinking as a way to overcome Seon diseases. These analyses can be useful both to m

      • KCI등재
      • KCI등재

        천태의 호흡법과 질병치료

        김종두(Jong Doo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천태는 여러 전적 속에 병의 원인 및 그 치료방법을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치료방법 가운데 하나가 호흡법이다. 호흡을 통해서 몸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고 수행을 돕고 있다. 호흡의 중용성은 강조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우리는 호흡없이 한시라도 살 수 없다. 그것은 우리의 신진대사와도 직결된다. 따라서 우리는 수행이나 일반생활시에도 항상 호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바른 호흡을 해야 할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금세 피로를 느끼고 몸의 장기가 고장이 나며 수행과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의는 이러한 점을 잘 알고 그 내용을 잘 정리하고 있다. 『차제선문』에서는 병의 증세를 3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치료방법으로 5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 가운데 호흡법으로 6식과 12식을 들고 있다. 『선문구결』에서는 병의 증세를 3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치료방법으로 5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선문구결』의 호흡법과 치료방법은 3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첫째는 수식관을 통하여 병을 치료하는 것이고, 둘째는 수식관과 주문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셋째는 가상관과 수식관을 같이 사용하여 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3가지의 밑바탕에는 호흡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천태소지관』에서는 병의 증세를 2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치료방법으로 5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치료는 크게 지와 관의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한 관에 기와 식의 호흡법이 포함되어 있다. 방법은 『차제선문』과 동일하다. 『마하지관』에서는 병의 증세를 6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치료방법으로 5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호흡법은 기(氣)와 식(息)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차제선문』과 『천태소지관』과 거의 동일하다. 지의는 여러 전적에서 병의 종류와 그 치료법을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그 가운데 호흡법은 핵심을 이루는 치료법 가운데 하나이다. 그것은 6식과 12식으로 선수행 가운데 일어나는 병을 그 증상에 따라 호흡하여 치료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리생활과 수행 속에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내용이라 생각된다. T`ien-tai(天台) has organized the cause of disease and its remedy method in his various classical books. And, one of the remedy methods is breathing method. It heals various diseases generated in the body through breathing, which helps the discipline. The importance of breathing is well known without emphasizing. We cannot live even one moment without breathing. The breathing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metabolism of human body. Therefore, we must think about the breathing importantly and breathe correctly in the discipline or in the daly life as well. Otherwise, we may feel fatigue right away, the organs will fall in disorder, and we cannot continue the discipline and daily life. Chih-i(智의) had been well aware of such a point, and organized its contents very well. The 『Ci-di-chan-men(次第禪門)』 has organized the symptom of disease in 3 sorts. And, it suggests the breathing method of 6 respiration and 12 respiration for the remedy method. The 『chan-men-gugyeol(禪門口訣)』 has organized the symptom of disease in 3 sorts. This book has described the disease caused by body and the disease caused by irregular breathing, particularly . The 『T`ien-tai-siao-chih-kuan(天台小止觀)』 has organized the symptom of disease in 2 sorts. This remed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2 categories of pause and inhale. The breathing method of energy and respiration is included in the inhale. The method is the same as 『Ci-di-chan-men(次第禪門)』. The 『Mo-ho chih-kuan(摩訶止觀)』 has organized the symptom of disease in 6 sorts. And, the breathing, which is the remedy method, is explained in the categories of energy and respiration. Chih-i(智의) has organized the disease type and the remedy method in his various classical books. The breathing method is one of the key remedy methods. We can see that it is the 6 respiration and 12 respiration by breathing according to the symptom for healing the disease generated during the seon discipline. So, we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valuable content in our daily life and discipline.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인의 절식문화(絶食文化)에 관한 고찰

        김종두 ( Jong Du Kim ),윤인숙 ( In Suk Y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현대사회에서 추구되는 한국인의 건강문화(健康文化) 양태(樣態)는 전통적인 양생(養生)의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서의 웰빙(wellbeing), 웰니스(wellness), 로하스(LOHAS)적 건강의 실현을 통하여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고양하고 전인적(全人的) 행복의 실현을 희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을 비롯하여 각종 만성질환이 더욱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더하여 고령화(高齡化) 사회에 들어선 한국은 예측불가능하고 현대의학으로도 치유를 보장받지 못하는 각종 성인병과만성질환으로 인해 오히려 장수에 따른 불안감과 불편함의 요소가 현실이 되는 현상을 보여줌에 따라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의 연구는 국가 사회적 관심을 기울여야 할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절식요법(絶食療法)은 인체의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하는 해독요법(解毒療法)으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오랜 세월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검증되며 활용되어 온 자연치유요법(自然治癒療法)으로서 전통적인 양생(養生)의 의미를 가짐과 아울러 현대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문화((健康文化) 양태(樣態)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의미 있는 대안으로 재고해보아야 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본고에서는 전통사회에서의 한국인의 양생(養生)문화와 현대사회에서의 한국인의 건강문화 양태를 살펴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인들이 생활 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는 본질적인 양생(養生)과 치유 및 건강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절식요법(絶食療法)의 의의를 밝힘과 아울러 효율적이고 유의미한 건강문화의 확대와 증진의 도구로 자리매김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health culture Koreans pursue in modern society is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regimen and it characteristically pursues higher quality of life and realization of comprehensive happiness through well-being, wellness and LOHAS, but in Korean society, there is growing number of various chronic diseases as well as obesity. Worse yet, as Korea becomes an aging society and a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adult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that modern medicine cannot guarantee complete cure, there is anxiety and uneasiness about a long life without health. Against this backdrop, the search of effective ways to respond to this is becoming a major issue that requires national attention. Fasting therapy is a kind of detoxification that discharges bodily waste and toxins. It is a meaningful traditional regimen as natural therapeutic method that has long been studied and validated, and is a valuable alternative to cure problems that appear in Korean health culture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reviews traditional Korean health regimen and the aspects of Korean health culture in modern society and finds out the significance of fasting as an essential regimen and a way of curing diseases and maintaining health for modern people. It also tries to find the ground that fasting therapy can be an effective and useful tool for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health culture.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정(精)에 관한 소고(小考) -선천지정(先天之精) 약물분석을 중심으로-

        김종두 ( Jong Du K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7 No.-

        인간 생명의 기원 물질은 정(精)이고,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원동력은 기(氣)이며, 생명 현상은 신(神)으로 표현된다. 본고에서는 정(精)을 위주로고대철학의 정(精)과 비교하여 『동의보감(東醫寶鑑)』 精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의 정기신(精氣神) 이론(理論) 중에서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정(精)과 연관된 문헌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정(精)의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여 철학적 개념의 정(精)과 동양의학적 정(精)의 상관성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동양의학의 이론 정립과 임상에서 매우 중요한 선천지정(先天之精)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동의보감(東醫寶鑑)』 의 선천지정(先天之精) 약물의 사기(四氣)와 오미(五味) 및 귀경(歸經) 등을 색인하여 본초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철학적인 관점에서의 정(精)은 추상적이고 무형적인 개념이지만, 『동의보감(東醫寶鑑)』 에서의 精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개념으로 크게 선천지정(先天之精)과후천지정(後天之精)으로 양분된다. 무병장수를 위해 선천지정(先天之精) 못지않게 후천지정(後天之精)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선천지정(先天之精) 문제로 야기된 질병의 치유나 건강한 장수를 위해 선천지정(先天之精)으로의 전환에 도움이 되는 약물의 사기(四氣)는 따뜻하고 평(平)하며, 오미(五味)는 단맛과 쓴맛으로 나타났고, 귀경(歸經)은 신(腎)과 간(肝)으로 귀속되었다. The originating material of human life is described as Essence, thedriving force to maintain it as Qi, and the actual existing state as Spirit. In this report, it is aim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meaning ofEssence in Donguibogam in comparison with Essence in the orientalancient philosophy. Among Essence-Qi-Spirit theory in Donguibogam, I have searched thereferences relating to Essence in particular through the literal research,and figured out the meaning and concept of Essence. I also found out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irits in philosophy andoriental medicine. The Spirit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sconsidered to be abstract and incorporeal. On the other hand, the Spiritin Donguibogam is concrete and real. It is mainly divided into CongenitalEssence and acquired one. I found out the role of the acquired essence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sound longevity as much as the congenitalone. In order to examine closely the meaning of Congenital Essence,which is very important in oriental medicine theory as well as the clinic,I grasped the herbal medicine features through checking the Four properties, five flavors and Meridian Tropism of Congenital Essencemedicinal herbs in Donguibogam. For the sound longevity and diseases caused by Congenital Essence,the four properties of Congenital Essence medicine are found to bewarm or mild in nature, five flavors to be sweet or bitter, and MeridianTropism to be kidney and liver.

      • KCI등재

        茶山 思想에서의 공직 리더십에 관한 연구

        김종두(Kim Jongd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본 논문은 실제 조선(朝鮮)사회에서 공직(公職)리더로 활동했고 실학(實學)을 집대성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사상을 통해 공직리더십 구현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다산은 당시 부란(腐爛)의 상태에 있던 조선을 사유(思惟)체계의 변화, 법제(法制)의 개혁, 기술개발(技術開發)이라는 실사구시(實事求是)적 발상으로 세계열강들의 조류에 맞춰 변화(變化)와 혁신(革新)을 추구했고, 실제로 현장에서는 그러한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백성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자 했다. 특히 억울한 누명과 함께 18년간의 유배생활(流配生活)을 하면서도 “오직 나라와 백성을 위해 옳은 것만을 추구한다.”는 ‘가치혁신(價値革新)’적 자세로 542권의 저서를 남기는 등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의 변혁적 삶을 보여주었다. 공직자로서의 리더십에 대해서는, 다산의 대표적 저서라 할 수 있는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잘 나타나 있다. 공직자가 부임할 때 유념해야 할 부임육조(赴任六曹)로부터 임무를 마칠 때의 해관육조(解官六曹)에 이르기 까지 12편으로 주옥같은 내용이 망라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다산이 보여준 변혁적 삶을 통하여 다산이 공직리더에게 주는 현대 리더십 메시지를 살펴보고, 목민심서(牧民心書)에 나타나 있는 리더십 관련 내용을 통해 공직리더십의 지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seeks to find methods of realizing public office leadership through Tasan Jeong Yakyong's ideology. Tasan, who compiled ShilHak, also was a leader in public office in the Chosun Dynasty. Tasan pursued changes and innovations in a time where Chosun was in a state of decay, through following the flow of world powers towards the concept of studying truth based upon facts such as changing the system of thought, reforming legislations, and developing technologies. Moreover, he gave courage and hope to the people by demonstrating such leadership in practice. In addition, despite false accusations and spending 18 years in exile, he showed revolutionary life as an active intellectual by leaving 542 volumes of writing through his 'value innovation' that he "pursue only rightful things for the people and the state." MokMinShimSuh, known as Tasan's most important work, mentions one's leadership as a public official thoroughly. From BooImYookJo to HaeGuanYookJo, the book covers 12 chapters of literary gems that tells essential points one should keep in mind when inaugurates and resigns as a public official. Hence, this paper observes Tasan's revolutionary life and the modern leadership message Tasan leaves to leaders in public office. Also, methods and wisdom to public office leadership are examined through MokMinShimSu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