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전입자방식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Electronic Beads의 제조 및 특성평가

        김성운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들어 LCD, PDP, 유기 EL등과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는 고화질화, 대형화에 이어 새로운 life style과 친환경 관련 요구에 따라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를 추구하고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종이와 비슷하여 눈의 피로감이 적고, 얇고 가벼운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다. 이러한 전자종이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되고 있다. 전기영동방식의 E-Ink 소재나, 전기습윤방식의 물과 Oil 소재 등은 제조방식과 응답속도, 대조비, 반사율 등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반면에 대전입자방식은 화학적 중합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원천소재기술 확보가 쉽고 디스플레이로서의 특성이 우수하다. 대전입자방식의 전자종이에 사용되는 소재는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아크릴(Acryli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실리콘(Silicon), 스티렌(Styrene), 멜라민(Melamine), 메타크릴(Methacrylic)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재 중에서 메타크릴계 모노머(Methyl Meth Acrylate Monomer)와 스티렌계 모노머(Styrene Monomer)를 이용하되, 현탁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대전입자방식의 polymer bead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bead는 촉매인 CCA1(negative)과 CCA2(positive)를 이용하여 양 또는 음의 대전입자로 제조하였다. 또한, 무기계 소재의 산화 티탄(TiO2)과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이용하여 흰색과 검은색의 컬러를 부여하였다. 제조된 bead의 표면에 negative silica #R8s와 positive silica #R04를 코팅 처리하였다. 그 결과 bead는 약 20정도의 유동성을 나타내었고, 뭉침현상도 해소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Electronic Bead(EB)”로 명명했으며, 그 크기는 8~10㎛정도이다. 이는 전기영동방식에 비하여 bead크기가 1/10의 수준이며, 화상형성 시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ite EB의 전하량은 -12uC/g정도이고, black EB의 전하량은 10uC/g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EB를 평가하기 위하여 glass기반의 전자종이를 제작하였다. 전자종이 패널은 6인치 ITO glass기판에 TFT array가 필요 없는 passive matrix(PM)방식의 구조로 제작되었고, cell size는 200㎛ⅹ200㎛이다. 패널을 구동한 결과, 320ⅹ320 array로 약 80ppi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었다. 응답속도는 <0.5msec 이하로 측정되었다. 특히 5:1의 대조비가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주요어: 메타크릴, 스티렌, 대전입자, 반사형 디스플레이, Electronic Bead In recent years, many reflective electronic displays using different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fabricated as a prototype. And even commercialized in the case of electronic paper based on electrophoresis and electrowetting. Although this display device has a fast response time sufficient to be used in moving images without a flicker, inevitable problems of reliability and lifetime remain to be solved. We proposed a new particle source that is urethane resin, acrylic, polyester, silicone, styrenen, melamine, methacrylic.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new materials that lead to methyl meth acrylate monomer and styrene monomer using polymerization method. The materials have a powder form show liquid behavior. We call this “Electronic Bead”. A positive-charged particle has TiO2, polymer and CCA(+), while a negative-charged particle consists of carbon black, polymer and CCA(-). The charged particles have charge to mass ratio of -12uC/g(white) and 10uC/g(black), repectivity. Also, these particles have good fluidity by additive of nano-sized silica. Using these materials, we demonstrated prototype displays that have 320ⅹ320 array of pixels and 6-in-diagonal viewable image size, driven by passive-matrix address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our charged particle type reflective display device is simple as follows. When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the black particles move toward the upper substrate and the white particles mov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the bottom substrate. As a result, we can see the white image on the upper substrate. When the polarity is reversed, we can attain black image. The charged particles are filed up in the cell surrounded by ribs. The height of the rib is 25 to 30㎛ and their width is 20 to 30㎛. Ribs are located at the space between both upper and bottom substrates. We used ITO coated glass for upper and bottom substrates and the transparent ITO electrode layers are patterned by photo-lithography method for passive matrix addressing. The upper electrodes are same shape as the bottom ones, but two electrodes are cross right angle to each other. The voltage applied to either scan electrode or data electrode must be low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for passive matrix addressing. Once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last imag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out supplying an additional voltage. We call it “memory effect”. Therefore our device with memory effect needs an erase pulse corresponding to sum of scan and data voltage to make a white background image. Gray scale is controlled by voltage level of data electrode. High voltage level makes black image, and medium voltage level makes gray image and zero voltage makes the pixel unchanged white background image. We used photo-reflectivity measurement equipment system for measuring reflectivity and response time. As a result, the response time of <0.5msec shows that our display panel is faster than electrophoretic type panel of 15~30 msec. The reflectivity shows about 30% even though our experiment is at the beginning point. Also, the panel has contrast ratio 5:1. We think there are many chances to improve reflectivity through modifying components of particle resin, mixture ratio of each particle, panel structure and so on. We anticipate that our panel is applied for ultra large sized panel as like E-poster and commercial advertising board. For example, as a large-sized, a RFID Display, an electronic newspaper, signage, traffic sign, a message board, etc. These materials and the simple structure have tremendous ability to compete. Keyword: Monomer, Styrene, MMA, Electronic Bead, Nano-silica

      • 1958-1960년 서울 도심의 간선도로변에 건설된 상가주택에 관한 연구

        김성운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근대화는 탈식민지 시대 이후 한국전쟁을 계기로 전후복구를 위한 서방 선진국으로부터 원조와 차관에 의해 도시와 건축에 새로운 변화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가 처한 상황의 변화와 건축의 구조와 재료의 기술적 발전이 주거에 미치는 영향이 도시와 주거를 이해하는데 중요함을 인식하고, 한국전쟁 후 전재피해로 인한 전후복구사업과 함께 도시미관의 정비와 급증하는 인구에 못 미치는 주거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기록상 1958년에서 1960년까지 건설된 상가주택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당시에 건설된 상가주택에 대하여 여러 문헌에서 언급은 하고 있지만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아 그 실체를 알 수 없는 상태이며, 건축주나 사용자에 의해 변용되거나 훼손되기도 하지만 앞으로 도심 재개발 논리에 의한 철거가 예상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당시에 지어진 상가주택의 분포와 현황을 파악하고, 현존하는 상가주택 중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상가주택을 선정하여 주거의 흔적을 찾아 건축적, 도시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국, 한국전쟁과 전후복구사업이 서울 도심의 도시와 건축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과 검증으로 볼 수 있다. 당시에 지어진 상가주택들은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서울의 도심지을 우선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계획이었으며, 상가주택을 건설할 4개의 간선도로를 지정하여 가로에 면한 계획을 유도하면서 도시미관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부족한 주거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 점포와 공동주택이 결합한 상가주택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상가주택은 건축의 목적별, 형태별, 자금의 출처별 다양한 이름으로 건설되었던 공영주택 중에 한 주거유형이었으며, 대한주택공사 30년사의 공사설립이전의 공영주택 건설실적 통계에 따르면 1958년에서 1960년까지 3년 동안 99동이 건설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대부분 철거되었고, 남대문로에 2동 정도가 남아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파악된 상가주택은 총 28동이며, 대체로 당시에 지정된 간선도로변에 건설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중구 내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남대문로와 태평로 2가 일대에 밀집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한국전쟁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지역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문헌 조사된 28동의 상가주택에 대한 실태조사에 앞서 기록상 지번이 불명확한 14동의 상가주택은 실태조사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지번의 확인이 명확한 14동의 상가주택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철거된 상가주택은 9동으로 시범상가주택 3동, 일반상가주택 6동이다. 현존하는 상가주택은 5동으로 시범상가주택 2동, 일반상가주택 3동이다. 현존하는 상가주택은 남대문로 4가와 5가에 밀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조사결과에 따라 표본조사 대상으로는 현존하고 있는 남대문로 5가의 역전 시범상가주택 1동과 일반상가주택 1동이 선정되었고, 철거되었지만 문헌 기록 중 도면이 갖고 있는 주거유형 파악의 신뢰성 때문에 저동 2가의 시범상가주택 1동, 문헌기록에서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소규모 점포주택으로 을지로 일대의 가로경관을 대표할 수 있기 때문에 을지로 2가 101-21번지 일반상가주택이 표본조사에 포함되었다. 표본 조사된 상가주택의 공통된 현황은 오래전 용도변경과 내부벽체가 해체되어 각 실의 구조를 알기 어려웠다. 당시의 언론기사에 따르면 상가주택의 입주자나 계약자들은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도심지에 있는 빌딩 3, 4층에서 가정생활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으며, 비싼 대지위에 융자금으로 빌딩을 짓고서 주택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은행이자도 안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계약조건을 무시하고 무주택 빌딩으로 건축하거나 준공검사만 끝나면 주택 구조를 해체하여 사무실로 사용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가주택이었다 하더라도 주거의 기능을 유지한 기간이 짧았던 것이다. 그러나 주거의 기능을 수용하면서 반영된 큰 틀은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주거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표본조사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4동의 상가주택이 갖고 있는 건축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선도로변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건폐율을 100%사용했기 때문에 대지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건물의 규모와 형태가 결정되었고, 주거의 기능을 수용하면서도 방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대지의 조건과 규모에 따라 동선계획이 다양하게 적용되었으며, 세대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3. 기록된 연면적을 역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세대별 면적과 실측한 세대별 면적은 약실측으로 인한 오차범위를 고려한다면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며, 동일한 공동주거 유형으로서 동시대에 지어진 초기아파트와 형태별, 면적별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실의 구획도 비슷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 도시미관을 확보하기위한 목표로서 입면개념의 디자인적 요소는 수평선과 수직선이 강조되는 선적 요소와 면의 분할을 통한 비례의 변화가 적용되었으며, 기능적으로 차양이 변형된 루버식 디자인이 사용되었고, 이는 창문과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과 우수를 제어하는 기능과 디자인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역할을 했다. 위와 같은 건축적 특성을 가진 상가주택이 간선도로변을 따라 생성되며 도시의 가로경관을 형성하는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전쟁 후 전후복구사업으로 진행된 도시계획은 건축법이 제정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지만, 간선도로변을 따라 건축되면서 블록 단위별로 이어진 가로에 면을 형성하는 도시계획이었다. 2. 이렇게 형성된 도시계획은 동일한 디자인적 요소들이 반복 사용되면서 시대적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으며, 역사적인 켜를 형성하고 있다. 3. 실태조사 결과 상가주택으로 추정되는 건물들이 남대문로와 태평로, 을지로 일대 여전히 현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스카이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전쟁으로 인한 서울 도심의 파괴는 백지 위에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는 터를 제공했으며, 해외원조로 시작된 전후복구계획은 서울의 도시와 건축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 가운데 탄생한 상가주택은 점포가 결합된 공동주거 형태로 통시적 관점에서 공동주거는 일제강점기 노동자를 위한 집합주거를 출발점으로 볼 수 있지만, 광복 이후 한국전쟁을 겪으며 독립정부가 계획한 도심지의 공동주거로서 점포와 공동주거가 결합한 복합주거유형으로서 새로운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거의 변천사 가운데 한국전쟁 후 누락되었던 주거유형으로 초기아파트에서 상가아파트를 잇는 연결고리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상가주택의 가치를 재발견하여 인식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당시에 건설된 상가주택을 시작으로 경제개발기 상가아파트에서 현재의 역세권 주상복합건물이나 도심형 생활주택에 이르기까지 복합주거용도의 필요성은 도시와 삶으로부터 요구받고 있기 때문에 도심지에서 주거용도가 존립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와 건축을 연구하고 적용하는데 있어서 상가주택이 갖는 의미와 가치가 입증된 본 논문은 도시의 탄생과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며, 도시의 재개발에 있어서 보존과 개발에 대한 검토사항으로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에 대한 해체미학적 연구

        김성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21st century Digital Art is aiming at Nomad's challenging & experimental mind which is rejecting a fixed frame or a method and incessantly changing through a brilliant progress in digital technology. In other words, it is freely expanding its creative realm while going beyond the existing technologies, methods, materials, and approaches and de-constructing & ignoring even genres. The aim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mote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art by a multitude of appreciators armed with a new approach of deconstructive aesthetics by making ‘non-representation platform’ that is polysemously interpreted by an appreciator's environment, knowledge, opinion, idea, experience, and viewpoint through the analysis of diverse non-representational works of the modern digital art; second, to accumulate a diversity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experiences by preparing for the upcoming difficult, coded future works which are hard to be defined or interpreted by the art theory based on the present consciousness, concepts, thoushts; third, to expand and develop the base of a non-representational concept of the modern digital art through a researcher's firsthand analysis of the several factors in non-representation, and the deconstruction theory which were applied to digital art. The Digital artists are spreading the world of the unprecedented creative, multi-layered non-representation such as expressions of infinite space, infinite time, infinite image, because of etc. by applying an ‘invisible’ and ‘unascertainable’semiosis generative device through the use of a newly upgraded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a software technique, etc. The Digital art is always linked and superimposed with the frame of deconstructive aesthetics which intends to seek for ‘a new experiment and a new interpretation’ with decentering, spontaneity, interaction, virtual reality, videos, feedback process functioning, etc. This study, with an eye on cutting edge digital environment of today's social networking period, and on the period of 3D, and 4D, understands and examines the deconstrutive factors which are the central thinking of de-genre, de-form, de-territoriality, de-medium, de-code, de-communication of digital art on the basis of ‘new experiment and interpretation.’ The key word of this study, ‘non-representation’ is a new trend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nd at the same time, the cutting edge operating principle of semantic analysis. The birth of non-representation begins with the deconstruction and rejection of the representation which is the reductional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main agent. Non-representation is an operating system in which it looks for the latent meaning in the space and finds & interprets the generative principle of a difference and it puts its emphasis on anti-reference, de-representativity, multiplicity, flexibility, instability, de-composition, de-existence, de-centering, de-function, de-gravity, de-common-sense, de-form, de-expression, de-genre, discontinuity, logical sum, separation, fission, etc. Non-representational art makes an appreciator uncomfortable and embarrassed by guiding the appreciator into the treacherous world, but it stimulates the appreciator's imagination by making him/her remain in memory and surprises & obscures his/her sentiment, and above all, this art makes the appreciator think of ‘the other things’ and get ‘a positive will to interpret in a new way.’ This researcher did research on the principle and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non-representation such as emergent properties, playfulness, ambiguity, anonymity, de-spatial property, positivity, potentiality, sublimeness, etc. using hundreds of the related works as illustrations. The originator of deconstruction theory, Jacques Derrida, in his major book “Grammatology” is showing a property of ‘trying to interpret in a new way’appearing in writing while suggesting disparity, differences, blank space, vestige, dissemination, repetition, ecriture, context, etc. This researcher substitued image making for writ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perty of trying to interpret in a new way’ in writing in the deconstruction theory like this and carries out the research by extracting only the things related to formativeness among the terminology for Derrida's deconstruction and also using the recently appearing diverse, epoch-making non-representativism of digital art as a clue. The period between the 1960s and the 1990s, when Derrida was mainly active in his works, didn't have the environment of digital technology we have today, but his power to foresee erupting from his deconstruction theory was quite modern enough to subtly reflect the artistic environment of the digital age as if it pierced through the environment. The ‘invisible spirit and idea’ of non-representation has something to do with ‘conceptual art’, and it is directly linked to the virtual reality of the digital art. The innovative feature of image-perception system by non-structurality, de-territoriality of superfluous cyber space, author, works, innovative features of image-perception system by spectator--conceptual deconstruction becomes the basis and the clue to the deconstruction theory and non-representationism.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itnessed non-representation occurring a lot from the digital art created through innovative deconstructiv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modern digital technology together with a grotesque interpretation method with which an appreciator understands and appreciates it by making ‘a non-existent thing’ and ‘other things’ that has been discovered yet, that couldn't be spoken by others other than the author. The researcher understood the deconstructive aesthetics, based on the non-representational viewpoint of the digital art drawn from this study, as 1]the one with the commun 21세기 디지털 아트는 작품의 의미가 하나로 수렴되지 않는다. 디지털 아티스트는 고정된 틀과 방식을 거부하고 끊임없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노마드(nomad)식 도전과 실험정신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기반으로, ‘보이지 않고’‧‘규명할 수도 없는’ 의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창의적이고 다층적인 의미망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창작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디지털 아트의 특징을 ‘비표상(非表象, Non-representation)' 이라 명명한다. 이전의 작품이 하나의 중심 의미 전달을 위한 이미지였다면, 현대 디지털 아트는 하나의 고정된 중심 의미를 부정하는 ‘탈중심’적 성격을 지닌다. 이는 ‘새로운 실험과 해석’을 추구하려는 해체 미학의 기본 정신과 맞닿아 있다. 해체 미학은 고정 불변의 중심 혹은 의미를 찾아내려 했던 기존의 모든 것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현대 디지털 아트의 특성을 정확하게 포착하기 위해서는 해체 미학적 시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 작품을 해체 미학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비표상 플랫폼’을 만드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설정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난해하고 암호화된 현대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기존의 의식 ‧ 개념 ‧ 사고로 현대 디지털 아트를 이해하기란 무척이나 어렵다. 아니 불가능할 지도 모를 일이다. 둘째, ‘비표상 플랫폼’을 만들어서 비표상 개념 혹은 해체 미학적 시각을 저변에 확대 보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감상자가 새로운 접근 시각인 해체 미학으로 무장하게 됨으로써 디지털 아트의 진화와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 적잖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본고의 목적을 온전히 수행하기 위해 먼저 해체 미학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해체 이론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의미 해석의 첨단적 작동 원리인 ‘비표상’의 해체 인자들을 찾아보았다. 차연 ‧ 산종 ‧ 여백 ‧ 중첩 등이 그것들이다. 그러고 나서 이러한 해체 인자들의 결합이 어떤 모양으로 ‘비표상’되는지 160여 점의 작품과 본 연구자의 작품 30여 점들을 사례로 그 구체적인 실상을 알아보았다. ‘비표상’ 해체 인자들인 차연(差延) ‧ 산종(散種) ‧ 여백 ‧ 중첩 ‧ 여백 ‧ 흔적은 우발성 ‧ 은폐성 ‧ 혼융성 ‧ 잠재성 ‧ 상충성 ‧ 곡해성 등과 함께 연동한다. ‘비표상’ 해체 인자들은 ‘디지털의 옷을 입은’ 디지털 회화 ‧ 인터랙티브 아트 ‧ 사이아트 ‧ 3D 아트 ‧ 디지털 영상 ‧ 디지털 조각 ‧ 디지털 광고 ‧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 포토샵 아트 ‧ 설치 등 이질적인 장르 간의 조합과 해체를 통해 전혀 다른 상황과 해석을 낳게 한다. 디지털 아트는 타 예술 장르보다 다양한 첨단 매체를 수용하여 빠르게 융합하며, 가변성 또한 크고 민감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비표상 해체인자의 성격을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는 표본작품들을 선택하여 고찰하였다. 표본작품들을 차연 중심 ‧ 산종 중심 ‧ 여백 중심 ‧ 흔적 중심 ‧ 중첩 중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특히 3~5가지 이상의 여러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표본작품에서는 다양하게 교차하는 ‘비표상’의 발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작품들은 디지털로 작업한 작품과, 아날로그로 작업했지만, 넓은 의미에서 디지털 범주 안에 드는 작품을 구별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디지털 기술과 한국적 정서를 함께 담아낸, 첨단과 전통이 상호 교차하고 있는 작품을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는 ‘비표상’의 해체 인자인 차연 ‧ 산종 ‧ 여백 ‧ 중첩 등이 숨겨져 있음을 알아보았다. ‘익명적 비표상’과 ‘전통적 비표상’을 특징적으로 보이고 있었다. 마치 박수근과 유사한 양상을 띠고 있었다고 할 수도 있겠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이 지니고 있는 해체미학적 성격의 플랫폼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1) 차연 : 디지털 아트의 디지털 화면과 지면은 시간적인 차이의 지연으로 인식이 재편된다. 2) 산종 : 디지털 아트는 이질적인 장르 간의 이합집산에 의해 의미가 생성된다. 3) 여백 : 디지털 아트는 기술 ‧ 방법 ‧ 재료 ‧ 접근법 등에서 기존과는 다르게 혁신적인 방법으로 차원이 이동하고 공간을 흡수한다. 4) 중첩 : 디지털 아트는 다면(多面) ‧ 다층적이면서 전(全) 방위적으로 상호 소통한다. 5) 반복 : 디지털 아트는 디지털 복제에 의한 의미의 다원성이 존재하는 ‘파르마콘’적 성격을 갖고 있다. 6) 흔적 : 디지털 아트는 ‘미지의 잉여 공간’을 감상자의 몫으로 남겨 놓는다. 본 연구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또 ‘난해해져 가는’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디지털 아트 작품의 경향과 작품에 적용된 비표상의 제요소를 분석하면서 한국적 비표상 ‧ 해체미학의 가능성도 탐지하였다. 앞으로 디지털 아트의 기술적 도전과 실험은 계

      • 높은 throughput 성능을 갖는 DVB-S2 LDPC 복호기 구현

        김성운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novel LDPC decoder architecture to improve throughput for DVB-S2, a second generation standard of ETSI for satellite broad-band applications. The proposed architecture clusters 360 bitnodes and checknodes into groups utilizing the property of IRA-LDPC code. Functional modules which perform calculations for bitnode groups and checknode groups have local memories and store the messages at local memories of functional modules connected by edges . The proposed architecture can avoid memory conflicts and access stored messages sequentially, hence, increases throughput in the proposed DVB-S2 LDPC decoder architecture. The proposed architecture was synthesized using the TSMC 90 nm technology. Synthesis results show that throughput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improved by 101% and 46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architectures proposed by F. Kienle and J. Dielissen. 본 논문은 광대역 위성 서비스를 위한 유럽 전기통신 표준화기구의 2세대 표준인 DVB-S2에서 사용하는 LDPC 부호의 throughput을 증가시키기 위한 새로운 복호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IRA 구조의 LDPC 부호가 가지는 특징을 이용해 360 개의 비트노드와 체크노드를 각각 클러스터링 한다. 노드 그룹을 구현한 연산모듈은 각각 로컬 메모리를 가지고 있고, 전달받은 메시지는 자신의 로컬 메모리에서만 읽는다. 제안한 구조는 셔플링 네트워크를 이용해 에지로 연결된 노드 그룹의 로컬 메모리에 메시지를 저장함으로써 메모리 충돌이 없고 순차적인 메모리 접근이 가능하여 복호기의 throughput이 증가한다. 제안한 DVB-S2 LDPC 복호기 구조는 TSMC 90 nm 공정으로 합성하였고 F. Kienle과 J. Dielissen이 각각 제안한 기존의 구조보다 throughput이 각각 101%, 469% 증가하였다.

      • 호텔 F&B부서 직원이 지각한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력계획의 조절효과 -

        김성운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텔 F&B부서는 다른 호텔 부서보다는 높은 인적 노동의존성을 지닌 산업인 만큼 내부 인력 관리가 매우 중요시 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호텔 F&B부서에서 직원의 이직은 기업의 직접적인 손해를 초래하는 주요 요인이다. 본 논문은 조직에 손실을 야기하는 이직의도에 호텔 F&B부서 종사원이 느끼는 구조적, 내용적 경력정체와 조직공정성, 고용불안정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우선 파악하고, 경력계획을 통한 목표달성이 경력정체를 지각하는 종사원들의 이직의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긍정적 관점을 통해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기대감에서 출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총 4개의 가설을 세웠으며 검증을 위한 선행연구를 선별하여 가설을 위한 질문 20건과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대한 질문 5건, 총 25건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파라다이스 부산, 파크하얏트 부산, 롯데호텔 부산의 F&B부서종사원을 대상으로 312부를 배포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답변과 미 답변을 제외한 29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확보된 설문지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통한 각 변수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변인에 관한 변수의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공정성과 고용불안정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0 이다. 아래는 4개의 가설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첫째,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1을 증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제로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2를 증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계획은 내용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 할 것이라는 가설2-1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경력계획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경력계획은 구조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 할 것이라는 가설2-2을 증명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경력계획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Hotel F&B department has higher human labor dependency than the other hotel departments. This is why intern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hotel F&B department, employee turnover is the main factor that causes direct damage to hotels. This study was started with a feeling of expectancy that it could minimize the loss of businesses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 that it would be able to identify first how structural and contextual career plateau,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ment instability that hotel F&B department employees felt had an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at caused loss to the organization and the achievement of goals through career planning could adjust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who perceived career plateau To achieve this, this study drew research models and set up a total of four hypotheses and for verification, sorted out precedent studies and distributed 312 copies of questionnaire composed of 20 questions for hypothesis and 5 questions for demographic information: 25 questions in total to F&B department employees in Paradise Hotel Busan, Park Hyatt Busan, and Lotte Hotel Busan. Among which, 297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except unfaithful and non responses. When th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 sample were also considered.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e the validity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through which,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was verifi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f variable was conducted and for hypothesis tes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inally,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h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ment instability were in control.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SPSS version. 20. The below is the analytical result of four hypothese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hypothesis 1-1 that contextual career plateau will have a posi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contextual career plateau actually had a posi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hypothesis 1-2 that structural career plateau will have a posi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tructural career plateau did not have an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hypothesis 2-1 that career planning will adjus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at contextual career plateau has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at contextual career plateau had on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planning. Fourth, as a result of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hypothesis 2-2 that career planning will adjus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at structural career plateau has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at structural career plateau had on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planning.

      • COTS 기술을 이용한 고분해 실시간 디지털영상저장기 구현

        김성운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TS technology means the use of technologies, products, and components that are ready-made and easily available in military procurements. In this paper, a high resolution real-time digital video recorder on the use of COTS technology which can be operated in harsh environments is proposed. The digital video recorder adopts TMS320C6415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USB 2.0 Interface for computer communication,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for the image sensor interface, and NAND Flash for the data recording to accomplish the required performanc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digital video recorder, ruggedization technologies, such as conduction cooling, underfill of BGA(Ball Grid Array), coating, and mold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used. The video and MIL-STD-1553B control data are recorded or played simultaneously in real-time. The digital video recorder was fabricated and all the electronic functions were tested in laboratory. The digital video recorder was mounted in image sensor pod of aircraft and showed its reliability in real flight test.

      • 금속-유기 구조 화합물 첨가에 따른 폴리설폰 막의 제조 및 성능 향상

        김성운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OF의 한 종류인 HKUST-1의 금속 유기 구조 화합물을 PSF 막에 첨가하여 상전이 공법을 이용하였으며, 용매와 비용매로 N,N-Dimethylformamide (DMF)와 물을 사용하였다. 막을 만들기 전에, MOF에 친수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PSF/MOF 용액에 분산을 잘 시키기 위하여 황산에 pH 조절을 하여 산 처리를 하였다. X-ray diffraction (XRD), thermogravimetrical analysis (TGA), UV/vis spectrometer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XPS)의 측정 방법으로 산 처리를 통한 MOF의 친수성과 구조의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contact angle을 통하여 MOF로 인하여 막이 친수화가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순수투과도와 제거율 그리고 오염성 저항에서도 PSF 막 보다 MOF가 들어간 PSF 막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도편수 김창희 기문(技門) 건축기법 연구 : 다포계 건축을 중심으로

        김성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원식-조원재-고택영-김창희로 이어지는 계보에서 김창희 도편수의 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건축 조영 원리를 파악하고 나아가 기문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문의 기법을 도출하기 위해 각각 제자들에게 26평 다포형식 불전 건물을 기준으로 같게 제시하여 정확한 분석을 돕고자 하였다. 조사는 계보, 가구계획, 부재계획 및 조립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첫째, 김창희 도편수 기문의 계보 정리와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이다. 일정한 기준으로 김창희 도편수의 제자 현황을 파악하고, 그들이 목수 입문에서부터 도편수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인터뷰하면서 작품 현황을 함께 조사하였다. 그들의 작품은 기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때에도 활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가구 계획에 관한 고찰이다. 건물을 계획할 때 가장 먼저 규모와 형식에 맞는 주칸 거리를 설정하여 기둥 자리를 정하면 평면 구성이 완료된다. 평면 구성이 완료됨에 따라서 가구 구성을 계획하게 된다. 가구 구성은 기둥 높이, 포 계획, 처마 내밀기, 지붕 물매 등 전체적인 건물 외형을 결정지어준다. 그리고 처마곡을 계획하여 건물의 아름다움까지 더해준다. 이러한 계획은 도편수마다 일정한 기준으로 짜인 모듈 안에서 계획된다. 그들의 설정 방법과 기준을 조사하여서 한 기문의 조영 원리를 밝혀내고 다른 기문의 도편수들과 비교하여 기문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부재 계획 및 조립에 관한 고찰이다. 가구 구성 계획이 완료되면 알맞은 부재 크기가 정해지고 부재들을 쌓아 올리기 위한 결구법과 부재를 만들기 위한 치목이 계획된다. 부재 크기 설정은 도편수들의 기준에 따라 알맞은 범위 안에서 치수가 정해진다. 그리고 부재들을 튼튼하게 올리기 위해 결구 방법에도 노력을 기울인다. 나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하고 뒤틀어지는데 도편수들은 나무의 성질을 예측하여 치목하게 된다. 이러한 도편수의 결구법과 치목기법을 조사하고 다른 기문과 비교하여서 한 기문의 기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상 세 가지 관점에서 다포형식 건물의 조영 원리를 밝혀내고 김창희 도편수 기문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tracting the features of the genealogy by identifying the principle of architectural techniques from disciples of master builder, Kim Chang-Hee at Choi Won-Sik, Cho Won-Jae, and Go Tae-Gyeong to Kim Chang-Hee genealogy. For more accurat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criterion with 26 pyeong(85.95㎡) Da-po style(the inter-columnar bracket cluster system) Buddhist temples to each discipl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ocus on three investigations - genealogy, structural plan, and structural members plan and construction. First, with regard to the genealogy of Kim Chang-Hee master builder, this study examined both current status of disciples of Kim Chang-Hee master builder and their works interviewing about the process from carpenter to master builder. Their works were used for compa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enealogies. Second, with regard to structural plan, the priority of planning building is to establish distance of intercolumniation according to size and pattern for position of columns, which completes composition of floor plan. As completing composition of floor plan, composition of structural is planned. The composition of structural determines overall exterior appearances including column height, Gong-po plan, eaves protrusion, and slope of roof. In addition, roof curve is planned to add beauty to the building. These plans are conducted by each master builder within the module designed in a certain criterion. This study will reveal the principle of architectural technique and feature of the genealogy by examining their setting method and criterion and comparing other builder of the genealogies. Third, in regards to investigating materials members plan and construction, the binding method to identify proper size of structural materials and pile up structural materials and trimming timber to make structural materials are planned after completing structural composition plan. In setting size of structural materials, proper size is determined according to criterion of master builders. Additionally, master builders make effort to improve binding methods for piling up structural materials firmly. As wood is contracted and distorted, master builders trim timbers with estimation of wood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tended to extract the technique of genealogies by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genealogies and examining binding method and trimming timbers. With focus on three investig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features of Kim Chang-Hee master builder genealogy and the principle of architectural techniques of Da-po style(the inter-columnar bracket cluster system).

      • 덤벨 유ㆍ무에 따른 스테핑운동이 중년여성의 복부지방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 국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8주간의 덤벨 병행 유무에 따른 스테핑운동을 통하여 중년여성의 복부지방과 근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년여성들로 16명을 무선 배정하여 덤벨을 들고 스테핑운동을 한 그룹 8명, 덤벨을 들지 않고 스테핑운동을 한 그룹 8명으로 나누어서 실험에 임하였다. 운동 강도는 스텝박스의 높이와 덤벨의 무게를 2주간 간격으로 변화를 주었고 빈도는 주 5회(월-금), 운동형태는 준비운동 5-10분, 스텝트레이닝 30분 그리고 정리운동 5-10분 총40-50분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이용된 분석방법은 운동프로그램 처치 전과 후의 변화차이의 검증과 그룹간의 변화차이 검증을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에 의한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스테핑운동의 결과 복부지방(허리둘레)및 팔(상완이두)근력, 어깨근력에서 덤벨을 들고 스테핑 운동을 한 그룹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향후 유산소 운동 유형인 stepping 트레이닝은 시간, 장소, 날씨 등에 관계없이 행할 수 있는 운동으로 경제적이고 단순하며, 강도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중년 비만여성들을 위해 적절한 유산소 운동으로 각광을 받을 것이다. 또한, 스테핑 운동을 통하여 무릎 및 발목재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이러한 분야의 연구가 계속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anges of abdominal body fat and muscle strength of middle-aged women through 8 weeks of stepping exercise with and without dumbbell. Middle-aged women were the object of research and 16 were randomly selected to bedivided into two group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ne group of 8 engaging in stepping exercise with dumbbell and the other group of 8 engaging in stepping exercise without dumbbell.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was varied with the height of the step box and weight of the dumbbell changed every two weeks and the frequency was five (5) times a week (Monday - Friday) and the exercise session was composed of 5 to 10 minutes of warm up, 30 minutes of step training and finally 5 to 10 minutes of wrap up.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change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treatment and repeated measure ANOVA for the difference in change between the group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in this research to calculate the result. As a result of the stepping exercise, the abdominal body fat (the waist measurement), muscle strength of arm (upper biceps) and shoulder muscle strength, the group which engaged in stepping exercise with dumbbell the hypothesis was proven correct (p<.001). In the future, stepping training which is one of aerobic exercise kinds will come into spotlight as appropriate aerobic exercise for middle-aged obese women as it is economical and simple exercise which can be done regardless of time, location and weather and also because of flexibility of the intensity. In addition, it is deemed that the stepping exercise can valuably be used for rehabilitation of knee and ankle and as such, further study and research in this field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